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브레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브레첸은 1235년 문헌에 처음 등장한 헝가리 동부의 도시이다. 튀르크어에서 유래된 이름은 "좋은 토양"을 의미하며, 몽골의 침략 이후 급속히 발전했다. 1361년 자치 도시가 되었고, 16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을 수용하여 "칼뱅주의 로마"로 불렸다. 1693년 제국자유도시로 승격되었고, 1848년 헝가리 혁명 당시 수도 역할을 했으며, 1857년 부다페스트와 철도가 연결되면서 교통의 요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큰 피해를 입었지만 재건되었고, 1952년과 1981년에 주변 지역이 합병되었다. 2011년 인구는 약 21만 명이며, 헝가리인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데브레첸은 농업, 보건, 교육, 국제 기업에 의해 경제가 지탱되며, 문화적으로는 데브레첸 대학교를 중심으로 발전했고, 매년 꽃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브레첸 - 데브레첸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중 헝가리 데브레첸 지역에서 벌어진 독일군과 소련군 간의 전투인 데브레첸 전투는 소련군의 헝가리 진입 시도에 맞선 독일군의 저지 공방전으로, 동부 전선의 전환점이며 전후 동유럽 정치 지형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 데브레첸 - 데브레첸 개혁신학대학학교
    데브레첸 개혁신학대학학교는 헝가리 데브레첸에 있는 개혁교회 계열의 신학 교육 기관으로, 데브레첸 대학교 신학부에서 시작되어 공산 정권 시기 분리 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연구소를 운영하며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헝가리 개혁교회의 신학적 정체성 확립과 신학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 헝가리의 옛 수도 - 세케슈페헤르바르
    세케슈페헤르바르는 헝가리 중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도시로, 중세 헝가리 왕국의 왕궁이 있었으며 많은 국왕의 대관식이 거행된 곳이자 교통 요충지로서 경제적으로 활발한 도시이다.
  • 헝가리의 옛 수도 - 에스테르곰
    에스테르곰은 헝가리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이며 헝가리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였고 한때 헝가리 왕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산업 도시로서 슬로바키아와 연결되어 있다.
  • 헝가리의 주도 - 죄르
    죄르는 헝가리 서부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켈트족, 몽골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의 침략을 겪으면서도 발전해 1743년 제국자유도시 지정, 19세기 중반 도나우 강 증기선 운항으로 무역 도시로 번성, 현재는 아우디 공장이 위치한 산업 도시이자 역사적 건물과 문화를 간직한 13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헝가리 서부 지역의 물류 중심지이자 경제 활동의 중추 도시이다.
  • 헝가리의 주도 - 에게르
    헝가리 북동부 헤베시주에 있는 에게르는 역사적 요새 도시이자 종교 중심지로서, 바로크 양식 건축물, "에그리 비카베르" 와인, 온천 등으로 유명하며 "헝가리의 아테네"라는 별칭을 가진 관광 도시이다.
데브레첸
지도
기본 정보
데브레첸 시기
시기
데브레첸 시 문장
시 문장
공식 명칭데브레첸 시 (Debrecen Megyei Jogú Város)
별칭칼뱅주의 로마
치비시 도시
국가헝가리
지역북부 대평원
허이두비허르 주
데브레첸 구
설립9세기
도시 지위 획득1218년
시장라슬로 파프 (피데스)
시 공증인안탈 세케레스 박사
총 면적461.25 km²
면적 순위헝가리 3위
해발 고도121 m
최대 해발 고도151 m
인구 (2019년)202,402명
인구 순위헝가리 2위
인구 밀도442.09명/km²
도시권 인구328,642명 (헝가리 2위)
시간대CET
UTC 오프셋+1
하계 시간대CEST
하계 UTC 오프셋+2
우편번호4000 ~ 4032, 4063
지역 번호(+36) 52
국회의원코사 라요시 (피데스)
포샨 라슬로 (피데스)
타소 라슬로 (피데스)
고속도로M35 고속도로
국제 공항데브레첸 (DEB)
부다페스트로부터 거리서쪽 231 km
NUTS 3 코드HU321
공식 웹사이트데브레첸 공식 웹사이트
인구 통계
민족별 인구
헝가리인84.8%
로마인0.6%
독일인0.6%
루마니아인0.3%
기타2.0%
인구 통계
종교별 인구
칼뱅교 (개혁교회)24.8%
로마 가톨릭교11.1%
그리스 가톨릭교5.1%
루터교 (복음주의 교회)0.4%
유대교0.1%
기타2.3%
무종교27.8%
불명28.4%
로마자 표기
영어Debrecen
독일어Debrezin
슬로바키아어Debrecín
헝가리어Debrecen
루마니아어Debrețin
폴란드어Debreczyn

2. 역사

1910년대 피아츠 거리


시내


보치카이 이슈트반은 트란실바니아 출신 헝가리 귀족이었다.


데브레첸은 13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하여 14세기에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16세기에는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칼뱅주의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칼뱅주의 로마"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4] 16세기 중반부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칼뱅파 신앙은 유지되었다.

1848~1849년 헝가리 혁명 당시에는 헝가리의 임시 수도 역할을 수행했다. 코슈트 러요시는 이곳에서 헝가리의 독립을 선포하기도 했다.[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헝가리 영토가 축소되면서 국경 근처 도시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는 피해를 입었다.[4] 1944년 데브레첸 전투 이후 복구되었으며, 전쟁 이후에는 공산주의 정권의 정책으로 도시 구조에 변화가 있었다.

2. 1. 도시의 기원과 발전

1235년 문헌에서 '데브루준'(Debrezun)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는데, 이는 튀르크어족의 언어로 "좋은 토양"을 뜻하는 '데브레신'(debresin)에서 파생된 이름이다. 이 정착지는 헝가리 정복 이후에 이루어졌다.[4] 데브레첸은 이 지역의 작은 마을들이 몽골의 유럽 침략으로 인해 황폐화된 후 더욱 중요해졌으며, 13세기 중반 이후 급속한 발전을 경험했다.[4]

1361년, 헝가리의 루이 1세는 데브레첸 시민들에게 도시 판사와 의회를 선출할 권리를 부여하여 도시 자치의 기회를 제공했다. 16세기 초 데브레첸은 중요한 시장 도시였다.[4] 신성 로마 제국의 지기스문트는 1411년 9월 세르비아 통치자 스테판 라자레비치와의 조약의 일환으로 그에게 데브레첸을 통치할 기회를 주었다. 1426년 라자레비치가 사망한 지 1년 후 그의 역할은 그의 후계자 주라지 브란코비치가 이어받았다. 1450년부터 1507년까지는 후냐디 가문의 영지였다.[4]

오스만 시대 동안, 국경 근처에 위치하고 성이나 성벽이 없었던 데브레첸은 종종 어려운 상황에 처했고, 도시는 지도자들의 외교적 기술에 의해서만 구원받았다. 때로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때로는 가톨릭 유럽 통치자들 또는 트란실바니아의 왕자인 라코치 2세 프란치스코에 의해 보호받았다. 데브레첸은 이후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을 받아들여 "칼뱅주의 로마"와 "헝가리의 제네바"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시기에 도시 주민들은 주로 헝가리 칼뱅주의자들이었다. 1558년부터 1693년까지 데브레첸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는 산자크가 되었고, 부딘(1541~1596), 에그리(1596~1660), 바라트(1660~1693)의 에얄레트에 "데브레친"으로 정규적으로 속해 있었다.

1693년, 신성 로마 제국의 레오폴트 1세는 데브레첸을 자유 왕립 도시로 승격시켰다. 1715년, 로마 가톨릭 교회가 데브레첸으로 돌아왔고, 도시는 교회를 건설할 장소를 제공하여 피아리스트 수도사들이 성 안나 대성당을 건설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때 도시는 중요한 문화, 상업 및 농업 중심지였으며, 많은 미래의 학자와 시인들이 프로테스탄트 대학(오늘날의 데브레첸 대학교와 데브레첸 개혁 신학교의 전신)에 다녔다.

1849년 헝가리 혁명 당시, 헝가리 혁명 정부가 페슈트-부다(현재의 부다페스트)에서 도망쳐 온 후 짧은 시간 동안 데브레첸이 헝가리의 수도가 되었다.[4] 같은 해 4월, 코슈트 라요시는 대(칼뱅)교회(헝가리어로 ''나기템플롬'')에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폐위(혁명 실패 후 무시됨)와 헝가리의 독립을 선포했다. 독립 전쟁의 마지막 전투도 데브레첸 근처에서 벌어졌다. 합스부르크 왕가와 동맹을 맺은 러시아군은 도시 서쪽 근처에서 헝가리군을 물리쳤다.

전쟁 후 데브레첸은 서서히 번영하기 시작했다. 1857년 부다페스트와 데브레첸을 잇는 철도가 완공되었고, 데브레첸은 곧 철도 교차점이 되었다. 새로운 학교, 병원, 교회, 공장, 제분소가 건설되었고, 은행과 보험 회사들이 도시에 정착했다. 도시의 모습도 바뀌기 시작하여 새롭고 더 높은 건물, 공원, 빌라가 들어서면서 더 이상 지방 도시처럼 보이지 않고 현대 도시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1884년 데브레첸은 헝가리 최초로 증기 트램을 운행하는 도시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헝가리는 동쪽 영토의 상당 부분을 루마니아에 잃었고, 데브레첸은 다시 한번 국경 근처에 위치하게 되었다. 1919년 짧은 기간 동안 루마니아군에 점령되었다. 관광은 도시가 다시 번영하기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실내 수영장과 헝가리 최초의 경기장을 포함한 많은 건물들이 중앙 공원인 ''나기에르되''("큰 숲")에 건설되어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제공했다. 대학교 건물이 완공되었다. 도시가 소유한 대규모 목초지인 호르토바지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데브레첸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고, 건물의 70%가 피해를 입었으며, 그중 50%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1944년 10월, 수백 대의 탱크를 포함한 여러 병과가 참여한 대규모 전투(데브레첸 전투)가 도시 근처에서 벌어졌다. 데브레첸은 10월 20일 제2 우크라이나 전선의 소련군에 점령되었다. 1944년 이후 재건이 시작되었고, 데브레첸은 다시 한번 짧은 기간 동안 헝가리의 수도가 되었다.[4] 시민들은 전쟁 전의 지위를 회복하려고 노력하면서 도시를 재건하기 시작했지만, 헝가리의 새로운 공산 정부는 다른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도시의 기관과 부동산은 공유 재산으로 넘어갔고, 사유 재산은 몰수되었다. 이러한 구체제의 강제적인 변화는 데브레첸에 새로운 손실을 가져왔다. 면적의 절반이 인근 도시에 합병되었고, 도시는 호르토바지에 대한 권리도 상실했다. 1952년, 데브레첸의 이전 지역에서 두 개의 새로운 마을인 에베스와 나기헤게스가 형성되었고, 1981년 인근 마을 요자가 도시에 합병되었다.

2. 2.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1361년 헝가리의 러요시 1세 국왕에 의해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1450년부터 1507년까지는 후녀디 가(Hunyadi)가 소유한 영지로 남아 있었다.[4] 1541년부터 1693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는데, 국경과 가까웠고 성이나 요새가 없었기 때문에 방어가 쉽지 않아 한동안 폐허로 남아 있었다.

1693년 신성 로마 제국의 레오폴트 1세 황제에 의해 제국자유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4] 1715년에는 로마 가톨릭교회가 데브레첸으로 돌아왔다. 1848년 헝가리 혁명 시기에는 헝가리의 수도 역할을 했다.

국경 근처에 위치하고 성이나 성벽이 없었던 데브레첸은 오스만 제국 시대 동안 종종 어려운 상황에 처했고, 도시 지도자들의 외교적 기술에 의해서만 구원받았다. 때로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때로는 가톨릭 유럽 통치자들 또는 트란실바니아의 왕자인 라코치 2세 프란치스코에 의해 보호받았다. 데브레첸은 상당히 일찍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을 받아들여 "칼뱅주의 로마"와 "헝가리의 제네바"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시기에 도시 주민들은 주로 헝가리 칼뱅주의자들이었다. 데브레첸은 1558년부터 1693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는 산자크가 되었고, 부딘(1541~1596), 에그리(1596~1660), 바라트(1660~1693)의 에얄레트에 "데브레친"으로 정규적으로 속해 있었다.

1693년, 신성 로마 제국의 레오폴트 1세는 데브레첸을 자유 왕립 도시로 승격시켰다. 1715년, 로마 가톨릭 교회가 데브레첸으로 돌아왔고, 도시는 교회를 건설할 장소를 제공하여 피아리스트 수도사들이 성 안나 대성당을 건설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2. 3. 1848년 헝가리 혁명과 그 이후

1693년 신성 로마 제국의 레오폴트 1세 황제는 데브레첸을 자유 왕립 도시로 승격시켰다.[4] 1715년 로마 가톨릭 교회가 데브레첸으로 돌아왔고, 도시는 교회를 건설할 장소를 제공하여 피아리스트 수도사들이 성 안나 대성당을 건설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때 도시는 중요한 문화, 상업 및 농업 중심지였으며, 많은 미래의 학자와 시인들이 프로테스탄트 대학(오늘날의 데브레첸 대학교와 데브레첸 개혁 신학교의 전신)에 다녔다.

1848년 헝가리 혁명 시기에는 헝가리의 수도 역할을 했다.[4] 1849년 4월, 코슈트 라요시는 대(칼뱅)교회(헝가리어로 ''나기템플롬'')에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폐위(혁명 실패 후 무시됨)와 헝가리의 독립을 선포했다. 독립 전쟁의 마지막 전투도 데브레첸 근처에서 벌어졌다. 합스부르크 왕가와 동맹을 맺은 러시아군은 도시 서쪽 근처에서 헝가리군을 물리쳤다.

전쟁 후 데브레첸은 서서히 번영하기 시작했다. 1857년 부다페스트와 데브레첸을 잇는 철도가 완공되었고, 데브레첸은 곧 철도 교차점이 되었다. 새로운 학교, 병원, 교회, 공장, 제분소가 건설되었고, 은행과 보험 회사들이 도시에 정착했다. 도시의 모습도 바뀌기 시작했다. 새롭고 더 높은 건물, 공원, 빌라가 들어서면서 더 이상 지방 도시처럼 보이지 않고 현대 도시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1884년 데브레첸은 헝가리 최초로 증기 트램을 운행하는 도시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헝가리는 동쪽 영토의 상당 부분을 루마니아에 잃었고, 데브레첸은 다시 한번 국경 근처에 위치하게 되었다. 1919년 짧은 기간 동안 루마니아군에 점령되었다. 관광은 도시가 다시 번영하기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실내 수영장과 헝가리 최초의 경기장을 포함한 많은 건물들이 중앙 공원인 ''나기에르되''("큰 숲")에 건설되어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제공했다. 대학교 건물이 완공되었다. 도시가 소유한 대규모 목초지인 호르토바지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데브레첸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고, 건물의 70%가 피해를 입었으며, 그중 50%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수백 대의 탱크를 포함한 여러 병과가 참여한 대규모 전투(데브레첸 전투)가 1944년 10월 도시 근처에서 벌어졌다. 데브레첸은 10월 20일 제2 우크라이나 전선의 소련군에 점령되었다. 1944년 이후 재건이 시작되었고, 데브레첸은 다시 한번 짧은 기간 동안 헝가리의 수도가 되었다.[4] 시민들은 전쟁 전의 지위를 회복하려고 노력하면서 도시를 재건하기 시작했지만, 헝가리의 새로운 공산 정부는 다른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도시의 기관과 부동산은 공유 재산으로 넘어갔고, 사유 재산은 몰수되었다. 이러한 구체제의 강제적인 변화는 데브레첸에 새로운 손실을 가져왔다. 면적의 절반이 인근 도시에 합병되었고, 도시는 호르토바지에 대한 권리도 상실했다. 1952년 데브레첸의 이전 지역에서 두 개의 새로운 마을인 에베스와 나기헤게스가 형성되었고, 1981년 인근 마을 요자가 도시에 합병되었다.

2. 4. 세계 대전과 공산주의 시대

1361년 헝가리의 러요시 1세 국왕은 데브레첸에 도시 지위를 부여했으며, 1693년 신성 로마 제국의 레오폴트 1세 황제는 데브레첸을 제국자유도시로 승격시켰다.[4] 1848년 헝가리 혁명 시기에는 헝가리의 수도 역할을 했다.[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헝가리가 국토의 동부를 루마니아에 할양하면서 데브레첸은 헝가리 동부 국경에서 가까운 도시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도시의 70%가 파괴되었고, 50%는 완전히 파괴되었다.[4] 1944년 10월 데브레첸 전투 이후 복구되었다. 1944년 이후 재건이 시작되었고, 짧은 기간 동안 헝가리의 수도가 되었다.[4]

전쟁 이후, 헝가리의 새로운 공산 정부는 도시의 기관과 부동산을 공유 재산으로 만들고 사유 재산을 몰수했다. 1952년, 데브레첸의 이전 지역에서 에베스와 나기헤게스가 새로운 마을로 형성되었고, 1981년 인근 마을 요자가 도시에 합병되었다.

2. 5. 민주화 이후

1693년 신성 로마 제국의 레오폴트 1세 황제는 데브레첸을 자유 왕립 도시로 승격시켰다.[4] 1715년 로마 가톨릭 교회가 데브레첸으로 돌아왔고, 도시는 피아리스트 수도사들이 성 안나 대성당을 건설할 수 있도록 교회를 지을 장소를 제공했다.[4] 이 시기 데브레첸은 중요한 문화, 상업, 농업 중심지였으며, 많은 미래의 학자와 시인들이 데브레첸 대학교와 데브레첸 개혁 신학교의 전신인 프로테스탄트 대학에 다녔다.[4]

1848년 헝가리 혁명 시기에는 헝가리 혁명 정부가 페슈트-부다(현재의 부다페스트)에서 데브레첸으로 이동하면서 짧은 기간 동안 헝가리의 수도 역할을 했다.[4] 1849년 4월, 코슈트 라요시는 대(칼뱅)교회(헝가리어로 ''나기템플롬'')에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폐위(혁명 실패 후 무시됨)와 헝가리의 독립을 선포했다.[4] 독립 전쟁의 마지막 전투도 데브레첸 근처에서 벌어졌는데, 합스부르크 왕가와 동맹을 맺은 러시아군이 도시 서쪽 근처에서 헝가리군을 물리쳤다.[4]

전쟁 후 데브레첸은 서서히 다시 번영하기 시작했다. 1857년 부다페스트와 데브레첸을 잇는 철도가 완공되면서 데브레첸은 곧 철도 교차점이 되었다. 새로운 학교, 병원, 교회, 공장, 제분소가 건설되었고, 은행과 보험 회사들이 도시에 정착했다. 도시의 모습도 바뀌기 시작하여 새롭고 더 높은 건물, 공원, 빌라가 들어서면서 더 이상 지방 도시처럼 보이지 않고 현대 도시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1884년 데브레첸은 헝가리 최초로 증기 트램을 운행하는 도시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헝가리가 동쪽 영토의 상당 부분을 루마니아에 잃으면서 데브레첸은 다시 한번 국경 근처에 위치하게 되었다. 1919년 짧은 기간 동안 루마니아군에 점령되기도 했지만, 관광 산업은 도시가 다시 번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실내 수영장과 헝가리 최초의 경기장을 포함한 많은 건물들이 중앙 공원인 ''나기에르되''("큰 숲")에 건설되어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제공했다. 대학교 건물이 완공되었고, 도시가 소유한 대규모 목초지인 호르토바지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데브레첸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는데, 건물의 70%가 피해를 입었으며 그중 50%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1944년 10월 도시 근처에서 수백 대의 탱크를 포함한 여러 병과가 참여한 대규모 전투(데브레첸 전투)가 벌어졌다. 데브레첸은 10월 20일 제2 우크라이나 전선의 소련군에 점령되었다. 1944년 이후 재건이 시작되었고, 데브레첸은 다시 한번 짧은 기간 동안 헝가리의 수도가 되었다.[4]

시민들은 전쟁 전의 지위를 회복하려고 노력하면서 도시를 재건하기 시작했지만, 헝가리의 새로운 공산 정부는 다른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도시의 기관과 부동산은 공유 재산으로 넘어갔고, 사유 재산은 몰수되었다. 이러한 구체제의 강제적인 변화는 데브레첸에 새로운 손실을 가져왔다. 면적의 절반이 인근 도시에 합병되었고, 도시는 호르토바지에 대한 권리도 상실했다. 1952년 데브레첸의 이전 지역에서 두 개의 새로운 마을인 에베스와 나기헤게스가 형성되었고, 1981년 인근 마을 요자가 도시에 합병되었다.

3. 인구

데브레첸의 인구는 1870년 45,132명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1990년 212,235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소폭 감소하여 2020년에는 201,112명이 되었다.[45]

데브레첸 인구 변화[45]
연도인구
187045,132
188050,320
189056,246
190073,878
191090,764
1920101,543
1930116,013
1941124,148
1949115,399
1960134,930
1970167,860
1980198,195
1990212,235
2001211,034
2011211,320
2020201,112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데브레첸 주민의 대다수는 헝가리어를 사용하며(99.3%), 영어(23.6%), 독일어(10.6%), 러시아어(2.6%) 등이 그 뒤를 잇는다.[10] 헝가리인이 84.0%로 가장 많고, 로마인(0.6%), 독일인(0.3%), 루마니아인(0.2%) 등도 거주한다.[10][11]

종교적으로는 헝가리 개혁교회(칼뱅주의) 신자가 24.8%로 가장 많고, 라틴 가톨릭 신자(11.1%), 그리스 가톨릭 신자(5.1%) 순이다.[10] 무종교 및 무신론자는 27.8%, 종교를 밝히지 않은 사람은 28.4%이다.[10]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개신교, 특히 칼뱅주의가 도시의 주류 종교가 되어 "칼뱅파 로마" 또는 "헝가리의 제네바"라고도 불린다.[13]

데브레첸 시 중심부의 주요 시나고그


1814년 유대인 정착이 허용된 후, 1919년에는 유대인 인구가 도시 인구의 10%를 차지하기도 했다.[18]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홀로코스트로 인해 많은 유대인들이 희생되었고, 생존자들은 이스라엘이나 서방으로 이주하여 1970년에는 1,200명만이 도시에 남았다.[18][19][20][21]

3. 1. 언어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데브레첸의 총 인구는 211,320명이었으며, 그중 209,782명(99.3%)이 헝가리어를 사용했다. 또한, 49,909명(23.6%)이 영어를, 22,454명(10.6%)이 독일어를, 5,416명(2.6%)이 러시아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10]

3. 2. 민족 구성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데브레첸에는 헝가리인 177,435명(84.0%), 로마인 1,305명(0.6%), 독일인 554명(0.3%), 루마니아인 504명(0.2%)이 거주하고 있었다.[10][11] 31,931명(총 인구의 15.1%)은 자신의 민족을 밝히지 않았다. 이들을 제외하면 헝가리인이 전체 인구의 98.9%를 차지한다. 헝가리에서는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민족을 밝힐 수 있으므로 민족의 합계는 전체 인구보다 많다.

'''데브레첸의 민족 구성 (2011년)'''[10][11]
민족인구비율 (%)
헝가리인177,43584.0
로마인1,3050.6
독일인5540.3
루마니아인5040.2
기타 및 무응답31,93115.1



'''최대 외국인 거주민 그룹 (2011년)'''
국적인구
독일1,303
루마니아739
러시아305
우크라이나262
불가리아166
슬로바키아126
아르메니아98
중국98



1814년에 유대인들의 데브레첸 정착이 허용되었고, 1919년에는 유대인 인구가 도시 인구의 10%를 차지하기도 했다.[18] 그러나 1938년 헝가리의 반유대주의 법으로 인해 많은 유대인들이 피해를 입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많은 수가 강제 이송되거나 학살되었다.[18][19][20] 전쟁 후 살아남은 유대인들은 공동체를 재건했지만, 많은 수가 이스라엘이나 서방으로 이주했다.[21] 1970년에는 1,200명의 유대인이 도시에 남아 두 개의 시나고그를 사용했다.[21]

3. 3. 종교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데브레첸에는 헝가리 개혁교회(칼뱅주의) 신자 52,459명(24.8%), 라틴 가톨릭 신자 23,413명(11.1%), 그리스 가톨릭 신자 10,762명(5.1%), 침례교 신자 899명(0.4%), 여호와의 증인 885명(0.4%), 루터교 신자 812명(0.4%)이 있었다.[10] 무종교인은 54,909명(26.0%), 무신론자는 3,877명(1.8%)이었고, 59,955명(28.4%)은 종교를 밝히지 않았다.[10]

대성당


16세기부터 종교 개혁이 도시에 뿌리를 내렸다. 처음에는 루터교가, 그 뒤에는 칼뱅의 가르침이 우세해졌다. 1551년부터 데브레첸시의 칼뱅파 정부는 가톨릭 신자들의 도시 이주를 금지했다. 가톨릭 교회는 칼뱅파 교회에 의해 점령당했다. 가톨릭 신앙은 1715년 교회를 되찾을 때까지 도시에서 사라졌다. 제네바 시편을 번역한 페터 멜리우스 주하스와 같은 여러 칼뱅파 교회 지도자들이 이곳에서 살고 일했다. 1567년, 제2 헬베티카 신앙고백이 채택되었을 때 도시에서 시노드가 구성되었다. 유명한 칼뱅파 대학과 학교들이 설립되었다. 헝가리에서 흔히 사용되는 데브레첸의 별명은 도시 내 칼뱅파 신앙의 높은 비율뿐만 아니라 칼뱅파 교회가 도시와 지역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칼뱅파 로마" 또는 "헝가리의 제네바"이다. 데브레첸에는 1538년에 설립된 데브레첸 개혁신학대학교(Debreceni Református Hittudományi Egyetem)가 있다.[13] 이 대학교는 공산주의 통치 기간 동안 기능이 허용된 유일한 칼뱅파 신학 연구소였다.[14][15][16]

헝가리 개혁교회는 데브레첸에 약 20개의 교회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에는 약 5,000명(좌석 3,000개)을 수용할 수 있는 유명한 데브레첸 개혁교회 대성당이 있다.[17]

유대인들은 1814년에 데브레첸에 정착이 허용되었으며, 4년 안에 118명의 남성이 최초로 거주하게 되었다. 20년 후, 그들은 토지와 주택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1919년에는 인구의 10%(1만 명 이상의 유대인 공동체 구성원 기록)를 차지했고, 도시 안팎의 대규모 부동산의 거의 절반을 소유하고 있었다.[18]

1938년 헝가리의 반유대주의 법으로 많은 사업체들이 문을 닫았고, 1939년에는 많은 유대인들이 노예로 끌려가 우크라이나로 보내졌으며, 그곳에서 지뢰밭에서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18]

1940년, 독일군은 데브레첸에 1만 2천 명의 유대인이 남아 있다고 추산했다. 1941년 갈리시아와 폴란드 출신 유대인들이 추방되어 유대인 수가 9142명으로 줄었다. 1942년, 더 많은 유대인들이 헝가리 강제 노동 그룹에 징집되어 우크라이나로 보내졌다.

독일군은 1944년 3월 20일(유월절 2주 반 전) 데브레첸에 진입하여 랍비 팔(메이어) 바이스가 이끄는 유대인 평의회(유덴라트)를 설립하도록 명령했고, 전직 군 장교 벨라 루스트바움이 이끄는 유대인 경찰대가 결성되었다. 1944년 3월 30일(유월절 1주 전), 유대인들은 다윗의 별(노란색)을 착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유대인들의 차량은 압수되었고, 전화선은 끊겼다. 유월절 기간 동안 많은 유대인 고위 인사들이 인근 수용소로 끌려갔고, 결국 300명의 수감자에 달했다. 일주일 후 모든 유대인 상점들이 문을 닫았고, 반유대주의 신문 편집자 미할리 칼로스바리 보르스카가 주재하는 유대인 책의 공개적인 책 소각이 이루어졌다.

1944년 4월 28일, 이 조치에 반대한 데브레첸 시장 산도르 콜스체이(Sándor Kolscey) 명의로 게토 건설 명령이 내려졌고, 그는 독일인들에 의해 축출되었다. 유대인들은 게토 벽 건설을 강요받았고, 1944년 5월 15일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완공되었다.

1944년 6월 7일, 게토 출입이 금지되었고, 일주일 후 데브레첸의 모든 유대인들은 인근 세를리 벽돌 공장으로 강제 이송되어 소지품을 빼앗겼으며, 다른 지역의 유대인들과 합류했다.[19][20]

랍비 바이스와 정통파 랍비 슈트라서(Strasser)를 포함한 저명한 유대인 10가족과 시온주의(비정통파) 운동 지도자들이 카스트너 열차(Kasztner train)에 합류했다. 일부 젊은 데브레첸 유대인들은 도시에서 탈출하여 부다페스트에 도착하여 저항 운동과 파르티잔에 합류했다.[19]

나머지 데브레첸 유대인 대부분은 아우슈비츠로 강제 이송되어 1944년 7월 3일 그곳에 도착했다. 데브레첸은 1944년 10월 20일 소련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데브레첸과 그 주변의 약 4000명의 유대인이 전쟁에서 살아남아 1946년 4640명의 공동체를 형성했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였다. 그중 약 400명이 이스라엘로 이주했고, 1970년까지 많은 사람들이 서쪽으로 이주하여 1200명의 유대인이 도시에 남았고, 두 개의 시나고그(그중 하나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설립됨)를 사용했다.[21]

4. 기후

데브레첸은 중앙유럽에 위치하여 온대 습윤 기후(쾨펜 ''Dfb'', ''Dfa''에 근접, 트레워사 ''Dcbo'', ''Dcao''에 근접)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1°C이고, 가장 더운 달인 7월의 평균 기온은 21.9°C,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 기온은 -0.8°C이다. 연간 강수량은 542.7mm이며, 7월이 67.7mm로 가장 많고, 1월은 24.3mm로 가장 적다.[46][47][4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3°C5°C10.9°C17.7°C22.5°C26°C27.8°C28.1°C22.6°C16.6°C9.8°C3.2°C16°C
평균 최저 기온 (°C)-3.6°C-2.7°C1.2°C6.1°C10.8°C14.6°C16°C15.7°C11.2°C6.2°C2.1°C-2.2°C6.3°C
월 강수량 (mm)24.3mm32.2mm30mm45.1mm59.3mm66.8mm67.7mm46.4mm47.3mm41.1mm40.5mm42mm542.7mm
평균 강수일수 (≥ 1.0 mm)6.16.66.16.88.48.27.66.06.66.26.97.182.6
평균 상대 습도 (%)84.478.868.662.265.166.565.964.269.777.083.785.572.6
월간 일조시간57.685.0146.8190.3251.4266.4295.3274.3201.7155.172.247.0-


5. 경제

데브레첸은 농업, 보건, 교육 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동헝가리의 주요 쇼핑 중심지이며, 포럼 데브레첸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쇼핑센터이다. 내쇼날 인스트루먼츠(National Instruments), IT 서비스 헝가리, BT, 콘티넨탈, BMW, CATL, 테바 제약, 게데온 릭터 등 여러 국제 기업들의 지역 중심지로서 헝가리에서 가장 발전된 도시 중 하나이다.[1]

중세 시대부터 농작물 집산지로 번영했으며,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현재도 곡물, 소, 돼지 등 농업 생산이 활발하다. 인근 도시로는 북서쪽 약 90km 거리에 미슈콜츠(Miskolc)가 있으며, 루마니아 국경과 가까워 남동쪽 약 55km 거리에 루마니아의 오라데아(Oradea)가 있다.[1]

6. 교통

데브레첸은 과거 헝가리의 주요 교통 중심지인 부다페스트에서 다소 고립되어 있었다. 그러나 M35 고속도로가 완공되면서 부다페스트까지 2시간 이내에 도착할 수 있게 되었다. 데브레첸 공항은 헝가리에서 두 번째로 큰 공항으로, 최근 더 많은 국제선을 처리할 수 있도록 현대화되었지만, 헝가리 출발 및 도착 항공편의 거의 대부분은 여전히 페리헤지 공항(현재 부다페스트 프란츠 리스트 국제공항)을 이용한다. 데브레첸 공항에서 갈 수 있는 도시로는 브뤼셀, 아인트호벤, 런던, 말뫼, 밀라노, 텔아비브, 모스크바, 파리가 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헝가리의 국가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주로 EU 자금을 지원받아 수도와 데브레첸 사이의 일부 철도 구간이 개선되었다.[28]

베틀렌 거리 13번 노선의 DKV 볼보 B9LA-알파 시비스 18


데브레첸에는 많은 기차역이 있으며, 가장 중요한 역은 데브레첸 중앙역이다. 이 외에도 데브레첸-차포케르트, 데브레첸-콘도로스, 데브레첸-사바드사그텔레프, 토코벌리 등의 작은 역들이 있다.[28]

데브레첸은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 루마니아와 가까워 광범위한 국제 지역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자 교통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다.

도시 내부 교통은 버스, 트롤리버스, 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램 노선 2개, 트롤리버스 노선 5개, 버스 노선 60개가 있다. 이는 DKV(''Debreceni Közlekedési Vállalat'', 또는 ''데브레첸 교통 회사'')에서 제공한다. 인근 도시와 마을은 Hajdú Volán 버스 서비스를 통해 도시와 연결된다.

7. 문화

데브레첸 대학교 본관


데브레첸 꽃 축제 (2006)


데브레첸은 1538년에 설립된 명문 데브레첸 개혁교회 대학과 종교 개혁 덕분에 16세기부터 주변 지역의 지적,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25] 19세기 후반, 데브레첸의 언론은 엔드레 아디, 율라 크루디, 아르파드 토트와 같은 저명한 인물들을 도시로 끌어들였다. 마그다 사보와 Oláh Gábor|가보르 올라hu는 이 도시 출신의 저명한 문학가들이다. 헝가리에서 가장 유명한 시인 중 한 명인 미하이 초코나이 비테즈는 이 도시에서 태어나 살았다. 1865년에 지어진 이 도시의 극장은 1916년 그의 이름을 따서 초코나이 극장으로 명명되었지만, 1789년 데브레첸에 설립된 국립극장단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처음에는 여관의 마구간에서 공연을 했다. 유명한 여배우 루이자 블라하도 그곳에서 공연했다.[27]

데브레첸은 헝가리에서 가장 성공적인 록 밴드 중 하나인 탱크찹다의 고향이다. 또한 이 도시에는 젊은 음악가들에게 교육과 멘토링을 제공하는 록 학교도 있다. 이 도시의 고전적인 미디어에는 나플로 신문, 두 개의 TV 채널, 다양한 지역 라디오 방송국, 그리고 미디어 자료를 제작하는 여러 회사와 협회가 포함된다.

데브레첸은 중요한 합창 경연대회인 벨라 바르토크 국제 합창 경연대회가 열리는 곳이며, 유럽 그랑프리 합창 경연대회 회원 도시이기도 하다. 매년 8월이면 이 도시는 데브레첸 꽃 축제를 개최한다.

7. 1. 교육

16세기부터 데브레첸은 종교개혁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루터교가, 이후에는 칼뱅의 가르침이 널리 퍼졌습니다. 1551년부터 칼뱅파가 시 정부를 장악하면서 가톨릭 신자들의 이주가 금지되었고, 가톨릭 교회는 칼뱅파 교회에 의해 점령당했습니다. 가톨릭 신앙은 1715년까지 도시에서 자취를 감췄습니다. 제2 헬베티카 신앙고백이 채택된 1567년에는 도시에서 시노드가 구성되었습니다.

데브레첸은 "칼뱅파 로마" 또는 "헝가리의 제네바"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칼뱅파 신앙이 강세를 보였으며, 칼뱅파 교회는 도시와 지역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1538년에 설립된 데브레첸 개혁신학대학교(Debreceni Református Hittudományi Egyetem)[13]는 공산주의 통치 기간에도 유일하게 운영이 허가된 칼뱅파 신학 연구소였습니다.[14][15][16] 헝가리 개혁교회는 데브레첸에 약 20개의 교회를 두고 있으며, 그중에는 약 5,000명(좌석 3,000개)을 수용할 수 있는 데브레첸 개혁교회 대성당이 있습니다.[17]

1538년에 설립된 데브레첸 개혁교회 대학과 종교 개혁 덕분에 데브레첸은 16세기부터 주변 지역의 지적, 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았습니다.[25] 1912년에 정식 대학교로 발전한 이 대학은 에거와 오라데아(헝가리어: ''Nagyvárad'', 현재 루마니아에 위치) 사이 지역에 지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1949년부터 1950년까지 공산당 집권으로 대학의 여러 학과가 폐쇄되고 많은 학생과 교수들이 추방당했습니다.

사회주의 정권 시대 데브레첸에는 코슈트 류요시 과학대학교(KLTE), 데브레첸 의과대학교(DOTE), 데브레첸 농업대학교(DATE) 등 세 개의 대학이 있었습니다. 이 세 기관은 2000년에 데브레첸 대학교로 통합되었으며, 법학부, 정보학부 등 새로운 학부가 설립되었습니다. 데브레첸 대학교는 헝가리에서 가장 큰 대학교이며 100개 이상의 학과를 보유하고 있고 유럽의 주요 연구 시설입니다.[26] 본관 뒤편 식물원에 있는 선인장 연구소도 유명합니다.

7. 2. 문화 시설

데브레첸은 1538년에 설립된 데브레첸 개혁교회 대학 덕분에 16세기부터 주변 지역의 지적,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25] 이 대학은 1912년에 정식 대학교로 발전했으며, 1949년부터 1950년까지 공산당 장악으로 여러 학과가 폐쇄되고 많은 학생과 교수들이 추방되기 전까지 에거와 오라데아 사이에 지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사회주의 정권 시대에는 코슈트 류요시 과학대학교(KLTE), 데브레첸 의과대학교(DOTE), 데브레첸 농업대학교(DATE)가 있었다. 이 세 기관은 2000년에 데브레첸 대학교로 통합되었으며, 현재 헝가리에서 가장 큰 대학교이자 유럽의 주요 연구 시설 중 하나이다.[26]

19세기 후반, 데브레첸의 언론은 엔드레 아디, 율라 크루디, 아르파드 토트 등 저명한 인물들을 끌어들였다. 이 도시 출신의 저명한 문학 인물로는 마그다 사보와 Oláh Gábor|가보르 올라hu가 있다. 헝가리의 유명 시인 미하이 초코나이 비테즈는 이 도시에서 태어나 살았으며, 1865년에 지어진 도시 극장은 1916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초코나이 극장으로 명명되었다.[27]

데브레첸은 헝가리의 록 밴드 탱크찹다의 고향이며, 젊은 음악가들을 위한 록 학교도 있다. 이 도시의 미디어에는 나플로 신문, 두 개의 TV 채널, 지역 라디오 방송국 등이 있다.

데브레첸은 벨라 바르토크 국제 합창 경연대회가 열리는 곳이며, 유럽 그랑프리 합창 경연대회 회원이기도 하다. 매년 8월에는 데브레첸 꽃 축제가 개최된다.
주요 문화 시설:

  • 데브레첸 개혁 대교회
  • 시립공원 (Nagyerdő'') 및 온천
  • 데리 박물관 (미하이 문카치의 그림, 고대 이집트 유물, 유럽, 중동, 극동의 무기 소장)[35]
  • 데브레첸 꽃 축제 (매년 8월 20일)[36]
  • "호르토바지" 풍차
  • 나기에르데이 스타디온 (데브레첸 VSC 축구단의 홈구장)
  • 라바탈로조 (묘지)
  • 초코나이 극장[37]


데리 박물관


초코나이 극장

7. 3. 축제



데브레첸은 벨라 바르토크 국제 합창 경연대회가 열리는 곳이며, 유럽 그랑프리 합창 경연대회 회원 도시이기도 하다. 매년 8월이면 이 도시는 꽃 축제를 개최한다.

8. 스포츠

데브레첸에서 가장 유명한 축구 클럽은 데브레체니 VSC[29]이며, 헝가리 리그에서 2014년 마지막 우승을 포함하여 7번 우승을 차지했다.[30] 데브레체니 VSC는 2009-10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31]와 2010-11 UEFA 유로파리그 조별리그에 진출하면서 국제적으로도 알려졌다. 2014년에 새로 지어진 클럽의 경기장이 개장했고, 클럽은 이곳에서 2014-15 헝가리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7번째 우승을 기념했다. 이 경기장은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장으로도 가끔 사용된다. 2014년에는 덴마크와, 2015년에는 리투아니아와의 경기를 개최했다.

데브레첸에는 축구 클럽 외에도 헝가리 리그에서 활동했던 다른 클럽들이 있었다. 그중 하나는 1930년 헝가리컵에서 우승한 보츠카이 FC이다. 또 다른 클럽인 도자 마디스 TE는 1945-46 헝가리 리그에서 활동했다.

데브레첸은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국제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다. 2001년 7월에는 제2회 세계 청소년 육상 선수권 대회를, 2006년 10월에는 제1회 IAAF 세계 도로 달리기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2002년 세계 기계체조 선수권 대회와 2007년 2007 유럽 단수로 수영 선수권 대회도 데브레첸에서 열렸다. 가장 최근에는 2010년 10월 제19회 FAI 세계 열기구 선수권 대회[32]를 개최했다. 2012년에는 제31회 LEN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데브레첸 스피드웨이 팀은 도시 남쪽의 페레니 팔 살라크모토르 스타디온에서 경기를 치른다. 이 경기장은 스피드웨이 월드컵 예선전과 스피드웨이 유럽 선수권 대회를 포함한 국제 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한다.[33][34]

9. 정치

데브레첸의 현 시장은 피데스-KDNP 소속의 라슬로 파프 박사이다.[38]

2019년 지방자치단체 선거에서 선출된 지방 의회는 33명(시장 1명, 개별 선거구 의원 23명, 비례대표 의원 9명)으로 구성되며, 정당 및 연합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38]

정당의석 수
피데스-KDNP24
DK-MSZP-대화-연대4
모멘텀-요빅-LMP3
데브레첸 시민 포럼2



1990년 이후 시장 목록은 다음과 같다.[39]

시장정당임기
요제프 헤베시SZDSZ1990–1998
라요시 코샤Fidesz (-KDNP)1998–2014
라슬로 파프Fidesz-KDNP2014–


10. 자매 결연 도시

데브레첸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43]

국가도시
이탈리아Cattolica|카톨리카it
핀란드Jyväskylä|위배스퀼래fi
리투아니아Klaipėda|클라이페다lt
폴란드Lublin|루블린pl
미국 뉴저지주New Brunswick|뉴브런즈윅영어
루마니아Oradea|오라데아ro
독일Paderborn|파더보른de
이스라엘Rishon LeZion|리숀레지온he
포르투갈Setúbal|세투발pt
러시아Санкт-Петербург|상트페테르부르크ru
불가리아Шумен|슈멘bg
타이완臺東市|타이둥 시중국어
그리스Πάτρα|파트라el
슬로바키아Košice|코시체sk
체코Brno|브르노cs
아일랜드Contae Luimnigh|리머릭주ga
러시아Сыктывкар|시크티브카르ru
멕시코Toluca|톨루카es
중국通辽|통리아오중국어
이탈리아Cutro|쿠트로it



데브레첸의 자매 도시를 가리키는 표지판

참조

[1] 웹사이트 Detailed Gazetteer of Hungary https://www.ksh.hu/a[...] 2022-12-18
[2] 웹사이트 OECD - FUNCTIONAL URBAN AREAS IN OECD COUNTRIES: HUNGARY https://www.oecd.org[...]
[3] 서적 Az első magyarországi népszámlálás (1784-1787)/The first census in Hungary (1784-1787) Hungarian Central Statistical Office
[4] 서적 Magyarország (Hungary) Panoráma
[5] 웹사이트 History of Debrecen (Hungarian) https://web.archive.[...] 2018-01-08
[6] 서적 Odtajnené trezory 2 Matica Slovenská
[7] 서적 Boyash Studies: Researching "Our People" https://books.google[...] Frank & Timme Verlag
[8] 웹사이트 népesség.com http://nepesseg.com/
[9] 웹사이트 Census database - Hungarian Central Statistical Office https://nepszamlalas[...]
[10] 간행물 Hungarian census 2011 - Területi adatok - Hajdú-Bihar megye http://www.ksh.hu/ne[...]
[11] 웹사이트 Hungarian census 2011 - final data and methodology http://www.ksh.hu/do[...] 2018-01-08
[12] 웹사이트 Népszámlálási adatbázis – Központi Statisztikai Hivatal https://nepszamlalas[...] 2024-05-16
[13] 웹사이트 DRHE https://drhe.hu/ 2022-12-18
[14] 웹사이트 Egyetemünk – DRHE https://drhe.hu/egye[...] 2022-12-18
[15] 웹사이트 A kerület története - Egyházkerület - Tiszántúli Református Egyházkerület https://web.archive.[...] 2013-06-25
[16] 웹사이트 Reformatus.hu | History of the RCH http://regi.reformat[...] 2022-12-18
[17] 웹사이트 Debreceni Református Egyházmegye http://derefem.hu/ 2022-12-18
[18] 서적 Debrecen Kehilla book
[19] 서적 The Encyclopedia of Jewish Life Before and During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20] 웹사이트 Judah Samet: Dodging Bullets Again https://aish.com/jud[...] 2022-12-18
[21] 웹사이트 KehilaLinks on Debrecen http://www.kehilalin[...] kehilalinks.jewishgen.org 2018-04-27
[22] 웹사이트 Climate data for Debrecen 1901-2000 https://web.archive.[...] Hungarian Meteorological Service 2015-02-07
[23] 웹사이트 12882: Debrecen (Hungary) https://ogimet.com/c[...] OGIMET 2022-06-30
[24] 웹사이트 WMO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Debrecen-12882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21
[25] 웹사이트 University of Debrecen Medical School https://web.archive.[...] eu-medstudy.com 2018-02-28
[2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iversity | Debreceni Egyetem https://web.archive.[...] Unideb.hu 2000-01-01
[27] 웹사이트 Csokonai Színház http://csokonaiszinh[...] 2022-12-18
[28] 웹사이트 MÁV-START :: ELVIRA - belföldi vasúti utastájékoztatás http://elvira.mav-st[...] Elvira.mav-start.hu 2012-12-25
[29] 웹사이트 Debreceni VSC http://www.uefa.com/[...] UEFA 2014-07-15
[30] 웹사이트 Hungarian League winners https://www.rsssf.or[...] The Rec Sport 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4-07-15
[31] 웹사이트 UEFA Champions League 2009-10: Clubs http://www.uefa.com/[...] UEFA 2014-07-15
[32] 웹사이트 2010worldballoons.com http://www.2010world[...]
[33] 웹사이트 Debrecen, Hajdú Volán Stadion https://www.magyarfu[...] 2023-12-28
[34] 웹사이트 DEBRECEN - Hungary http://www.speedwayp[...] 2023-12-28
[35] 웹사이트 Visit Debrecen. Deri Museum https://visitdebrece[...]
[36] 웹사이트 debreceniviragkarneval.hu http://www.debreceni[...] debreceniviragkarneval.hu 2012-12-25
[37] 웹사이트 Csokonai Theatre | Sightseeing | Debrecen https://www.inyourpo[...]
[38] 웹사이트 Városi közgyűlés tagjai 2019-2024 - Debrecen (Hajdú-Bihar megye) https://www.valaszta[...] 2019-10-29
[39] 웹사이트 Debrecen vezetői 1271-től https://www.debrecen[...]
[40] 웹사이트 Kardos, István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1-11-17
[41] 웹사이트 The City of Literature: The Writers and Poets of Debrecen https://www.inyourpo[...]
[42] 웹사이트 Kardos, Albert https://www.jewishvi[...] 2021-11-17
[43] 웹사이트 Testvérvárosok https://www.debrecen[...] Debrecen 2020-11-09
[44] 웹사이트 Detailed Gazetteer of Hungary https://www.ksh.hu/a[...] 2024-06-08
[45] 간행물 Hungarian census 2011 http://www.ksh.hu/ne[...]
[46] 웹인용 WMO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Debrecen-12882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09-21
[47] 웹인용 Climate data for Debrecen 1901-2000 http://owww.met.hu/e[...] 헝가리 기상청 2015-02-07
[48] 웹인용 12882: Debrecen (Hungary) https://ogimet.com/c[...] OGIMET 2022-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