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항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항력은 유체 내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작용하는 유체 저항력으로,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힘이다. 항력은 항력 방정식으로 계산되며, 유체의 밀도, 물체의 속도, 기준 면적, 항력 계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 항력은 물체의 형태, 유체의 점성, 속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유도 항력, 기생 항력, 조파 항력 등이 있다. 항력은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의 설계에 중요한 요소이며, 스포츠 용품 및 파이프 내 유체 흐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공학 - 리프팅 바디
    리프팅 바디는 날개 없이 동체 자체로 양력을 발생시켜 고속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항공기 설계 방식으로, NASA에서 연구되어 우주왕복선 개발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는 우주선 설계에도 적용된다.
  • 항공공학 - 급변풍
    급변풍은 수평 또는 수직 거리에 따른 풍속의 변화를 의미하며, 항공기 이착륙 시 위험하고, 윈드시어 경보 시스템으로 감시되며, 건축 및 음향 전파에도 영향을 미친다.
  • 유체동역학 - 비점성 흐름
    비점성 흐름은 유체 역학에서 점성을 무시할 수 있는 유체의 흐름을 의미하며, 레이놀즈 수가 무한대에 가까울 때 나타나 오일러 방정식으로 설명되고, 프란틀의 경계층 가설을 통해 실제 유체 흐름 모델링에 활용하며, 초유체는 점성이 없는 물질의 상태로 헬륨-4가 2.2K 이하로 냉각될 때 나타난다.
  • 유체동역학 - 송풍기
    송풍기는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공기나 가스를 이동시키는 장치로, 초기 형태는 16세기부터 나타났으며 19세기에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하여 압력에 따라 팬, 블로워, 콤프레셔 등으로 나뉘고 산업 및 HVAC 시스템에 널리 사용된다.
  • 힘 - 전기장
    전기장은 공간의 각 지점에서 단위 전하가 받는 힘으로 정의되는 벡터장으로, 전하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전기력선으로 표현되고 맥스웰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전자기장의 한 요소이다.
  • 힘 - 양력
    양력은 유체 속에서 물체가 받는 수직 방향의 힘이며, 받음각, 익형, 공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항공기 날개, 헬리콥터, 선박 프로펠러 등에서 활용된다.
항력
개요
정의유체 속에서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저항력
작용 방향물체의 운동 방향과 반대
관련 학문유체역학
항력의 원인
압력차물체 앞뒤의 압력 차이로 인한 힘
점성유체의 점성으로 인한 마찰력
항력의 종류
형태 항력물체의 형태에 의해 발생하는 항력
마찰 항력물체 표면과 유체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항력
유도 항력양력 발생 시 생기는 항력 (주로 날개)
파동 항력유체의 밀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항력 (주로 고속 비행)
항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유체의 밀도유체의 밀도가 높을수록 항력 증가
물체의 속도물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항력 증가
물체의 크기물체의 크기가 클수록 항력 증가
물체의 모양물체의 모양이 유선형에 가까울수록 항력 감소
유체의 점성유체의 점성이 클수록 항력 증가
항력의 응용
자동차 디자인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한 유선형 디자인 적용
항공기 디자인양력과 항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비행 효율을 높임
낙하산공기 저항을 이용하여 낙하 속도를 줄임
유체 저항물속에서 운동하는 물체(물고기, 잠수함)의 디자인에 활용
항력 공식
FD항력 (Drag force)
ρ유체의 밀도
v물체의 속도
CD항력 계수
A물체의 단면적 (유동 방향에 수직인 면적)
관련 링크

2. 항력 방정식

'''항력 방정식'''은 유체 내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작용하는 항력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식이다. 항력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mathbf F}_d = - {1 \over 2} \rho v^2 A C_d {\hat \mathbf v}

여기서,


  • {\mathbf F}_d 는 항력
  • \rho 는 유체의 밀도
  • v 는 유체에 대한 물체의 상대 속도의 속력
  • A 는 기준 면적
  • C_d 항력 계수
  • {\hat \mathbf v} 는 속도의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 (항력은 속도 벡터의 반대 방향)


기준 면적 A 는 물체를 운동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투영한 면적과 관련된다. 같은 물체라도 기준 면적이 다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준 면적마다 다른 항력 계수가 주어진다. 날개의 경우, 기준 면적은 전방 면적이 아닌 날개 면적이다.

항력 계수는 무차원 수이며, 물체의 형상, 레이놀즈 수, 마하 수 등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항력 계수는 0.25에서 0.45 사이의 값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항력은 유체의 밀도와 물체의 상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항력 계수는 레이놀즈 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낮은 레이놀즈 수에서는 항력이 속도에 선형적으로 비례하고, 높은 레이놀즈 수에서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미항공우주국(NASA)의 항력 설명

2. 1. 스토크스의 법칙

위의 항력 방정식은 일반적인 경우에 대한 식이다. 물체의 크기가 매우 작거나 속도가 매우 느린 경우(레이놀즈 수 Re < 1)에는 스토크스의 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항력방정식에서와 달리, 스토크스의 법칙에서는 항력이 속도에 비례한다.

:

{\mathbf F}_d = -b {\mathbf v}



여기서,

: b 는 유체의 성질 및 물체의 크기와 관계된 상수

: {\mathbf v} 는 물체의 속도이다.

물체가 구형(sphere)인 경우에는, 항력계수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b = 6 \pi \eta r



여기서,

: r 은 입자의 스토크스 반지름

: \eta 는 유체의 점성 계수이다.

매끄러운 표면(진한 선)과 거친 표면(연한 선)을 가진 구의 레이놀즈 수에 따른 항력 계수 ''C''d 변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함.


낮은 \mathrm{Re}에서는 C_{\rm D}가 점근적으로 \mathrm{Re}^{-1}에 비례한다. 즉, 항력은 속도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점성 유체를 통과하는 작은 구에 대한 항력은 스토크스 법칙으로 주어진다.

F_{\rm d} = 3 \pi \mu D v

세 물체를 같은 각도(70°)로 던졌을 때의 궤적. 검은색 물체는 어떤 형태의 항력도 받지 않고 포물선을 따라 움직인다. 파란색 물체는 스토크스 항력을 받고, 녹색 물체는 뉴턴 항력을 받는다.


'''점성 저항''' 또는 '''선형 항력'''에 대한 방정식은 (난류가 없다고 가정할 때)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유체를 통과하는 물체 또는 입자에 적합하다. 이 정의에 따르면 순수하게 층류 흐름은 Re = 0.1까지 존재한다. 이 경우, 항력은 속도에 거의 비례하다. 점성 저항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20]

\mathbf{F}_D = - b \mathbf{v} \,

여기서:

  • b 는 물체와 유체의 재료 특성과 물체의 기하학적 형태 모두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이다.
  • \mathbf{v} 는 물체의 속도이다.


작은 구형 물체가 점성 유체를 통해 천천히(따라서 작은 레이놀즈 수에서) 이동하는 특수한 경우에, 조지 가브리엘 스토크스는 항력 상수에 대한 식을 유도했다.

b = 6 \pi \eta r\,

여기서 r 은 입자의 스토크스 반지름이고, \eta 유체 점성이다.

결과적으로 항력에 대한 식은 스토크스 항력으로 알려져 있다.[21]

\mathbf{F}_D = -6 \pi \eta r\, \mathbf{v}.

예를 들어, 반지름 r = 0.5 마이크로미터(지름 = 1.0 μm)의 작은 구가 10 μm/s의 속도 v 로 물을 통과하는 것을 고려해 보자. SI 단위로 물의 동점성계수를 10−3 Pa·s로 사용하면, 0.09 pN의 항력을 얻는다. 이것은 박테리아가 물속을 헤엄칠 때 받는 항력과 거의 같다.

레이놀즈 수가 1 미만이면 스토크스 법칙이 적용되고 항력 계수는 \frac{24}{Re}에 접근한다!

; 마찰 항력

: 물체 표면을 따라 작용하는 힘에 기인하는 항력. 점성 저항이라고도 한다. 전단력에 의한 형상 항력과 같다. 반지름 a의 구가 점성 계수 \eta의 유체 속에서 받는 점성 저항은 스토크스의 법칙에 따라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F = 6 \pi a \eta V


3. 항력의 종류

항력은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항력의 종류설명다른 표현주요 발생 원인
마찰 항력물체 표면을 따라 작용하는 힘점성 저항유체와 물체 표면의 마찰, 점성
압력 항력물체 표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관성 저항물체 앞뒤의 압력 차이



일반적으로 항력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형상 항력 또는 압력 항력: 물체의 크기와 형태로 인해 발생한다.
  • 표면 마찰 항력 또는 점성 항력: 유체와 표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한다. 이 표면은 물체의 외부일 수도 있고, 파이프 내부와 같이 내부일 수도 있다.


평판이 유체 흐름과 평행할 때
판을 평행하게 놓으면 압력 항력은 거의 없고, 표면 마찰 항력이 거의 대부분이다. 반대로
평판이 유체 흐름과 수직일 때
판을 수직으로 놓으면 표면 마찰 항력은 거의 없고, 압력 항력이 거의 대부분이다.

압력이 항력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경우 물체는 뭉툭한 물체로 알려져 있으며, 점성력이 항력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경우 유선형 물체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차량은 뭉툭한 물체이다.[8]

3. 1. 물리적 요인에 따른 분류

'''유도항력 발생 원리:''' (a)는 날개 주위의 유동장을 전방에서, (b)는 좌익측에서 본 모습이다(비점성 유동 가정). 1. 날개 끝 와류, 2. 아래로 불어내림, 3. 기류, 4. 아래로 불어내림에 의한 아래쪽 기류, 5. 아래쪽 기류에 의해 발생한 양력, 6. 기류에 의해 발생한 양력(일반적인 양력), 7. 유도항력


; 유도항력 (lift-induced drag, induced drag, drag due to lift)

: 날개 끝을 가진 3차원 날개(일반적인 날개)에서 양력 발생과 함께 발생하는 항력이다. 무한익(2차원 날개)에 기류가 부딪히면, 날개를 통과한 기류는 부딪히기 전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고, 양력은 흐르는 기류에 수직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날개 끝을 가진 3차원 날개는 날개 위쪽이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 날개 아래쪽보다 압력이 낮기 때문에, 날개 끝에서 아래에서 위로 감아 도는 와류(날개 끝 와류)가 발생한다. 이 와류의 아래쪽 속도(아래로 불어내림, downwash) 때문에 기류가 날개에 부딪히면, 날개를 통과한 기류는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흐른다. 이에 따라 흐르는 기류에 수직으로 발생하는 양력은 하류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그 기울어진 부분이 유도항력이 된다. 또한 날개에 의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기류 때문에 날개와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기류가 이루는 각도의 받음각이 발생하는데, 이를 유도받음각이라고 한다.[33][34]

: 주익이 가늘고 길수록, 즉 종횡비가 커질수록(2차원 날개에 가까워질수록) 주익 전체에서 날개 끝이 차지하는 비율이 작아지고, 아래로 불어내림의 영향도 작아진다. 따라서 유도항력을 줄일 수 있다. 아음속 비행체에서는 충분히 유선형을 하고 있으면 압력항력은 작고, 마찰항력의 대폭적인 저감은 어렵다. 따라서 유도항력을 줄이기 위해 종횡비(''A''R)를 크게(날개를 가늘고 길게) 하는 노력이 자주 이루어진다. 극단적인 예로 루탄 보이저, 헤리오스, 글라이더, 인력 비행기와 같은 기체는 ''A''R = 40에 가깝다.

: 주익에서 유도항력은 주익 항력의 하나이므로, 주익 끝에 윙렛을 부착하여 주익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날개 끝 와류를 억제함으로써 유도항력을 줄여 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 기생항력 (parasitic drag, parasite drag)

: 양력 유무와 관계없이 존재하는 항력으로, 간섭항력과 형상항력으로 크게 나뉜다.

:; 간섭항력 (interference drag)

:: 날개와 동체의 결합 부분 등에서 부분적으로 기류가 박리하면서 발생하는 항력이다. 필렛 등으로 저감할 수 있다.

:; 형상항력 (form drag, profile drag)

:: 물체 형상에만 의존하는 항력으로, 원인이 되는 힘의 방향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 수직력에 의한 것

::: 물체 후방에서 압력이 낮아지면서 발생한다. 유동이 박리된 경우 특히 크게 증가한다.

::: 이 항력을 압력항력이라고도 한다.

::; 전단력에 의한 것

::: 물체 표면을 따라 작용하는 힘에 의한 항력으로, 유동과의 마찰에 의한 항력과 같다. 경계층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층류인 경우가 난류인 경우보다 작다.

::: 이 항력을 마찰항력이라고도 한다.

; 조파항력 (wave drag)

: 충격파에 의한 항력이다.

3. 2. 힘의 방향에 따른 분류

항력은 힘의 방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마찰 항력 (Friction drag): 물체 표면을 따라 작용하는 힘에 기인하는 항력으로, 점성 저항이라고도 한다. 이는 유체가 물체 표면과 마찰하면서 발생하며, 점성이 클수록 마찰 항력도 커진다.[31] 예를 들어, 반지름 a의 구가 점성 계수 \eta의 유체 속에서 받는 점성 저항은 스토크스의 법칙에 따라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 = 6 \pi a \eta V

  • 압력 항력 (Pressure drag): 물체 표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기인하는 항력으로, 관성 저항이라고도 한다.[31] 물체가 유체 속을 움직일 때 물체 앞뒤에 압력 차이가 발생하여 생기는 저항이다. 예를 들어, 반지름 a의 구가 밀도 \rho_\mathrm{0}의 유체 속에서 받는 관성 저항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 = {1 \over 4} \pi \rho_\mathrm{0} a^2 V^2

항력의 종류설명다른 표현주요 발생 원인
마찰 항력물체 표면을 따라 작용하는 힘점성 저항유체와 물체 표면의 마찰, 점성
압력 항력물체 표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관성 저항물체 앞뒤의 압력 차이



와 같이 판을 평행하게 놓으면 압력 항력은 거의 없고, 표면 마찰 항력이 거의 대부분이다. 반대로 와 같이 판을 수직으로 놓으면 표면 마찰 항력은 거의 없고, 압력 항력이 거의 대부분이다.

4. 항력의 예시 및 응용

자동차, 항공기 및 선체와 같이 고체 물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항력이다. 관내 유체의 점성 항력은 고정된 관에 대한 유체 속도를 감소시킨다.[4][5] 스포츠 물리학에서 항력은 공, 창, 화살, 프리스비의 움직임과 주자 및 수영선수의 성능을 설명하는 데 필요하다.[6] 최고의 단거리 선수의 경우, 항력을 극복하는 데 에너지 소비량의 5%가 필요할 수 있다.[7]

5. 항공역학에서의 항력

항공역학에서 '''항력'''(aerodynamic drag)은 공기 저항(air resistance)이라고도 하며, 항공기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항력은 공기의 자유흐름 방향으로 움직이는 모든 고체에 작용하는 유체 저항력이다.[23]

항력은 물체의 관점에서는 물체 표면의 압력 분포로 인한 힘(D_{pr})과 점성으로 인한 마찰력(D_{f})으로 계산할 수 있다. 유동장 관점에서는 충격파, 와류층, 그리고 점성이라는 세 가지 자연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항공기가 양력을 발생시키면 유도항력(D_i)이 발생한다. 유도 항력은 양력 발생과 함께 발생하는 후류 와류계에 의한 압력 분포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파형 항력(D_w)는 천음속 및 초음속 비행 속도에서 충격파로 인해 발생하며, 경계층과 기체 표면의 압력 분포를 변화시킨다.

항력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24]

# 압력 항력과 마찰 항력

# 형상 항력과 유도 항력

# 와류 항력, 파형 항력 및 후류 항력

물체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 분포는 물체에 수직 항력을 작용시키고, 이러한 힘들을 합치면 하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성분인 D_{pr}이 발생한다. 이 수직 항력은 충격파 효과, 와류계 생성 효과 및 후류 점성 메커니즘을 결합한 것이다.

유체의 점성은 항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점성이 없다면, 차량을 방해하는 압력은 더 뒤쪽에서 차량을 앞으로 밀어주는 압력에 의해 상쇄되어 항력은 0이 된다. 그러나 점성은 압력 항력을 발생시키며, 이는 박리 유동 영역이 있는 차량의 경우 항력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항공기 표면에 작용하는 접선 방향의 힘인 마찰 항력은 경계층 구성과 점성에 크게 의존한다. 순 마찰 항력 D_f는 물체 표면에서 평가된 점성력의 하류 투영으로 계산된다. 마찰 항력과 압력(형상) 항력의 합을 점성 항력이라고 한다.

양력 발생 시 유도 항력이 발생하며, 항공기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생 항력과 조파 항력이 중요해진다. 최소 항력 속도에서 항공기는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며, 조종사는 이 속도를 활용하여 항속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양력에 의한 항력은 날개나 양력체가 있을 때 나타나며, 파형 항력은 충격파의 존재로 인해 발생한다. 조파 저항은 고체 물체가 유체 경계를 따라 움직이고 해양 표면파를 만들 때 발생한다.

유도항력은 주로 후류 와류 생성으로 인한 와류 항력과 양력이 0일 때는 존재하지 않는 양력 유도 점성 항력으로 구성된다.

'''유해항력'''(parasitic drag)은 고체 물체가 유체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항력으로, 점성압력항력(형상항력), 표면 거칠기로 인한 항력(표면마찰항력)을 포함한다.

항공 분야에서, 유도항력은 저속에서 더 크지만,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그러나 유해항력은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더 높은 속도(천음속)에서는 파동항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결합된 전체 항력 곡선은 특정 대기 속도에서 최소값을 나타내며, 이 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는 최적 효율에 가깝다.

5. 1. 역사

움직이는 물체가 공기나 다른 유체를 통과할 때 저항을 받는다는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 시대부터 알려져 있었다. 머빈 오고먼에 따르면, 이 저항은 아치볼드 레이스 로에 의해 "항력"으로 명명되었다.[25] 1922년 루이 샤를 브레게는 유선형을 통해 항력을 줄이려는 노력을 시작했다.[26] 브레게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여러 대의 기록적인 항공기를 설계하여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했다. 1920년대 루드비히 프란틀의 경계층 이론은 표면 마찰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했다. 서 멜빌 존스는 항공기 설계에서 유선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적 개념을 제시했다.[27][28][29]

1929년 왕립 항공학회에 발표된 그의 논문 '유선형 항공기'는 획기적이었다. 그는 최소한의 항력을 갖는 이상적인 항공기를 제안했는데, 이는 '깨끗한' 단엽기와 접이식 착륙장치의 개념으로 이어졌다. 당시 설계자들에게 가장 충격적인 존스 논문의 측면은 실제 항공기와 이상적인 항공기에 대한 동력 대 속도 그래프였다. 주어진 항공기의 데이터 지점을 보고 이상적인 곡선에 수평으로 외삽하면 같은 동력에 대한 속도 증가를 알 수 있다. 존스가 발표를 마치자 청중의 한 사람은 그 결과를 열역학의 카르노 순환과 같은 수준의 중요성으로 묘사했다.[26][27]

6. 추가 정보


  • '''달랑베르의 역설'''


1752년 달랑베르는 비점성 흐름 이론인 퍼텐셜 흐름을 이용하여 항력이 0이라는 예측 결과를 얻었으나, 이는 실험 결과와 모순되었다. 이 때문에 달랑베르의 역설로 알려지게 되었다.[30] 19세기에는 나비에, 생베낭, 스톡스가 점성 흐름을 설명하는 나비에-스톡스 방정식을 개발했다. 스톡스는 매우 낮은 레이놀즈 수에서 구 주위의 항력을 유도했는데, 그 결과는 스톡스 법칙으로 불린다.[30]

높은 레이놀즈 수에서 나비에-스톡스 방정식은 비점성 오일러 방정식에 근접하며, 달랑베르가 고려한 퍼텐셜 흐름 해는 오일러 방정식의 해이다. 그러나 높은 레이놀즈 수에서의 모든 실험은 항력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퍼텐셜 흐름 해 이외의 오일러 방정식에 대한 비점성 정상 흐름 해를 구성하려는 시도는 현실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30]

1904년 프란틀은 이론과 실험을 바탕으로 경계층 개념을 도입하여 높은 레이놀즈 수에서 항력의 원인을 설명했다. 경계층은 물체의 경계면 근처에 있는 얇은 유체층으로, 점성이 매우 작을 때(또는 레이놀즈 수가 매우 클 때)도 점성 효과가 중요하게 남아 있는 영역이다.[30]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DRAG http://www.merriam-w[...] 2023-05-07
[2] 서적 French (1970), p. 211, Eq. 7-20
[3] 웹사이트 What is Drag? http://www.grc.nasa.[...] 2011-10-16
[4] 웹사이트 Calculating Viscous Flow: Velocity Profiles in Rivers and Pipes http://galileo.phys.[...] 2011-10-16
[5] 웹사이트 Viscous Drag Forces http://www.ce.utexas[...] 2011-10-16
[6] 논문 On the performance of Usain Bolt in the 100 m sprint https://www.research[...] 2016-04-23
[7] 논문 The air-resistance to a runner The Royal Society
[8] 서적 Encyclopedia of Automotive Engineering
[9] 서적 Fundamentals of Flight, Second Edition
[10] 서적 A Case Study By Aerospatiale And British Aerospace On The Concorde
[11] 서적 Design For Air Combat
[12] 문서 Earth's atmosphere, air density and barometric formula
[13] 논문 Analysis of triangular sharkskin profiles according to second law http://www.iieta.org[...]
[14] 웹사이트 Size effects on drag https://www1.grc.nas[...]
[15] 웹사이트 Wing geometry definitions https://www1.grc.nas[...]
[16] 논문 Experiments on the flow past a circular cylinder at very high Reynolds number https://authors.libr[...]
[17] 서적 Batchelor (1967), p. 341.
[18] 웹사이트 Part 6: Speed and Horsepower http://phors.locost7[...] 2016-05-18
[19] 웹사이트 On Being the Right Size http://irl.cs.ucla.e[...]
[20] 웹사이트 Air friction http://hyperphysics.[...]
[21] 서적 Particle Mechanics Butterworth-Heinemann
[22] 웹사이트 Drag coefficient (friction and pressure drag) https://www.tec-scie[...] 2020-06-25
[23] 서적 Introduction to Flight
[24] doctoral Influence of Attachment Line Flow on Form Drag https://openaccess.c[...] 2022-03-22
[25] 간행물 Flight https://archive.org/[...]
[26] 서적 A History of Aerodynamics: And Its Impact On Flying Machines University of Cambridge
[27] 웹사이트 University of Cambridge Engineering Department http://www-g.eng.cam[...] 2014-01-28
[28] 서적 Biographical Memoir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Bennett Melvill Jones. 28 January 1887 -- 31 October 1975 The Royal Society 1977-11
[29]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30] 서적 Batchelor (2000), pp. 337–343.
[31] 서적 生物から学ぶ流体力学 養賢堂
[32] 서적 風車工学入門 森北出版
[33] 서적 流体力学 朝倉書店
[34] 서적 Fundamentals of Aerodynamics, 3rd International ed. McGraw-Hill
[35] 웹사이트 한국물리학회 물리학용어집 https://www.kps.or.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