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필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필순은 대한민국의 여성 포크 록 가수로, 1989년 데뷔하여 '어느새',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등의 곡으로 활동했다. 서울예술대학교를 졸업하고 1982년 대학 연합 창작음악 써클 '햇빛촌'에 참여하며 음악을 시작했다. 1992년 조동진이 설립한 하나음악의 일원으로서 활동하며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2000년대 이후 제주도로 이주하여 조동익과 함께 거주하며, 2013년 7집 앨범을 발표했다. 5집과 6집은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에 선정되었으며, 1995년부터 불교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문여자고등학교 동문 - 이정희 (1969년)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인 이정희는 인권 변호사, 국회의원, 민주노동당 대표, 통합진보당 공동대표를 역임했으며, 2012년 대통령 선거 후보로 출마 후 사퇴하고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의원직을 상실했다. - 서문여자고등학교 동문 - 미란이
미란이는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를 졸업하고 2020년 "명탐정"으로 데뷔한 대한민국 여성 래퍼로, 《쇼미더머니 9》에서 "VVS"로 큰 성공을 거둔 후 에어리어에 합류하여 활동하며 방송에도 출연했다. - 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 - 김광석
김광석은 '사랑했지만', '서른 즈음에' 등의 히트곡과 소극장 공연으로 대중과 소통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싱어송라이터로, 그의 음악적 영향력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사망 원인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 - 서수남
1962년 데뷔한 가수 서수남은 하청일과 듀엣으로 '팔도유람', '수다쟁이', '과수원 길' 등의 히트곡을 내며 1960~70년대 가요계를 풍미했고, '가족오락관' 최다 출연, 솔로 활동과 방송, 광고 출연 등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방송인이다. - 1970년대 가수 - 존 레논
존 레논은 비틀즈 멤버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솔로 활동과 평화 운동으로 20세기 대중음악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예술가이다. - 1970년대 가수 - 하춘화
1961년 만 6세에 데뷔한 가수 하춘화는 《물새 한 마리》, 《잘했군 잘했어》, 《영암 아리랑》, 《알고 계세요》 등 수많은 히트곡과 8,500회 이상의 공연, 2,400여 곡의 취입곡, 박사 학위 취득, 꾸준한 기부 활동으로 유명하다.
| 장필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장필순 |
| 로마자 표기 | Jang Pil-sun |
| 국적 | 대한민국 |
| 출생일 | 1963년 5월 22일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 학력 |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학과 학사 (졸업) |
| 직업 | 싱어송라이터 |
| 활동 시기 | 1989년 ~ |
| 레이블 | 푸른곰팡이 |
| 관련 활동 | 햇빛촌 소리두울 오장박 |
| 종교 | 개신교 |
| 배우자 | 조동익 |
| 음악 장르 | |
| 장르 | 포크 록 일렉트로니카 |
| 음반 정보 | |
| 대표 앨범 | Soony6 |
| 앨범 평가 | '[대중음악 100대 명반] 62위' |
| 관련 웹사이트 | |
| 웹사이트 |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 2012」 라인업 |
| 웹사이트 | 장필순 (JangPilsoon) |
2. 생애와 경력
장필순은 서울에서 태어나 서문여자고등학교와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학과를 졸업했다. 1982년 대학연합 창작음악써클 '햇빛촌' 활동을 시작으로, 1983년 김선희와 여성 듀엣 '소리두울'을 결성하며 본격적인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1989년 솔로 가수로 데뷔하여 1집 《어느새》를 발표하며 이름을 알렸다.[5]
1992년 조동진, 조동익 등이 설립한 하나음악에 합류하여 '조동진 사단'[6]의 주요 구성원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여성 포크록의 대표 주자로 평가받는다.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하루' 등 다수의 곡을 발표했으며, 특히 1997년의 5집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와 2002년의 6집 《Soony6》는 평단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으며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등에 선정되는 등[11][12][13][14] 그의 음악적 전성기를 대표하는 앨범으로 꼽힌다.
2003년 하나음악이 문을 닫은 후, 2005년부터는 조동익 등 동료 음악인들과 함께 제주도로 이주하여 생활하고 있다.[7][8][9] 제주 정착 이후에도 음악 활동을 이어가, 2011년 하나음악의 후신 레이블인 '푸른곰팡이'를 통해[7] 2013년 7집 《SOONY SEVEN》을 발표하는 등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10] 현재 연인 조동익과 함께 제주에 거주 중이다.
2. 1. 초기 (1980년대)
장필순은 서울에서 태어나 서문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학과에서 전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1982년 대학연합 창작음악써클 '햇빛촌' 1기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1983년에는 '햇빛촌'에서 만난 김선희와 함께 듀엣 '소리두울'을 결성하며 본격적인 음악 활동에 나섰다. 이 시기 들국화 등 여러 가수의 콘서트에 게스트나 코러스로 참여했으며, 1984년에는 옴니버스 앨범 《캠퍼스의 소리》에 소리두울의 멤버로 참여하기도 했다. 1989년 김선희가 유학을 떠나면서 소리두울은 해체되었지만, 같은 해 10월 김현철이 작곡한 동명의 타이틀곡이 담긴 1집 앨범 《어느새》를 발표하며 솔로 가수로 데뷔하여 대중에게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5]2. 2. 전성기 (1990년대 ~ 2000년대 초)
1992년 조동진이 동생 조동익, 동료 조원익과 함께 설립한 하나음악에 합류하며 소위 '조동진 사단'[6]의 일원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하나음악 소속으로 꾸준히 음반을 발표하고 공연 활동을 이어갔다. 대표곡으로는 '어느새', '하루',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순간마다', '동창' 등이 있으며, 주로 통기타를 기반으로 한 포크록 음악을 선보이며 대한민국 여성 포크록의 대표로 손꼽힌다.1995년 발매한 4집 앨범에서는 직접 곡을 쓰는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기 시작했으며, 재즈와 일렉트로니카 요소를 가미한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선보였다. 1997년 발표한 5집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와 2002년 발표한 6집 《Soony6》는 높은 음악적 완성도를 인정받으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두 앨범은 장필순의 음악 경력에서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는다.
특히 5집과 6집은 여러 매체에서 한국 대중음악사의 명반으로 꾸준히 언급되고 있다.
| 연도 | 매체 | 선정 내용 | 순위/결과 |
|---|---|---|---|
| 2002년 | 한국일보 | 올해의 베스트 5 | 2위 (6집 《Soony6》) |
| 2007년 | 경향신문사-가슴네트워크 |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 15위 (5집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11][12] |
| 경향신문사-가슴네트워크 |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 62위 (6집 《Soony6》)[11][12] | |
| 2011년 | 음악웹진 100BEAT | 1990년대 베스트 앨범 100 (국내) | 1위 (5집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13][14] |
| 음악웹진 100BEAT | 2000년대 베스트 앨범 100 (국내) | 1위 (6집 《Soony6》)[13][14] |
그러나 활발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소속 레이블이었던 하나음악은 2003년 재정난으로 인해 문을 닫게 되었다.[7][8][9]
2. 3. 제주도 정착 이후 (2000년대 후반 ~ 현재)
2003년 하나음악은 재정난으로 문을 닫았고, 2005년 이후 장필순, 조동진, 조동익 등 주축 음악인들은 제주도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7][8][9] 하나음악은 2011년에 서브 레이블 '푸른곰팡이'를 통하여 활동을 재개하였으며[7], 장필순 또한 6집 이후 약 11년 만인 2013년 8월 28일에 7집 《SOONY SEVEN》을 발표하였다.[10] 현재 그는 연인 조동익과 함께 제주에서 거주하고 있다.3. 음반 목록
장필순은 솔로 활동을 통해 다수의 정규 음반과 베스트 음반을 발표했으며, 다른 음악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참여 음반에도 이름을 올렸다. 상세한 음반 목록은 아래 각 항목을 참고할 수 있다.
3. 1. 정규 음반
- 《어느새》 (1989)
- 《외로운 사랑》 (1991)
- 《이 도시는 언제나 외로워...》 (1992)
- 《하루》 (1995)
-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1997)
- 《SOONY 6》 (2002)
- 《SOONY SEVEN》 (2013)
- 《soony eight : 소길花》 (2018)
- 《페트리코-장필순》 (2021)
3. 2. 베스트 음반
3. 3. 참여 음반
wikitext| 연도 | 발매일 | 음반명 | 참여 곡 |
|---|---|---|---|
| 1984년 | 햇빛촌 1집 - 《햇살이 있는 풍경》 | 겨울로 가는 길(소리두울) | |
| 1984년 | 6월 30일 | 《캠퍼스의 소리》 | 바람에 실려온 마음, 종이비행기(소리두울) |
| 1987년 | 2월 22일 | 《우리노래전시회 II》 | 코스모스(소리두울) |
| 1988년 | 2월 1일 | 소리두울 1집 《소리두울》 | |
| 1989년 | 6월 10일 | 《굿모닝 대통령 (O.S.T)》 | 내일이 찾아오면(오석준, 장필순, 박정운), 방랑자(장필순) |
| 1990년 | 5월 15일 | 오석준 장필순 박정운 1집 - 《오석준/장필순/박정운》 | |
| 1990년 | 7월 10일 | 《겨레의 노래1》 | 자장가(장필순) |
| 1991년 | 이무하 《고향》 | 아이들에게(이무하, 장필순) | |
| 1992년 | 9월 1일 | 하나옴니버스 1집 《옴니버스 - 하나 옴니버스 I》 | 그대가 울고 웃고 사랑하는 사이(장필순) |
| 1993년 | 2월 15일 | 김민기 《김민기2》 | 철망앞에서(김민기, 한동준, 장필순) |
| 1993년 | 6월 1일 | 하나옴니버스 3집 《옴니버스 - 하나 옴니버스 III》 | 어느새(장필순) |
| 1994년 | 7월 | 안치환 3집 《Confession》 | 우리가 어느 별에서(안치환, 장필순) |
| 1994년 | 10월 | 토이 1집 《내 마음 속에》 | 널 잊게 된 날부터(장필순) |
| 1996년 | 이정식 《COLLABORATION》 | 오래된 친구, 색칠을 할까, 순간마다(장필순) | |
| 1996년 | 조동진 《조동진5》 | 넌 어디서 와(조동진, 장필순) | |
| 1996년 |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 O.S.T》 | 아무도 모르게, Love Theme(1)(장필순) | |
| 1997년 | 하나음악 《겨울노래》 | 다시 눈을 뜰 수 없게 되면(장필순) | |
| 1999년 | 3월 | 《내 마음의 풍금 O.S.T》 | 내 마음의 풍금(한동준, 장필순) |
| 1999년 | 6월 22일 | 《이소라의 프로포즈 1집》 | 제비꽃(장필순) |
| 2000년 | 11월 17일 | 《Tribute To 김현식》 | 재회(장필순) |
| 2000년 | 11월 17일 | 《김광석 Anthology 1》 | 기대어 앉은 오후에는(김광석, 장필순, 윤종신) |
| 2001년 | 11월 | 하나음악 《바다》 | 다시 보고 싶어(장필순) |
| 2004년 | 10월 5일 | 《아일랜드》 / MBC-TV 미니시리즈 (Island) / O.S.T | 그대로 있어주면 돼(장필순) |
| 2005년 | 10월 14일 | 《새드무비 (Sad Movie) / O.S.T》 | GOODBYE, 보헤미안, 10월, 아마빌레(장필순) |
| 2007년 | 12월 14일 | 두 번째 달 Monologue Project《Alice In Neverland》 | 그 여름 가장 조용한 바다(장필순) |
| 2009년 | 4월 17일 | 장필순&함춘호 CCM 프로젝트 《그는 항상 내 안에 있네》 | |
| 2011년 | 3월 30일 | 《월간 윤종신 - Monthly Project 2011 April》 | 결국 봄 (장필순) |
| 2012년 | 9월 13일 | 노무현 추모 음반 《탈상: 노무현을 위한 레퀴엠》 | 그런 사람 또 없습니다 (작곡:조영수/작사:강은경/노래:장필순) (미러볼뮤직)[15] |
4. 수상 및 평가
(내용 없음)
5. 방송 활동
(내용 없음)
5. 1. 라디오
- 《밤의 창가에서》 (1995년 5월, 불교방송)
6. 기타 활동
(내용 없음)
참조
[1]
뉴스
チャン・ピルスン、来月「ライブ2011」コンサート開催
http://www.wowkorea.[...]
2011-11-05
[2]
웹사이트
「ジサン・バレー・ロック・フェスティバル2012」ラインアップ
http://jp.mnet.com/v[...]
Mnet
[3]
웹사이트
チャン・ピルスン(JangPilsoon)
http://contents.inno[...]
Innolife
[4]
뉴스
[대중음악 100대 명반]62위 장필순 ‘Soony6’
http://news.khan.co.[...]
2008-04-03
[5]
뉴스인용
(8090 이 노래 이 명반) 15. 허스키 보이스 장필순 1집과 2집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5-10-14
[6]
뉴스인용
아픈 영혼에 행복 주던 '얼굴 없는 가수'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7-02
[7]
뉴스인용
진짜 음악이 그리운 시대…'전설의 공동체' 하나음악, 다시 뭉쳤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4-19
[8]
뉴스인용
'좀더 외딴 곳으로' 바람의 섬에서 외롭게 즐겁게, 음악인 장필순의 11년차 제주살이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16-08-04
[9]
뉴스인용
집이 사람이다 (11) 바람 소리 머물다 가는 집, 그녀의 노래도 깊어간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6-03-25
[10]
뉴스인용
장필순 '흙 딛고 마음 내려놓자 절실한 노래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08-27
[11]
뉴스인용
(대중음악 100대 명반) 15위 장필순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7-10-18
[12]
뉴스인용
(대중음악 100대 명반) 62위 장필순 'Soony6'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4-03
[13]
웹사이트
“2000년대 베스트 앨범” 국내 1위. 장필순 'Soony 6'(2002)
http://100beat.com/2[...]
2011-01-04
[14]
웹사이트
“1990년대 베스트 앨범 100″ 국내 1위. 장필순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1997)
http://100beat.com/1[...]
2011-01-04
[15]
뉴스인용
故 노무현 추모앨범 발표
https://news.naver.c[...]
마이데일리
2012-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