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허리신경얼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리신경얼기는 제12흉추 신경부터 제4요추 신경의 앞가지로 구성되며, 큰허리근 속에 위치한다. 엉덩이-샅 신경, 엉덩이밑 신경, 가쪽 넙다리 피부신경, 폐쇄신경, 앞넙다리 피부신경, 안쪽 넙다리 피부신경, 복재신경 등의 피부 가지와 엉덩허리근, 넙다리신경, 폐쇄신경, 허리엉덩신경 등의 근육 가지를 낸다. 이 신경들은 복근, 허벅지 안쪽 면, 앞쪽의 근육들을 지배하며, 넙다리 앞쪽과 안쪽 피부의 감각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얼기 - 팔신경얼기
    팔신경얼기는 팔의 감각, 운동, 고유수용성감각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 네트워크로, 손상은 교통사고나 신생아에게서 발생하며, MRI 촬영과 상지 수술 마취에 활용된다.
  • 신경얼기 - 점막밑신경얼기
    점막밑신경얼기는 19세기 마이스너 교수가 기술한 소화관 벽 내 신경얼기로, 소장 상장간막동맥 주변 부교감신경에서 분지되어 점막하층에 위치하며, 신경절을 포함하고 점막근판 및 점막층으로 신경 섬유를 뻗어 소화관 상피 세포의 분비를 조절한다.
  • 척수신경 - 음부신경얼기
  • 척수신경 - 엉치신경얼기
    엉치신경얼기는 허리엉치신경얼기의 일부로, 엉치신경의 앞갈래에 의해 형성되며, 궁둥구멍근과 골반 근막 뒤에 위치하여 궁둥신경, 위볼기신경, 아래볼기신경 등을 형성하고 둔부, 다리, 발, 골반 부위의 근육과 피부 감각을 지배한다.
  • 하반신의 신경 - 폐쇄신경
    폐쇄신경은 허리신경얼기에서 시작하여 골반을 거쳐 넓적다리 안쪽으로 연결되는 신경으로, 다리 안쪽 피부 감각과 다리 모음근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며, 무릎이나 요도 수술 시 신경 차단술에 활용되고, 일부 사람들에게는 부폐쇄신경이 존재할 수 있다.
  • 하반신의 신경 - 얕은종아리신경
    얕은종아리신경은 다리의 피부 감각과 근육 운동을 담당하는 말초신경으로, 안쪽발등피부신경과 중간발등피부신경으로 나뉘어 발등 피부 감각을 담당하며, 긴종아리근과 짧은종아리근을 지배하고 손상 시 발등 젖힘 능력 상실 및 감각 저하를 유발하여 낙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허리신경얼기
일반 정보
라틴어plexus lumbalis, plexus lumbaris
영어Lumbar plexus
구조
기원T12, L1-L4
신경 분포

2. 허리신경얼기의 구성

허리신경얼기는 제12흉추 신경~제4요추 신경의 앞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허리뼈 양쪽에 위치한 큰허리근 속에 숨겨져 있다.

허리신경얼기에서 나온 가지는 크게 피부가지와 근육가지로 나뉜다. 근육가지는 복근, 허벅지의 안쪽면과 앞쪽 근육을 지배한다. 피부가지는 외음부, 샅고랑, 허벅지의 앞쪽과 안쪽면 및 종아리의 안쪽면에 분포한다.

3. 가지

허리신경얼기에서는 여러 신경 가지가 나와 복부 아랫부분, 생식기 부위, 넓적다리 앞쪽과 안쪽 등에 분포한다. 주요 가지들은 다음과 같다.[5]


  • 엉덩아랫배신경 (Iliohypogastric nerve): 주로 T12와 L1 척수신경에서 유래하며, 아랫배와 엉덩이 부위의 배가로근, 배속빗근 등 근육 및 해당 부위 피부에 분포한다.[2][5]
  • 엉덩고샅신경 (Ilioinguinal nerve): L1 척수신경에서 주로 나오며, 샅(서혜부) 부위와 생식기 주변 피부 감각 및 일부 복부 근육(배가로근, 배속빗근)을 지배한다.[2][5]
  • 음부넙다리신경 (Genitofemoral nerve): L1과 L2 척수신경에서 유래하여, 생식기 부위와 넓적다리 위쪽 피부 감각을 담당하고 남성에서는 고환올림근을 지배한다.[2][5]
  • 가쪽넙다리피부신경 (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 L2와 L3 척수신경에서 나와 넓적다리 가쪽 피부의 감각을 담당하는 순수 감각 신경이다.[2][5]
  • 폐쇄신경 (Obturator nerve): L2, L3, L4 척수신경에서 유래하며, 주로 넓적다리 안쪽 모음근들(바깥폐쇄근, 긴모음근, 짧은모음근, 두덩정강근, 두덩근, 큰모음근)과 해당 부위 피부에 분포한다.[3][5]
  • 넙다리신경 (Femoral nerve): L2, L3, L4 척수신경에서 나오는 허리신경얼기에서 가장 큰 신경으로, 넓적다리 앞쪽 근육들(엉덩근, 두덩근, 넙다리빗근, 넙다리네갈래근)과 무릎 아래 다리 안쪽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3][5]
  • 직접 가지 (Direct branches): 신경얼기에서 직접 나와 큰허리근(L1-L3), 허리네모근(T12-L4), 허리가로돌기사이근(T12-L4) 등 몸통 뒤쪽 근육들을 지배하는 짧은 가지들도 있다.[5][2]

3. 1. 피부가지

허리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와 피부의 감각을 담당하는 주요 신경 가지들은 다음과 같다.

  • 엉덩아랫배신경 (Iliohypogastric nerve): 배가로근배속빗근 사이를 주행하며[2], 앞피부가지와 가쪽피부가지를 낸다.[5] 이 가지들은 엉덩이의 가쪽 피부와 샅인대 위쪽의 아랫배 피부에 분포한다.[2]

  • 엉덩고샅신경 (Ilioinguinal nerve): 엉덩아랫배신경 아래쪽에서 주행하여[2] 남성에서는 앞음낭신경, 여성에서는 앞음순신경을 내어 각각 음낭 앞쪽 또는 대음순 앞쪽 피부의 감각을 담당한다.[5] 또한 두덩결합 위쪽 피부에도 분포한다.[2]

  • 음부넙다리신경 (Genitofemoral nerve): 큰허리근을 뚫고 나와 음부가지와 넙다리가지로 나뉜다.[2][5] 음부가지는 남성의 음낭 앞쪽 피부와 여성의 대음순 피부 감각을 맡으며, 넙다리가지는 넙다리삼각 위쪽 가쪽 피부에 분포한다.[2]

  • 가쪽넙다리피부신경 (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 순수 감각 신경으로, 앞위엉덩뼈가시 안쪽에서 샅인대 아래를 지나 넓적다리로 나와 넓적다리의 가쪽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2][5]

  • 폐쇄신경 (Obturator nerve): 폐쇄관을 통해 넓적다리로 나온 뒤 앞가지와 뒤가지로 나뉜다.[3] 앞가지에서 나온 피부가지가 넓적다리 안쪽 먼쪽 부분의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3][5]

  • 넙다리신경 (Femoral nerve): 허리신경얼기에서 가장 큰 신경으로[3], 앞피부가지와 두렁신경 (saphenous nerve)이라는 두 주요 피부가지를 낸다.[5] 앞피부가지들은 넓적다리 앞쪽과 안쪽 피부에 분포한다. 두렁신경은 넙다리신경의 가장 긴 종말 감각 가지로, 무릎 아래로 내려가 종아리와 발의 안쪽 면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3]


아래는 허리신경얼기에서 나오는 주요 신경들의 피부 분포 영역을 요약한 표이다.

허리신경얼기의 피부가지 요약[5][2][3]
신경주요 피부가지분포 영역
엉덩아랫배신경앞피부가지, 가쪽피부가지엉덩이 가쪽 피부, 아랫배 피부 (샅인대 위)
엉덩고샅신경앞음낭신경 (남성)
앞음순신경 (여성)
음낭 또는 대음순 앞쪽 피부, 두덩결합 위 피부
음부넙다리신경음부가지, 넙다리가지음낭 또는 대음순 앞쪽 피부, 넙다리삼각 위쪽 가쪽 피부
가쪽넙다리피부신경(자체)넓적다리 가쪽 피부
폐쇄신경피부가지 (앞가지에서 분지)넓적다리 안쪽 먼쪽 피부
넙다리신경앞피부가지, 두렁신경넓적다리 앞쪽 및 안쪽 피부, 종아리 및 발의 안쪽 피부 (두렁신경)


3. 2. 근육가지

허리신경얼기에서 나오는 신경들은 골반과 다리의 다양한 근육들을 지배하는 운동가지, 즉 근육가지를 낸다. 일부 신경은 피부 감각을 담당하는 피부가지도 함께 내지만, 이 섹션에서는 근육 지배에 초점을 맞춘다.[5][2]

허리신경얼기의 주요 근육가지와 지배 근육[5][2]
신경척수신경 성분지배 근육
엉덩아랫배신경T12-L1배가로근, 배속빗근, 원뿔근
엉덩고샅신경L1배가로근, 배속빗근
음부넙다리신경L1, L2고환올림근 (남성)
폐쇄신경L2-L4바깥폐쇄근, 긴모음근, 짧은모음근, 두덩정강근, 두덩근, 큰모음근 (넓적다리 안쪽 모음근 그룹)
넙다리신경L2-L4엉덩근, 큰허리근 (합쳐서 엉덩허리근), 두덩근, 넙다리빗근, 넙다리네갈래근, 무릎관절근
직접적인 짧은 가지L1-L3큰허리근
직접적인 짧은 가지T12-L4허리네모근, 허리가로돌기사이근



각 신경의 주요 근육 지배 경로는 다음과 같다.


  • 엉덩아랫배신경 (T12-L1): 큰허리근 가쪽에서 나와 배가로근배속빗근 사이로 주행하며 이들 복부 근육과 원뿔근에 운동 가지를 낸다.[2]
  • 엉덩고샅신경 (L1): 엉덩아랫배신경 아래에서 비슷한 경로로 주행하며 배가로근배속빗근에 운동 신경을 분포시킨다.[2]
  • 음부넙다리신경 (L1-L2): 큰허리근을 관통한 뒤 나오는 생식가지가 남성의 고환올림근을 지배한다.[2]
  • 폐쇄신경 (L2-L4): 큰허리근 안쪽을 따라 내려가 폐쇄관을 통해 골반을 빠져나온다. 넓적다리에서는 바깥폐쇄근을 비롯한 넓적다리 안쪽 모음근 그룹(긴모음근, 짧은모음근, 큰모음근, 두덩정강근, 두덩근)을 지배한다.[3]
  • 넙다리신경 (L2-L4): 허리신경얼기에서 가장 큰 신경으로, 골반 내에서 엉덩허리근에 가지를 낸다. 샅인대 아래를 통해 넓적다리로 나와서는 두덩근, 넙다리빗근, 넙다리네갈래근, 무릎관절근 등 넓적다리 앞쪽 근육들을 주로 지배한다.[3]
  • 직접적인 짧은 가지: 신경얼기에서 직접 분지되어 나오는 짧은 가지들은 큰허리근(L1-L3), 허리네모근(T12-L4), 허리가로돌기사이근(T12-L4) 같은 몸통 뒤쪽 근육들에 분포한다.[5][2]

4. 주요 신경 가지 상세 정보

허리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오는 주요 신경 가지들과 그 분포 영역은 다음과 같다. 각 신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허리신경얼기의 신경[5][2]
신경척수신경 성분분포하는 근육피부신경 가지
엉덩아랫배신경T12-L1rowspan=2 |
엉덩고샅신경L1
음부넙다리신경L1, L2
가쪽넙다리피부신경L2, L3 * 넓적다리 가쪽의 피부에 분포
폐쇄신경L2-L4* 피부가지
넙다리신경L2-L4
신경얼기에서 근육으로 직접 분포하는 가지
짧은 가지들L1-L3 
짧은 가지들T12-L4 


4. 1. 엉덩아랫배신경

엉덩아랫배신경은 허리신경얼기의 일부로, 제12 가슴신경(T12)과 제1 허리신경(L1)의 앞가지에서 유래한다.[5] 이 신경은 큰허리근 위쪽 가쪽 경계에서 뒤쪽으로 나와 허리네모근의 앞면을 가로질러 가쪽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히 주행한다.[2]

허리네모근의 가쪽 가장자리에서 배가로근을 관통한 뒤, 엉덩뼈능선 바로 위에서 배가로근과 배속빗근 사이를 지나간다.[2] 이 과정에서 엉덩아랫배신경은 배가로근배속빗근에 운동 신경 가지를 내어 이 근육들의 움직임을 조절한다.[5][2]

또한, 감각 신경 가지도 내는데, 엉덩아랫배신경 가쪽피부가지는 엉덩이 부위의 가쪽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5][2] 신경의 종말 가지는 샅인대와 거의 평행하게 앞쪽으로 주행하다가 배바깥빗근널힘줄을 뚫고 바깥샅고리 바로 위쪽 피부로 나온다. 이 종말 가지는 엉덩아랫배신경 앞피부가지가 되어 샅인대 위쪽, 즉 배아랫부분의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2]

4. 2. 엉덩고샅신경

엉덩고샅신경 ilioinguinal nerveeng은 허리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오는 신경으로, 주로 첫 번째 허리신경(L1) 성분으로 이루어진다.[5][2] 이 신경은 허리네모근에서 엉덩아랫배신경의 아래쪽을 따라 주행하며, 엉덩뼈능선 높이에서 가쪽 복벽을 뚫고 나온다. 이후 안쪽으로 방향을 틀어 샅인대 높이에서 주행한다.[2]

엉덩고샅신경은 배속빗근배가로근에 운동 신경 가지를 내어 이들 근육의 수축을 조절한다.[2] 또한 바깥샅고리를 통해 피부 표면으로 나와 감각 신경 가지를 낸다. 이 감각 가지는 두덩결합 윗부분의 피부와 함께, 남성의 경우 음낭 앞쪽 피부에 분포하는 앞음낭신경으로, 여성의 경우 대음순 앞쪽 피부에 분포하는 앞음순신경으로 이어진다.[5][2]

4. 3. 음부넙다리신경

음부넙다리신경(Genitofemoral nerveeng)은 허리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오는 신경으로, 척수신경 L1과 L2 성분에서 유래한다.[5][2] 이 신경은 큰허리근 앞쪽을 관통하여 아래로 주행하다가 두 개의 가지, 즉 넙다리가지(femoral branch)와 음부가지(genital branch)로 나뉜다.[2]

  • 넙다리가지: 순수한 감각 신경으로 기능한다. 사타구니 열공 근처에서 사타구니 열공을 관통하여 샅인대 아래쪽 피부, 구체적으로는 넙다리삼각의 위쪽 가쪽 부분에 분포하여 감각을 담당한다.[2]
  • 음부가지: 남성과 여성에서 주행 경로와 기능에 차이가 있다.[2]
  • 남성의 경우, 정삭을 따라 주행하며 음낭 피부에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환올림근에 운동 신경으로 작용하여 근육의 수축을 조절한다.[5][2]
  • 여성의 경우, 샅고랑관에서 자궁원인대와 함께 주행하며 대음순의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2]

4. 4. 가쪽넙다리피부신경

가쪽넙다리피부신경은 둘째와 셋째 허리신경(L2, L3) 성분으로 구성된 신경이다.[5] 이 신경은 큰허리근의 가쪽 부분을 관통하여 나온 뒤, 엉덩근막 아래에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주행한다. 앞위엉덩뼈가시의 안쪽에서 근육 열공을 통해 골반 부위를 빠져나와 샅인대의 가쪽 끝 뒤를 지나 넓적다리로 들어간다. 넓적다리에서는 넙다리근막 아래를 잠시 지나가다가 근막을 뚫고 나와 넓적다리 가쪽 및 앞쪽 피부에 분포하여 감각을 담당한다.[2]

4. 5. 폐쇄신경

폐쇄신경(閉鎖神經, obturator nerve영어)은 허리신경얼기의 일부로, 제2, 제3, 제4 허리척수신경(L2, L3, L4)의 앞가지에서 시작된다.[5][2] 이 신경은 큰허리근의 뒤쪽이자 안쪽 면을 따라 아래로 주행하여 작은 골반으로 들어간다. 이후 폐쇄관을 통해 골반 부위를 빠져나와 넙다리 안쪽으로 들어간다.[3]

넙다리에 도달한 폐쇄신경은 앞가지와 뒤가지로 나뉘며,[3] 주로 넙다리 안쪽 근육들의 운동을 조절하고 일부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 폐쇄신경이 지배하는 주요 근육으로는 바깥폐쇄근, 긴모음근, 짧은모음근, 두덩정강근, 두덩근, 큰모음근이 있다.[5][3] 또한 피부가지를 내어 넙다리 안쪽 먼쪽 부분의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3][5]

4. 5. 1. 폐쇄신경 앞가지

폐쇄신경은 폐쇄동맥과 함께 폐쇄관을 통과한 후 앞가지와 뒤가지로 나뉜다. 폐쇄신경 앞가지는 넙다리 안쪽 면의 피부 감각을 담당하는 피부가지(폐쇄신경 피부가지)를 낸다.[5] 주어진 원본 소스에서는 폐쇄신경 전체가 지배하는 근육(바깥폐쇄근, 긴모음근, 짧은모음근, 두덩정강근, 두덩근, 큰모음근)만 명시되어 있으며, 앞가지가 구체적으로 어떤 근육을 지배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4. 5. 2. 폐쇄신경 뒤가지

폐쇄신경의 뒤쪽 가지이다. 넓적다리의 일부 근육에 신경 분포를 담당한다.

4. 6. 넙다리신경

넙다리신경(Femoral nerveeng)은 허리신경얼기에서 나오는 신경 중 가장 크고 길다.[3] 제2허리신경(L2)부터 제4허리신경(L4)까지의 척수신경 앞가지에서 유래한다.[5][3]

골반 부위에서는 큰허리근엉덩근 사이의 고랑을 따라 주행하며 이 근육들에 가지를 낸다.[3] 이후 샅인대 아래의 근육틈새(lacuna musculorum) 안쪽을 통해 골반을 빠져나와[3] 넙다리동맥을 따라 아래로 내려간다. 넙다리에 이르러서는 여러 개의 감각신경 가지와 근육신경 가지로 나뉜다.[3]

넙다리신경은 운동신경으로서 엉덩근, 두덩근, 넙다리빗근, 넙다리네갈래근에 분포하여 이들 근육의 움직임을 조절한다.[5][3] 또한 감각신경으로서 넙다리 앞쪽, 종아리 안쪽, 발 안쪽 및 발뒤꿈치의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3]

주요 피부신경 가지로는 넓적다리 앞쪽 피부에 분포하는 넙다리신경 앞피부가지와, 발까지 길게 이어지는 두렁신경(가자미신경)이 있다.[5][3]

넙다리신경 요약[5]
척수신경 성분지배 근육피부신경 가지
L2-L4


4. 6. 1. 넙다리신경 앞피부가지

넙다리신경에서 갈라져 나오는 피부신경 가지이다.[5] 주로 넓적다리 앞쪽의 피부에 분포한다.[5]

4. 6. 2. 두렁신경 (가자미신경)

두렁신경(Saphenous nerveeng)은 넙다리신경의 피부신경 가지 중 하나이다.[5] 넙다리신경 자체는 허리신경얼기에서 L2부터 L4까지의 척수신경 성분으로부터 나온다.[5]

두렁신경은 무릎관절의 안쪽 부근에서 피부 아래로 나와 아래쪽으로 주행하며, 주로 종아리와 발등의 안쪽 면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 주요 가지로는 무릎뼈 아래로 가는 가지(무릎뼈아래가지)와 안쪽 종아리 피부에 분포하는 가지(안쪽종아리피부가지)가 있다.

5. 신경얼기에서 근육으로 직접 분포하는 가지

허리신경얼기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주요 신경들 외에도, 신경얼기에서 나와 주변 근육으로 직접 분포하는 짧은 신경 가지들이 있다. 이 가지들은 주로 큰허리근, 허리네모근, 허리가로돌기사이근 등 허리 부위 근육들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5][2]

5. 1. 짧은 가지들 (L1-L3)

허리신경얼기에서 근육으로 직접 뻗어 나오는 짧은 가지들 중 일부는 척수신경 L1, L2, L3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큰허리근에 분포하여 이 근육의 움직임을 조절한다.[5][2]

5. 2. 짧은 가지들 (T12-L4)

허리신경얼기에서 직접 나오는 짧은 가지들은 T12-L4 척수신경 성분을 가지며, 허리네모근과 허리 가로돌기 사이근에 분포하여 이 근육들을 지배한다.[2]

6.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2006
[2]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2006
[3]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2006
[4]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2006
[5]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