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란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란드는 약 1000년경 아이슬란드 노르드인 라이프 에이릭손이 북아메리카의 일부 지역에 붙인 이름이다. 1075년경 아담 브레멘의 기록에서 '윈란드'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포도주 땅' 또는 '목장 땅'이라는 어원 해석이 존재한다. 주요 정보원인 아이슬란드 사가에는 빈란드로의 항해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 있으며, 1960년 랑스 오 메도스 유적 발견을 통해 바이킹의 북아메리카 정착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빈란드의 정확한 위치는 논쟁의 대상이며, 메인 페니, 룬 문자 새겨진 돌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지만, 그 진위 여부와 연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윈란드 - 붉은 에이리크의 사가
붉은 에이리크의 사가는 13세기에 쓰여진 아이슬란드 사가로, 그린란드와 빈란드를 탐험한 노르드인들의 이야기와 여성 구드리드 중심의 전개, 그리고 고대 노르드 종교의 이교 관습, 마법, 유령 이야기가 담겨 있어 북유럽 문화 연구에 기여하며 빈란드 위치 논쟁을 촉발했다. - 윈란드 - 랑스 오 메도즈
랑스 오 메도즈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섬에 있는 바이킹 유적지로,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유일한 노르드 정착지 유적이며 10~11세기경 바이킹의 북아메리카 도달 증거로서 1978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캐나다 공원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 바이킹 - 메인 페니
메인 페니는 1957년 메인주에서 발견된 11세기 은화로, 아메리카 원주민 거주지에서 펜던트 형태로 발견되었으며 원주민 교역망을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바이킹 - 류리크
류리크는 9세기경 노브고로드 루스를 건국한 인물로, 슬라브족의 요청으로 바랑인 부족을 이끌고 노브고로드를 다스렸으며, 그의 후손들은 류리크 왕조를 이루어 키예프 루스와 러시아 차르국을 통치했다는 《원초 연대기》의 기록이 전해진다. - 그린란드의 역사 - 덴마크-노르웨이
덴마크-노르웨이는 1380년 덴마크와 노르웨이가 마르그레테 1세의 통치 하에 연합하여 시작되었고, 칼마르 동맹을 거쳐 발트해를 장악하고 전쟁을 겪었으며, 나폴레옹 전쟁 이후 킬 조약으로 노르웨이를 스웨덴에 할양하며 해체되었다. - 그린란드의 역사 - 베스트리뷔그드
베스트리뷔그드는 그린란드의 역사와 환경 변화를 보여주는 여러 버려진 장소들을 지칭하며, 고(古)에스키모인, 노르드인, 미국인의 문화적 흔적과 서부/동부 정착지, 냉전 시대 군사 시설 등을 통해 과거의 번성과 현재의 기후 변화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성찰을 제공한다.
빈란드 | |
---|---|
지도 정보 | |
명칭 | |
고대 노르드어 | Vínland |
의미 | '포도주의 땅' 또는 '목초지 땅' |
기타 명칭 | Vínland hit góða (빈란드 히트 고자, 좋은 빈란드) |
지리 | |
위치 | 캐나다 연안 지역 |
확인된 위치 | 랑스오메도 국립사적지 |
특징 | 포도 풍부한 목초지 연어 |
역사 | |
탐험 시기 | 11세기 초 |
탐험자 | 노르드인 (바이킹) |
근거 | 빈란드 사가 랑스오메도 유적 발굴 |
관련 유적 | |
주요 유적 | 랑스오메도 국립사적지 |
유적 특징 | 목재 및 잔디 건축물 노르드인 탐험의 증거 |
기타 정보 | |
사가 기록 | 아이리크의 사가 그린란드 사람의 사가 |
유네스코 세계유산 | 랑스오메도 국립사적지 (1978년) |
관련 링크 | 랑스오메도 국립사적지 (캐나다 공원청) 랑스오메도, 빈란드인가? |
2. 명칭
스칸디나비아에서 이주한 북유럽인 레이프 에이릭손(그린란드에 정착한 붉은 에이리크의 아들)이 약 1000년에 북아메리카 대륙의 한 지역에 정착하면서 그곳을 빈란드라고 불렀다. 1960년에 그린란드 외부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북유럽인이 정착했다는 유일하게 알려진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지금의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뉴펀들랜드섬 북단 끝의 ‘랑스 오 메도스’에서 나왔다.
1075년경 아담 브레멘의 『북쪽 섬들의 묘사』(『함부르크 교회 주교들의 업적』 4부 39장)에는 이미 "윈란드"(Winland)로 표기되었다. 아담은 "북쪽 섬들"에 대해 알고 있던 스벤 에스트리드손 왕으로부터 주요 정보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고대 노르드어 어근 "vin-"의 어원은 논쟁거리인데, 일반적으로 "포도주"로 여겨져 왔지만, 일부 학자들은 "목장" 또는 "초원"을 의미하는 동음이의어 "vin"을 제시하기도 한다.
2. 1. 포도주 어원설
일반적으로 '빈란드'라는 이름은 '포도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목장' 또는 '초원'을 의미하는 동음이의어 'vin'으로 해석하는 학자들도 있다.아담 브레멘은 빈란드라는 이름에 고대 노르드어 'vín'(라틴어 ''vinum''과 동족어) '포도주'가 포함되어 있음을 암시했다.[16] 그는 "그 바다에서 많은 사람들이 발견한 섬 하나를 보고했는데, 그곳은 포도나무가 저절로 자라 최고의 포도주를 생산하기 때문에 '윈란드'라고 불린다"라고 기록했다.[16] 13세기 문헌인 『그뢰날란딩가 사가』에서도 빈란드에서 발견된 'vínber'(와인베리)라는 포도 또는 건포도를 가리키는 단어에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명이 남아있다. 스칸디나비아에는 오랫동안 열매로 포도주를 발효시키는 전통이 있었다.[16]
1898년 스벤 쇠더베리는 빈란드의 첫 번째 모음을 /iː/가 아닌 /ɪ/로 발음하여, 고대 노르드어 'vin'(원시 노르드어 ''winju''에서 유래)이 '초원, 목장'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제안했다.
"포도주 땅"이 아닌 "목장 땅"으로서의 빈란드 해석은 1951년 발터 얀손의 논문에서 받아들여져 20세기 후반 대중적 지식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1977년 아이나르 하우겐은 'vin' 요소가 고대 노르드어 시대 이전에 "목장"에서 "농장"으로 의미가 변했다고 주장하며 이 해석을 거부했다. 그는 'vin'이 포함된 이름들은 원시 노르드어 시대에 붙여졌고, 바이킹 시대에 식민지화된 지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호넨 룬석(Hønen Runestone)에는 아담 브레멘의 "윈란드"보다 약간 앞선 고대 노르드어 이름 기록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1817년 이전에 노르웨이 노르데르호브에서 발견되었지만, 이후 분실되었다. 젊은 푸타르크(Younger Futhark) 비문은 약 1010~105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소푸스 부게(1902)는 비문의 일부를 "빈란드에서 얼음 위로"라고 해석했지만, 마그누스 올센(1951)은 "차가운 바람이 부는 얼음 위로"라고 다르게 해석했다.[16]
2. 2. 목초지 어원설
일반적으로 '빈란드'라는 이름은 "포도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일부 학자들은 "목장" 또는 "초원"을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 단어 'vin'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아담 브레멘은 빈란드라는 이름에 고대 노르드어 'vín'(라틴어 ''vinum''과 동족어) "포도주"가 포함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많은 사람들이 그 바다에서 발견한 섬 하나를 보고했는데, 그곳은 포도나무가 저절로 자라 최고의 포도주를 생산하기 때문에 '윈란드'라고 불린다."라고 기록했다.[16] 13세기 『그뢰날란딩가 사가』에서도 빈란드의 발견과 그곳에서 발견된 'vínber'(와인베리)라는 포도나 건포도를 가리키는 용어에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명이 나온다. 스칸디나비아에는 오랫동안 열매로 포도주를 발효시키는 전통이 있었다.
1898년 스벤 쇠더베리는 빈란드의 첫 번째 모음을 /ɪ/로 발음하여 "초원, 목장"을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 'vin'(원시 노르드어 ''winju''에서 유래)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해석은 1951년 발터 얀손의 논문에서 받아들여져 널리 알려졌다. 그러나 1977년 아이나르 하우겐은 'vin'의 의미가 고대 노르드어 시대 이전에 "목장"에서 "농장"으로 변했다고 주장하며 이 해석을 반박했다.
호넨 룬석(Hønen Runestone)에는 '윈란드'보다 약간 앞선 고대 노르드어 이름 기록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1817년 이전에 노르웨이 노르데르호브에서 발견되었지만, 현재는 분실된 상태이다. 소푸스 부게(1902)는 룬석 비문의 일부를 "빈란드에서 얼음 위로"라고 해석했지만, 마그누스 올센(1951)은 "차가운 바람이 부는 얼음 위로"라고 다르게 해석했다.[16]
3. 빈란드 사가
북유럽인들이 빈란드로 항해한 주요 정보원은 『에리크 붉은 수염 사가』와 『그린란드인의 사가』라는 두 개의 아이슬란드 사가이며, 이 둘을 합쳐 빈란드 사가라고 부른다. 이 사가들은 사건 발생 약 250년 후에 기록되었다.
사가에 따르면, 빈란드 원정대에는 다수의 바이킹이 참여했다. 『에리크 붉은 수염 사가』에서는 토르핀 카를세프니의 선원이 140명 또는 160명이었고, 『그린란드인의 사가』에서는 60명이었다. 『그린란드인의 사가』에 따르면, 레이프 에이릭손은 35명, 토르발드 에이릭손은 30명, 헬기와 핀보기는 30명의 선원을 이끌었다.[17]
빈란드에 대한 가장 오래되고 널리 알려진 기록은 약 1075년 브레멘의 아담이 저술한 ''Descriptio insularum Aquilonis''에 나타난다. 아담은 덴마크 왕 스벤 에스트리드센에게서 북쪽 바다 탐험가들이 대서양에서 발견한 "섬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20]
3. 1. 『그린란드인의 사가』
『그린란드인의 사가』에 따르면, 비야르니 헤리욜프손은 에이릭 적발의 그린란드 정착 2년차(약 986년경)에 노르웨이에서 아버지를 방문하던 중 우연히 새로운 땅을 발견했다.[17] 그는 헤리욜프스네스에 상륙하여 그린란드에 도착했고,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약 1000년경 노르웨이로 돌아간 그는 자신의 영주(에이릭이라는 백작)에게 새로운 땅에 대해 이야기했고, 이를 늦게 보고한 것에 대해 비난받았다. 그린란드로 돌아온 그는 다시 이 이야기를 했고, 레이프 에이릭손이 탐험대를 조직하도록 영감을 주었다.이 탐험대는 비야르니가 지나갔던 경로를 거꾸로 따라 평평한 돌의 땅(헬룰란드)과 숲의 땅(마르크란드)을 지나갔다. 2일간의 항해 끝에 탐험대는 해안 근처에 섬이 있는 곶을 발견했는데, 근처에는 썰물 때 배가 접근할 수 있는 웅덩이가 있었고, 그 지역은 모래톱이 있는 얕은 바다였다. 탐험가들은 이곳에 상륙하여 기지를 세웠는데, 이는 랑스 오 메도스와 일치할 수 있지만, 겨울이 얼지 않는 온화한 겨울로 묘사된다는 점이 다르다. 어느 날 늙은 가족 하인인 튀르케르가 실종되었고, 중얼거리는 모습으로 발견되었다. 그는 결국 포도/건포도를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봄에 라이프는 목재를 가득 실은 배와 포도/건포도를 가득 실은 작은 배를 예인하여 그린란드로 돌아왔다. 귀환하는 길에 그는 바위에 걸린 다른 배를 발견하고 승무원을 구출한 후 화물을 인양했다. 라이프의 귀환 후 가을, 라이프의 형인 토르발드가 이끄는 약 40명의 남성이 탄 두 번째 탐험대가 새로운 기지('''레이프스부디르'''(라이프의 임시 거처))에서 3번의 겨울을 보냈다. 그들은 첫 번째 여름에는 새로운 땅의 서해안을, 두 번째 여름에는 동해안을 탐험했다. 그들은 곶에서 배의 龙骨을 잃고 그곳을 키일 포인트('''크얄라르네스''')라고 명명했다. 더 남쪽으로 토르발드가 정착지를 세우려던 곳에서 그린란드인들은 현지 주민들('''스크레링야르''')을 만나 그들을 죽였고, 그 후 가죽으로 만든 배를 탄 대규모 부대의 공격을 받았으며, 토르발드는 화살에 맞아 죽었다. 탐험대가 기지로 돌아온 후 그린란드인들은 다음 봄에 집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
라이프의 형인 토르스테인은 라이프가 구출한 선장의 미망인인 구드리드와 결혼하여 토르발드의 시신을 가져오기 위한 세 번째 탐험을 이끌었지만, 항로를 벗어나 여름 내내 대서양을 항해했다. 구드리드와 함께 그린란드 농장에서 겨울을 보낸 토르스테인은 병으로 죽었지만, 기독교인으로서의 그녀의 미래에 대한 예언을 할 만큼 오래 살아남았다. 다음 겨울, 구드리드는 토르핀 카를세프니라는 아이슬란드 방문객과 결혼했고, 그는 가축을 데리고 빈란드로 주요 탐험을 떠나기로 동의했다. 도착하자마자 그들은 곧 해변에 좌초된 고래를 발견하여 봄까지 생계를 유지했다. 여름에 그들은 그린란드인들의 황소에 놀란 현지 주민들의 방문을 받았지만, 우유와 다른 제품을 거래하는 것을 기꺼이 받아들였다. 가을에 구드리드는 스노리라는 아들을 낳았다. 이후 곧 현지인 중 한 명이 무기를 빼앗으려고 하다가 죽었다. 탐험가들은 잘 선택된 방어 위치(기지에서 가까운 곳)로 후퇴하여 사상자가 거의 없는 상태로 공격에서 살아남았다. 현지인 중 한 명이 철제 도끼를 집어 들고 사용해 본 후 버렸다.
탐험가들은 포도/건포도와 가죽을 싣고 여름에 그린란드로 돌아왔다. 그 직후, 두 명의 아이슬란드인이 선장을 맡은 배가 그린란드에 도착했고, 에이릭 적발의 딸인 프레이디스는 그들에게 빈란드 탐험에 동참하도록 설득했다. 빈란드에 도착하자 형제들은 라이프 에이릭손의 집에 자신의 소지품을 보관했는데, 이것이 프레이디스를 화나게 했고 그녀는 그들을 쫓아냈다. 그녀는 겨울 동안 그들을 방문하여 그린란드로 돌아가고 싶다며 그들의 배를 요구했고, 형제들은 기꺼이 동의했다. 프레이디스는 돌아가서 남편에게 정반대로 말했고, 이로 인해 프레이디스의 명령에 따라 5명의 여성을 포함한 모든 아이슬란드인들이 잠자는 동안 살해되었다. 봄에 그린란드인들은 좋은 화물을 싣고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라이프는 아이슬란드인들에 대한 진실을 알게 되었다. 이것이 사가에 기록된 마지막 빈란드 탐험이었다.
3. 2. 『에이리크 붉은 수염 사가』
『에이리크 붉은 수염 사가』에 따르면, 토르핀 "카를세프니" 토르다르손과 160명의 대원은 그린란드에서 남쪽으로 항해하여 넓은 바다를 건너 헬룰란드를 발견하고, 다시 바다를 건너 마르크란드를 발견하고, 다시 바다를 건너 칼라르네스 곶, 원더스트랜드(Wonderstrands), 스트라움피외르드(Straumfjörð)에 이르렀고, 마침내 겨울에 눈이 내리지 않는 풍요로운 곳인 호프(Hóp)라는 곳에 도착했다.[17] 그러나 그린란드를 떠난 지 몇 년 후, 그들은 원주민들과의 무기한 분쟁에 직면하게 될 것을 깨닫고 고향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이 사가는 빈란드라는 지명을 네 가지 방식으로 언급한다. 첫째, 레이프 에이릭손이 발견한 땅으로 확인된다. 카를세프니와 그의 부하들은 그 후 원더스트랜드 근처에서 "vín-ber"(포도)를 발견한다. 나중에 이야기는 빈란드를 마르크란드의 남쪽에 위치시키고, 칼라르네스 곶을 북쪽 끝으로 지정한다. 그러나 스트라움피외르드에 있을 때 일부 탐험가들이 칼라르네스 서쪽에 있는 빈란드를 찾으러 가고 싶어했다는 것도 언급한다.

''에이리크스 사가 라우다'' 또는 ''에릭 적색의 사가''에서 레이프 에이릭손은 노르웨이에서 그의 봉신인 올라프 트뤼그바손 왕을 방문한 후 그린란드로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새로운 땅을 발견했다. 올라프 트뤼그바손 왕은 그에게 식민지에 기독교를 전파하도록 명령했다. 포도, 건포도, 밀, 목재 샘플을 가지고 그린란드로 돌아오던 중 그는 난파된 배에서 생존자들을 구출하여 행운아로 명성을 얻었고, 그의 종교적 사명은 빠르게 성공했다. 다음 봄, 레이프의 형제인 토르슈테인은 새로운 땅으로 탐험대를 이끌었지만 길을 잃고 여름 내내 대서양을 항해했다. 귀환하던 중 그는 아이슬란드에서 힘든 항해 끝에 헤리욜프스네스에 상륙한 배의 생존자 중 한 명인 구드리드를 만나 결혼했다. 구드리드와 함께 그린란드의 농장에서 겨울을 보낸 토르슈테인은 병으로 죽었지만, 먼 곳을 여행하는 기독교인으로서 그녀의 미래에 대한 예언을 할 만큼 충분히 회복되었다. 다음 겨울, 구드리드는 토르핀 카를세프니라는 방문객인 아이슬란드인과 결혼했는데, 그는 그의 사업 파트너인 스노리 토르브란드손과 함께 가축을 데리고 새로운 땅으로 대규모 탐험을 떠나기로 합의했다. 이 탐험에 배를 제공한 사람들로는 또 다른 아이슬란드 방문객인 비아르니 그리몰프손과 토르할 갬라손, 그리고 레이프의 형제자매인 토르발드와 프레이디스(그리고 그의 남편 토르바르드)가 있었다. 평평한 돌의 풍경(헬룰란드)과 숲(마르크란드)을 지나 배의 용골(키알라르네스)을 본 곶을 돌았고, 그 후 매우 긴 해변(''푸르두스트란디르'')을 지나 상륙하여 내륙을 탐험할 두 명의 주자를 파견했다. 사흘 후, 두 사람은 포도, 건포도와 밀 샘플을 가지고 돌아왔다. 조금 더 항해한 후, 탐험대는 강한 해류가 있는 곳(스트라움피외르드) 옆의 만에 상륙했고, 바로 해안가에 섬(스트라움세이)이 있었고, 그들은 야영지를 만들었다. 겨울은 혹독했고, 식량은 부족했다. 어느 날, 나이든 가정부인 토르할 사냥꾼(기독교인이 되지 않음)이 실종되었고, 혼잣말을 중얼거리는 모습으로 발견되었다. 그 직후, 해변에 고래가 발견되었는데, 토르할은 이것이 이교도 신들을 찬양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주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탐험가들은 고래를 먹으면 병에 걸린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래서 그들은 기독교 신에게 기도했고, 그 직후 날씨가 좋아졌다.
봄이 되자 아이슬란드인 토르할 갬라손은 키알라르네스를 돌아 북쪽으로 항해하여 빈란드를 찾고 싶어 했지만, 토르핀 카를세프니는 동쪽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항해하는 것을 선호했다. 토르할은 9명의 수하만 데리고 갔고, 그의 배는 역풍에 휩쓸려 바다로 나갔고, 그와 그의 승무원은 돌아오지 않았다. 토르핀과 스노리, 프레이디스(그리고 아마도 비아르니)는 40명 이상의 수하와 함께 동쪽 해안을 따라 항해하여 장벽 섬으로 보호되고 만조 때만 배가 항해할 수 있는 강을 통해 열린 바다와 연결된 해변 호수의 해안에 정착지를 세웠다. 그 정착지는 ''호프''로 알려졌고, 그 땅에는 포도, 건포도와 밀이 풍부했다. 이 사가의 이야기꾼은 탐험가들이 다음 겨울(매우 온화했다고 함)에 여기에 머물렀는지 아니면 여름 몇 주 동안만 머물렀는지 확신하지 못했다. 어느 날 아침, 그들은 9척의 가죽 배를 보았다. 현지인(''스켈링'')은 노르스인들의 배를 조사하고 평화롭게 떠났다. 나중에 훨씬 더 큰 배들이 도착하여 무역이 시작되었다(카를세프니는 무기 판매를 금지했다). 어느 날, 현지 상인들은 그린란드인들의 황소가 갑자기 나타나자 놀랐고, 3주 동안 자리를 비웠다. 그들은 그 후 대규모로 공격했지만, 탐험가들은 야영지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방어적인 위치로 후퇴하여 경상만 입은 채로 생존하는 데 성공했다. 임신으로 프레이디스는 속도가 느려졌지만, 그녀는 쓰러진 동료의 검을 집어 들고 맨가슴에 휘두르며 공격자들을 겁주어 물러나게 했다. 현지인 중 한 명이 철 도끼를 집어 들고 사용해 보려고 했지만 버렸다. 탐험가들은 그 후 남쪽 야영지를 버리고 스트라움스피외르드로 돌아오는 길에 가죽 자루에서 자고 있는 원주민 5명을 죽였다.
토르발드 에이릭손과 다른 사람들과 함께 카를세프니는 키알라르네스를 돌아 남쪽으로 항해하며 왼쪽에 땅을 두고 토르할을 찾았다. 오랫동안 항해한 후, 서쪽으로 흐르는 강의 남쪽에 정박해 있을 때, 그들은 외다리 사람에게 총격을 받았고, 토르발드는 화살 상처로 사망했다. 마르크란드에 도착하자 그들은 원주민 5명을 만났는데, 그중 2명의 소년을 납치하여 세례를 베풀고 그들의 언어를 가르쳤다.[18] 탐험가들은 스트라움스피외르드로 돌아왔지만, 그 후 겨울 동안의 불화로 인해 탐험이 중단되었다. 귀환하는 길에 아이슬란드인 비아르니의 배는 역풍에 휩쓸려 벌레의 바다(스칼홀츠보크의 마드카스야르, 하우크스보크의 마드크샤르)로 휩쓸렸다. 바다 벌레가 선체를 파괴했고, 배의 벌레가 통과하지 못하는 보트로 탈출한 사람들만 살아남았다. 이것이 사가에 기록된 마지막 빈란드 탐험이었다.[19]
4. 중세 지리학자들의 기록
스칸디나비아에서 이주한 북유럽인 레이프 에이릭손이 1000년경 북아메리카 대륙의 한 지역에 정착하여 그곳을 빈란드라고 불렀다. 1960년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뉴펀들랜드섬 북단 끝의 랑스 오 메도스에서 북유럽인의 정착 흔적이 발견되면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보다 약 5세기 앞서 바이킹이 북아메리카에 도달했다는 학설이 학계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4세기 초, 영국 말즈베리 수도원에서는 ''지리학 백과사전(Geographica Universalis)''이 편찬되었고, 이는 랜울프 히그덴의 ''폴리크로니콘(Polychronicon)''의 자료로 사용되었다. 이 두 저작은 브레멘의 아담을 참고하여 ''윈틀랜드(Wintland)''의 위치에 대해 언급했지만, 서로 다른 견해를 보였다.[23]
거의 동시대의 아이슬란드 문헌들은 노르스 탐험가들이 경험한 북쪽 국가들의 명확한 그림을 제시했는데, 아이슬란드 북쪽에는 광대한 불모의 평원이 있었고, 비야르말란드(북부 러시아)의 흰 바다 동쪽에서 그린란드까지, 그리고 더 서쪽과 남쪽으로 차례로 헬룰란드, 마르크란드 및 빈란드가 있었다. 아이슬란드인들은 빈란드가 얼마나 남쪽까지 뻗어 있는지 알지 못했고, 아프리카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추측했다.[24]
15세기~16세기경에 편찬된 "노르웨이 역사"는 빈란드를 직접 언급하지 않고 그린란드의 정보를 유럽 본토의 정보와 조화시키려고 시도한다. 이 글에서 그린란드의 영토는 "대양의 물이 범람하는 아프리카 제도에 거의 닿을 정도"로 뻗어 있다고 묘사하고 있다.[25]
갈바노 피아마|갈바노 피아마la(Galvano Fiamma)는 그의 저서 ''크로니카 우니베르살리스(Cronica universalis)''에서 노르웨이인의 전초기지인 마르크란드를 언급했다. 그는 남유럽인 중 신세계(신대륙)에 대해 처음으로 기록한 사람으로 여겨진다.[21]
4. 1. 브레멘의 아담
(Adam of Bremen)을 가능한 출처로 하는 14세기 초 영국 (Malmesbury Abbey)의 ''지리학 백과사전(Geographica Universalis)''과 (Ranulf Higden)의 ''폴리크로니콘(Polychronicon)''은 ''윈틀랜드(Wintland)''의 위치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보였다. 말즈베리 수도승은 윈틀랜드를 노르웨이 동쪽 바다에 위치시켰고, 히그덴은 덴마크 서쪽에 위치시켰지만, 정확한 거리는 설명하지 못했다. ''폴리크로니콘'' 사본에는 윈틀랜드가 아이슬란드 근처 대서양에 표시된 세계지도가 포함되어 있었으나, 실제보다 스칸디나비아 본토에 훨씬 더 가까웠다. 두 저작 모두 윈틀랜드라는 이름이 바람을 매듭으로 묶어 항해사들에게 팔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으며, 포도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말즈베리 수도승의 저서에서는 풀과 나무 외에는 거의 자라지 않는다고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23]4. 2. 시구르드 스테판손
아이슬란드의 스칼홀트 교사였던 시구르드 스테판손(Sigurd Stefansson)은 1570년경 빈란드 최초의 지도를 그렸는데, 이 지도에서 빈란드는 체서피크 만, 세인트로렌스 만 또는 케이프코드 만 어딘가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난다.[22]5. 빈란드의 위치 논쟁
스칸디나비아에서 이주한 북유럽인 레이프 에이릭손이 약 1000년에 북아메리카 대륙의 한 지역에 정착하여 그곳에 빈란드라는 이름을 붙였다. 1960년에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뉴펀들랜드섬 북단 끝의 ‘랑스 오 메도스’에서 북유럽인이 정착한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면서, 콜럼버스 이전 시대에 바이킹이 북아메리카를 발견했다는 학설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북유럽인의 빈란드'의 정확한 위치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27][28]
빈란드의 정의는 다소 모호하다. 더글러스 맥매니스는 1969년에 빈란드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일 수 있다고 결론지었고, 마티 카웁스는 빈란드가 상징적인 의미와 파생된 의미를 모두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 지리적 용어로 빈란드는 때때로 대서양 캐나다의 모든 지역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사가에서는 빈란드가 헬룰란드와 마르크란드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흐비트라만날란드와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29]
또 다른 가능성은 빈란드라는 이름이 하나의 정의된 위치가 아니라, '빈베르'(vínber, 포도)가 발견될 수 있는 모든 위치를 가리키는 보통명사(common noun)로 이해하는 것이다. 16세기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스칼홀트 지도에서 '프로몬토리움 빈란디에'(Promontorium Winlandiae, "빈란드의 곶")를 아일랜드 남부와 같은 위도에 북쪽 끝이 있는 좁은 곶으로 묘사했다.
사가 묘사를 바탕으로 헬룰란드가 바핀 섬을 포함하고, 마르크란드가 현대 래브라도 남부를 적어도 포함한다는 데는 일반적으로 동의하지만, 실제 노르드인들의 상륙과 정착지 위치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있어왔다. 에릭 왈그렌은 강에 연어가 있고 '빈베르'가 자유롭게 자라는 지역이 랑스오메도가 될 수 없다고 지적하며, 메인주 또는 뉴브런즈윅주를 빈란드의 위치로 추측했다.[30]
반면, 윌프레드 그렌펠 경은 바이킹들이 풍부한 자원을 가진 라브라도르 동해안보다 더 멀리 갈 이유가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31] 눈이 내리지 않는 겨울과 포도 발견 보고 등은 주요 정착지가 더 남쪽에 위치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린란드인 사가에서 언급된 "다그말"(dagmal)과 "에이쿱트"(eykt)라는 시간은 칼 크리스티안 라프에 의해 오전 7시 30분과 오후 4시 30분으로 해석되어 기지가 뉴펀들랜드보다 훨씬 남쪽에 위치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32] 아이슬란드 법률 문서에 따르면 "에이쿱트"는 오후 3시 30분, "다그말"은 오전 8시 30분을 의미한다.[33]
2012년 요나스 크리스티안손의 논문은 에릭 적색의 사가에 언급된 키아르네스(Kjalarnes)의 곶이 랑스오메도에 있다고 가정하고, 스트라움피외르드(Straumfjörð)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솝스암을 가리킨다고 제안했다.[34]
5. 1. 랑스 오 메도스


1960년, 헬게 인그스타드와 안네 스티네 인그스타드 부부는 뉴펀들랜드섬 북부의 랑스오메도에서 소규모 노르드인 야영지 유적[7]을 발견하고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발굴 작업을 진행했다. 이곳은 사가에 나오는 주요 정착지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린란드의 노르드인들이 남쪽의 풍요로운 땅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랑스오메도에서는 많은 목재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 유적지의 점유 시기는 서기 1000년경의 짧은 기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노르드인 세계에서 부싯돌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석영 조각들이 여러 건물 안팎에서 발견되었다. 이것들을 북대서양 지역의 석영 산지 표본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건물에서는 아이슬란드산 석영 조각만 발견되었고, 다른 한 건물에서는 그린란드산 석영 조각도 발견되었다. 뉴펀들랜드섬 동부 해안에서 온 조각도 하나 발견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일부 빈란드 탐험선이 아이슬란드에서 온 것이며, 새로운 땅의 동해안을 따라 탐험했다는 사가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36] 2021년, 이 유적지의 목재는 1021년에 금속 날로 잘라낸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현지 원주민들이 가지고 있지 않던 기술이었다.[37]
랑스오메도가 노르드인 탐험가들의 주요 기지였던 것은 현재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38] 노르드인 탐험의 남쪽 한계는 여전히 많은 추측의 대상이다. 구스타프 스톰(1887)과 조셉 피셔(1902)는 케이프브르턴을, 새뮤얼 엘리엇 모리슨(1971)은 뉴펀들랜드섬 남부를, 에릭 발그렌(1986)은 뉴브런즈윅주의 미라미치 만을, 아이슬란드 기후 전문가인 팔 베르그토르손(1997)은 뉴욕을 제시했다.[39]
주요 역사적 자료에서 빈란드에서 포도가 발견되었다는 주장은 탐험가들이 적어도 세인트로렌스강 남쪽까지는 갔다는 것을 시사하는데, 자크 카르티에가 500년 후에 야생 포도나무와 견과류를 모두 발견한 것과 같다.[40] 랑스오메도에서는 세 개의 가래나무 열매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세인트로렌스 강 북쪽까지 자라는 또 다른 종류의 나무다.[9][41] 사가에 나오는 노르드인들이 베어낸 빈비지르(vinviðir, 와인 나무)는 나무에서 자라는 야생 포도의 한 종류인 ''Vitis riparia''를 가리킬 수 있다. 노르드인들은 그린란드에서 필요한 자재인 목재를 찾던 중 랑스오메도 남쪽에서 ''Vitis riparia''로 뒤덮인 나무를 발견하고 빈비지르라고 불렀다.[10]
랑스오메도는 규모가 작고 짧은 기간 동안만 존재했던 야영지였다.[7] 아마도 그린란드와 같은 영구 정착지라기보다는 목재 채취와 배 수리를 위한 장소로 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42]
5. 2. 기타 후보지
사가 묘사에 따르면 헬룰란드는 바핀 섬을, 마르크란드는 현대 래브라도 남부를 적어도 포함한다는 데는 대체로 동의하지만, 실제 노르드인들의 상륙 및 정착지 위치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있어왔다. 사가들은 서로 다른 장소에 유사한 설명과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몇 안 되는 상당히 일관된 정보 중 하나는 주요 기지에서 탐험 항해가 땅의 동해안과 서해안 모두를 따라 항해했다는 것이다. 이는 고고학자들이 뉴펀들랜드의 긴 북쪽 반도 끝에 있는 랑스오메도 유적지를 찾는 데 도움이 된 요인 중 하나였다.[30]에릭 왈그렌은 그의 책 『바이킹과 아메리카』(The Vikings and America)에서 사가에 묘사된 장소에는 강에 연어가 있고 '빈베르'(vínber, 왈그렌에 따르면 탐험가들이 잘 알고 있었고 따라서 알아볼 수 있었던 특정한 '포도')가 자유롭게 자라기 때문에 랑스오메도가 빈란드의 위치가 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하게 지적한다. 야생 포도와 야생 연어 서식지의 한계, 그리고 사가의 항해 단서를 비교하여 왈그렌은 메인주 또는 뉴브런즈윅주의 위치를 지적한다. 그는 레이프 에릭손이 파사마쿼디 만에 야영하고 토르발드 에릭손이 펀디 만에서 살해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30]
반면, 20세기 초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에 살았던 의료 선교사이자 학자인 윌프레드 그렌펠 경은 빈란드 위치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31]
눈이 내리지 않는 겨울과 사가 모두에서 포도가 발견되었다는 보고 등 다른 단서들은 주요 정착지를 더 남쪽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린란드인 사가에 있는 기지의 위도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표시도 잘못 해석되어 왔다. 이 구절은 한겨울 가장 짧은 날에 해가 "다그말"(dagmal)과 "에이쿱트"(eykt)라는 노르드어 시간에 수평선 위에 있었다고 말한다. 칼 크리스티안 라프는 신세계 탐험에 대한 최초의 자세한 연구인 "안티키타테스 아메리카네"(Antiquitates Americanae, 1837)에서 이 시간을 오전 7시 30분과 오후 4시 30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했는데, 이는 기지를 뉴펀들랜드에서 훨씬 남쪽에 위치시킨다. 1880년 세프턴 번역에 따르면, 라프와 다른 덴마크 학자들은 키아르네스(Kjalarnes)를 케이프 코드에, 스트라움피외르드(Straumfjörð)를 버저즈 베이, 매사추세츠주에, 스트라움세이(Straumsey)를 마서스 비냐드에 위치시켰다.[32]
아이슬란드 법률 문서는 노르드 항해 기술을 참조하여 "에이쿱트"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나침반의 8개 주요 구역은 각각 3시간으로 세분되어 총 24시간을 만들었고, "에이쿱트"는 남서쪽 구역의 두 번째 시간의 끝이었다. 현대 용어로는 오후 3시 30분이 된다. "다그말"("낮 식사")은 이전의 "리스말"(아침 식사)과 구별되므로, 약 오전 8시 30분이 된다.[33] 해는 실제로 뉴펀들랜드 북부의 일년 중 가장 짧은 날에 이 시간에 수평선 바로 위에 있지만, 그보다 북쪽으로는 많이 가지 않는다.
에릭 적색의 사가에 언급된 키아르네스(Kjalarnes)의 곶이 랑스오메도에 있다고 가정하는 과학 저널 「악타 아르케올로기카」(Acta Archaeologica)에 실린 2012년 요나스 크리스티안손의 논문은 뉴펀들랜드의 다른 피오르드에서는 입구에 섬이 있는 것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스트라움피외르드(Straumfjörð)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솝스암을 가리킨다고 제안한다.[34]
6. 빈란드 이후의 항해
아이슬란드 연대기에는 사가 시대 항해 이후 1세기가 넘어 그린란드에서 빈란드를 방문하려는 또 다른 시도가 기록되어 있다. 1112년부터 그린란드에 거주했던 아이슬란드 주교 에이리크 그누프손은 1121년에 "빈란드를 찾아 떠났다".[26] 그에 대한 다른 기록은 없으며, 3년 후 아르날드라는 또 다른 주교가 그린란드로 파견되었다. 새겨진 돌을 제외하고는 그린란드에서 다른 서면 기록이 남아 있지 않으므로, 다음 항해에 대한 언급 또한 아이슬란드 연대기에서 나온다. 1347년, 마르크란드(Markland)에서 그린란드로 돌아가는 길에 폭풍을 만나 항로를 이탈한 배 한 척이 목재를 싣고 아이슬란드에 도착했다. 이는 그린란드인들이 여러 세기 동안 마르크란드(Markland)를 목재의 원천으로 계속 이용해왔음을 시사한다.[26]
7. 빈란드에서의 생활
빈란드 주민들은 밀, 열매, 포도주, 생선을 주요 자원으로 삼았다. 그러나 빈란드 맥락에서의 밀은 갯장구채(sandwort)이고 전통적인 밀이 아니며, 언급된 포도는 북아메리카 원산 포도이다. 10세기 바이킹이 도착하기 전 신세계에 유럽 포도(''Vitis vinifera'')와 밀(''Triticum'' sp.)이 존재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기 때문이다.[43] 사가들은 물고기가 풍부한 강과 호수를 언급한다. 사가에서는 연어를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발견된 연어가 이전에 보았던 어떤 연어보다 컸다고 적고 있다.
노르웨이인들은 빈란드에 도착하기 전 그린란드에 있는 동안 노르웨이에서 목재를 수입했고 가끔씩 자작나무를 땔나무로 사용했다. 따라서 북아메리카에서 얻은 목재는 그들의 목재 공급량을 늘렸다.[44]
8. 기타 노르드인 유물 발견
1957년 아마추어 고고학자가 메인주에서 11세기 후반 노르웨이 은화인 메인 페니를 발견했다. 이 주화에는 구멍이 뚫려 있어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주화가 날조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45] 노르드인 것으로 여겨지는 수많은 유물(Artifact)이 캐나다, 특히 바핀섬과 래브라도 북부에서 발견되었다.[46][47]
세인트로렌스강 남쪽 지역에서 발견된 다른 노르드인 유물로는 룬 문자가 새겨진 여러 돌들이 있다. 미네소타에서 발견된 켄싱턴 룬스톤은 일반적으로 날조로 간주되며, 메인주 피프스버그에서 발견된 스피릿 폰드 룬스톤의 진위 여부도 의심받고 있다.
뉴펀들랜드 남서 해안의 포인트 로지(Point Rosee)는 노르드인 정착지일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 여겨졌으나, 2014년 사라 파르카크가 위성 영상으로 발견한 이후[49][50] 2017년 조사 결과 노르드인의 존재나 인간 활동의 증거를 찾지 못했다.[51][52][53]
8. 1. 메인 페니
1957년 아마추어 고고학자가 메인에서 11세기 후반 노르웨이 은화인 메인 페니를 발견했다. 이 주화에는 구멍이 뚫려 있어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주화가 날조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45]8. 2. 룬 문자 새겨진 돌
미네소타에서 발견된 켄싱턴 룬스톤(Kensington Runestone)은 일반적으로 날조로 간주된다.[48] 메인주 피프스버그에서 발견된 스피릿 폰드 룬스톤(Spirit Pond runestones)의 진위 여부도 의심받고 있다.[48] 다른 예로는 헤브너 룬스톤(Heavener Runestone), 쇼니 룬스톤(Shawnee Runestone), 베랑드리 룬스톤(Vérendrye Runestone)이 있다.[48] 이 돌들의 연대와 기원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지금까지 중세 노르드인의 존재에 대한 명확한 증거와 연관되거나 확실하게 연대가 측정된 것은 없다.[48] 일반적으로 룬 문자 자체는 바이킹 시대 또는 중세와의 연관성을 보장하지 않는데, 달레칼리아 룬(Dalecarlian runes)이 20세기까지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있기 때문이다.[48]참조
[1]
웹사이트
L'Anse aux Meadows National Historic Site
https://whc.unesco.o[...]
2020-06-21
[2]
서적
Canute the Great: 995 (circ.)-1035 and the Rise of Danish Imperialism During the Viking Age
Putnam
1912
[3]
서적
The Vikings
Random House
1951
[4]
서적
Popular Controversies in World History: Investigating History's Intriguing Questions
https://books.google[...]
ABC-CLIO
[5]
서적
Canada's Changing North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03
[6]
서적
The Vinland Sagas
https://www.penguin.[...]
Penguin
2020-06-21
[7]
웹사이트
L'Anse aux Meadows
https://www.pc.gc.ca[...]
Parks Canada
2018-12-21
[8]
서적
The Viking Discovery of America: The Excavation of a Norse Settlement in L'Anse aux Meadows, Newfoundland
Checkmark Books
2001
[9]
웹사이트
Is L'Anse aux Meadows Vinland?
http://www.pc.gc.ca/[...]
Parks Canada
2010-04-20
[10]
간행물
The Norse in Newfoundland: L'Anse aux Meadows and Vinland
2003
[11]
서적
M. Adam Bremensis Lib. IV, Cap. XXXVIIII
http://www.dmgh.de/d[...]
1917
[12]
뉴스
Bilberries: the true taste of northern England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8-06-09
[13]
뉴스
Professor Sven Söderberg om Vinland
Sydsvenska Dagbladet Snällposten
1910-10-30
[14]
문서
[15]
간행물
Was Vinland in Newfoundland
https://web.archive.[...]
Odense University Press
1981
[16]
간행물
The Hønen runes: A survey
http://www.geirodden[...]
1976-01
[17]
간행물
Vinland and Ultima Thule
https://www.jstor.or[...]
1939-03
[18]
서적
The Sagas of the Greenlanders and The Saga of Eirik the Red
Penguin
2005
[19]
서적
The Sagas of Icelanders
Allen Lane
2000
[20]
웹사이트
Where is Vinland?
https://www.canadian[...]
2019-02-26
[21]
뉴스
A monk in 14th-century Italy wrote about the Americas
https://www.economis[...]
2021-09-30
[22]
간행물
The Vinland Problem through Four Centuries
JSTOR
1935-04
[23]
간행물
More Vinland maps and texts
2004-03
[24]
서적
The Pre-Columbian Discovery of America by the Northmen
http://www.northvegr[...]
Munsell
1890
[25]
웹사이트
Historia Norwegiae
http://www.vsnrweb-p[...]
[26]
서적
The Norse Discovery of America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1906
[27]
간행물
The Traditions of Vinland
1969
[28]
간행물
Some Observations on Vinland
1970-09
[29]
웹사이트
A review of the book Isolated Islands in Medieval Nature, Culture and Mind
https://scholarworks[...]
The Medieval Review
2009-01-12
[30]
서적
The Vikings and America
Thomas and Hudson
1986
[31]
서적
The Romance of Labrador
Macmillan Publishers
1934
[32]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Eirik The Red's Saga:
https://www.gutenber[...]
[33]
사전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http://lexicon.ff.cu[...]
Germanic Lexicon Project
1874
[34]
간행물
Falling into Vínland
2012
[35]
서적
Location of Helluland, Markland, and Vinland from the Icelandic Sagas
https://archive.org/[...]
Gazette Print
2020-04-18
[36]
웹사이트
Where is Vinland: L'Anse aux Meadows
http://www.canadianm[...]
[37]
뉴스
Goodbye, Columbus: Vikings crossed the Atlantic 1,000 years ago
https://www.reuters.[...]
2021-10-21
[38]
간행물
Everything Means Something in Viking
Center for Inquiry
2019-11-01
[39]
서적
Vikings: the North Atlantic Saga
Smithsonian Institution
[40]
서적
Voyage de J. Cartier au Canada
https://www.gutenber[...]
[41]
문서
COSEWIC report on Juglans cinerea (butternut) in Canada
http://www.sof.eomf.[...]
[42]
논문
Vikings, Vínland and the Discourse of Eurocentrism
2001-04-01
[43]
논문
Vikings, Vínland and the Discourse of Eurocentrism
2001-04-01
[44]
논문
Norsemen and the North American Forests
1980-10-01
[45]
서적
Norse Penny
http://www.nps.gov/h[...]
[46]
뉴스
Evidence of Viking Outpost Found in Canada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2-10-19
[47]
웹사이트
Strangers, Partners, Neighbors? Helluland Archaeology Project: Recent Finds
https://www.historym[...]
Canadian Museum of History
[48]
서적
Vikings: The North Atlantic Saga
Smithsonian Books
[49]
뉴스
Update: Archaeologist thinks Codroy Valley may have once been visited by Vikings
https://web.archive.[...]
2016-04-02
[50]
뉴스
Discovery Could Rewrite History of Vikings in New World
https://web.archive.[...]
2016-03-31
[51]
뉴스
Point Rosee, Codroy Valley, NL (ClBu-07) 2016 Test Excavations under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Permit #16.26
https://web.archive.[...]
geraldpennyassociates.com
2017-11-08
[52]
뉴스
No Viking presence in southern Newfoundland after all, American researcher finds
https://web.archive.[...]
The Canadian Press
2018-05-31
[53]
뉴스
Archeological quest for Codroy Valley Vikings comes up short - Report filed with province states no Norse activity found at dig site
http://www.cbc.ca/ne[...]
CBC
2018-05-30
[54]
서적
赤毛のエイリークルのサガ
東海大学出版会
[55]
서적
グリーンランド人のサガ
東海大学出版会
[56]
서적
グリーンランド人のサガ
[57]
서적
図説 ヴァイキングの歴史
原書房
[58]
서적
The Norse Atlantic Saga: Being the Norse Voyages of Discovery and Settlement to Iceland, Greenland, and North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The Viking Discovery of America: The Excavation of a Norse Settlement in L'Anse Aux Meadows, Newfoundland
Checkmark Books
[60]
웹인용
Is L'Anse aux Meadows Vinland?
https://web.archive.[...]
Parks Canada
[61]
논문
Vinland-Rätsel gelöst (Vinland Riddle Solved)
[62]
논문
Vínland and Wishful Thinking: Medieval and Modern Fantas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