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이안 쇼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이안 쇼기는 쇼기의 초기 형태로, 동아시아 문화권의 교류를 통해 형성된 장기류 게임이다. 8x8, 8x9, 9x9 등 다양한 크기의 판에서 옥장, 금장, 은장, 계마, 향차, 보병의 6가지 기물을 사용하여 진행되었으며, 현대 쇼기와 규칙이 유사하나, 포획한 기물을 사용할 수 없다는 차이점이 있다. 승급 규칙이 존재하며, 상대방의 옥장을 잡거나 옥장을 제외한 모든 기물을 잡으면 승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변형 쇼기 - 다이다이쇼기
    다이다이쇼기는 19x19 크기의 보드에서 360개의 기물을 사용하여 두 명이 진행하는 일본 장기 게임으로, 각 기물은 고유한 움직임 패턴을 가지며 왕을 잡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변형 쇼기 - 다이쇼기
    다이쇼기는 13x13 크기의 보드에서 29개의 기물을 사용하여 진행하는 일본의 보드 게임으로, 상대방의 왕 또는 태자를 잡는 것을 목표로 하며, 승급, 반복, 체크 등의 규칙과 기보법, 사자의 이구이 기보법 등을 갖춘 전략적인 게임이다.
  • 추상전략게임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추상전략게임 - 체커
    체커는 두 명이 말을 대각선으로 이동시켜 상대방의 말을 모두 잡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전략 보드 게임으로, 말의 이동, 말 먹기, 왕의 특수 능력 규칙을 가지며, 인공지능 연구 대상으로서 2007년 완벽한 플레이가 구현되었고, 세계 체커 연맹 등 여러 기관에서 대회를 주최하며 다양한 변형 규칙이 존재한다.
헤이안 쇼기
헤이안 쇼기
종류쇼기의 변형
인원2인
고안 시기헤이안 시대
지역일본

2. 역사

쇼기는 문헌에 실린 장기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태국의 마크룩과 유사하므로 동남아시아 전래설이 유력하다.[2]

2. 1. 니츄레키(二中歴)의 기록

二中歴일본어의 "제13 박기력"에는 쇼기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술이 있다.[2]

  • 장기 기(將棊 棊)는 기병(騎)으로 만든다.
  • 옥장(玉将)은 팔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 금장(金将)은 아래 두 칸으로는 가지 못한다.
  • 은장(銀将)은 좌우 아래로 가지 못한다.
  • 계마(桂馬)는 앞쪽 대각선으로 한 칸을 넘는다.
  • 향차(香車)는 앞쪽으로 임의의 칸수로 간다.
  • 보병(歩兵)은 앞으로 한 칸만 간다.
  • 적진 3칸 안으로 들어가면 모두 금(金)으로 변한다.
  • 적의 옥장을 잡으면 승리한다.

3. 게임 규칙

헤이안 쇼기의 규칙은 『니츄레키』(二中歴)에 기록되어 있으나, 완벽하게 전해지지는 않아 당시의 규칙을 정확하게 단정하기는 어렵다.[2] 그러나 문헌 기록과 현대 쇼기 규칙을 비교하여 기본적인 규칙을 추론할 수 있다.

헤이안 쇼기는 현대의 장기와 유사하게 말을 움직이지만, 루크비숍에 해당하는 기물은 없었다. 쇼기판은 9×8 또는 8×8 크기였을 것으로 보인다. 초기 배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현대 쇼기에서 비차와 각행을 제외하고 (8×8 크기인 경우 금장도 제외) 구성한 것과 같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보병이 3열이 아닌 2열에서 시작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포획한 기물을 다시 사용하는 규칙은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니츄레키』의 "제13 박기력"에는 다음과 같은 쇼기에 대한 기술이 있다.[2]


  • 장기 기(將棊 棊)는 기병(騎)으로 만든다.
  • 옥장(玉将)은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 금장(金將)은 바로 아래 두 칸을 제외한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인다.
  • 은장(銀將)은 좌우 아래를 제외한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인다.
  • 계마(桂馬)는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한 칸을 뛰어넘는다.
  • 향차(香車)는 앞쪽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 보병(歩兵)은 앞으로 한 칸만 움직인다.
  • 적진 3칸 안으로 들어가면 모두 금(金)으로 변한다. 즉, 옥장과 금장을 제외한 모든 기물은 승급하여 금장과 동일하게 움직인다.
  • 적의 옥장을 잡으면 승리한다.


이는 문헌에만 기재된 내용이므로, 당시의 규칙을 정확히 반영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2]

3. 1. 기본 규칙

헤이안 쇼기는 가로 8칸, 세로 8칸, 가로 8칸, 세로 9칸, 또는 가로 9칸, 세로 9칸 등 다양한 크기의 판에서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각 플레이어는 16개 또는 18개의 기물을 가지고 게임을 진행한다. 기물은 다음과 같다.

기물한자로마자의미
옥장玉将gyokushō옥 장군
금장金将kinshō금 장군
은장銀将ginshō은 장군
계마桂馬keima월계수
향차香車kyōsha향기로운 전차
보병歩兵fuhyō보병



각 기물의 움직임은 다음과 같다.[2]


  • 옥장(玉將)은 팔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 금장(金將)은 아래 두 칸으로는 가지 못한다.
  • 은장(銀將)은 좌우 아래로 가지 못한다.
  • 계마(桂馬)는 앞쪽 대각선으로 한 칸을 넘는다.
  • 향차(香車)는 앞쪽으로 임의의 칸수로 간다.
  • 보병(歩兵)은 앞으로 한 칸만 간다.


옥장과 금장을 제외한 기물은 적진 3칸 이내로 들어가면 승급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승급한 기물은 금장과 동일한 움직임을 갖는다.

포획한 기물을 자신의 기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은 현대 쇼기와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이다.[2]

상대방의 옥장을 잡거나, 옥장을 제외한 모든 기물을 잡으면 승리한다.[2]

3. 2. 초기 배치

초기 배치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문헌 기록과 현대 쇼기 규칙을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 배치가 추정된다.

{| class="wikitable"

|-

! 배치 1 (8x8)

! 배치 2 (9x9)

! 배치 3 (9x9, 현대 쇼기와 유사)

|-

|

▽향차계마▽은장금장▽옥장▽은장계마▽향차
        
▽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
        
        
▲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
        
▲향차계마▲은장▲옥장금장▲은장계마▲향차



|

▽향차계마▽은장금장▽옥장금장▽은장계마▽향차
         
▽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
         
         
▲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
         
▲향차계마▲은장금장▲옥장금장▲은장계마▲향차



|

▽향차계마▽은장금장▽옥장금장▽은장계마▽향차
         
▽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
         
         
         
▲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
         
▲향차계마▲은장금장▲옥장금장▲은장계마▲향차



|}

각 배치에서 말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 플레이어에 가장 가까운 행:
  • (왕)은 중앙 열 또는 중앙 왼쪽 열에 배치된다.
  • 두 개의 장(금장)은 왕의 인접한 열 또는 왕의 오른쪽에 하나 배치된다.
  • 두 개의 장(은장)은 각 금장 또는 금장과 옥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 두 개의 마(기사)는 각 은장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 두 개의 차(창)는 각 기사에 인접한 모서리에 배치된다.
  • 세 번째 행에는 8개 또는 9개의 보병이 각 열에 하나씩 배치된다.


배치 3은 현대 본 쇼기에서 비차와 각행을 제외한 것이다.

3. 3. 기물 움직임

헤이안 쇼기에서 각 기물의 움직임은 대체로 현대 본 쇼기와 비슷하다. 단, 포획한 기물을 다시 사용하지 않으므로, 승급한 은장(成銀), 계마(成桂), 향차(成香), 보병(歩兵)은 모두 금장(金将)과 동일하게 움직인다.

기물은 '+' 모양(상하좌우) 또는 '×' 모양(대각선)으로 이동 가능하다. 계마(桂馬)는 예외적으로 앞으로 두 칸, 옆으로 한 칸 이동하며, 다른 말을 뛰어넘을 수 있다.

창(香車), 보병(歩兵)이 더 이상 전진할 수 없는 가장 먼 행에 도달하거나, 계마(桂馬)가 가장 먼 두 행 중 하나에 도달하면 반드시 승급해야 한다.

3. 3. 1. 기물 목록 및 움직임 (표)

{| class="wikitable"

|-

! 기물

! 한자

! 로마자

! 약칭

! 의미

! 움직임

|-

| 왕

| 玉将

| gyokushō

| 玉

| 옥 장군

|



|-

| 금장

| 金将

| kinshō

| 金

| 금 장군

|



|-

| 은장

| 銀将

| ginshō

| 銀

| 은 장군

|



|-

| 계마

| 桂馬

| keima

| 桂

| 월계수

|



|-

| 향차

| 香車

| kyōsha

| 香

| 향기로운 전차

|



|-

| 보병

| 歩兵

| fuhyō

| 歩

| 보병

|



|}

3. 4. 승급

옥장과 금장을 제외한 기물은 적진 3단 이내로 들어가거나, 적진에서 나오거나, 적진 내에서 움직일 때 승급할 수 있다. 승급은 기물을 이동시킨 후 뒤집어 승격된 기물의 이름을 보이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은장, 계마, 향차, 보병은 승급하면 본래의 이동 능력을 잃고 금장과 동일한 이동 능력을 갖게 된다.

보병, 계마, 향차는 가장 먼 단에 도달하면 반드시 승급해야 하며, 계마는 끝에서 두 번째 단에 도달하면 반드시 승급해야 한다.

4. 현대 쇼기와의 비교

초기 쇼기는 현대 쇼기와 비교했을 때 기물의 종류와 움직임은 거의 유사하지만, 포획한 기물을 재사용하는 규칙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는 게임 전략과 전술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5. 한국 장기와의 비교

헤이안 쇼기는 문헌에 실린 장기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마크룩과 유사하므로 동남아시아 전래설이 유력하다.

6. 결론

문헌에 실린 장기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태국의 장기류인 마크룩과 유사하므로 동남아시아 전래설이 유력하다.

참조

[1] 웹사이트 日本将棋の歴史(1)|将棋の歴史|日本将棋連盟 https://www.shogi.or[...] 2024-01-29
[2] 서적 二中歴3 第十一~第十三(尊経閣善本影印集成)
[3] 기타
[4] 웹인용 日本将棋の歴史(1)|将棋の歴史|日本将棋連盟 https://www.shogi.or[...] 2024-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