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부르크 주교들의 사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부르크 주교들의 사적》(Gesta Hammaburgensis ecclesiae pontificum)은 북부 독일과 스칸디나비아의 역사와 지리에 관한 중요한 자료로, 브레멘의 아담이 1075/1076년에 완성했다. 이 책은 서문, 리마르 주교에게 보낸 글, 4권의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부르크-브레멘 대교구의 역사, 북유럽의 지리, 노르드 이교, 웁살라 신전에 대한 묘사 등을 담고 있다. 특히 제4권은 북아메리카, 즉 빈란드에 대한 노르드족의 발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연대기 - 데인인의 사적
    《데인인의 사적》은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덴마크의 역사와 민족 기원을 탐구하기 위해 라틴어로 집필한 총 16권의 역사서로, 북유럽 신화와 전설, 중세 덴마크 역사를 다루며 셰익스피어 《햄릿》의 모티브가 된 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 독일의 연대기 - 수도비아인의 서
    수도비아인의 서는 프로이센 신들의 목록과 전통 의례를 담고 있으며, 저자와 출처에 대한 논란이 있는 책이다.
함부르크 주교들의 사적
문서 정보
제목게스타 함마부르겐시스 에켈레시아에 폰티피쿰
로마자 표기Gesta Hammaburgensis ecclesiae pontificum
종류문학 작품

2. 구성

이 논문은 리마르 주교에게 보낸 서문, 총 4권의 본편, 리마르 주교에게 바치는 6보격 헌사로 구성되어 있다.


  • 제1권: 브레멘 주교령과 (845년 이후) 함부르크-브레멘의 역사 (788–940)
  • 제2권: 함부르크-브레멘 대교구의 역사 (940–1045)
  • 제3권: 함부르크의 아달베르트 대주교(재위 1043–1072)의 전기
  • 제4권: ''Descriptio insularum aquilonis'' (북방 군도들에 대한 묘사): 북유럽의 지리적 묘사


이 책은 바이킹 시대중세 전기의 북부 독일 및 스칸디나비아 역사와 지리에 관한 가장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며, 작센족, 벤드족, 데인족 사이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브레멘의 아담은 에인하르트, 카시오도루스 등 이전 역사가들의 자료와 브레멘 교회 도서관을 참고하여 1075/1076년에 이 책을 완성했다.[5]

아담은 노르드 이교와 인신 제사 관행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웁살라 신전에 대한 묘사는 ''게스타''에서 가장 유명한 부분 중 하나이다.[1]

:"이 신전에는 금으로 완전히 장식되어 있으며, 사람들은 세 신의 조각상을 숭배하는데, 그 중 가장 강력한 토르는 방 중앙에 있는 왕좌를 차지하고, 오딘프리코는 양쪽에 자리를 잡고 있다. (...) 그들은 토르가 천둥과 번개, 바람과 비, 맑은 날씨와 작물을 다스리는 공기를 주관한다고 말한다. 다른 신, 오딘, 즉 ''분노'' [''Wodan, id est furor'']는 전쟁을 수행하고 적에 대한 인간의 힘을 부여한다. 세 번째는 프리코인데, 그는 필멸자들에게 평화와 즐거움을 베푼다. 그의 형상 역시 거대한 남근으로 만들어진다."[2]

2. 1. 제1권

리마르 주교에게 보낸 서문에 이어, 제1권은 브레멘 주교령과 함부르크-브레멘의 역사 (788–940)를 다룬다. 브레멘의 아담은 에인하르트, 카시오도루스 등 이전 역사가들의 자료와 브레멘 교회 도서관을 참고하여 이 책을 저술했다.[5]

루데리히 주교(838–845)가 사망한 후, 주교좌는 안스가르에게 주어졌고 독립성을 잃었다. 이후 함부르크 대교구와 영구적으로 통합되었다. 함부르크-브레멘 대교구는 스칸디나비아의 기독교화("북방 선교")를 담당했으며, 스칸디나비아의 모든 선교 지역과 바이킹의 팽창 (러시아,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전체를 관할했다. 이러한 상황은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가 교황 파스칼 2세와 불화하여 1105년 룬드에 북방의 별도 대교구가 설립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2. 2. 제2권

함부르크-브레멘 대교구의 역사 (940–1045)를 다룬다.[5] 이 시기 대교구는 스칸디나비아의 기독교화("북방 선교")를 담당했으며, 스칸디나비아의 모든 선교 지역과 바이킹의 팽창 (러시아,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전체를 관할했다. 이러한 관할 범위는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가 교황 파스칼 2세와 불화하여 1105년 룬드에 북방의 별도 대교구가 설립될 때까지 지속되었다.[5]

2. 3. 제3권

함부르크의 아달베르트 대주교(재위 1043–1072)의 전기를 다룬다.[5] 이 책은 작센족, 벤드족 (서슬라브족), 데인족 (게르만족) (바이킹) 사이의 관계를 다루고 있으며, 바이킹 시대중세 전기의 북부 독일 및 스칸디나비아 역사와 지리에 관한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

2. 4. 제4권 (Descriptio insularum aquilonis)

제4권 ''Descriptio insularum aquilonis''는 스칸디나비아발트해 연안 국가들의 지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5]

여기에는 멜도르프, 셰네펠트, 페르덴 (Bistum Verden|베르덴 교구de), 팔렌, 라체부르크, 메클렌부르크, 홀슈타인 올덴부르크 및 윰네를 포함한 수많은 주교좌와 교회가 언급된다.

또한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특히 빈란드 (북아메리카) (제39장)를 포함한 "북부 섬"들과 스칸디나비아 해안에 대한 묘사가 있는데,[3] 이는 북아메리카에 대한 노르드족의 발견에 대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브레멘의 아담은 덴마크 왕 스벤 2세의 궁정에 머물면서 북대서양에서 바이킹들이 발견한 것들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5]

3. 주요 내용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 요약 등 필요한 정보가 제공되면 다시 시도해주세요.)

4. 저자: 브레멘의 아담

아담은 마이센 변경백국의 마이센(라틴어: Misnia) 출신으로 추정된다.[4] 그는 1050년 이전에 태어나 1081년(혹은 늦어도 1085년) 10월 12일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연대기에서 그는 많은 작가들과 친숙했음이 분명하다. "마이스터 아담"이라는 명예로운 이름은 그가 고등 교육의 모든 단계를 거쳤음을 보여준다. 그는 아마도 ''마그데부르크 돔슐레''에서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1066년 또는 1067년에 그는 함부르크의 아달베르트 대주교의 초청을 받아 함부르크-브레멘 대교구에 합류했다.[5] 아담은 브레멘의 참사회원 중 한 명으로 받아들여졌고, 1069년까지 대성당 학교의 교장으로 재직했다.[5] 그 후 그는 곧 함부르크-브레멘과 북쪽 지역의 역사를 다룬 ''Gesta''를 쓰기 시작했다.

그의 지위와 함부르크-브레멘 교회의 선교 활동은 그가 북독일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해주었다. 스벤 에스트리드손의 궁정에 머무르면서 그는 덴마크와 다른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정보를 얻을 기회를 얻었다.[5]

5. 판본

슈마이들러(1917)는 아담이 세 가지 버전의 텍스트를 만들었다고 기록했다.


  • (A)는 아담의 초고이다.
  • (a)는 리마르 주교에게 전달된 판본이다.
  • (X)는 아담이 개인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보관하고 다양한 주석을 덧붙인 것이다.


이 세 가지 원본은 현재 보존되지 않았다. 현존하는 필사본은 A, B, C군으로 분류된다.

A군에서 가장 훌륭한 필사본은 A1(빈 국립 도서관, cod. 521)로, 13세기 전반에 제작되었다. 2권, 4권의 일부와 몇몇 주석은 라이덴 대학교 도서관 Codex Vossianus Latinus(VLQ 123)에도 보존되어 있는데, 이는 1100년경에 제작된 것이다.

B군과 C군 필사본은 X 버전을 기반으로 하며, 독립적인 주석을 포함한다. B군에서 가장 훌륭한 필사본은 1161/2년에 작성된 Codex z였으나, 1728년 코펜하겐 화재로 소실되었다. 이 필사본의 사본 몇 개는 현존한다. C군에서 가장 훌륭한 필사본인 C1은 코펜하겐 왕립 도서관 구 왕립 컬렉션, No. 2296 4분책(1230년경)에 보관되어 있다.

5. 1. 주요 판본

초판은 현재 유실된 필사본 C2를 바탕으로 1595년 에르폴트 린덴베르크에 의해 인쇄되었다.

1609년과 1630년에 ''Scriptores rerum septentrionaliumla''로 재판되었다. 제4권은 1615년 스톡홀름에서 요하네스 메시누스에 의해 편집되었고, 1629년 레이던에서 스테파누스 요하네스 스테파니우스에 의해 편집되었다.

요아힘 요하네스 마더의 수정판은 1670년 헬름슈테트에서 출판되었으며, 1706년 J. A. 파브리시우스에 의해 함부르크에서 재판되었다.

필사본 A1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비평판은 요한 마틴 라펜베르크에 의해 1846년에 출판되었다. 이는 ''모뉴멘타 게르마니아 역사총서''에 포함되었으며, 1876년 게오르그 바이트츠에 의해 수정판이 출판되었고, 1884년 미그네에 의해 편집되었다(PL 146).

베른하르트 슈메이들러의 판(1917년, 1977년, 1993년 재판)이 현재까지 통용된다.

참조

[1] 문서 2015-03
[2] 서적 History of the archbishops of Hamburg-Bremen [by] Adam of Bremen. Translated with an introd. and notes by Francis J. Tschan Columbia University Press
[3] 서적 Hamburgische Kirchengeschichte https://archive.org/[...] Hahnsche 1917
[4]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Dodd, Mead & Co.
[5] 웹사이트 Adam of Bremen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2-09-20
[6] 문서 Introduc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