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핵변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변환은 원자핵의 종류가 바뀌는 현상을 의미하며, 연금술에서 금속을 금으로 바꾸려는 시도에서 유래되었다. 20세기 초 방사성 붕괴의 발견으로 핵변환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었으며, 이후 인공적인 핵반응과 핵분열, 핵융합 반응이 연구되었다. 핵변환 기술은 방사성 폐기물 처리, 특히 장수명 핵종을 단수명 핵종으로 변환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우주에서는 별 내부의 원소 생성 과정(항성 핵합성)으로 무거운 원소가 생성된다. 일본에서는 J-PARC를 중심으로 핵변환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너지 - 암흑 에너지
    암흑 에너지는 우주 팽창을 가속하는 미지의 에너지 형태로, 우주 에너지의 약 68%를 차지하며 우주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에너지 - 핵무기 설계
    핵무기 설계는 핵분열 및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여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핵무기를 설계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핵분열성 물질의 임계 질량을 초임계 질량으로 신속하게 조립하는 다양한 방식과 고급 기술이 적용되며, 효율성 증대 및 안전성 확보, 방사능 낙진 최소화 등의 기술적·공학적 도전 과제들이 존재한다.
  • 핵기술 - 원자로
    원자로는 제어된 핵분열을 통해 열에너지를 생산하여 전기 생산, 추진 동력원, 연구 등에 활용되며, 핵분열 연쇄 반응을 제어봉과 감속재로 조절하고, 원자력 안전과 미래 기술 개발이 중요한 과제이다.
  • 핵기술 - 핵무기 설계
    핵무기 설계는 핵분열 및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여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핵무기를 설계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핵분열성 물질의 임계 질량을 초임계 질량으로 신속하게 조립하는 다양한 방식과 고급 기술이 적용되며, 효율성 증대 및 안전성 확보, 방사능 낙진 최소화 등의 기술적·공학적 도전 과제들이 존재한다.
  • 핵화학 - 핵분열
    핵분열은 원자핵이 중성자와 충돌하여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열되는 현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에 응용되지만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핵화학 - 핵폭발
    핵폭발은 원자핵 반응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으로, 핵무기에 이용되거나 평화적 목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폭풍, 열복사, 방사선, 전자기 펄스 등으로 피해를 야기하고 핵겨울을 초래할 수 있다.
핵변환
핵변환
방사능 기호
방사능 기호
정의
핵변환어떤 원소의 원자가 다른 원소의 원자로 변환되는 과정
설명원자핵의 변화를 통해 원자 번호나 질량수가 바뀌는 현상
화학적 수단으로는 불가능하며, 핵반응을 통해서만 가능
핵변환의 유형
자연적 핵변환자연에서 발생하는 핵반응으로 인한 핵변환
인공적 핵변환인위적으로 핵반응을 유도하여 핵변환을 일으키는 것
핵반응
핵분열원자핵이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나뉘는 핵반응
핵융합두 개 이상의 원자핵이 결합하여 더 무거운 원자핵을 만드는 핵반응
중성자 포획원자핵이 중성자를 흡수하여 다른 원자핵으로 변환되는 핵반응
알파 붕괴원자핵이 알파 입자를 방출하면서 다른 원자핵으로 변환되는 방사성 붕괴
베타 붕괴원자핵이 베타 입자를 방출하면서 다른 원자핵으로 변환되는 방사성 붕괴
양성자 방출원자핵이 양성자를 방출하면서 다른 원자핵으로 변환되는 핵반응
핵변환의 응용
원자력 발전핵분열 반응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
방사성 동위 원소 생산의료,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핵무기핵분열 또는 핵융합 반응을 이용한 무기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수명 핵종을 단수명 또는 안정 핵종으로 변환하는 방법 연구
역사
연금술납과 같은 비금속을 금으로 바꾸려는 시도
현대1919년 어니스트 러더퍼드의 질소 원자 핵변환 성공
인공적인 핵변환의 실현
참고 문헌
논문W.M. Lehmann의 핵변환 (독일어)
참고 자료
위키백과핵변환 (한국어)
Nuclear transmutation (영어)
核変換 (일본어)
사전核変換 (일본어)

2. 역사

화학에서 화학 결합으로 결합된 원자 집단인 분자는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이지만, 화학 반응에 의해 그 분자의 구성은 비교적 쉽게 변화한다. 한편, 그 분자의 구성 요소인 원자(의 원자핵)도 핵력으로 결합된 양성자중성자의 집단이기 때문에, 원자도 그 구성(핵종)은 변화할 수 있다. 이 원자의 원자핵 구성 변화(핵종의 변화)를 '''핵변환'''(nuclear transmutation)이라고 부른다.

원자핵물리학에서 기본적인 현상인 방사성핵종이 방사선을 방출하여 다른 핵종으로 변하는 방사성 붕괴는 핵변환의 일종이다. 1919년 어니스트 러더퍼드는 방사성 물질에서 나오는 α선을 질소의 원자핵에 충돌시킴으로써 수소 원자핵과 산소 원자핵을 생성했다.[27] 1932년 존 코크크로프트와 어니스트 월턴은 가속기를 이용하여 핵종 변환에 성공하여, 순수하게 인공적인 핵변환을 시작했다. 핵분열 반응이나 핵융합 반응도 핵변환의 일종이다.

핵변환으로 생성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플루토늄-239가 있다.[27]

원래 원자를 구성하는 핵종반감기는 환경 변화의 영향을 매우 받기 어려운 물리량이며, 고전 물리학적·화학적인 방법으로는 반감기를 변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었지만, 최근에는 극단적인 상태에서 반감기가 변화하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28]

원자로사용후핵연료로 이루어진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다양한 핵종을 포함하고 있지만, 그 일부는 천연 우라늄 수준의 방사능까지 감쇄하는 데 수만 년의 시간이 걸리는 초장수명 핵종이다. 플루서멀이나 핵연료 사이클을 거쳐 나오는 방사성 폐기물에서 초장수명 핵종인 마이너 악티노이드(MA)나 핵분열 생성물(FP)을 군 분리한 후, 수백 년 단위의 단수명 핵종 또는 안정 핵종으로 핵변환하는 기술('''핵변환 기술''', 예전에는 '''소멸 처리''')의 연구 개발이 1970년대부터 진행되고 있다.

1901년, 프레데릭 소디는 토륨라듐으로 자연스럽게 방사성 붕괴(알파 붕괴)하는 것을 발견했다.[33] 1932년에는, 존 코크크로프트와 어니스트 월턴양성자를 인공적으로 가속하여 리튬-7에 조사하고, 두 개의 알파 입자로 분열시켰다. 같은 해, 마크 올리펀트는 두 개의 중수소를 가속 충돌시켜 헬륨을 만들어내는 인공적인 핵융합에 성공했다.[34] 1938년에는 오토 한, 리제 마이트너, 프리츠 슈트라스만이 핵분열 반응을 발견했다.[35] 1942년, 엔리코 페르미를 중심으로 한 시카고 대학교 연구팀이 세계 최초의 제어된 핵분열 연쇄 반응을 성공시켰다.

2. 1. 연금술

연금술사들은 현자의 돌을 이용하여 비금속을 금으로 변환시키려 시도했다.[3] 연금술사들은 금 만들기를 신비주의적 또는 종교적 과정의 은유로 이해하기도 했지만, 일부는 물리적 실험을 통해 금을 만들려고도 했다. 그러나 중세 이후 금속 변환의 불가능성은 연금술사, 철학자,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쟁거리가 되었다. 14세기부터 가짜 연금술적 변환은 금지[4]되고 공개적으로 조롱당했다. 마이클 마이어와 하인리히 쿤라트와 같은 연금술사들은 금 제조에 대한 사기성 주장을 폭로하는 논문을 썼다. 1720년대에는 물질을 금으로 물리적으로 변환하려는 존경받는 인물은 더 이상 없었다.[5] 18세기의 앙투안 라부아지에는 연금술적 원소 이론을 현대적인 화학 원소 이론으로 대체했고, 존 돌턴은 다양한 화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소체의 연금술적 이론에서 유래한) 원자 개념을 더욱 발전시켰다. 원자의 붕괴는 연금술사들이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에너지를 포함하는 별개의 과정이다.

2. 2. 현대 물리학

프레더릭 소디어니스트 러더퍼드와 1901년에 방사성 토륨라듐으로 변환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소디는 이 순간을 "러더퍼드, 이것은 변환입니다!"라고 외쳤다고 회상했다. 러더퍼드는 "소디, '변환'이라고 부르지 말게. 연금술사로 몰려 목이 달아날 걸세."라고 답했다.[6]

질소의 산소로의 변환


러더퍼드와 소디는 알파 붕괴 유형의 방사성 붕괴 과정에서 자연적인 변환을 관찰했다. 최초의 인공 핵변환은 1925년 러더퍼드의 연구원 패트릭 블랙켓이 질소에 알파 입자를 충돌시켜 산소로 변환하면서 달성되었다. (14N + α → 17O + p).[7] 1919년 러더퍼드는 양성자(수소 원자)가 알파 폭격 실험에서 방출됨을 보였으나, 잔여 핵에 대한 정보는 없었다. 블랙켓은 1921~1924년 실험을 통해 최초의 인공 핵변환 반응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공하고, 통합 과정과 잔여 핵의 정체를 정확히 확인했다.

1932년 러더퍼드의 동료 존 코크크로프트와 어니스트 월턴은 인공 가속된 양성자를 리튬-7에 충돌시켜 핵을 두 개의 알파 입자로 분열시키는, 완전한 인공 핵반응 및 핵변환을 달성했다. 이는 1938년 오토 한, 리제 마이트너, 프리츠 슈트라스만이 발견한 현대적 핵분열 반응은 아니었지만, '원자 분열'로 널리 알려졌다.[8] 1941년 러비 셰어, 케네스 베인브리지, 허버트 로렌스 앤더슨은 수은으로 변환하는 핵변환을 보고했다.[9]

20세기 후반, 별 내부 원소 변환(항성 핵합성) 연구를 통해 우주 내 무거운 원소의 상대적 풍부함이 설명되었다. 빅뱅과 다른 우주선 과정에서 생성된 처음 다섯 개 원소를 제외하고, 항성 핵합성붕소보다 무거운 모든 원소의 풍부함을 설명한다. 1957년 논문 "항성에서의 원소 합성"[10]에서 윌리엄 알프레드 파울러, 마가렛 버비지, 제프리 버비지, 프레드 호일은 가장 가벼운 화학 원소를 제외한 거의 모든 원소의 풍부함이 별에서의 핵합성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보였다.

3. 핵변환의 종류

핵변환은 크게 자연적 핵변환과 인공적 핵변환으로 나눌 수 있다.

화학 결합으로 결합된 원자 집단인 분자화학의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이지만, 화학 반응에 의해 그 분자의 구성은 비교적 쉽게 변화한다. 한편,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원자핵)도 핵력으로 결합된 양성자중성자의 집단이기 때문에, 분자처럼 원자도 그 구성(핵종)은 분자만큼 쉽지는 않지만 변화할 수 있다. 이처럼 원자핵 구성이 변화하는 것(핵종의 변화)을 '''핵변환'''(nuclear transmutation)이라고 부른다.

원자핵물리학에서 기본적인 현상인 방사성핵종이 방사선을 방출하여 다른 핵종으로 변하는 방사성 붕괴는 핵변환의 일종이다. 핵분열 반응이나 핵융합 반응도 핵변환의 일종이다.

핵변환으로 생성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플루토늄-239가 있다.[27]

원래 원자를 구성하는 핵종반감기는 환경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물리량이며, 고전 물리학적·화학적인 방법으로는 반감기를 변화시키는 것(즉, 핵종을 핵변환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극단적인 조건에서 약 1% 정도이지만 고압, 전자기장, 화학 구조 등에 의해 반감기가 변화하는(즉, 핵변환이 일어나는) 현상이 밝혀지고 있다.[28]

원자로사용후핵연료로 이루어진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에는 다양한 핵종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중 일부는 천연 우라늄 수준의 방사능까지 감소하는 데 수만 년이 걸리는 초장수명 핵종이다. 플루서멀이나 핵연료 사이클을 거쳐 나오는 방사성 폐기물에서 초장수명 핵종인 마이너 악티노이드(MA)나 핵분열 생성물(FP)을 분리한 후, 수백 년 단위의 단수명 핵종 또는 안정 핵종으로 핵변환하는 기술('''핵변환 기술''', 과거에는 '''소멸 처리'''라고 불렀음)에 대한 연구 개발이 1970년대부터 진행되고 있다.

3. 1. 자연적 핵변환

프레데릭 소디는 1901년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함께 방사성 토륨라듐으로 변환되는 것을 발견하면서, 핵변환을 현대 물리학에 처음으로 적용했다.[6] 이들은 알파 붕괴 유형의 방사성 붕괴 과정에서 자연적인 핵변환을 관찰했다.

빅뱅 이후, 우주에는 수소(모든 중수소 포함)와 헬륨이 주로 존재하게 되었다. 수소와 헬륨은 우주 전체 일반 물질 질량의 98%를 차지하며, 나머지 2%는 다른 원소들로 구성된다. 빅뱅은 또한 소량의 리튬, 베릴륨, 붕소를 생성했다. 이후 더 많은 리튬, 베릴륨, 붕소는 우주선 파쇄라는 자연적 핵반응 과정을 통해 생성되었다.

항성 핵합성은 안정 동위원소와 원시 핵종으로서 우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탄소부터 우라늄까지의 원소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빅뱅 이후 항성 생성 과정에서 발생했다. 탄소부터 철까지의 일부 가벼운 원소들은 항성에서 생성되어 점근거성가지(AGB) 항성에 의해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었다. 이들은 외곽 대기를 "방출"하는 적색 거성의 한 종류로, 탄소부터 니켈과 철까지의 일부 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질량수가 64보다 큰 핵종은 주로 중성자 포획 과정(s-과정과 r-과정)을 통해 초신성 폭발과 중성자별 합병에서 생성된다.

태양계는 약 46억 년 전, 이전의 많은 항성들에 의해 형성된 먼지 입자 속에 더 무거운 원소를 포함하는 수소와 헬륨 구름에서 응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입자들은 우주 초기 핵변환에 의해 형성된 더 무거운 원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오늘날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자연적인 핵변환은 우주선(예: 탄소-14 생성)과 태양계 초기 형성 과정에서 남은 방사성 원시 핵종(예: 칼륨-40, 우라늄, 토륨)의 방사성 붕괴, 그리고 이러한 핵종의 생성물(라듐, 라돈, 폴로늄 등)의 방사성 붕괴에 의해 발생한다. 붕괴 사슬 참조.

3. 2. 인공적 핵변환



프레더릭 소디는 1901년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함께 방사성 토륨라듐으로 변환되는 것을 발견했다. 소디는 그 순간을 떠올리며 "러더퍼드, 이것은 변환입니다!"라고 외쳤다고 회상했다. 러더퍼드는 "제발, 소디, 그것을 '변환'이라고 부르지 마. 연금술사로 우리 목을 날려 버릴 거야."라고 받아쳤다.[6]

러더퍼드와 소디는 알파 붕괴 유형의 방사성 붕괴의 일부로서 자연적인 변환을 관찰했다. 최초의 인공적인 변환은 1925년 러더퍼드 밑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던 패트릭 블랙켓에 의해 달성되었는데, 질소에 알파 입자를 조사하여 질소를 산소로 변환시켰다. (14N + α → 17O + p)[7] 러더퍼드는 1919년에 양성자가 알파 폭격 실험에서 방출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잔여 핵에 대한 정보는 없었다. 블랙켓의 1921~1924년 실험은 최초의 인공적인 핵 변환 반응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공했다. 블랙켓은 기저에 있는 통합 과정과 잔여 핵의 정체를 정확하게 확인했다.

1932년, 러더퍼드의 동료인 존 코크크로프트와 어니스트 월턴은 인공적으로 가속된 양성자를 리튬-7에 충돌시켜 핵을 두 개의 알파 입자로 분열시킴으로써 완전히 인공적인 핵 반응과 핵 변환을 달성했다. 이 업적은 "원자 분열"로 널리 알려졌지만, 1938년 오토 한, 리제 마이트너와 그들의 조수 프리츠 슈트라스만이 무거운 원소에서 발견한 현대적인 핵분열 반응은 아니었다.[8] 1941년, 러비 셰어, 케네스 베인브리지와 허버트 로렌스 앤더슨은 수은으로 변환하는 핵 변환을 보고했다.[9]

4. 핵변환 기술

핵변환 기술은 방사성 폐기물 처리, 새로운 동위 원소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초우라늄 원소(transuranium element) (즉, 악티늄(actinium)에서 우라늄(uranium)을 제외한 악티늄족 원소(actinides))의 동위 원소(isotope)나 소량 악티늄족 원소(minor actinides, MAs)(넵투늄(neptunium), 아메리슘(americium), 퀴륨(curium) 등)의 핵변환(transmutation)은 함유된 장수명 동위원소의 비율을 줄임으로써 방사성 폐기물(radioactive waste) 관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악티늄족 원소를 포함하는 세라믹 표적에 중성자를 폭격하여 핵변환 반응을 유도하면 가장 처리하기 어려운 장수명 종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비방사성 불활성 상의 역할은 주로 중성자 조사 하에서 표적에 안정적인 기계적 거동을 제공하는 것이다.[13]

처음 연료 주기에 플루토늄을 포함하고 연료 주기가 끝날 때는 플루토늄의 양이 더 적은 여러 종류의 연료가 있다. 주기 동안 플루토늄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연소되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발전뿐만 아니라 무기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잉여 무기급 플루토늄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플루토늄을 소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혼합산화물 연료는 경수로에서 주로 사용되는 저농축 우라늄 연료의 대안이다. 혼합산화물에는 우라늄이 존재하므로 플루토늄이 연소되더라도 우라늄-238의 방사선 포획과 그 후 두 번의 베타 붕괴를 통해 2세대 플루토늄이 생성된다.

플루토늄과 토륨을 포함하는 연료도 하나의 선택지이다. 이 경우 플루토늄 핵분열에서 방출되는 중성자는 토륨-232에 포획된다. 토륨-232는 두 번의 베타 붕괴를 거쳐 핵분열성 동위원소 우라늄-233을 생성한다. 토륨-232의 방사선 포획 단면적은 우라늄-238의 세 배 이상이므로 우라늄-238보다 핵분열성 연료로의 전환율이 더 높다. 연료에 우라늄이 없기 때문에 2세대 플루토늄이 생성되지 않으며, 혼합산화물 연료보다 플루토늄 연소량이 더 많다. 그러나 핵분열성인 우라늄-233은 사용후핵연료에 존재하게 된다.

원래 원자를 구성하는 핵종반감기는 환경 변화의 영향을 매우 받기 어려운 물리량이며, 고전 물리학적·화학적인 방법으로는 반감기를 변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었지만, 최근에 극단적인 상태에서 불과 1% 정도이지만 고압, 전자기장 또는 화학 구조 등에 의해 반감기가 변화하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28]

장수명 방사성핵종을 핵변환을 통해 단수명 핵종 또는 안정 핵종으로 바꾸는 기술을 '''핵변환 기술'''(transmutation technology)이라고 한다.[36] 과거에는 '''소멸 처리'''라고 불렸다.[37]

4. 1. 방사성 폐기물 처리

핵변환 기술은 방사성 폐기물에 포함된 장수명 핵종을 단수명 핵종이나 안정 핵종으로 변환시켜 방사능 준위를 낮추고, 폐기물 부피를 줄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핵변환은 고속 중성자를 조사(照射)하여 핵분열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악티늄족 원소 동위원소를 파괴하고 방사성 및 비방사성 핵분열 생성물을 생성한다.[13]

핵변환 기술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중성자를 이용한 (n, γ), (n, 2n) 반응을 통해 수명이 짧은 핵종으로 변환시키는 중성자 연소법이 대표적이다.[38] 1964년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BNL)의 M. Steinberg 그룹이 원자로를 중성자원으로 이용하는 형태로 제안한 것이 핵변환 기술의 시초이다.[39]

경수로를 이용하는 방법에서 핵분열 생성물은 주로 열중성자 포획 반응((n, γ) 반응)에 의해 핵변환된다.[40] 그러나 핵분열 생성물의 열중성자에 대한 포획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효율적인 핵변환을 위해서는 열중성자 조사 대상을 핵변환 처리 대상 핵종(85Kr, 90Sr, 137Cs 등)으로 최대한 한정해야 한다. 즉, 군분리가 필요하다.[41]

플루토늄은 혼합 산화물 연료로 재처리되어 표준 원자로에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 후 MOX 연료에서는 플루토늄-240이 축적되는데, 이는 열중성자로는 핵분열하지 않는다. 무거운 원소는 고속 원자로에서 전환될 수 있지만, 저임계 원자로에서 더 효과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핵융합 중성자원도 적합하다고 제안되었다.[16][17][18]

이러한 분리 및 핵변환(P&T) 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 핵변환을 수행하기 전에 장수명 핵분열 생성물 동위원소를 분리해야 하는 비용이 많이 들고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
  • 장수명 핵분열 생성물 중 일부는 작은 중성자 반응 단면적과 그에 따른 낮은 포획률 때문에 효과적인 핵변환에 필요한 충분한 중성자를 포획할 수 없다.


가속기 구동 미임계로(ADS)나 전소 고속로에 의한 계층 처리가 고려되고 있다.

4. 2. 핵종 분리 기술

효율적인 핵변환을 위해서는 핵종 분리를 통해 특정 핵종만을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군 분리(group partitioning) 기술은 핵종의 화학적 특성이나 반감기 등을 기준으로 핵종을 분리하는 기술이다.[41] 핵변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면 열중성자의 조사 대상을 핵변환 처리 대상 핵종(85Kr, 90Sr, 137Cs 등)으로 최대한 한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군 분리가 필요하다.[40]

4. 3. 핵변환 기술의 과제

분리 및 핵변환(P&T) 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13]

  • 핵변환을 수행하기 전에 장수명 핵분열 생성물 동위원소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 작업은 비용이 많이 들고 번거롭다.
  • 장수명 핵분열 생성물(long-lived fission product) 중 일부(예: 핵폐기물인 세슘-137(caesium-137))는 중성자 반응 단면적(neutron cross-section)이 작고 포획률이 낮아 효과적인 핵변환에 필요한 충분한 중성자를 포획할 수 없다.


도쿄 공업대학의 Chiba Satoshi가 이끄는 새로운 연구는 동위원소 분리 없이 고속 스펙트럼 반응로에서 장수명 핵분열 생성물의 효과적인 핵변환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이트륨 중수소화물(yttrium deuteride) 감속재를 추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14][15]

반감기가 약 30년인 스트론튬-90과 세슘-137은 사용 후 핵연료에서 수십 년에서 약 305년까지 가장 큰 방사선(열 포함) 방출원이며(주석-121m은 수율이 낮아 무시), 낮은 중성자 흡수(neutron cross-section) 때문에 쉽게 변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은 붕괴될 때까지 저장해야 한다.

사마륨-151은 반감기가 90년이며 중성자 흡수성이 매우 우수하여 핵연료가 사용되는 동안 대부분 변환된다. 그러나 핵폐기물에 남은 사마륨-151을 효과적으로 변환하려면 다른 사마륨 동위원소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일곱 가지 장수 핵분열 생성물은 반감기가 21만 1천 년에서 1천 570만 년으로 매우 길다. 그중 테크네튬-99와 아이오딘-129는 환경 이동성이 커서 잠재적 위험이 될 수 있지만, 중성자 단면적이 작아도 변환은 가능하다.

5. 핵변환과 우주

빅뱅은 우주에 존재하는 수소(모든 중수소 포함)와 헬륨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수소와 헬륨은 우주에 존재하는 일반 물질의 질량 중 98%를 차지하며, 나머지 2%가 다른 모든 것을 구성한다. 빅뱅은 또한 소량의 리튬, 베릴륨, 그리고 아마 붕소를 생성했다. 더 많은 리튬, 베릴륨, 그리고 붕소는 나중에 자연적인 핵반응인 우주선 파쇄 과정에서 생성되었다.[10]

항성 핵합성은 안정 동위원소와 원시 핵종으로서 우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탄소부터 우라늄까지의 다른 모든 원소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빅뱅 이후 항성 생성 과정에서 일어났다. 탄소부터 까지의 일부 가벼운 원소들은 항성에서 생성되어 점근거성가지(AGB) 항성에 의해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었다. 이들은 외곽 대기를 "방출"하는 적색거성의 한 종류로, 탄소부터 니켈과 철까지의 일부 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질량수가 64보다 큰 핵종은 주로 중성자 포획 과정—''s''-과정과 ''r''-과정—을 통해 초신성 폭발과 중성자별 합병에서 생성된다.[10]

태양계는 약 46억 년 전에 이전에 많은 수의 항성에 의해 형성된 먼지 입자 속에 더 무거운 원소를 포함하는 수소와 헬륨 구름에서 응축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입자는 우주 역사 초기에 핵변환에 의해 형성된 더 무거운 원소를 포함하고 있었다.[10]

항성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모든 자연적인 핵변환 과정은 오늘날 우리 은하와 다른 은하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항성은 수소와 헬륨을 더 무겁고 무거운 원소(철까지)로 융합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SN 1987A와 같은 초신성의 관측된 광도곡선은 지구의 질량과 비슷한 양의 방사성 니켈과 코발트를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 중 지구에 도달하는 양은 거의 없다.[10]

6. 한국의 핵변환 연구 현황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는 일본의 핵변환 연구 현황에 대한 내용이며, 한국의 핵변환 연구 현황에 대한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1. 문부과학성

문부과학성은 2014년부터 J-PARC에 핵변환 실험시설[42]을 건설하여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에 포함된 방사성물질의 반감기를 단축하고, 감량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43] 본격적인 실험시설은 세계 최초로 여겨진다.[44]

핵변환 연구 전반에 대해서는 문부과학성 연구개발국 원자력과 방사성폐기물기획실이 주관하는 원자력과학기술위원회 군분리·핵변환기술평가작업부회[45]에서 연구·개발의 평가, 조사·검토를 실시하고 있다.

6. 2. 기타 연구 기관

리켄(理化学研究所) 니시나 가속기 연구센터의 RI 빔 팩토리 등을 활용하여 핵변환 기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46] 이 연구는 일본 정부의 혁신적 연구개발 추진 프로그램(ImPACT)에 선정되었다.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후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에는 약 1000종류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중 반감기가 긴 7종류의 핵종, 특히 팔라듐107과 지르코늄93에 중양자를 충돌시키는 방법 등을 통해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무해한 금속이나 반감기가 짧은 동위원소로 변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7]

참조

[1] 논문 Transmutation in der Kerntechnik https://inis.iaea.or[...] VWEW-Energieverlag GmbH
[2] 웹사이트 Transmutation of Radioactive Waste http://www.oecd-nea.[...] 2012-02-03
[3] 웹사이트 Dictionary.com
[4] 서적 John Gower, Trilingual Poet: Language, Translation, and Tradition Boydell & Brewer
[5] 서적 New Narratives in Eighteenth-Century Chemistry Springer
[6] 서적 Pioneer Research on the Atom: The Life Story of Frederick Soddy; Radium, Radioactivity and the Popularity of Scientific Discovery; The Self-Splitting Atom: The History of the Rutherford-Soddy Collaboration New World,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Taylor & Francis
[7] 웹사이트 Rutherford's Nuclear World: The Story of the Discovery of the Nucleus | Sections |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http://history.aip.o[...]
[8] 웹사이트 Cockcroft and Walton split lithium with high energy protons April 1932. http://www-outreach.[...]
[9] 논문 Transmutation of Mercury by Fast Neutrons https://journals.aps[...] 1941-10-01
[10] 논문 Synthesis of the Elements in Stars
[11] 논문 Energy dependence of 209Bi fragmentation in relativistic nuclear collisions
[12] 뉴스 The Philosopher's Stone https://www.telegrap[...] 2001-12-02
[13] 웹사이트 Crystalline Materials for Actinide Immobilisation http://www.icpress.c[...] Imperial College Press
[14] 논문 Method to Reduce Long-lived Fission Products by Nuclear Transmutations with Fast Spectrum Reactors
[15] 웹사이트 A fast reactor system to shorten the lifetime of long-lived fission products https://www.titech.a[...]
[16] 논문 Evolution Of Transuranium Isotopic Composition In Power Reactors And Innovative Nuclear Systems For Transmutation http://www-dapnia.ce[...] Vytautas Magnus University 2008-01
[17] 논문 Fusion-driven transmutation of selected long-lived fission products http://cat.inist.fr/[...] 2008-01
[18] 웹사이트 Transmutation of Transuranic Elements and Long Lived Fission Products in Fusion Devices http://aries.ucsd.ed[...]
[19] 문서 Decay energy is split among β, neutrino, and γ if any.
[20] 문서 Per 65 thermal neutron fissions of 235U and 35 of 239Pu.
[21] 문서 Has decay energy 380 keV, but its decay product 126Sb has decay energy 3.67 MeV.
[22] 문서 Lower in thermal reactors because 135Xe, its predecessor, readily absorbs neutrons.
[23] 특허 Method for net decrease of hazardous radioactive nuclear waste materials - US Patent 4721596 Description https://patents.goog[...]
[24] 웹사이트 Transmutation of Selected Fission Products in a Fast Reactor http://www.osti.gov/[...]
[25] 웹사이트 The Nuclear Alchemy Gamble – Institute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Research http://www.ieer.org/[...]
[26] 웹사이트
[27] 문서 原子力発電 p.175
[28] 문서 クローズド・システム(1973) p.30
[29] 뉴스 放射性廃棄物の無害化に道? 三菱重、実用研究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4-04-08
[30] 웹사이트 三菱重工技報 重水素透過によるパラジウム多層膜上での元素変換の観測 http://www.mhi.co.jp[...] 三菱重工業株式会社
[31] 서적 元素変換現代版<錬金術>のフロンティア KADOKAWA/中経出版
[32] 문서 クローズド・システム(1973) p.2
[33] 서적 Pioneer Research on the Atom: The Life Story of Frederick Soddy; Radium, Radioactivity and the Popularity of Scientific Discovery; The Self-Splitting Atom: The History of the Rutherford-Soddy Collaboration New World,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Taylor & Francis
[34] 웹사이트 Sir Mark Oliphant (1901–2000) http://www.adelaide.[...] University of Adelaide
[35] 웹사이트 Cockcroft and Walton split lithium with high energy protons April 1932. http://www-outreach.[...]
[36] 서적 小無(1992)
[37] 웹사이트 用語「消滅処理」の変更について https://web.archive.[...]
[37] 웹사이트 ATOMICA:消滅処理 http://www.rist.or.j[...]
[38] 서적 道家(1975)
[39] 서적 道家(1974)
[40] 서적 道家(1974)
[41] 서적 中村(1979)
[42] 웹사이트 核変換実験施設|J-PARC|大強度陽子加速器施設 https://j-parc.jp/Tr[...] 2014-11-30
[43] 뉴스 【科学】高レベル廃棄物対策の切り札 放射能減らす「核変換」本格研究へ https://web.archive.[...] 2014-11-30
[44] 뉴스 2013-07-07
[45] 웹사이트 原子力科学技術委員会 群分離・核変換技術評価作業部会 https://www.mext.go.[...]
[46] 웹사이트 核変換による高レベル放射性廃棄物の大幅な低減・資源化 https://www.jst.go.j[...] 2018-06-01
[47] 뉴스 核廃棄物の有害性低減/理研など、元素を変換/資源として再利用も 技術確立めざす 2017-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