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항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타기는 말뚝을 땅에 박는 데 사용되는 기계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그 역사를 찾아볼 수 있다. 타격식, 압입식, 굴착식, 진동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디젤 해머, 유압 해머, 진동 해머 등이 널리 사용된다. 항타기는 건설 현장에서 기초 공사에 필수적인 장비이지만, 소음, 진동, 수질 및 토양 오염 등 환경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설기계 - 불도저
    불도저는 무한궤도식 트랙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여 흙을 굴착하고 지면을 고르는 건설 기계이며, 토목 공사, 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건설기계 - 트랙터
    트랙터는 농업에서 농기구를 작동하거나 견인하는 차량으로, 증기기관에서 가솔린, 디젤 엔진으로 발전해왔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어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건설, 정원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건축공학 -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은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투입된 에너지 대비 유용하게 사용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수이며, 다양한 형태와 분야에서 적용된다.
  • 건축공학 -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는 철도 승강장에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설비로, 열차 사고 예방, 무인 운전 가능, 쾌적한 승강장 유지를 위해 다양한 종류로 설치되며,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 열차 지연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항타기
기본 정보
일본의 항타기
일본의 항타기
다른 이름파일 드라이버 (pile driver)
파일 해머 (pile hammer)
유형중장비
용도기초공학에서 파일을 땅속에 박는 데 사용
작동 방식
방법충격력
진동
압력
종류
종류드롭 해머
디젤 해머
유압 해머
진동 파일 드라이버
사용
사용 분야교량
건물
부두 건설
안전
잠재적 위험소음
진동
파일 파손
기타
관련 표준해당 지역의 건설 규정 및 안전 표준 준수

2. 역사

고대 로마 시대 카이사르의 라인 다리 건설(기원전 55년)에 사용된 말뚝 박는 기계 복제품이 남아있다.

18세기 말뚝 박는 기계, ''Abhandlung vom Wasserbau an Strömen'', 1769


말뚝 박는 기계에 대한 기계적으로 정확한 도면은 1475년 프란체스코 디 조르조 마르티니의 논문 ''건축론''에서 처음 등장했다.[4] 1845년 증기 동력 말뚝 박는 기계를 발명한 제임스 네스미스(알렉산더 네스미스의 아들), 시계 제작자 제임스 발루에, 조반 바티스타 가졸라 백작, 레오나르도 다 빈치 등 여러 발명가들이 이 장치의 발명에 기여했다.[5][6][7][8] 5000년 전 스코틀랜드의 오크뱅크(Oakbank, Perth)와 로흐 테이에서 크라노그 건설에 비슷한 장치가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있다.[9] 1801년 존 래니는 영국에서 증기 말뚝 박는 기계를 개발했다.[10] 오티스 터프츠는 미국에서 증기 말뚝 박는 기계를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3. 종류 및 방식

고대 항타 장비는 인간이나 동물의 노동력을 사용하여 추를 들어 올렸으며, 일반적으로 도르래를 사용한 다음 추를 말뚝의 상단에 떨어뜨렸다. 현대의 항타 장비는 유압, 증기, 디젤 또는 전력을 사용하여 추를 들어 올리고 말뚝을 안내한다.

말뚝 박는 기계는 크게 타격식, 압입식, 굴착식, 그리고 이들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 타격식: 말뚝 머리를 강철 링으로 보강하여 파손을 방지한 PC 말뚝이나 강관 말뚝 위에 대형 타격 해머를 낙하시키거나 진동을 이용하여 박는 방식이다. 야구라를 조립하여 상부에서 추를 연속적으로 두드리는 몽켄, 디젤 해머[17], 바이브로 해머, 유압 해머 등이 있다.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굴착 토사나 뻘물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단한 암반에 박는 것이 어렵고, 소음, 진동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디젤 해머는 환경 문제로 인해 일본 시가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18]
  • 압입식: 유압을 이용한 정적 하중으로 말뚝을 지중에 밀어 넣는 방식이다.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사일런트 파일러는 이미 지중에 밀어 넣은 말뚝의 인발 저항력을 반력으로 이용하여 경량이면서도 대형 말뚝 박기가 가능하다. 진동, 소음, 흙탕물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 굴착식: 오거 드릴이나 비트를 사용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말뚝 선단부에 고압수를 보내 굴착하여 말뚝을 세우는 방식이다. 타격식이나 압입식 기계를 병용하기도 한다. 견고한 암반이나 깊은 지반에 말뚝을 박을 수 있지만, 굴착 토사, 흙탕물, 벤토나이트액 처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 하이브리드 방식: 타격, 압입, 굴착 등의 기능을 조합한 방식이다.

3. 1. 타격식 (타격 공법)

파팀반 심해 항구(Patimban Deep Sea Port), 인도네시아에서 디젤 해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원심력 말뚝을 박는 모습


사용 중인 Berminghammer 수직 이동 리드


타격식은 가장 전통적인 방식으로, 무거운 추(해머)를 낙하시켜 말뚝을 땅에 박는 방식이다.[1] 야구라를 조립하여 상부에서 추를 연속적으로 두드리는 몽켄 방식이 있다.

  • '''디젤 해머''': 말뚝 박는 기계 전체가 단기통 2행정 디젤 엔진의 실린더 및 피스톤으로 구성되어 있다.[17] 디젤 연료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피스톤을 움직여 말뚝을 타격한다.
  • '''유압 해머''': 유압으로 피스톤을 상하로 움직여 말뚝을 타격한다. 디젤 해머보다 소음과 오염 물질 발생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다.[1]


수직 이동 리드 시스템에는 스퍼드 리드와 박스 리드가 있다. 박스 리드는 미국 남부에서, 스퍼드 리드는 미국 북부, 캐나다, 유럽에서 주로 사용된다.

디젤 해머는 이동이 용이하고 능률이 좋다는 장점이 있었지만,[18] 공사 부지 경계에서의 소음 레벨이 80db 전후이며,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가 발생하는 등 환경 보전의 관점에서 문제가 되어 일본 국내의 시가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3. 2. 압입식 (압입 공법)

유압을 이용한 정적인 하중으로 말뚝을 지중에 밀어 넣는(압입하는) 말뚝 박는 기계이다. 말뚝을 압입할 때 무엇에 반력을 구할지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있다. 기계 본체를 크레인으로 매달아 자중을 반력으로 하는 방법이나, 기계 중량과 웨이트 블록 또는 유압 실린더가 부착된 베이스 머신의 자중 등을 이용하는 방법은 지구의 중력을 이용한다. 이미 지중에 밀어 넣은 말뚝을 수 개 잡아, 그 인발 저항력을 반력으로 하는 기계 (사일런트 파일러)는, 기계 본체는 경량이면서 대형 말뚝의 박기도 가능하다. 진동이나 소음, 흙탕물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일런트 파일러에는 N 값이 높은 지반, 암반층, 쇄설층에 압입이 가능한 기종, 초저공두 대응기, 협애지 대응기 등이 있다.[1]

유압 프레스-인 장비는 유압 램을 사용하여 말뚝을 땅에 압입하여 설치한다. 이 시스템은 진동이 우려되는 경우 선호된다. 기존 말뚝 박기 장비에 부착할 수 있는 프레스 부착물은 2쌍의 시트 파일(sheet pile)을 동시에 압입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프레스 장비는 기존 시트 파일(sheet pile) 위에 놓여 있고 이전에 박힌 말뚝을 잡는다. 이 시스템은 더 많은 반력(reaction force)이 발생하기 때문에 더 큰 압입 및 인발력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기반 기계는 약 7.01m에서 69dB로 작동하여 기존 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는 기존 방법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민감한 지역에 말뚝을 설치하고 인발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와 방법은 허리케인 카트리나 이후 뉴올리언스 지역의 내부 배수 시스템의 일부, 소음, 진동 및 접근성이 문제가 되는 프로젝트에서 사용된다.

3. 3. 굴착식

굴착식은 드릴의 오거 드릴이나 비트를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지반을 굴착하고, 말뚝의 선단부에 고압수(워터 제트)를 보내 굴착함으로써 말뚝을 세우는 항타기(굴착 시스템)이다. 타격계나 압입계 기계를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견고한 암반이나 깊은 지반에 말뚝을 박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굴착에 따라 파낸 토사나 흙탕물, 주변 토압에 의해 말뚝 구멍이 내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벤토나이트액의 처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3. 4. 하이브리드 방식

타격, 압입, 굴착 등의 기능을 조합한 항타기 개발도 활발하다.[1] 이러한 하이브리드 방식은 다양한 지반 조건에 대응하고 시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3. 5. 진동식

강철 H형강에 장착된 디젤 동력 진동 말뚝 박는 기계


진동 말뚝 박는 기계는 유압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편심 추 시스템을 포함하며, 수평 진동은 상쇄되고 수직 진동은 말뚝으로 전달되도록 설계되었다. 말뚝 박는 기계는 굴착기 또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말뚝 위에 위치하며 클램프 및/또는 볼트로 말뚝에 고정된다. 진동 해머는 말뚝을 박거나 뽑을 수 있는데, 말뚝 뽑기는 임시 기초 지지대에 사용되는 강철 H형강을 회수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7] 유압 작동유는 트레일러 또는 밴에 장착된 디젤 엔진 동력 펌프로부터 드라이버에 공급되며, 호스를 통해 드라이버 헤드에 연결된다. 말뚝 박는 기계가 드래그라인 굴착기에 연결되면 굴착기의 디젤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다. 진동 말뚝 박는 기계는 소음을 완화해야 하는 경우에 자주 선택되는데, 이는 건설이 주거지 또는 사무실 건물 근처에 있거나 기존 말뚝 박는 기계를 사용할 수 있는 수직 여유 공간이 부족할 때(예: 교량 기둥 또는 교대 기초에 추가 말뚝을 개량할 때)이다. 해머는 분당 1200회에서 2400회 진동까지 다양한 진동 속도로 제공된다. 선택되는 진동 속도는 토양 상태, 전력 요구 사항 및 장비 비용과 같은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4. 항타기 (Piling Rig)



항타기는 모래 토양, 점토, 실트 점토 및 이와 유사한 환경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기초 공사에 사용되는 대형 궤도 장착 드릴이다. 이러한 장비는 유정 시추 장비와 기능이 유사하며, 단축 스크류(건조 토양용), 로터리 버킷(습식 토양용), 코어 드릴(암반용) 등 다양한 옵션을 갖출 수 있다. 고속도로, 교량, 산업 및 토목 건물, 흙막이 벽, 수자원 보존 사업, 사면 보호 및 내진 보강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항타기가 사용된다.

굴착 부분의 선단이 스크류형인 드릴(오거 드릴이나 비트)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지반을 굴착하고, 말뚝의 선단부에 고압수(워터 제트)를 쏘아 굴착함으로써 말뚝을 세우는 항타기(굴착 시스템)이다. 타격계나 압입계 기계를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견고한 암반이나 깊은 지반에 말뚝을 박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굴착에 따라 파낸 토사나 흙탕물, 주변 토압에 의해 말뚝 구멍이 내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벤토나이트액의 처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5. 환경 영향 및 규제

수중 음압은 말뚝 박기 작업으로 인해 인근 어류에게 해로울 수 있다.[13][14] 말뚝 박기 작업과 관련된 환경 문제는 여러 규제 기관에서 관리한다.[15] 완화 방법에는 버블 커튼, 풍선, 내연 기관 워터 해머가 있다.[16]

디젤 해머는 이동이 용이하고 능률이 좋지만[18], 공사 부지 경계에서 소음 레벨이 80db 전후이고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도 발생하여 환경 보전 관점에서 문제가 되므로 한국 시가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유압을 이용해 정적 하중으로 말뚝을 지중에 밀어 넣는(압입하는) 말뚝 박는 기계를 사용하면 진동, 소음, 흙탕물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6. 주요 제조업체

일본차량제작의 나루미 제작소에서 삼점식 항타기를 제조한다.[1]

참조

[1] 서적 Piles and Pile Foundations
[2] 웹사이트 Glossary of Pile-driving Terms http://www.americanp[...]
[3] 서적 Pile Foundations 1961
[4] 논문 "Francesco di Giorgio Martini's Treatise on Engineering and Its Plagiarists" 1963
[5] 서적 Engineers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Limited 2017-04-03
[6] 웹사이트 Science & Society Picture Library http://www.sciencean[...]
[7] 웹사이트 Pile-driver http://www1.fis.uc.p[...]
[8] 웹사이트 Leonardo da Vinci — Pile Driver http://www.museoscie[...]
[9] 웹사이트 History Trails: Ancient Crannogs https://www.bbc.co.u[...]
[10] 서적 Piling Engineering,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8-09-25
[11] 뉴스 R. C. Seamans Jr., NASA Figure, Dies at 89 https://www.nytimes.[...] 2008-07-03
[12] 서적 Pile Foundation: Design and Construction 2017
[13] 논문 Threshold for onset of injury in Chinook salmon from exposure to impulsive pile driving sounds 2012
[14] 논문 Effects of exposure to pile-driving sounds on the lake sturgeon, Nile tilapia and hogchoker 2012
[15] 웹사이트 Fisheries – Bioacoustics http://www.dot.ca.go[...] Caltrans 2011-02-03
[16] 웹사이트 Noise mitig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increasingly large offshore wind turbines https://www.bfn.de/f[...] Federal Agency for Nature Conservation 2018-11
[17] 문서
[18] 서적 新版 2級土木施工管理技士 受験用図解テキスト5 用語集 1987
[19] 서적 Piles and Pile Found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