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헝가리 대평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헝가리 대평원은 헝가리어로 '알푈드'라고 불리며, 헝가리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걸쳐 있는 평야 지대이다. 북쪽과 동쪽은 카르파티아 산맥, 남동쪽은 트란스다뉴비아 산맥, 남쪽은 사바 강으로 경계가 이루어진다. 헝가리 대평원은 헝가리 국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티서 강이 주요 강으로 흐른다. 이 지역은 페렌츠 모라, 지그몬드 모리츠 등 작가와 샨도르 페퇴피, 줄라 유하스 등 시인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데브레첸, 허이두소보슬로 등 온천 도시와 다양한 문화 축제가 열리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대헝가리 평원은 신석기 시대부터 유럽 문화의 중요한 교차점이었으며, 초기 농업의 시작과 유목 민족의 이동과 정착의 중심지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이보디나의 지리 - 판노니아 평원
    판노니아 평원은 카르파티아 산맥 등으로 둘러싸인 유럽 중부의 분지로, 헝가리 등 여러 국가에 걸쳐 있으며, 도나우강과 티서강이 관통하고 비옥한 토양으로 농업에 중요한 지역이다.
  • 크로아티아의 평야 - 판노니아 평원
    판노니아 평원은 카르파티아 산맥 등으로 둘러싸인 유럽 중부의 분지로, 헝가리 등 여러 국가에 걸쳐 있으며, 도나우강과 티서강이 관통하고 비옥한 토양으로 농업에 중요한 지역이다.
  • 슬로바키아의 평야 - 판노니아 평원
    판노니아 평원은 카르파티아 산맥 등으로 둘러싸인 유럽 중부의 분지로, 헝가리 등 여러 국가에 걸쳐 있으며, 도나우강과 티서강이 관통하고 비옥한 토양으로 농업에 중요한 지역이다.
헝가리 대평원
지도
개요
위치판노니아 평원
면적약 56,000 km²
국가헝가리
세르비아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지리
지형평원
주요 강티서 강
다뉴브 강
기후
특징대륙성 기후
역사
특징농업 중심지
주요 도시
헝가리데브레첸
세게드
케치케메트
베케슈차버
세르비아수보티차
루마니아아라드
경제
주요 산업농업 (밀, 옥수수, 해바라기, 채소)
목축업
기타
특징다양한 문화적, 역사적 중요성

2. 명칭

헝가리어로 '알푈드'(Alföld|얼푈드hu)라고 불리며, 다른 언어로는 다음과 같이 불린다.


  • 슬로바키아어: '대 도나우 평원'(Veľká dunajská kotlina|벨카 두나이스카 코틀리나sk)
  • 루마니아어: '티사 평원'(Câmpia Tisei|큼피아 티세이ro) 또는 '서부 평원'(Câmpia de Vest|큼피아 데 베스트ro)
  •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파노니아 저지대'(Panonska nizina|파논스카 니지나hr)
  • 우크라이나어: '티사-도나우 저지대'(Тисо-Дунайська низовина|티소두나이스카 니조비나uk)

3. 지리

평원 내의 호르토바지 국립공원


헝가리 대평원은 북쪽과 동쪽은 카르파티아 산맥에 의해, 남동쪽은 트란스다뉴비아 산맥 및 크로아티아의 산맥에 의해, 남쪽은 사바강에 의해 구분된다.

대평원 전체 면적은 10만 km²이며, 그중 절반 이상이 헝가리 국내에 위치한다. 대평원의 최고봉은 호포르초 산 (183m)이고, 최저 지점은 티서 강이다.

이 평원에 영감을 받거나 관계가 있는 헝가리 작가로는 모러 페렌츠와 모리츠 지그몬드가 있으며, 시인으로는 페퇴피 셔먼도르와 유하스 줄러가 있다. 이 지역 출신 과학자로는 물리학자 베이 졸탄, 무소음 성냥을 개발한 화학자 이리니 야노시, 약리학자 커바이 야노시, 물리학자 커터이 가보르, 코러니 프리제시 등이 있다.

이 지역의 유명한 도시로는 베레크퓌르도, 체르케세레, 죄르, 하이두소보슬로, 센테시, 솔노크 등이 있다.

이 지역을 특징짓는 축제로는 야스베레니에서 열리는 차고 축제, 너지케레의 벚꽃 축제, 솔노크의 굴라시 축제, 호르토바지 국립공원의 다리 바자회, 오푸스타세르의 후니아리스 축제, 세게드의 야외 경기 대회, 죄르의 성 경기, 데브레첸의 꽃 축제, 버여의 하라스레이 대회가 있다.

세르비아에서 헝가리 대평원은 바치카, 바나트, 스렘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그 대부분은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속한다. 슬로바키아에 속하는 헝가리 대평원의 영역은 동슬로바키아 저지대로 알려져 있다. 우크라이나에 있는 헝가리 대평원의 영역은 자카르파티아 저지대라고 알려져 있다. 루마니아에서는 헝가리 대평원의 영역은 바나트크리샤나에 걸쳐 있으며, 서부 평원으로 불린다.

3. 1. 헝가리



헝가리 대평원의 영토는 헝가리 전체 면적 93030km2의 약 56%인 약 52000km2를 차지한다. 평원의 가장 높은 지점은 호포르티오(183m)이며, 가장 낮은 지점은 티서 강이다. 지형은 평평한 곳에서 완만한 구릉지까지 다양하다.

평원에 영감을 받아 평원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헝가리 작가로는 페렌츠 모라와 지그몬드 모리츠가 있으며, 시인으로는 샨도르 페퇴피와 줄라 유하스가 있다.

평원에서 태어난 헝가리 과학자로는 물리학자 졸탄 바, 무소음 성냥 발명가인 화학자 야노스 이리니, 약리학자 야노스 카바이, 의사이자 약사인 가보르 카타이, 의사이자 폐 전문의인 프리제스 코라니가 있다.

평원에서 가장 중요한 강은 티서 강이다.

의학적 온천이 있는 주목할 만한 도시와 마을로는 데브레첸, 베레크퓌르되, 체르케쇠뢰, 귈라, 허이두소보슬로, 오로슈하저, 센테스 및 솔노크가 있다.

이 지역의 특징적인 문화 축제 및 프로그램으로는 Jászberény의 Csángó 축제 (''Csángófesztiválhu''), Nagykörű의 스위트 체리 축제 (''Cseresznyefesztiválhu''), 솔노크의 굴라시 축제 (''Gulyásfesztiválhu''), 호르토바지 국립공원의 브리지 박람회 (''Hídi Vásárhu''), 오푸스타세르의 ''Hunniálishu'', 세게드의 야외 극장 (''Szabadtéri Játékokhu''), 귈라의 성 게임 (''Várjátékokhu''), 데브레첸의 꽃 카니발 (''Virágkarneválhu'') 및 바자의 어부 수프 끓이기 축제 (''Bajai Halászléfőző Népünnepélyhu'')가 있다.

호르토바지 국립공원과 헝가리 대평원의 ''Racka'' 양


헝가리에 위치한 평원 부분은 다음 지역으로 구성된다.

지역
메죄폴드
사레트
사르쾨즈
드라바멜레크
키스쿤샤그
야스샤그
페스트 평원
헤베스 평원
보르소디-메죄쇠그
보드로크쾨즈
티사하트
사트마르 평원
마로스-쾨뢰스 쾨제
쾨뢰스-비데크
나기쿤샤그
호르토바지 국립공원
허이두샤그
니르셰그


3. 2. 세르비아

세르비아에서 헝가리 대평원은 파노니아 평원의 헝가리 부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1]

세르비아의 파노니아 평원 부분은 주로 바치카, 바나트, 스렘(시르미아)의 세 지역으로 나뉘며, 이 중 대부분은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위치한다.[1]

3. 3.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에 속하는 헝가리 대평원의 영역은 동슬로바키아 저지대로 알려져 있다.

3. 4.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에 있는 헝가리 대평원의 영역은 자카르파티아 저지대라고 알려져 있다.

3. 5. 루마니아

루마니아에서 평원(루마니아어: câmp 또는 câmpia, 라틴어: campus에서 유래)은 바나트크리샤나 지역을 포함하며, 루마니아어로는 '서부 평원'(Câmpia de Vestro)이라고 불린다.[1]

3. 6. 크로아티아

판노니아 크로아티아의 일부, 특히 동부 슬라보니아와 인접한 시르미아 지역은 ''알푈드''(헝가리 대평원)의 연장으로 간주될 수 있다.[3]

4. 역사

헝가리 대평원은 유라시아 유목민의 중심지였으며, 자연 환경이 흑해-카스피해 스텝과 유사했다. 이 평원은 훈족, 아바르족, 마자르족, 쿠만족, 야스족 등 유라시아 대초원 출신 유목 부족들의 근거지였다.[1]

13세기 말 헝가리 왕국의 지방 자치 지역 (쿠만족과 야스족 포함)


야노시 토르냐이: ''헝가리 대평원의 먹구름''

4. 1. 선사 시대 문화

대헝가리 평원은 선사 시대에 동유럽과 서유럽 문화의 중요한 만남의 장소이자 문화적, 기술적 변화의 장소였다.[4] 이곳은 유럽의 주요 문화적 변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고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이다.

농업은 현재의 세르비아에 위치한 초기 신석기 시대의 쾨뢰시 문화와 함께 대헝가리 평원에서 시작되었으며, 기원전 6000년에서 5500년 사이에 시작되었다.[5] 이어서 기원전 5500년경에는 선상문 토기 문화(LBK)가 등장하여[6][7][8] 나중에는 유럽의 지배적인 농경 문화가 되었다. LBK 다음으로는 후기 신석기 시대인 기원전 5000년에서 3400년 사이에 렌제엘 문화가 나타났다.

청동기 시대 초기(기원전 2000년 - 1800년)에는 유럽에서 금속 광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범유럽 및 대륙간 무역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9] 이 시기에 대헝가리 평원의 문화는 청동기 시대 근동, 스텝, 중앙유럽의 다른 문화에서 많은 요소를 흡수했다.

초기 철기 시대(기원전 1천년)에는 중앙 유럽의 할슈타트 문화의 변형이 트란스다뉴비아에 거주했으며, 선 스키타이 및 후기 스키타이 문화는 대헝가리 평원의 동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2014년, 대헝가리 평원의 매장지에서 채취한 DNA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발표되었다.[10] 5,000년의 기록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초기에 상당한 유전체 변화가 있었으며, 그 사이에는 안정적인 기간이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가장 초기의 신석기 시대 유전체는 다른 유럽의 수렵 채집인과 유사했으며, 놀랍게도 그 시대에는 유당 분해 효소 지속성에 대한 증거가 없었다. 가장 최근의 표본인 철기 시대의 유전체는 스텝 매장 의례가 도입된 것과 동시대의 동부 유전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더 밝은 색소침착으로의 전환이 있었다.

4. 2. 유목 민족의 이동과 정착

헝가리 대평원은 유라시아 유목민의 중심지였으며, 자연 환경이 흑해-카스피해 스텝과 유사했다. 이 평원은 훈족, 아바르족, 마자르족, 쿠만족, 야스족 및 기타 유라시아 대초원 출신의 유목 부족들의 근거지였다.[1]

5. 문화

헝가리 대평원은 헝가리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이 지역은 모러 페렌츠, 모리츠 지그몬드와 같은 작가와 페퇴피 셔먼도르, 유하스 줄러와 같은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5. 1. 주요 인물

헝가리 대평원에 영감을 받거나 관련된 주요 작가로는 모러 페렌츠, 모리츠 지그몬드가 있으며, 시인으로는 페퇴피 셔먼도르, 유하스 줄러가 있다. 이 지역에서 태어나고 자란 과학자로는 물리학자 베이 졸탄, 화학자이자 무소음 성냥을 개발한 이리니 야노시, 약리학자 커바이 야노시, 물리학자 커터이 가보르, 코러니 프리제시 등이 있다.

5. 2. 축제 및 행사

야스베레니에서 차고 축제가 열리고, 너지케레에서 벚꽃 축제가 열린다. 솔노크에서는 굴라시 축제가, 호르토바지 국립공원에서는 다리 바자회가, 오푸스타세르에서는 후니아리스라고 불리는 축제가 열린다. 세게드에서는 야외 경기 대회가, 죄르에서는 성에서 열리는 경기가, 데브레첸에서는 꽃 축제가, 버여에서는 하라스레이 대회가 열린다.

참조

[1] 웹사이트 Hungarian geographical names in English language publications http://lazarus.elte.[...] Eötvös Loránd University 2011-04-30
[2] 웹사이트 Magyar tájnevek angol fordítása http://lazarus.elte.[...] Eötvös Loránd University 2011-04-30
[3] 간행물 Hrvatska etnogeneza: pregled komponentnih etapa i interpretacija (s naglaskom na euroazijske/nomadske sadržaje) http://hrcak.srce.hr[...] Institute for Migration and Ethnic Studies 2007-09
[4] 서적 European Prehistory: a Survey Springer 2011
[5] 서적 Europe in the Neolithic: the Creation of New Worl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6] 서적 Die Linienbandkeramik in der Großen Ungarischen Akadémiai Kiadó 1977
[7] 서적 Economy and Society in Prehistoric Europe. Changing Perspectives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7
[8] 간행물 Three successive waves of Neolithisation: LBK development in Transdanubia 2009
[9] 서적 Handbook to Life in Prehistoric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0] 간행물 Genome flux and stasis in a five millennium transect of European prehistory
[11] 뉴스 Y-chromosome haplogroups from Hun, Avar and conquering Hungarian period nomadic people of the Carpathian Basin https://www.nature.c[...] 2019-11-12
[12] 뉴스 Hungary – History https://www.britanni[...]
[13] 웹사이트 Hungarian geographical names in English language publications http://lazarus.elte.[...] エトヴェシュ・ロラーンド大学 2011-04-30
[14] 웹사이트 Magyar tájnevek angol fordítása http://lazarus.elte.[...] エトヴェシュ・ロラーンド大学 2011-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