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3. 국가별 금장 패치
- 3.1. 오스트리아
- 3.2. 오스트레일리아
- 3.3. 방글라데시
- 3.4. 벨기에
- 3.5. 브라질
- 3.6. 불가리아
- 3.7. 캐나다
- 3.8. 중국
- 3.9. 이집트
- 3.10. 핀란드
- 3.11. 프랑스
- 3.12. 독일
- 3.13. 그리스
- 3.14. 홍콩
- 3.15. 인도네시아
- 3.16. 인도
- 3.17. 이란
- 3.18. 아일랜드
- 3.19. 이탈리아
- 3.20. 요르단
- 3.21. 네팔
- 3.22. 뉴질랜드
- 3.2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24. 오만
- 3.25. 파키스탄
- 3.26. 루마니아
- 3.27. 러시아
- 3.28. 소말리아
- 3.29. 스리랑카
- 3.30. 스웨덴
- 3.31. 스위스
- 3.32. 시리아
- 3.33. 우크라이나
- 3.34. 영국
- 4. 학교 제복의 금장 패치
- 5. 군복 깃(襟)장의 기능
- 참조
1. 개요
금장은 군복이나 제복의 깃에 부착되는 장식으로, 역사적으로 갑옷의 고르제에서 유래했다. 군대에서는 국적, 병과, 계급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학교 제복에도 적용된다. 다양한 국가에서 금장은 계급이나 소속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되며, 각 나라의 군대와 제복 문화에 따라 독특한 디자인과 규칙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금장 | |
---|---|
개요 | |
![]() | |
종류 | 군사 계급장 |
착용 위치 | 칼라 (옷깃) |
세부 사항 | |
사용 | 군대, 제복 |
부착 방법 | 배지, 패치 |
역사 | |
기원 | 군복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견장 계급장 견장 |
2. 역사
금장 패치는 원래 목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했던 갑옷 조각인 고르제에서 유래했다. 갑옷이 사용되지 않게 되면서, 장식용 천 고르제에도 같은 이름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옷깃의 천 패치는 제복 코트의 옷깃 단춧구멍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 대비되는 천에서 진화했다. (이는 아마도 전통적인 영연방 디자인의 대령들에게서 가장 분명하게 나타나는데, 단추와 좁은 어두운 파이핑 선이 있어서, 단춧구멍이 있었을 것이다.)
아프가니스탄군은 영연방과 유사한 칼라 패치를 사용한다.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시절, 내무부 소속 아프가니스탄 경찰은 각 칼라 패치에 별 하나를 부착했다.
대영 제국에서 이 패치는 보어 전쟁 (1889-1902) 동안 휘장으로 도입되었다. 그 이후로 많은 영연방 국가에서 사용되어 왔다.
중동과 아랍 국가의 대부분의 군대 옷깃 패치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이 지역을 지배했던 유럽 제국, 특히 영국과 프랑스의 제복 전통에서 파생되었다.
3. 국가별 금장 패치
세계 각국의 군대와 경찰 조직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금장 패치를 사용하고 있다. 금장 패치는 주로 군대에서 계급, 병과, 부대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일부 국가에서는 경찰 조직에서도 유사한 용도로 활용된다.
군복 깃(襟)장은 형태 면에서 자수 등이 수놓아진 다각형 천을 사용한 것과, 금속제 배지, 메달, 단추 등을 사용한 것으로 크게 나뉜다.
기능 면에서는 대략 다음 사항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국적''': 미국군의 깃(襟)장처럼 United States의 약호인 U.S. 문자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 '''병과, 부대''': 깃(襟)장 천 전체 또는 가장자리가 병과색으로 구분되거나, 소속 병과나 부대를 상징하는 의장, 기호, 문자, 숫자 등을 본뜬 금속제 배지를 사용하거나, 양자를 조합하여 표시한다.
# '''계급''': 깃(襟)장 자체가 계급장 기능을 하거나, 병과 장교, 또는 좌관 이하와 장관·원수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다음은 각 국가별 금장 패치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다.3. 1.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에서 연방군의 칼라 패치는 계급과 병과를 나타낸다. 경찰과 소방서에서도 사용된다. 전통적인 병과색(Waffenfarben 또는 Adjustierungsfarbende)이 계급장의 기본 색상을 지배한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k.u.k. 육군)에서 제복 코트, 재킷, 또는 전투복 블라우스의 옷깃에 부착된 계급장이 있는 칼라 패치는 파롤리라고 불렸다.
아래는 ''파롤리''의 예시이다.
3. 2.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금장 패치는 육군 대령과 장성, 그리고 해군 사관후보생이 착용한다. 세인트 존 구급대 오스트레일리아(St John Ambulance Australia) 응급 처치 서비스 지부에서는 주(州) 참모 장교와 전국 참모 장교를 사단 또는 지역 장교와 구별하기 위해 금장 패치를 사용한다.
3. 3.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군대에서 대령급 이상 장교는 금장 패치를 착용한다. 이들은 각각 빨간색, 하늘색, 검정색 또는 금색을 띤다. 대령 이상 계급에는 "샤플라" 휘장이 표시된다. 대령보다 높은 각 기함 계급은 별이 하나씩 추가된다.[1]
3. 4. 벨기에
벨기에군에서 금장은 병과 색상과 계급장을 가지고 있다.
3. 5. 브라질
브라질 육군에서 금장 패치는 은색으로 수놓아진 참나무 잎으로, 장군들이 녹색 및 회색 정복의 양쪽 옷깃에 착용한다. 같은 휘장은 금색으로, 갈라 만찬 정복의 양쪽 깃에 착용한다.[1]
상파울루 주 군사 경찰에서 대령 계급의 지휘관들은 짙은 회색 정복의 양쪽 옷깃에 은색 자수 휘장을 착용하는데,[1] 이는 월계수로 둘러싸인, 꼭대기에 별이 있는 천구로 구성된다.[1]
3. 6. 불가리아
불가리아군의 금장 패치는 착용자가 속한 병과를 나타낸다.
3. 7. 캐나다
캐나다 육군은 2013년에 역사적인 명칭과 특징을 복원하면서[1], 대령 및 장성급 장교를 위한 전통적인 금장 견장을 다시 도입했다. 전투 병과 장성은 금색 자수가 놓인 선홍색 견장을 착용한다. 의무 병과 고위 장교는 칙칙한 체리색, 치과 병과는 에메랄드 그린색, 군종 병과는 보라색 견장을 착용한다.
3. 8. 중국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금장은 군 계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3. 9. 이집트
이집트에서 붉은색 칼라 패치는 장교의 최고 계급을 상징한다.
3. 10. 핀란드
핀란드 육군과 공군은 정복에 칼라 패치를 사용한다. 이 패치는 계급과 병과 색상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야전복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3. 11. 프랑스
프랑스 육군에서 칼라 패치는 19세기 초부터 튜닉과 코트 위에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칼라 자체와 대조되는 색상으로, 연대 번호나 전문 휘장을 나타냈다. 1980년대에 모든 계급에 새로운 밝은 베이지색 정복이 채택되면서, 색깔 있는 칼라 패치를 착용하는 관행은 중단되었다.[1]
3. 12. 독일
칼라 패치 또는 고르겟 패치(Kragenspiegel|크라겐슈피겔de, Kragenpatten|크라겐파텐de 또는 Arabesquen|아라베스쿠엔de)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군대에서 군복의 고르겟(칼라 양쪽 끝)에 착용한다.
육군의 장교를 위한 칼라 패치 계급장은 전통적으로 "아라베스크 칼라 패치", "라리쉬 자수", "옛 프로이센 자수" 또는 "아라베스크 자수"(Arabesken-Kragenspiegel|아라베스켄-크라겐슈피겔de, Larisch-Stickerei|라리쉬-슈티케라이de, Altpreußische Stickerei|알트프로이시셰 슈티케라이de 또는 Arabeskenstickerei|아라베스켄슈티케라이de)라고 불린다.[2]
독일 제국에서는 장군, 일부 장교, 근위병 및 선원이 크라겐슈피겔을 착용했지만, 이는 전반적인 군복의 일부가 아니었다.
바이마르 공화국에서는 이러한 패치(또는 ''리첸'')이 1921년 육군 전체에 도입되어 계급과 병과를 나타냈지만 해군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국방군은 이를 계속 사용했다. 일부 나치 시대의 공무(예: 경찰 및 철도)는 군대의 탭과 유사한 칼라 탭이 있는 제복을 착용했다. NSDAP의 정치 지도자뿐만 아니라 돌격대(SA) 또는 친위대(SS)와 같은 새로운 나치 조직을 위해 새로운 탭도 도입되었다.
동독은 육군과 공군에 국방군과 유사한 칼라 탭을 사용했다. 해군의 일부 인원도 칼라 탭을 착용했다.
독일 연방 공화국의 연방군 또한 독일 육군과 독일 공군에서 칼라 탭의 사용을 유지했는데, 여기에서 개별 군인이 어떤 병과(또는 ''Truppengattung'')에 속하는지 나타낸다. 독일 해군의 구성원은 칼라 탭을 착용하지 않는다.
3. 13. 그리스
헬레니즘 육군에서 금장/칼라 패치(επιρράμματα)는 20세기 초 오스트리아와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약식 및 야전 제복에 도입되었다. 금장은 특정 병과 또는 군단을 나타내는 독특한 배경색 또는 색상 조합으로 구성된다. 장교는 병과/군단 문장이 있는 금속 장치를 사용하지만, 사병과 비직업적 부사관은 사용하지 않는다. 장군은 영국식 장군 패치를 사용한다.[1]
칼라 패치는 헬레니즘 경찰 (과거 그리스 헌병대 및 도시 경찰)과 헬레니즘 소방대에서도 사용된다.[1]
3. 14. 홍콩
홍콩의 고위 간부들은 정복에 금장 패치를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각 부서의 지휘관들이 포함된다.[1]
홍콩 경찰[1] |
홍콩 소방처[1] |
홍콩 교도소[1] |
관세 및 소비세 부서[1] |
홍콩 입경 관리처[1] |
홍콩 정부 비행 서비스[1] |
이러한 관행은 홍콩이 이전 영국의 식민지였던 시절부터 이어져 내려왔다.[1]
3. 15. 인도네시아
금장 패치는 공식적으로 "모노그램"이라고 불리며, 인도네시아 경찰 소속 경찰관들이 착용한다. 대부분의 패치는 짙은 갈색 배경에 면과 쌀 자수(또는 때로는 금속으로 제작)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립 경찰 아카데미의 장성급 장교와 사관생도용은 빨간색 배경을 사용한다.[3]1999년 인도네시아 국군에서 분리된 이후 경찰이 금장 패치를 착용해왔다.
3. 16. 인도
인도에서는 고위급 군 장교(선발 등급 대령, 해군 대령 및 공군 대령) 이상이 색깔이 있는 금장 패치를 사용한다. 인도 육군 장교는 진홍색, 인도 해군은 금색, 인도 공군은 남색을 사용하며, 국방참모총장은 짙은 적갈색 패치를 착용한다.[4] 육군의 정식 대령은 지휘관 계급을 나타내기 위해 패치에 금색 꼰 띠를 착용하며, 해군 대령 및 공군 대령은 서로 수직으로 놓인 두 개의 은색 떡갈나무 잎을 착용한다.[5][6]별 1개부터 별 5개까지의 제독은 칼라 패치에 해당 수의 금색(인도 육군) 또는 은색(인도 해군 및 인도 공군) 별을 착용한다. 지휘 보직을 맡고 있는 별 3개 이상의 제독은 각 금장 패치에 떡갈나무 잎 화환을 착용하며, 육군은 금색, 해군 및 공군은 은색이다. 국방참모총장과 세 군 참모총장만이 별 4개 계급을 보유하고 있으며, 야전원수 또는 공군 원수만이 별 5개를 착용한다. 현재까지 Sam Manekshaw와 Kodandera Madappa Cariappa만이 야전 원수 계급으로 임명되었으며, Arjan Singh은 인도 공군 원수 계급으로 임명되었다. 인도 해군 제독 계급이 만들어진다면, 해당 보유자는 아마도 금색 패치에 은색 별 5개를 착용할 것이다.
인도 해군 대령과 동급인 인도 해안 경비대의 사령관 및 부검사총장(4년 미만 복무)은 서로 수직으로 놓인 두 개의 금색 떡갈나무 잎과 검은색 패치에 부착된 유사한 휘장을 착용한다. 별 1개부터 별 3개까지의 해안 경비대 장교는 패치에 해당 수의 금색 별을 착용한다.[7] 경찰청장 (SSP) 또는 선임 부경찰위원 (DCP) 계급의 모든 고위급 경찰 장교 (두 계급 모두 부위원과 동등하며, 이 계급은 육군 정식 대령과 동등한 경찰 위원 시스템으로 변경된 도시에만 존재함)는 은색 테두리가 있는 짙은 파란색 패치를 받는다. 이는 부검사총장 (DIG) 또는 경찰 추가 위원 (Addl. CP)의 다음 상위 계급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다음 상위 장교인 감찰관 (IG) 또는 경찰 합동 위원 (JCP)은 패치에 단순한 은색 테두리가 아닌 긴 잎의 은색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이는 경찰청장 및 경찰청장 (DGP) 계급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된다.
3. 17. 이란
이란에서는 검은색 칼라 패치가 장교의 최고 계급을 식별한다.3. 18. 아일랜드
아일랜드 방위군에서 준장 이상의 장교는 빨간색과 금색 고깃 팻치를 착용한다.[1]3. 19. 이탈리아
19세기 후반부터 이탈리아 육군은 포병, 보병 여단, 개별 기병 연대와 같은 병과를 구별하기 위해 색깔이 있는 금장 패치를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1902년에는 각 정규 보병 여단(두 개 연대로 구성)이 독특한 색상 또는 색상 조합의 큰 금장 패치로 구별되었다. 각 패치의 앞쪽에는 보편적인 은색 "현역 복무" 별이 부착되었다.[9]산 마르코 연대(해군), 재정경찰, 헌병 및 민간 경찰 부대에도 독특한 금장 패치가 있다.
3. 20. 요르단
요르단에서 붉은색 견장은 장교의 최고 계급을 상징한다.[1]3. 21. 네팔
네팔 육군, 네팔 경찰, 네팔 무장 경찰의 고위 장교는 금장 패치를 착용한다. 네팔 경찰에서 금장 패치는 "칼라 독"이라고 불린다.3. 22.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방군은 영연방 모델에 따라 고위 장교용 칼라 패치를 착용한다.신분 | 칼라 패치 색상 |
---|---|
뉴질랜드 총독(민간인일 경우) | 검정색 바탕에 금색 떡갈잎 |
기타 모든 부대 | 빨간색 |
왕립 뉴질랜드 육군 군종감부 | 자주색 |
왕립 뉴질랜드 육군 의무병단 | 루비색 |
왕립 뉴질랜드 육군 치무병단 | 에메랄드 그린 |
뉴질랜드 육군 법무부 | 마룬 |
뉴질랜드 육군 재정병단 | 인디언 옐로우 |
3. 2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에서는 금장이 군 계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3. 24. 오만
오만에서는 검은색 칼라 패치가 장교의 최고위 계급을 구별한다.3. 25.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 금장은 계급에 따라 고위 장교와 참모 장교가 착용한다. 금장은 장교가 참모 장교(대령)이거나 장성(준장 이상)임을 나타낸다.파키스탄 육군의 참모 장교(대령)는 비전투용 일반 제복 또는 근무복을 착용할 때 곧은 금색 줄무늬가 있는 진홍색 금장을, 장성급 장교는 금색 꼰 띠가 있는 진홍색 금장을 착용한다.
전투복 (CCD) 착용 시, 소위(중령 이하)의 금장에는 소속 병과의 표지가 있다. 참모 장교(대령)는 금장을 착용하지 않으며, 장성급 장교(준장 이상)는 계급에 해당하는 별의 수를 금장에 착용한다.
3. 26. 루마니아
과거에는 독특한 "화살촉" 모양의 색깔이 있는 견장 패치를 루마니아군에서 연대와 병과를 구별하는 데 사용했다. 현대 의장복의 칼라 끈에서 제한적으로나마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3. 27. 러시아
러시아 제국에서 빨간색, 파란색, 흰색, 녹색의 칼라 패치는 특정 사단 내 각 보병 연대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었다. 기병 및 기타 병과는 다양한 칼라 패치를 사용했다.소련에서는 1924년부터 1943년까지 칼라 패치가 군 계급의 주요 표지로 사용되었다. 계급 체계는 여러 번 바뀌었으며, 칼라 패치는 1924~1935년, 1935~1940년, 1940~1943년 체제에서 각각 다르게 사용되었다. 1943년에 어깨 견장이 부활하면서 칼라 탭은 병과와 군의 표지로 남게 되었다. 1932년부터는 일부 공무원 조직에서도 칼라 패치가 표지로 사용되었다.
현대 러시아 연방에서도 상황은 동일하다.
3. 28. 소말리아
소말리아에서는 소위(또는 기함) 이상의 계급의 장교만 금장 패치를 착용하며, 군별로 다른 색상의 패치를 착용한다. 육군은 빨간색, 해군은 검은색, 공군은 남색, 경찰은 로열 블루, 교정청은 녹색 패치를 착용한다. 준장 또는 준제독 계급에 도달하면 패치에 금색의 화려한 무늬가 추가된다.[1]3. 29. 스리랑카
장성 및 선임 장교 계급의 스리랑카 육군 장교는 계급에 따라 금색 바탕에 빨간색 고르겟 패치를 착용하며, 유사한 계급의 공군 장교는 흰색 바탕에 파란색 고르겟 패치를 착용한다. 스리랑카 경찰의 선임 간부 장교는 금색 바탕에 검은색, 은색 바탕에 검은색 고르겟 패치를 착용한다. 육군, 해군, 공군의 사관 생도도 패치를 착용한다.스리랑카 육군은 준장 및 대령 계급의 장성과 선임 장교의 고르겟 패치에 대해 영국 육군 방식을 따랐다. 2000년대 후반, 이 관행은 원수 사라트 폰세카에 의해 변경되었으며, 그는 빨간색 배경에 금/은색 별(별의 개수가 계급을 나타냄)을 사용하는 인도 육군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복장 2A, 4, 5, 5A, 6, 6A, 6B, 7 및 8에 착용한다. 원수, 대장 및 육군 사령관 계급의 장교는 금색 참나무 잎 두 개로 이루어진 체인을 착용한다. 전통적인 영국 방식은 복장 1, 3 및 3A에 유지되었다. 스리랑카 육군 의무병단 장교의 경우 배경은 진홍색이다.[10]
3. 30. 스웨덴
스웨덴 육군 전투복의 금장 패치는 병과와 계급을 나타낸다.3. 31. 스위스
스위스군의 칼라 패치는 계급과 병과를 나타낸다.3. 32. 시리아
시리아에서 빨간색 칼라 패치는 장교의 최고 계급을 상징한다.3. 33.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우크라이나에서는 다른 소련 지역과 마찬가지로 색깔 있는 칼라 패치를 사용했다(고르제트는 제외).[11]1918년부터 1920년까지, 그리고 1941년부터 1945년까지의 우크라이나 민족 부대는 다른 군대의 고르제트 패치와 유사한 칼라 패치를 착용했다.[11] 여기에는 우크라이나 시치 총병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육군, 시치 총병대,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이 포함된다.
3. 34. 영국
장성급 장교와 선임 참모 장교는 영국 육군의 병과에 따라 금장 패치를 착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경찰 계급은 은색 바탕에 검은색 패치를 착용하며, 런던 시 경찰은 금색 바탕에 검은색 패치를 착용한다. 사관 후보생은 상선, 육군, 영국 공군에서도 금장 패치를 착용한다.
1887년 인도 주둔 영국 육군 참모 장교에게 도입된 금장 패치는 이후 널리 퍼졌다. 병과를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색상이 도입되었으며, 1940년에는 다음과 같은 색상이 사용되었다.
색상 | 병과 |
---|---|
밝은 파란색 | 공병 |
짙은 파란색 | 병기 |
옅은 파란색 | 교육 |
붉은색 | 일반 참모 업무 |
체리색 | 의무 |
밤색 | 수의 |
보라색 | 군목 |
녹색 | 치과 |
노란색 | 회계 |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위 이상 모든 참모 장교가 이러한 색상의 금장 패치와 모자 띠를 착용하여 참호에서 눈에 띄었고, "금빛 참모"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12] 1921년부터 색깔 있는 칼라 패치는 참모 소령 이상에게만 제한되었다.[13]
4. 학교 제복의 금장 패치
학교 제복에는 주로 교표, 학년장, 학급장, 학생회 임원·위원장 등이 금장 패치로 부착된다. 응원단 단장처럼 금장 패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게 존재하기도 한다.
5. 군복 깃(襟)장의 기능
군복 깃(襟)장은 형태 면에서 자수 등이 적절히 수놓아진 다각형의 천을 사용한 것과, 금속제 배지, 메달, 단추 등을 사용한 것으로 크게 나뉜다(전자를 받침으로 하고 후자를 배치하는 예도 있다). 전자의 천은 과거에는 병과색 등의 선명한 색이 사용되었지만, 현대의 전투복에서는 옷감과 동색 또는 동계열의 색이 사용되며, 색깔이 있는 것은 정장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다.
기능 면에서는 대략 다음 사항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국적:''' United States의 약호인 U.S.의 문자를 그대로 사용한 미국군의 깃(襟)장이 대표적이지만, 그 외에도 특징적인 디자인의 깃(襟)장이 사용되는 국가가 있으며, 군복에서는 모자 장식과 함께 소속된 국적을 식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 '''병과, 부대:''' 깃(襟)장의 천 전체 또는 가장자리가 병과색으로 색깔이 구분된 경우와, 소속된 병과나 부대를 상징하는 의장이나 기호, 문자, 숫자 등을 본뜬 금속제 배지인 경우, 또는 양자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 '''계급:''' 깃(襟)장이 개별 계급마다 다른, 즉 깃(襟)장 자체가 계급장의 기능을 하는 경우와, 병과 장교, 또는 좌관 이하와 장관·원수가 다른 경우(개별 계급은 견장이나 소매 장식으로 표시)가 있다. 후자의 경우, 장교용 깃(襟)장은 장교의 지위와 권위를 표상하는 기능을 가지며, 특히 장관·원수의 깃(襟)장은 빨강, 금색 등의 선명한 색이 사용된 장식성이 높은 디자인인 경우가 많다. 특히 떡갈나무, 올리브, 월계수, 또는 그 나라를 상징하는 꽃이나 나뭇잎 등의 의장이 애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 Army News (National) - Canadian Army - Article - Historical Features of the Canadian Army Restored
http://www.army-arme[...]
[2]
서적
Dictionary to the German military history
military publishing house of the GDR (VEB) – Berlin
1985
[3]
웹사이트
Monogram image
https://abufariq.wor[...]
2024-06-07
[4]
뉴스
Here is what CDS Gen Bipin Rawat's new uniform will look like
https://www.indiatod[...]
2021-06-18
[5]
웹사이트
Captain Varghese Mathew assumes office as Naval officer in charge of Kerala
http://metrovaartha.[...]
Metro Vaartha
2016-03-28
[6]
웹사이트
IAF Uniform Reference Book
http://www.indianair[...]
Indian Air Force
2013
[7]
웹사이트
Indian Coast Guard Uniforms
http://www.indiancoa[...]
Indian Coast Guard
2013
[8]
웹사이트
Rank Markings - Downloads - Multimedia Hub - Press Office - Defence Forces
http://www.military.[...]
[9]
서적
Military Uniforms in Europe Volume 1
[10]
웹사이트
Dress Regulation PDF - Part I
https://www.army.lk/[...]
Sri Lanka Army
2021-05-20
[11]
서적
Ukrainian Armies 1914-55
[12]
문서
A History of the Regiments & Uniforms of the British Army
Sphere Books
1972
[13]
웹사이트
Gorget Patches at Mike Comerford Ordnance Insignia of the British Army
http://homepage.ntlw[...]
2013-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