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마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자는 기원전 7세기에 에트루리아 문자를 토대로 만들어졌으며, 이후 그리스 문자를 거쳐 발전했다. 로마자는 23개의 문자를 기본으로 하며, J, U, W를 더해 26자로 구성된다. 로마자는 라틴어 표기에 사용되었으며, 로마 제국의 확산과 함께 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로마자는 다른 언어의 표기에도 사용되었으며, 음소를 표현하기 위해 변형된 문자들이 추가되기도 했다. 로마자 표기는 다른 문자 체계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을 의미하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이나 컴퓨터 환경에서 널리 활용된다. 일본어의 경우 헤본식, 일본식, 훈령식 로마자 표기법이 존재한다.

로마자는 그리스 문자에서 파생되었으며, 키릴 문자 등 다른 문자 체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국어에서는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하지만, 로마자 표기를 병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자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로마자 - 프락투어
    프락투어는 16세기 초 막시밀리안 1세 시대에 디자인된 블랙 레터 서체로, 독일어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민족주의와 낭만주의 부흥 시기 안티콰체와의 논쟁을 겪었고, 현재는 장식적 용도로 사용된다.
  •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로마자
기본 정보
라틴 문자
종류알파벳
사용 시기기원전 700년경 ~ 현재
조상 문자이집트 상형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고대 이탈리아 문자
자매 문자글라골 문자
키릴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조지아 문자
콥트 문자
룬 문자
자식 문자프레이저 문자 (리수어)
오세이지 문자
여러 음성 기호 (예: IPA)
데저렛 문자
폴라드 문자 (먀오어) (부분적으로)
캐롤라인 제도 문자 (올레아이어) (부분적으로)
체로키 문자 (간접적으로)
유그툰 문자 (간접적으로, 부분적으로)
유니코드유니코드의 라틴 문자 참고
사용 언어라틴 문자 알파벳 목록 참고
ISO 15924Latn
명칭
라틴어Abecedarium Latinum
영어Latin alphabet, Roman alphabet
이탈리아어alfabeto Romano
언어
사용 언어로망스어군
서게르만어군
서유럽, 중앙유럽의 언어
기타 세계 각지의 언어
역사
사용 시기기원전 7세기 ~ 현재
기원 문자원시 카나안 문자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일부 에트루리아 문자)
관련 문자
자매 문자키릴 문자
콥트 문자
룬 문자
참고영자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법로마자 표기법 (한국어 개정 로마자 표기법)

2. 역사

로마자는 기원전 7세기경 에트루리아 문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에트루리아 문자는 그리스 문자에서 유래했다. 초기 로마자는 23개의 문자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J, U, W가 추가되어 현대의 26자 기본 로마자가 되었다.[48]

이 문자 체계는 고대 로마에 기원이 있기 때문에 라틴 문자 또는 로마 문자라고 불린다. 음역의 맥락에서는 "로마자 표기"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된다.[1][2] 유니코드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라틴 문자"라는 용어를 사용한다.[3][4]

로마자는 서유럽중앙유럽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폴란드어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근대 이후로는 사용 언어가 더욱 다양해졌다.

2. 1. 고대

로마자는 기원전 7세기에트루리아 문자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에트루리아 문자는 그리스 문자에 기원을 두었다. 에트루리아 문자의 26글자 중 로마인들은 21글자를 따왔다. 원래 로마자에 사용한 글자는 A, B, C (/g/·/k/ 표시), D, E, F, Z (그리스 문자 Z/ze:ta/ 표기를 위함), H, I (/i/·/j/ 표시), K, L, M, N, O, P, Q, R (그리스 문자를 따라 오랫동안 P로 표기), S, T, V (/u/·/v/·/w/ 표시), X 이었다. 나중에 그리스어 Z(/ze:ta/)는 탈락되고 새 글자인 G가 그 자리에 추가되었다. 기원전 1세기그리스를 정복한 후에는 그리스 문자에서 Y(/y/, 그리스 문자와 소리를 땀)와 Z를 따와 끝에 붙였다. 그리하여 로마자는 23글자가 되었다. 중세에는 두 가지 소리를 가진 I를 구별해 쓰기 위해 J가 추가되고 세 가지 소리를 가진 V를 구별하기 위해 U와 W가 추가되었다.[48]

라틴 문자는 원래 라틴어 표기에 사용하는 문자로, 로마 제국의 세력이 확장됨에 따라 사용 범위도 확대되었다. 하지만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제국의 동부에서는 그리스 문자가 주류였다.

395년 로마 제국의 동서 분열 이후, 동로마 제국에서는 그리스어화가 진행되었고, 서로마 제국은 라틴어와 라틴 문자를 계속 사용했다. 개별 라틴 문자의 성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자별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라틴 알파벳은 라틴어와 함께 이탈리아 반도에서 로마 제국의 확장과 함께 지중해 주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그리스, 터키, 레반트, 이집트를 포함한 제국의 동부 지역에서는 그리스어공용어로 계속 사용되었지만, 라틴어는 서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서부 로망스어가 라틴어에서 진화하면서 라틴 알파벳을 계속 사용하고 적용했다.

2. 2. 중세

서구 기독교가 북유럽으로 퍼지면서, 라틴 문자는 북유럽의 여러 민족들에 의해 점차 채택되었다. 이들은 켈트어족 언어(오가마 문자 대체), 게르만어족 언어(이전의 룬 문자 대체), 발트어족 언어를 사용했으며, 우랄어족 언어 사용자들, 특히 헝가리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사용자들도 라틴 문자를 채택하였다.

서슬라브어파와 여러 남슬라브어파를 기록하는 데에도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들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로마 가톨릭교회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동슬라브어파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키릴 문자동방 정교회와 함께 받아들였다. 세르비아어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 모두를 사용하지만, "언어와 알파벳의 공식 사용에 관한 법률"[5]에 따라 공식적인 의사소통에서는 키릴 문자가, 그 외에는 라틴 문자가 우세하다.

서로마 제국은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 등으로 쇠퇴하여 476년에 사실상 멸망했다고 여겨지지만, 이 지역에 침입한 게르만족들은 라틴어와 라틴 문자를 행정 언어로 사용하게 되었고, 결국 그들의 어족게르만어파도 라틴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다. 또한 이 무렵부터 세력을 키워 온 로마 교회는 중세 라틴어를 교회 라틴어라고 부르며 의례어로 사용하였고, 그것을 표기하기 위한 라틴 문자도 서방 교회 지역 전체에 퍼져 서방 교회 지역의 여러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라틴 문자가 전용되게 되었다.

중세 이후로는 속라틴어에서 유래한 로망스어족뿐만 아니라 서유럽중앙유럽의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를 포함한 서방 교회 지역의 거의 모든 언어에서 라틴 문자가 사용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게르만어파슬라브어파의 일부, 발트어파켈트어파, 그리고 바스크어우랄어족의 일부 등이다.

18세기까지 라틴 문자를 사용했던 유럽 언어의 예 (가나다순)
어족언어
로망스어족
게르만어파
슬라브어파
발트어파
켈트어파
우랄어족


2. 3. 근대 이후의 라틴 문자화

근대 이후 서유럽 국가들이 세력을 강화하면서 19세기에는 세계 대부분을 식민지화하게 되었다. 당시 열강은 러시아 제국과 대일본제국을 제외하고 모두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국가였기 때문에, 라틴 문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문자가 되었다. 이러한 서구의 패권의 영향을 받아 서방 교회권 언어 이외에도 라틴 문자를 채택하는 언어가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라틴 문자화에는 원래 문자가 없던 언어가 새롭게 문자를 채택하는 경우와 이미 가지고 있던 문자를 라틴 문자로 바꾼 경우가 있다.

특히, 문자가 없던 언어가 새롭게 표기법을 정하는 경우에는 새롭게 문자를 발명하거나 다른 문자를 전용하는 것보다 라틴 문자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무문자 언어 사회에 적극적으로 접촉하는 사람들 중에는 가톨릭이나 개신교의 기독교 선교사가 많았고, 그들은 전파를 위해 현지어의 라틴 문자 표기법과 문법을 정비했기 때문이다.[31] 라틴 문자가 표음 문자이고 각지의 언어를 음역하기 쉬웠던 것도 이러한 변화를 진행시키는 요인이 되었다.[32] 또한 기본적인 라틴 문자의 글자 수는 26자로 키릴 문자 등에 비해 매우 적고 간편했던 것도 도입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글자 수가 적다는 것은 표기할 수 있는 발음이 적다는 것과 같다. 이러한 발음을 문자로 나타내기 위해 각 언어는 하나의 발음에 두 글자 이상을 사용하거나 이것을 하나의 글자로 합쳐서 합자를 더 늘리거나, 또는 디아크리티컬 마크를 붙이는 글자를 늘리는 등으로 글자 부족을 보충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글자나 성조 기호 등을 새롭게 개발하여 라틴 문자 표기에 추가하게 되었다. 무문자 언어의 라틴 문자화는 아프리카오세아니아 등에서 특히 널리 행해졌고, 많은 언어가 라틴 문자 표기법을 정하게 되었다.

유럽 이외 지역에서 원래 문자를 가지고 있던 언어가 라틴 문자로 바뀐 경우에는 대부분 서구 열강에 의한 식민지화를 거친 지역의 언어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언어에서도 가톨릭이나 프로테스탄트 선교사에 의해 각 언어에 해당하는 라틴 문자 표기법이 개발되었다는 점은 같지만, 그 후 서구 열강의 지배를 받는 가운데 지배층의 언어인 라틴 문자 표기가 널리 퍼지고, 기존 언어에서도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것이 더 편리해졌기 때문이다.

근대 이후 식민지화를 원인으로 라틴 문자로 바뀐 언어에는 동남아시아 언어에서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 자위 문자에서 바뀐 인도네시아어말레이어, 아랍 문자와 브라흐미 계열 문자인 악자의 병용에서 바뀐 필리핀어, 한자와 이를 기반으로 한 쯔놈의 병용에서 바뀐 베트남어, 아프리카 동부 언어에서는 아랍 문자에서 바뀐 스와힐리어 등이 있다.

오스만 제국은 식민지화를 받지 않았지만, 터키 공화국을 건국한 케말 아타튀르크가 터키의 근대화를 목표로 1928년에 아랍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바꾸었다.[33][34]

모든 식민지에서 반드시 종주국이 라틴 문자화를 추진하거나 완료한 것은 아니며, 남아시아의 인도 지역이나 기독교화되지 못한 이슬람 세계에 있는 아랍권 국가 등과 같이 식민지 지배를 받았지만 사용하는 문자를 변경하지 않은 지역도 많다.

유럽에서도 18세기 이후 서방 교회 지역이 아닌 지역에서 라틴 문자화가 일부 진행되었다. 루마니아어루마니아 정교회 아래 정교회권이었기 때문에 문어에서 키릴 문자를 사용했지만, 16세기경에는 일부 지역에서 헝가리어를 본뜬 필기법이 사용되었고, 18세기에는 민족주의의 고조로 로망스어족임이 강하게 의식되면서 라틴 문자화 운동이 확산되어 1859년부터 1860년에 걸쳐 공식적으로 라틴 문자가 채택되었다.[35] 알바니아어에서는 라틴 문자를 비롯하여 그리스 문자아랍 문자 등 여러 표기법이 혼재했지만 1908년에 라틴 문자 표기가 공식적으로 결정되었다.[36]

구 소비에트 연방의 여러 언어 표기는 초기에는 라틴 문자를 채택했으나, 1940년키릴 문자가 채택되면서 소비에트 연방 내 많은 언어에서 키릴 문자화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이들 언어 중 일부에서 다시 라틴 문자를 재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원래 아랍 문자를 사용하던 지역에서는 우즈베크어, 투르크멘어, 아제르바이잔어가 초기 소비에트 연방에서 라틴 문자로 바뀌었다가, 1940년 연방 정부의 언어 정책 변화에 따라 다시 키릴 문자로 바뀌었지만,[37]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우즈베크어와 투르크멘어에서 라틴 문자 표기를 도입하기로 결정되면서 다시 라틴 문자로 전환되었다.

마찬가지로 원래 아랍 문자를 사용하던 카자흐스탄에서는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에도 키릴 문자 사용이 계속되었으나,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이 2017년 10월카자흐어 표기를 라틴 문자로 변경할 준비를 하도록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38] 2018년에는 학교 교육에서 라틴 문자 사용을 시작했고,[39] 2025년에는 카자흐어 표기를 완전히 라틴 문자로 전환할 것을 발표했다.[40][41]

로망스어족에 속하며 루마니아어와 매우 유사한 관계에 있는 몰도바어는 이전에는 라틴 문자를 사용했으나 1940년에 키릴 문자화되었지만, 1989년에 다시 라틴 문자로 표기를 변경하기로 결정되어 다시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국가가 되었다.[35]

2. 4. 일본의 로마자론

일본에서는 한자폐지론의 일환으로 라틴 문자화, 즉 로마자론이 메이지 초기부터 제기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의 제1차 미국 교육사절단 보고서에 의해 한자히라가나, 가타카나를 폐지하고 일본어 표기를 로마자 표기로 일원화하는 것이 제안되었다.[42][43] 이를 받아들여 연합국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 하에서 "일본어 표기는 복잡하기 때문에 읽고 쓰는 능력이 낮고, 읽고 쓰는 능력을 높이기 위해 간편한 로마자 표기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강해져,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1948년에 전국 각지에서 문부성 교육연수소(현재의 국립교육정책연구소)와 GHQ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한자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그 결과는 GHQ의 예상과 달리 읽고 쓰는 능력이 약 100%에 가까운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이 로마자 표기화 계획은 좌절되어 사실상 철회되었다.

3. 구성

로마자는 라틴 문자 23자에 J, U, W를 더한 26자로 구성된다. 현대 영어 알파벳은 대문자와 소문자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어 외에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된다.

대문자ABCDEFGHIJKLMNOPQRSTUVWXYZ
소문자abcdefghijklmnopqrstuvwxyz



영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등에서는 기본 로마자만 사용하지만, 독일어, 아이슬란드어, 스웨덴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등에서는 변형된 확장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3. 1. 기본 로마자

라틴 문자 23자에 J, U, W를 더한 26자를 기본으로 본다. 현대 영어에서 쓰는 로마자는 다음과 같다. 영어에 쓰는 글자라는 뜻에서 '''영자'''(英字)라고도 하지만, 영어에서만 쓰지 않으므로 '''영자'''는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공식적으로 로마자로 해야 하지만, 영자보다는 그나마 알파벳이라고 하는 편이 더 낫다.

대문자 라틴 알파벳ABCDEFGHIJKLMNOPQRSTUVWXYZ
소문자 라틴 알파벳abcdefghijklmnopqrstuvwxyz



IV 자가 자음과 모음 모두로 사용되는 것은 라틴 알파벳이 게르만어와 로망스어에 적용되면서 불편한 점으로 드러났다. W는 7세기 초 고대 영어에서 발견되는 겹문자를 나타내는 이중 V(VV)에서 유래했다. 11세기 후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같은 소리를 나타내던 문자 을 대체했다. 로망스어에서 V의 소문자 형태는 둥근 ''u''였는데, 16세기에는 모음에 대한 둥근 대문자 U가 이에서 유래했고, 자음에 대한 새로운 뾰족한 소문자 ''v''는 V에서 유래했다. I의 경우, 어말 장식 자 형태인 ''j''가 자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장식이 없는 형태는 모음 사용으로 제한되었다. 이러한 관례는 수 세기 동안 불규칙적이었다. J는 17세기에 자음으로 영어에 도입되었지만(모음으로는 드물었다), 19세기까지 알파벳 순서에서 독립적인 문자로 널리 인정받지 못했다.

1960년대에 이르러, 제1세계의 컴퓨터 및 통신 산업에서는 비독점적 문자 인코딩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표준(ISO/IEC 646)에서 라틴 알파벳을 포함했다. 광범위한 수용을 위해 이러한 포함은 일반적인 사용법을 기반으로 했다. 미국이 1960년대 양쪽 산업에서 탁월한 위치를 차지했기 때문에, 이 표준은 이미 발표된 ''미국 정보 교환 표준 코드''(더 잘 알려진 이름은 ASCII)를 기반으로 했는데, 여기에는 문자 집합영어 알파벳의 26 × 2(대문자와 소문자) 문자가 포함되어 있었다. ISO가 나중에 발행한 표준(예: ISO/IEC 10646(유니코드 라틴 문자))에서는 다른 언어의 다른 문자를 처리하기 위한 확장 기능을 갖춘 영어 알파벳의 26 × 2 문자를 기본 라틴 알파벳으로 계속 정의해 왔다.

3. 2. 확장 문자

라틴어 문자 23자에 J, U, W를 더한 26자를 기본으로 하며, 영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등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일부 독일어, 아이슬란드어, 스웨덴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등에는 변형된 확장 문자를 사용한다.



세디유물결표오고넥합자룬 문자 유래
ÇŞÃÕÑĄĘĮŲÆŒØIJÞǷ
çşãõñąęįųæœøijßþƿ



라틴 문자는 사용 과정에서 새로운 언어에 적용되었으며, 때로는 로마자로 이미 표기되던 언어에는 없는 음소를 표현하기도 했다. 이러한 새로운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기존 문자에 모음 부호를 추가하거나, 여러 문자를 결합하여 합자를 만들거나, 완전히 새로운 형태를 만들거나, 문자 쌍 또는 문자 세 벌에 특별한 기능을 할당하는 등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표준 라틴 알파벳에 추가된 새로운 문자의 몇 가지 예로는 룬 문자 과 소른, 그리고 에스가 있으며, 이들은 고대 영어 알파벳에 추가되었다. 또 다른 아일랜드 문자 섬 ''g''는 중세 영어에서 사용된 로 발전했다. 웬은 나중에 새로운 문자로, 에스와 소른은 th로, 요는 gh로 대체되었다.

라틴 문자의 발음 구별 부호는 총칭하여 diacritic 등으로 불린다. 독일어스웨덴어 등에서는 움라우트, 프랑스어포르투갈어, 터키어 등에서는 세디유, 스페인어포르투갈어에서는 틸데가 많이 사용되는 등, diacritic을 채용하고 있는 라틴 문자 사용 국가는 다수 존재한다.

라틴 문자에서 두 개 이상의 문자의 합자는 리게이처라고도 불린다. 대표적인 합자로는 독일어의 「ß(에스체트)」, 아이슬란드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의 「Æ」, 덴마크어노르웨이어의 「Ø」 등이 있다.

현대에는 사라졌지만, 앵글로색슨어의 "Ƿ"과 같이 룬 문자 등에서 기본 문자에 다른 문자들을 추가로 도입한 것도 일부 사용된다.

추가 문자
악센트
(아큐트)
악센트
(그레이브)
곡절 부호움라우트
/트레마
대문자ÁĆÉǴÍĹŃÓŔŚÚÝŹÀÈÌǸÒÙÂĈÊĜĤÎĴÔŜÛŴŶÄËÏÖÜŸ
소문자áćéǵíĺḿńóŕśúýźàèìǹòùâĉêĝĥîĵôŝûŵŷäëïöüÿ



세디유틸데오고넥합자룬 문자 유래
대문자ÇĘĢĶĻŅŖŞŢÃĨÑÕŨĄĘĮǪŲÆŒÐÞ
소문자çȩģķļņŗşţãĩñõũąęįǫųæœßðþ


4. 문자의 명칭

각 로마자의 명칭은 언어마다 다르다. 영어에서는 A를 "에이", B를 "비", C를 "시" 등으로 부른다. 한국어에서는 영어식 명칭을 주로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언어의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각 언어에서 로마 문자의 명칭
문자영어한국어[50]
Aa|에이영어에이
Bbee|비영어
Ccee|시영어
Ddee|디영어
Ee|이영어
Fef|에프영어에프
Ggee|지영어
Haitch|에이치영어에이치
Ii|아이영어아이
Jjay|제이영어제이
Kkay|케이영어케이
Lel|엘영어
Mem|엠영어
Nen|엔영어
Oo|오영어
Ppee|피영어
Qcue|큐영어
Rar|아르영어
Sess|에스영어에스
Ttee|티영어
Uu|유영어
Vvee|브이영어브이
Wdouble-u|더블유영어더블유
Xex|엑스영어엑스
Ywye|와이영어와이
Z


5. 다른 문자 체계와의 관계

라틴 문자는 일반적으로 음소 문자인 알파벳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영어의 경우, 문자를 '''오른쪽쓰기'''로 가로로 나열하고,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space''영어)라고 하는 공백을 넣는다. 문장 끝에는 '''마침표''' 또는 '''온점'''( , , 종지부) 등 구두점을 찍어 문장의 끝을 나타낸다. 다른 많은 언어에서도 가로로 오른쪽쓰기를 하고, 공백으로 띄어쓰기를 하며, 언어에 따라서는 '''합자'''(''ligature''영어)나 '''diacritic'''(''diacritical mark''영어)라고 하는 발음 기호가 붙은 문자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고대부터 라틴 문자는 서유럽이나 중앙유럽의 여러 언어(예: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폴란드어 등)에서 사용되었지만, 근대 이후로는 사용 언어가 더욱 다양해졌다. 튀르키예에서는 1928년 이후 튀르키어 표기를 "근대화"하기 위해 이전의 아랍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사용한 튀르키예 알파벳이 사용되었다.[29]

라틴 문자는 음소 문자이지만,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면서 발음을 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은 각 언어마다 다르다. 같은 철자라도 언어에 따라 다른 발음을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영어 등 오래전부터 표기법을 계승하는 언어에서는 철자발음 사이의 괴리도 커지고 있다.[30]

라틴 문자는 원래 라틴어 표기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로마 제국의 세력이 확장됨에 따라 라틴 문자의 사용 범위도 확대되었으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제국 동부에서는 그리스 문자가 주로 사용되었다.

395년 로마 제국의 동서 분열 이후, 동로마 제국에서는 그리스어가 주로 사용되었고, 서로마 제국에서는 라틴어와 라틴 문자가 계속 사용되었다. 서로마 제국은 476년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 등으로 쇠퇴하여 사실상 멸망했지만, 이 지역에 침입한 게르만족들은 라틴어와 라틴 문자를 행정 언어로 사용했고, 결국 게르만어파도 라틴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다. 로마 교회는 중세 라틴어를 교회 라틴어로 사용하였고, 라틴 문자는 서방 교회 지역 전체에 퍼져 여러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중세 이후 속라틴어에서 유래한 로망스어족뿐만 아니라 서유럽중앙유럽의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를 포함한 서방 교회 지역의 거의 모든 언어에서 라틴 문자가 사용되었다. 게르만어파, 슬라브어파 일부, 발트어파, 켈트어파, 바스크어, 우랄어족 일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18세기까지 라틴 문자를 사용했던 유럽 언어 (가나다순)
어족언어
로망스어족
게르만어파
슬라브어파
발트어파
켈트어파
우랄어족



근대 이후 서유럽 국가들의 식민지 확대로 19세기에는 라틴 문자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문자가 되었다. 서구의 영향을 받아 서방 교회권 언어 외에도 라틴 문자를 채택하는 언어가 많아졌다.

특히, 문자가 없던 언어는 새롭게 표기법을 정할 때 라틴 문자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톨릭이나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이 현지어의 라틴 문자 표기법과 문법을 정비했기 때문이다.[31] 라틴 문자가 표음 문자이고 각 언어를 음역하기 쉬웠던 것도 요인 중 하나였다.[32]

글자 수가 적어 표기 가능한 발음이 적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언어는 한 발음에 두 글자 이상을 사용하거나, 합자를 사용하거나, 발음 구별 기호를 붙이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했다.

유럽 이외 지역에서는 식민지화를 거친 지역의 언어에서 라틴 문자화가 이루어졌다. 선교사들이 라틴 문자 표기법을 개발하고, 서구 열강의 지배로 인해 라틴 문자 표기가 확산되었다.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필리핀어, 베트남어, 스와힐리어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오스만 제국은 식민지화되지 않았지만, 터키 공화국을 건국한 케말 아타튀르크가 근대화를 위해 1928년 아랍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바꾸었다.[33][34]

인도 지역이나 이슬람 세계의 아랍권 국가 등 식민 지배를 받았지만 문자를 변경하지 않은 지역도 있다.

유럽에서는 18세기 이후 루마니아어민족주의 고조로 1859년~1860년에 걸쳐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공식 채택되었다.[35] 알바니아어는 여러 표기법이 혼재했지만 1908년 라틴 문자 표기가 공식 결정되었다.[36]

페니키아의 압자드를 계승하는 4종의 음소 문자 비교. 왼쪽부터 라틴 문자, 그리스 문자, 원형이 된 페니키아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이탈리아 반도에는 라틴족이 살고 있었다. 기원전 7세기경 '''고대 라틴어''' 시대에 라틴인들은 에트루리아인그리스인에게서 문자를 받아들였다.

서방 그리스 문자에서 파생된 고대 이탈리아 문자군 중 쿠마에 문자에서 4글자를 제외하고 받아들였다. 에트루리아 문자에서 " "()을 받아들여 "F"()음에 사용하고, 3개의 굴곡이 있는 ""을 ""S" 형태로 만들었다. " (Γel)"는 "그리스어 G음"과 "에트루리아어 K음"을 나타냈다. 초기 21개 알파벳은 "Gla·Jla·Ula·Wla·Yla·Zla"가 없는 등 현대 라틴 문자와 차이가 있었다.[48]

로마인의 알파벳은 음을 나타내는 "Cla·Kla·Qla" 3개 문자가 있었고, "Cla"는 음 표기에도 사용했다. "Zla"는 "Gla" 위치에 일시 채택되었다가, "Cla"에 세리프를 붙인 "Gla"가 만들어지면서 "Fla"와 "Hla" 사이로 이동했다.

기원전 3세기 알렉산드로스 3세의 정복 후, 로마인들은 그리스어 차용어와 함께 ""과 ""을 다시 도입했지만, 그리스어 차용어 기록에만 사용하고 문자표 마지막에 배치했다.[48] 소문자는 개발되지 않았고, 문장은 모두 대문자로 쓰였다.

언셜체와 반언셜체를 거쳐 8세기경 카롤링거 왕조 프랑크 왕국에서 샤를마뉴의 보호를 받은 카롤링 소문자체가 보급되었다. 이는 라틴 문자권 전체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대문자도 그대로 남아 대문자와 소문자의 기원이 되었다.[49]

브리튼 섬의 앵글로색슨어는 11세기 노르만족의 정복 이후 라틴 문자로도 표기되었다. 음은 룬 문자에서 유래한 "Ƿang(''wynn'', 윈)"을 사용했지만, "Pang"과 혼동되어 "UUang(double U|links=no영어, ''더블 유'')"로 대체되었다.

"U" 형태가 "V"였기에 "VV" 형태가 되었고, "W"는 "V" 다음에 배치되었다. 로망스어에서는 "W"를 "두 개의 V"로 부른다.[48]

둥근 "U"는 모음, "V"는 자음을 나타내게 되었다. "J"는 "I"의 이체자였으나, 15세기부터 자음에는 "J", 모음에는 "I"를 사용했고, 17세기 중반에 일반화되었다.[48]

라틴 문자는 그리스 문자에서 파생되었고, 현대에도 일부 문자는 공통점을 가진다. 키릴 문자와도 일부 문자가 공통적이다.

라틴 문자는 다른 언어에 적용될 때 철자 고안, 문자 기호 추가 등으로 도입된다. 아일랜드섬에서 5세기부터 8세기까지 사용된 오가암 문자는 라틴 문자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51]

5. 1. 로마자 표기 (Romanization)

로마자 표기(Romanization)는 아랍 문자, 히브리 문자, 그리스 문자, 키릴 문자, 한글 등 다른 문자 체계로 쓰인 단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을 말한다.[1][2] 이는 다국어 국제 의사소통이나, 특히 구형 시스템에서 제한된 7비트 ASCII 코드만 사용 가능한 컴퓨터 메시징 등에서 널리 활용된다.[3][4] 그러나 유니코드의 도입으로 로마자 표기의 필요성은 줄어들고 있다.

일본어의 로마자 표기법에는 1867년 미국인 제임스 커티스 헤본이 고안한 헤본식 로마자 표기법, 1885년 다나카다테 아이카츠가 고안한 일본식 로마자, 1937년 발표된 훈령식 로마자가 있다. 훈령식과 헤본식 두 가지 표기법이 병행되고 있다.

1954년 문부성은 훈령식에 기초한 "로마자의 쓰기 방식"을 정하고, 특별한 경우에 한하여 헤본식 표기를 인정했다.[44][45] 일본 교육 현장에서는 훈령식을 가르치지만, 공공 장소 등에서는 외국인을 위해 헤본식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에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등이 있다.

주요 로마자 표기 대조표
로마자그리스 문자키릴 문자히브리 문자아랍 문자페르시아 문자가타카나한글
ΑА
,
Τ
, /
,
, ,
,
, , , ,
,
, ㅗ,ㅓ
,
,
,
, ,
,
,


5. 2. 한글과 로마자

일본에서는 한자폐지론의 일환으로 라틴 문자화, 즉 로마자론이 메이지 초기부터 제기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의 제1차 미국 교육사절단 보고서에 의해 한자히라가나, 가타카나를 폐지하고 일본어 표기를 로마자 표기로 일원화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연합국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는 일본어 표기가 복잡하여 읽고 쓰는 능력이 낮다고 보고, 이를 높이기 위해 간편한 로마자 표기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1948년 문부성 교육연수소(현재의 국립교육정책연구소)와 GHQ가 공동으로 전국적인 한자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테스트 결과는 GHQ의 예상과는 달리 읽고 쓰는 능력이 약 10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로마자 표기화 계획은 좌절되어 사실상 철회되었다.[42][43]

6. 비판적 관점

로마자 사용의 확산은 서구 중심주의와 문화 제국주의의 한 형태로 비판받을 수 있다. 특히 식민지 시대에 강제된 로마자 표기는 해당 지역의 문화와 언어를 억압하는 수단으로 작용했다는 비판이 있다.

라틴 문자의 분포

6. 1. 문화 제국주의

로마자 사용의 확산은 서구 중심주의와 문화 제국주의의 한 형태로 비판받을 수 있다. 특히 식민지 시대에 강제된 로마자 표기는 해당 지역의 문화와 언어를 억압하는 수단으로 작용했다는 비판이 있다.

회색으로 표시된 지역에서는 알제리의 français|프랑스어프랑스어이집트의 English|영어영어와 같이 비공식 제2언어의 사용이나 중국의 병음과 같이 공식 문자의 Latin|라틴어la 표기 전환으로 인해 Latin alphabet|라틴 문자영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Latin alphabet|라틴 문자영어라틴어와 함께 이탈리아 반도에서 로마 제국의 확장과 함께 지중해 주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그리스, Türkiye|터키tr, 레반트, 이집트를 포함한 제국의 동부 지역에서는 그리스어공용어로 계속 사용되었지만, Latin|라틴어la는 서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서부 로망스어가 Latin|라틴어la에서 진화하면서 Latin alphabet|라틴 문자영어를 계속 사용하고 적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BSI Group http://www.bsigroup.[...] Bsigroup.com 2014-05-12
[2] 웹사이트 Romanisation_systems http://www.pcgn.org.[...] Pcgn.org.uk 2014-05-12
[3] 웹사이트 ISO 15924 – Code List in English https://www.unicode.[...] Unicode.org 2013-07-22
[4] 웹사이트 Search – ISO http://www.iso.org/i[...]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4-05-12
[5] 웹사이트 Zakon O Službenoj Upotrebi Jezika I Pisama http://www.ombudsman[...] Ombudsman.rs 2014-07-05
[6] 논문 Review of ''Making Citizens in Africa: Ethnicity, Gender, and National Identity in Ethiopia'' https://www.tandfonl[...] 2013
[7] 서적 Language Choices: Conditions, constraints, and consequences John Benjamins Publishing
[8]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Politics of the Qubee Alphabet https://ayyaantuu.or[...] 2018-06-18
[9] 논문 Language Policy in Ethiopia: The Interplay Between Policy and Practice in Tigray Regional State https://link.springe[...] 2021
[10] 논문 Competing scripts: The Introduction of the Roman Alphabet in Africa https://kups.ub.uni-[...] 2008
[11] 서적 Language Planning in the Post-Communist Era: The Struggles for Language Control in the New Order in Eastern Europe, Eurasia and China Springer
[12] 서적 Nation, Language, Islam: Tatarstan's Sovereignty Movement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Kazakh language to be converted to Latin alphabet – MCS RK http://www.inform.kz[...] 2015-01-30
[14] 웹사이트 Klimkin welcomes discussion on switching to Latin alphabet in Ukraine https://www.unian.in[...] 2018-03-27
[15] 뉴스 Moscow Bribes Bishkek to Stop Kyrgyzstan From Changing to Latin Alphabet https://jamestown.or[...] 2017-10-12
[16] 웹사이트 Kyrgyzstan: Latin (alphabet) fever takes hold https://eurasianet.o[...] 2019-09-13
[17] 웹사이트 Russian Influence in Mongolia is Declining https://globalsecuri[...] 2019-03-02
[18] 뉴스 Mongolia abandons Soviet past by restoring alphabet https://www.thetimes[...] 2020-03-20
[19] 웹사이트 Canadian Inuit Get Common Written Language https://www.highnort[...] 2019-10-08
[20] 웹사이트 Latin lives! Uzbeks prepare latest switch to Western-based alphabet https://www.washingt[...] 2021-02-12
[21] 웹사이트 Uzbekistan Aims For Full Transition To Latin-Based Alphabet By 2023 https://www.rferl.or[...] 2021-02-12
[22] 서적 Ukraine - Crimea - Russia: Triangle of Conflict Columbia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Cabinet approves Crimean Tatar alphabet based on Latin letters https://www.ukrinfor[...] 2021-10-22
[24] 웹사이트 The world's scripts and alphabets https://www.worldsta[...]
[25] 웹사이트 DIN 91379:2022-08: Characters and defined character sequences in Unicode for the electronic processing of names and data exchange in Europe, with CD-ROM https://www.beuth.de[...] Beuth Verlag
[26] 웹사이트 String.Latin+ 1.2: eine kommentierte und erweiterte Fassung der DIN SPEC 91379. Inklusive einer umfangreichen Liste häufig gestellter Fragen. Herausgegeben von der Fachgruppe String.Latin. (zip, 1.7 MB) https://www.xoev.de/[...]
[27] 웹사이트 Localize Your Font: Turkish i https://glyphsapp.co[...]
[28] 웹사이트 The New Yorker's odd mark — the diaeresis http://dscriber.com/[...] 2010-12-16
[29] 서적 事典世界のことば141 大修館書店 2009-04-20
[30] 서적 世界の文字を楽しむ小事典 大修館書店 2011-11-15
[31] 서적 図説 アジア文字入門 河出書房新社 2005-04-30
[32] 서적 図説 世界の文字とことば 河出書房新社 2009-12-30
[33] 서적 図説 アジア文字入門 河出書房新社 2005-04-30
[34] 서적 図説 世界の文字とことば 河出書房新社 2009-12-30
[35] 서적 バルカンを知るための66章 明石書店 2016-01-31
[36] 서적 バルカンを知るための66章 明石書店 2016-01-31
[37] 서적 中央アジア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03-03-10
[38] 뉴스 カザフスタンが表記文字を変更、ロシア文字からローマ字へ https://jp.reuters.c[...] 2023-09-18
[39] 뉴스 ローマ字化、是か非か=旧ソ連のカザフで論議 https://headlines.ya[...] 2017-06-21
[40] 뉴스 ローマ字化、是か非か=旧ソ連のカザフで論議 https://headlines.ya[...] 2017-06-21
[41] 뉴스 カザフスタンで文字が変わる? https://globalnewsvi[...] 2018-01-25
[42] 뉴스 教育改革から70年=保阪正康 https://mainichi.jp/[...] 2023-09-19
[43] 뉴스 「日本人から漢字を取り上げ、ローマ字だけにする」戦勝国アメリカが実行するはずだった"おそろしい計画" https://president.jp[...] 2023-09-19
[44] 웹사이트 ローマ字のつづり方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1955-12-09
[45] 웹사이트 ローマ字のつづり方 https://www.bunka.go[...] 文化庁 2023-09-18
[46] 뉴스 <ローマ字>表記で混乱 英語教科化、教員ら「一本化を」 https://mainichi.jp/[...] 2023-09-19
[47] 뉴스 「〈ローマ字〉表記による混乱」という報道の混乱ぶり(寺沢拓敬)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2023-09-19
[48] 웹사이트 The Phoenician Alphabet http://phoenicia.org[...] Salim George Khalaf 2008-02-14
[49] 서적 世界の文字を楽しむ小事典 大修館書店 2011-11-15
[50] 참고자료 広辞苑 岩波書店 1998
[51] 서적 世界の文字の歴史文化図鑑 : ビジュアル版 : ヒエログリフからマルチメディアまで 柊風舎 2012-04-15
[52]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