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력 계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력 계수는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항력을 나타내는 무차원 계수이다. 항력 계수는 물체의 모양, 유체의 밀도, 속도, 점성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자동차나 항공기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둔한 물체는 압력 항력이 지배적이며, 유선형 물체는 마찰 항력이 지배적인 특징을 보인다. 항력 계수는 레이놀즈 수와 마하 수에 따라 변화하며, 다양한 물체의 항력 계수 예시가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우주공학 - 처녀 비행
처녀 비행은 항공기나 로켓의 최초 비행을 의미하며, 본 문서는 몽골피에 형제의 열기구부터 벌컨 센타우르 로켓까지 역사적으로 중요한 항공기 및 로켓의 처녀 비행 목록과 기술적 의미를 다룬다. - 항공우주공학 - 비행성
비행성은 항공기의 조종성, 안정성, 조종사의 조작 반응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항공기 안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평가하며, 플라이 바이 와이어 등의 기술 발전을 통해 향상되어 왔다. - 공기역학 - 항력
항력은 유체 내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작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유체 저항력이며, 유체의 밀도, 물체의 속도, 기준 면적, 항력 계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 - 공기역학 - 추력
추력은 물체를 특정 방향으로 가속시키는 힘으로, 단위 시간당 운동량 변화율과 같으며, 프로펠러 회전, 제트 엔진 배기가스 분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하고 이동 및 제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 유체역학 - 양력
양력은 유체 속에서 물체가 받는 수직 방향의 힘이며, 받음각, 익형, 공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항공기 날개, 헬리콥터, 선박 프로펠러 등에서 활용된다. - 유체역학 - 무인 항공기
무인 항공기는 조종사 없이 자율 또는 원격 조종으로 비행하는 동력 비행체로,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어 군사 및 민간용으로 활용되지만 안전 및 보안 위협, 사이버 공격, 악의적 사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항력 계수 | |
---|---|
개요 | |
정의 | 물체 주위의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의 척도인 무차원 계수 |
기호 | Cd, Cx 또는 Cw |
차원 | 1 |
SI 단위 | 1 (무차원) |
공식 | |
공식 | Cd = 2Fd / (ρ v^2 A) |
Fd | 항력 힘 |
ρ | 유체 밀도 |
v | 유체에 대한 물체의 속도 |
A | 기준 면적 |
일반적인 Cd 값 | |
야구공 | 0.3 (전형적인) |
사람 | 1.0–1.3 |
자동차 | 0.25–0.45 |
에어포일 | 0.04 (전형적인) |
2. 정의
기준 면적은 측정되는 항력 계수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 자동차 및 다른 많은 물체의 경우, 기준 면적은 차량의 정면 투영 면적이다.
- 에어포일의 경우 기준 면적은 공칭 날개 면적이다. 이는 정면 면적에 비해 큰 경향이 있으므로, 결과 항력 계수는 낮은 경향이 있다.
- 비행선과 일부 회전체는 체적 항력 계수를 사용하며, 여기서 기준 면적은 비행선 부피의 세제곱근의 제곱(부피의 2/3 제곱)이다.
- 잠긴 유선형 물체는 젖은 표면적을 사용한다.
동일한 기준 면적을 가진 두 물체가 유체를 통해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면 해당 항력 계수에 비례하는 항력을 경험한다. 비유선형 물체의 계수는 1 이상일 수 있으며, 유선형 물체의 경우 훨씬 낮다.
3. 코시 운동량 방정식
코시 운동량 방정식의 무차원 형태에서, 표면 항력 계수 또는 '''피부 마찰 계수'''는 횡단 면적(항력에 수직인 면적, 따라서 계수는 국소적으로 정의됨)을 참조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 는 국소적인 전단 응력이며, 이는 정의상 국소 유동 속도 방향의 응력 성분이다.[11]
- 는 유체의 국소 동압이다.
- 는 유체의 국소 질량 밀도이다.[12]
- 는 유체의 국소 유동 속도이다.
4. 배경
항력 계수()는 항력을 유체의 밀도, 유속의 제곱, 물체의 기준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
- 는 항력, 는 유체 밀도, 는 유속, 는 기준 면적이다.
기준 면적은 측정하는 항력 계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정면 투영 면적을 사용하지만, 에어포일은 날개 면적, 비행선은 부피의 세제곱근의 제곱을 사용한다.
동일한 기준 면적을 가진 두 물체가 같은 속도로 유체를 통과할 때, 항력은 각 항력 계수에 비례한다. 유선형이 아닌 물체는 항력 계수가 1 이상이고, 유선형 물체는 더 작은 값을 가진다.
항력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이 방정식은 항력이 유체 밀도와 상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항력 계수()는 유속, 흐름 방향, 물체 위치/크기, 유체 밀도/점성 등의 함수이며, 레이놀즈 수 (), 마하 수 ()에 의존한다. 낮은 마하 수에서는 마하 수와 무관하며, 일반적인 경우 레이놀즈 수에 따른 변화는 작아 상수로 취급 가능하다.
유선형 물체는 경계층이 오래 부착되어 와류가 좁아져 낮은 항력 계수를 갖는다. 높은 레이놀즈 수에서는 경계층이 층류에서 난류로 전이된다. 더 큰 속도, 더 큰 물체, 더 낮은 점성은 더 큰 레이놀즈 수에 기여한다.
4. 1. 레이놀즈 수와 항력 계수
항력 계수 는 상수 값이 아니라 유속, 흐름 방향, 물체 위치, 물체 크기, 유체 밀도 및 유체 점성의 함수로 변화한다. 속도, 동점성 계수 및 물체의 특징적인 길이 척도는 레이놀즈 수 라는 무차원량으로 통합된다. 따라서 는 의 함수이다. 압축성 흐름에서는 음속이 관련되며, 는 마하 수 의 함수이기도 하다.특정 물체 형상의 경우, 낮은 마하 수 에서 항력 계수 는 레이놀즈 수 , 마하 수 , 흐름 방향에만 의존한다. 낮은 마하 수에서는 마하 수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레이놀즈 수의 변화에 따른 영향도 작다. 따라서 항력 계수 는 종종 상수로 취급될 수 있다.[13]
작은 입자와 같은 물체의 경우, 항력 계수 는 상수가 아니라 레이놀즈 수의 함수이다.[15][16][17] 낮은 레이놀즈 수에서는 물체 주위의 흐름이 난류로 전이되지 않고 층류로 유지되며, 물체 표면에서 분리되는 지점까지 유지된다. 매우 낮은 레이놀즈 수에서는 흐름 분리 없이 항력이 대신 에 비례한다. 구의 경우 이것이 스토크스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놀즈 수는 작은 물체, 낮은 속도, 높은 점성 유체에서 낮게 나타난다.[14]
일반적으로 는 주어진 물체 형상에 대해 절대적인 상수 값은 아니다. 공기 흐름 속도(또는 더 일반적으로 레이놀즈 수 )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매끄러운 구의 경우 층류에서는 높은 값에서 난류에서는 0.47까지 값이 변화한다. 항력 계수는 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만, 항력은 증가한다.
cd | 항목[18] |
---|---|
0.001 | 흐름과 평행한 층류 평판 () |
0.005 | 흐름과 평행한 난류 평판 () |
0.1 | 매끄러운 구 () |
0.47 | 거친 구 () |
0.295 | 탄두 ( 오지브 아님, 아음속 속도에서) |
1.0–1.1 | 스키 선수 |
1.0–1.3 | 와이어 및 케이블 |
1.0–1.3 | 성인 인간 (직립 자세) |
1.1-1.3 | 스키 점퍼[19] |
1.28 | 흐름에 수직인 평판 (3D)[20] |
1.3–1.5 |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
1.8–2.0 | 에펠탑 |
1.98–2.05 | 흐름에 수직인 긴 평판 (2D) |
5. 둔한 물체와 유선형 물체
항력이 마찰력에 의해 결정될 때, 그 물체를 '''유선형 물체'''라고 한다. 반대로 압력 항력이 지배적일 때는 그 물체를 '''둔한 물체''' 또는 '''블러프 물체'''라고 한다. 따라서 물체의 모양과 받음각이 항력의 유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에어포일은 유체가 작은 받음각으로 에어포일을 지나 흐르는 물체로 생각할 수 있다. 이때는 경계층이 분리되지 않고 붙어있어 압력 항력이 훨씬 적게 발생한다.
생성된 와류는 매우 작고, 항력은 마찰 성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물체(여기서는 에어포일)는 유선형으로 묘사된다. 반면, 높은 받음각에서 유체 흐름이 있는 물체는 경계층 분리가 일어난다. 이는 주로 에어포일의 위쪽과 뒤쪽에서 발생하는 역 압력 기울기 때문이다.
와류가 형성되면, 와동이 발생하고 압력 항력으로 인한 압력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어포일은 실속 상태가 되고, 마찰 항력보다 압력 항력이 더 커진다. 이 경우 물체는 둔한 물체로 묘사된다.
유선형 물체의 예로는 물고기(참치), 오로페사) 또는 작은 받음각을 가진 에어포일 등이 있다. 둔한 물체의 예로는 벽돌, 원통 또는 높은 받음각을 가진 에어포일 등이 있다. 동일한 면적과 속도에서 유선형 물체는 둔한 물체보다 저항이 낮다. 원통과 구는 높은 레이놀즈 수에서 와류 영역의 압력 때문에 항력이 주로 발생하므로 둔한 물체로 간주된다.
항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유동 분리를 줄이거나, 유체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줄여야 한다(마찰 항력 감소). 이러한 감소는 자동차, 자전거 등에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데 필요하다.
6. 항력 계수 예시
일반적으로 c는 주어진 물체 형상에 대해 절대적인 상수 값은 아니다. 공기 흐름 속도(또는 더 일반적으로 레이놀즈 수 Re영어)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매끄러운 구의 경우 층류에서는 높은 값에서 난류에서는 0.47까지 c 값이 변화한다. 항력 계수는 Re영어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만, 항력은 증가한다.
c | 항목[18] |
---|---|
0.001 | 흐름과 평행한 층류 평판 (Re영어 < 106) |
0.005 | 흐름과 평행한 난류 평판 (Re영어 > 106) |
0.1 | 매끄러운 구 (Re영어 = 106) |
0.47 | 거친 구 (Re영어 = 106) |
0.81 | 삼각 사다리꼴 (45°) |
0.9-1.7 | 삼각 밑면을 가진 사다리꼴 (45°) |
0.295 | 탄두 (오지브 아님, 아음속 속도에서) |
1.0–1.1 | 스키 선수 |
1.0–1.3 | 와이어 및 케이블 |
1.0–1.3 | 성인 인간 (직립 자세) |
1.1-1.3 | 스키 점퍼[19] |
1.28 | 흐름에 수직인 평판 (3D)[20] |
1.3–1.5 |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
1.8–2.0 | 에펠탑 |
1.98–2.05 | 흐름에 수직인 긴 평판 (2D) |
앞서 언급했듯이 항공기는 c를 계산할 때 날개 면적을 기준 면적으로 사용하지만, 자동차(및 다른 많은 물체)는 투영된 정면 면적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두 종류의 차량 간에는 계수를 직접 비교할 수 '''없다'''. 항공우주 산업에서는 항력 계수를 때때로 1 항력 계수 = 0.0001 c로 표현되는 항력 단위로 표현하기도 한다.[21]
c | 항력 단위 | 항공기 유형[22] |
---|---|---|
0.021 | 210 | F-4 팬텀 II (아음속) |
0.022 | 220 | 리제트 24 |
0.024 | 240 | 보잉 787[23] |
0.0265 | 265 | 에어버스 A380[24] |
0.027 | 270 | 세스나 172/182 |
0.027 | 270 | 세스나 310 |
0.031 | 310 | 보잉 747 |
0.044 | 440 |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II (초음속) |
0.048 | 480 | F-104 스타파이터 |
참조
[1]
서적
Explosion Hazards and Evaluation, Volume 5
https://www.elsevier[...]
Elsevier Science
1983
[2]
서적
Dynamic response of pipe rack steel structures to explosion loads
http://publications.[...]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2014
[3]
서적
Aerodynamics, Aeronautics, and Flight Mechanics
John Wiley & Sons, Inc.
1979
[4]
서적
Aerodynamics
Wiley
1975
[5]
문서
"Abbott, Ira H., and Von Doenhoff, Albert E.: ''Theory of Wing Sections''. Sections 1.2 and 1.3"
[6]
웹사이트
Modern Drag Equation
http://wright.nasa.g[...]
Wright.nasa.gov
2010-03-25
[7]
문서
"Clancy, L. J.: ''Aerodynamics''. Section 11.17"
[8]
서적
Fluid-Dynamic Drag : Practical Information on Aerodynamic Drag and Hydrodynamic Resistance
https://archive.org/[...]
1965
[9]
문서
See [[lift force]] and [[vortex induced vibration]] for a possible force components transverse to the flow direction
[10]
문서
Note that for the [[Earth's atmosphere]], the air density can be found using the [[barometric formula]]. Air is 1.293 kg/m3 at {{convert|0|°C}} and 1 [[atmosphere (unit)|atmosphere]].
[11]
문서
See [[lift force]] and [[vortex induced vibration]] for a possible force components transverse to the flow direction
[12]
문서
Note that for the [[Earth's atmosphere]], the air density can be found using the [[barometric formula]]. Air is 1.293 kg/m3 at {{convert|0|°C}} and 1 [[atmosphere (unit)|atmosphere]].
[13]
문서
"Clancy, L. J.: ''Aerodynamics''. Sections 4.15 and 5.4"
[14]
문서
"Clancy, L. J.: ''Aerodynamics''. Section 4.17"
[15]
문서
Clift R., Grace J. R., Weber M. E.: ''Bubbles, drops, and particles''. Academic Press NY (1978).
[16]
간행물
Briens C. L.: ''Powder Technology''. 67, 1991, 87-91.
[17]
간행물
Haider A., Levenspiel O.: ''Powder Technology''. 58, 1989, 63-70.
[18]
웹사이트
Shapes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Drag Coefficient
http://www.engineeri[...]
Engineeringtoolbox.com
2010-12-07
[20]
웹사이트
Shape Effects on Drag
http://www.grc.nasa.[...]
NASA
2013-03-11
[21]
논문
Basha, W. A. and Ghaly, W. S., "Drag Prediction in Transitional Flow over Airfoils," Journal of Aircraft, Vol. 44, 2007, p. 824–32.
[22]
웹사이트
Ask Us – Drag Coefficient & Lifting Line Theory
http://www.aerospace[...]
Aerospaceweb.org
2004-07-11
[23]
웹사이트
Boeing 787 Dreamliner : Analysis
http://www.lissys.de[...]
Lissys.demon.co.uk
2006-06-21
[24]
웹사이트
Airbus A380
http://www.dept.aoe.[...]
2005-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