맨위로가기

한국인삼공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인삼공사는 1899년 대한제국 궁내부 삼정과 설치를 통해 시작되어 홍삼 제조 및 판매를 관장했으며, 현재 KT&G의 자회사로 홍삼 시장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대표 브랜드 정관장을 통해 홍삼정, 홍삼톤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미국, 중국 등 40개국 이상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또한, 스포츠단을 운영하여 남자 프로농구, 여자 프로배구, 탁구, 배드민턴, 바둑 등 5개 종목을 지원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탁구, 배드민턴, 여자 배구, 남자 농구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2년에는 배용준을 모델로 일본 시장 공략을 위한 광고를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삼 - 홍삼
    홍삼은 인삼을 증기로 쪄서 만든 것으로, 백삼과 구별되며 고려 시대부터 제조 기록이 있고 조선 후기에 제조량이 증가, 대한제국 시기에는 국가 사업으로 추진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는 홍삼전매제가 시행되었으며, 광복 이후 민간 제조 및 판매가 가능해졌고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체질과 증상에 따라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저장 기간에 따라 품질 변화가 발생할 수 있어 복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인삼 - 산삼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 상태로 자란 인삼인 산삼은 특히 한국에서 자연산 고려인삼을 지칭하며, 행운을 상징하는 신비로운 존재로 여겨져 식품, 화장품, 제약 분야에서 귀하게 활용된다.
  • KT&G - 코스모코스
    1992년 소망화장품으로 설립되어 '꽃을 든 남자' 등으로 1990년대 화장품 시장을 주도했던 코스모코스는 KT&G 자회사 편입 후 사명을 변경하고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하여 다나한, 플로르드망 등의 자체 브랜드 운영 및 해외 시장 진출, ODM 사업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화장품 회사이다.
  • KT&G - 영진약품
    영진약품은 KT&G 계열의 KRX 300 지수 구성 종목으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을 생산 및 판매하며 엑스핀탄, 암스텔, 올비틸워터젤리, 위앤장더블액션 등의 제품과 YPL-001을 포함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대한민국의 제약회사이다.
  • 대전광역시의 기업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전광역시의 기업 - KT&G
    KT&G는 대한제국에서 시작된 담배 전매제도의 역사를 이어받아 한국전매공사를 거쳐 민영화된 기업으로, 담배 제조·판매를 주력으로 하면서 인삼, 제약, 호텔, 문화 사업 등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과거 인종차별적 광고 논란이 있었다.
한국인삼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국인삼공사 로고
한국인삼공사 로고
정식 명칭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원어 명칭Korea Ginseng Corporation (KGC)
형태주식회사
창립일1999년 1월 1일
창립자KT&G
이전 회사전매국 (1948~1952)
전매청 (1952~1988)
한국담배인삼공사 인삼사업부문(1988~2002)
국가대한민국
소재지대전광역시 대덕구 벚꽃길 71 (평촌동)
사업 지역전 세계
대표 이사김재수
산업인삼식품 제조업
대표 제품정관장
자본금69,061,700,000원 (2015년 12월 기준)
매출액917,785,681,481원 (2015년 12월 기준)
영업 이익133,351,833,636원 (2015년 12월 기준)
순이익69,256,016,463원 (2015년 12월 기준)
자산 총액1,761,925,841,594원 (2015년 12월 기준)
주주주식회사 케이티앤지: 100%
모기업KT&G
종업원 수1,518명 (2015년 12월 기준)
웹사이트한국인삼공사 공식 웹사이트
관련 정보
euromonitorHerbal/Traditional Products in South Korea

2. 역사

1899년 대한제국 궁내부 삼정과 설치로 한국인삼공사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08년에는 삼정과의 홍삼 제조가 독점화되었다.

194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제강점기 말 가짜 인삼의 범람으로 인해 조선총독부 전매국은 진품 홍삼을 구별하기 위해 '정관장'이라는 표식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 정관장은 '정부가 관할하는 공장에서 제조, 포장된 믿을 수 있는 제품'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천관장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

1996년까지 한국인삼공사의 홍삼 판매는 정부 독점이었으나, 이후 전매국에서 한국담배인삼공사를 거쳐, KT&G의 자회사인 한국인삼공사로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삼공사는 홍삼 시장의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인 정관장 홍삼은 1912년[11] 개발된 100년 이상의 장수제품으로 6년근 홍삼 100%를 전통적인 기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홍삼 진액만을 농축한 고순도 제품이다.[12] KGC인삼공사의 홍삼제품은 철저한 품질관리와 위생관리로도 유명하다. 홍삼의 원재료는 100% 계약재배로 관리한 6년근 인삼만을 사용하고 최첨단의 고려인삼창에서 다양한 홍삼제품으로 제조해 수십 년간 대한민국의 홍삼업계를 이끌고 있다. 가장 인기 높은 제품은 홍삼 농축액인 '홍삼정'시리즈다. 홍삼하면 정관장을 떠올릴 정도로 1년에 3000억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국내 1위의 건강기능식품이다.[13] 2016년 KGC인삼공사는 건강기능식품 업계 최초로 매출 1조원을 달성했다.[14]

2016년 7월, KT&G타워 1층에 카페 ‘사푼사푼’을 열었다. 이외에도 반려동물 프리미엄 건강식 지니펫, 홍삼 스파(SPA), 스파G 등 관련 신사업에도 박차를 가하며 종합건강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14][15]

2. 1.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1899년 대한제국은 궁내부에 삼정과를 설치하여 홍삼 제조 및 판매를 관장하게 했다.[2] 1908년에는 삼정과의 홍삼 제조가 독점화되었다.[2]

194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제강점기 말 가짜 인삼의 범람으로 인해 조선총독부 전매국은 진품 홍삼을 구별하기 위해 '정관장'이라는 표식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 이는 '정부가 관할하는 공장에서 제조, 포장된 믿을 수 있는 제품'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2] 정관장은 국내외에서 천관장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

2. 2. 광복 이후

194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인삼공사의 홍삼 브랜드인 '정관장'이 국내외에서 알려지게 되었다. '정관장'이라는 브랜드명은 1940년대 초, 일제강점기 말 한국 홍삼의 수출 수요 증가와 함께 가짜 인삼이 성행하면서 등장했다. 진품 인삼을 구별하기 위해, 당시 조선총독부 전매국은 "정부가 공식적으로 보증한다"는 의미의 "정관장"이라는 라벨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

1899년부터 1996년까지 한국인삼공사의 홍삼 판매는 정부 독점이었다. 이후 전매국에서 한국담배인삼공사를 거쳐, KT&G의 자회사인 한국인삼공사로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삼공사는 홍삼 시장의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3. 대표 제품

한국인삼공사의 대표 브랜드 '정관장'은 다양한 홍삼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다.[13]


  • '''홍삼정''': 1912년에 개발된 제품으로,[11] 6년근 홍삼 100%를 사용해 홍삼 진액만을 농축한 고순도 제품이다.[12] 한국인삼공사의 제품 중 가장 인기가 높으며, 연간 3000억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건강기능식품이다.[13]
  • '''홍삼톤'''
  • '''화애락'''
  • '''황진단'''
  • '''천녹'''
  • '''홍삼원'''
  • '''홍이장군'''
  • '''아이패스'''
  • '''굿베이스'''
  • '''홍삼정 에브리타임'''
  • '''369'''
  • '''홍삼활력플러스'''

4. KGC 글로벌

KGC 제품은 현재 40개국 이상으로 수출되고 있다. KGC는 미국, 중국, 대만,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해외 지사를 두고 있다.

5. 스포츠단 운영

KGC인삼공사는 2010년 10월, 모기업 KT&G로부터 스포츠단 운영권을 인수하여 스포츠단을 출범시켰다.[16] KT&G는 2010년 9월, 스포츠 팀의 소유권과 명명권을 KGC로 이전하면서, 모든 팀의 이름을 변경했다.[3]

5. 1. 운영 종목

KGC인삼공사는 2010년 10월, 모기업인 KT&G로부터 영업권을 인수받아 스포츠단을 출범시켰다. 현재 남자 프로농구, 여자 프로배구, 남자 탁구, 여자 배드민턴, 남자 바둑 등 5개 종목의 스포츠단을 운영하고 있다.[16]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남자 프로농구단)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여자 프로배구단)
  • KGC인삼공사 탁구단 (남자 프로탁구단)
  • KGC인삼공사 배드민턴단 (여자 프로배드민턴단)
  • 대전 정관장 천녹 (남자 프로바둑단)

5. 2. 주요 성과

2012년은 KGC 스포츠단의 '황금기'로 불리며, 각 종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5] 탁구 및 배드민턴 선수들은 각 종목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여자 배구팀과 남자 농구팀은 각각 플레이오프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5]

6. 광고 및 마케팅

KGC인삼공사는 카페 ‘사푼사푼’을 열고, 반려동물 프리미엄 건강식 지니펫, 홍삼 스파(SPA) 등 관련 신사업을 추진하며 종합건강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14][15] 2012년 정관장 공식 사이트에서 CM 영상을 공개했고, 일본 민영방송 3사(후지 TV, 니혼 TV, TV 아사히)에서 1월 29일까지 기간 한정으로 방송되었다.[10]

6. 1. 광고 모델

2012년 한국인삼공사 재팬은 한류 스타 배용준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여 일본 시장 공략에 나섰다.[9]

참조

[1] 웹사이트 Herbal/Traditional Products in South Korea http://www.euromonit[...] euromonitor 2012-08-01
[2] 뉴스 Whats special about Cheong-Kwan-Jang?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0-11-11
[3] 뉴스 한국인삼, KT&G 스포츠단 인수 운영 https://news.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0-09-30
[4] 웹사이트 KGC인삼공사 스포츠단 https://kgcsports.co[...] KGC Sports 2022-03-20
[5] 뉴스 인삼공사 스포츠단의 우승 원동력…'홍삼효과'와 '신뢰' https://www.chosun.c[...] The Chosun Ilbo 2012-04-10
[6] 간행물 高麗人参に日本に商機 韓国人参公社、毎年50%増の成長目標 日本食糧新聞 2010-10-15
[7] 논문 無症候性脳梗塞に対する紅参末(正官庄)の臨床的検討 和漢医薬学会 1994
[8] 논문 糖尿病性腎症に対する紅参末(正官庄)の臨床的応用 和漢医薬学会 1996
[9] 웹사이트 韓国人蔘公社ジャパン 設立記念発表会 イメージキャラクターとしてペ・ヨンジュン氏 起用 http://kgcshop.jp/ne[...]
[10] 웹사이트 正官庄公式サイトでペ・ヨンジュン「正官庄、私も」CMを公開 http://kgcshop.jp/ne[...]
[11] 뉴스인용 정관장 홍삼정 "국내산 6년근 홍삼, 면역력 관리에 도움" http://www.futurekor[...] 미래한국 2020-05-20
[12] 뉴스인용 [Love&Gift]100년 전통의 밀리언셀러 ‘정관장 홍삼정’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7-01-19
[13] 뉴스인용 [즐거운 한가위]정관장, 1년에 3000억 매출…국민대표 건강기능식품 https://news.naver.c[...] 아시아경제 2016-09-05
[14] 뉴스인용 민영화 성공·성장동력 가속화 KT&G 해외시장 실적 빛났다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7-03-03
[15] 뉴스인용 [생생현장-이색 식품카페①] 홍삼이 카푸치노를 만나다, 한국인삼공사 ‘사푼사푼’ http://m.cnbnews.com[...] CNB뉴스 2017-02-25
[16] 뉴스인용 KGC인삼공사 소속 스포츠단 CI 변경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2011-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