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아빈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아빈 문화는 베트남 북부에서 발견된 석기 유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발견되는 뗀석기와 자갈 유물을 포함한다. 1927년 마들렌 콜라니의 발굴을 시작으로, 한쪽 면만 가공된 도구, 수마트랄리스, 끈 자국이 있는 토기 등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에는 특정 민족 집단에 국한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특정 형태의 유물과 집합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호아빈 문화는 지리적으로 동남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석기 기술과 생계 방식, 유전적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최근 연구에서는 지역 자원과 환경 변화가 유물 변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중석기 문화 - 빗살무늬토기 문화
빗살무늬토기 문화는 기원전 5600년에서 기원전 2300년 사이 북유럽, 동유럽에 걸쳐 나타난 신석기 시대의 문화로, 빗살무늬 토기가 특징이며 수렵 채집을 기반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농업의 흔적이 발견되고 시베리아, 중국 북동부 지역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 - 아시아의 중석기 문화 - 빗살무늬토기 시대
빗살무늬토기 시대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기원전 82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빗살무늬토기가 사용된 선사 시대로, 토기 형태와 생활 방식에 따라 시기가 구분되며 어로, 수렵 중심의 생활에서 후기로 갈수록 농업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 동남아시아의 고고문화 - 사후인 문화
사후인 문화는 기원전 771년부터 기원전 221년까지 동남아시아에 존재했던 고대 문화로, 철기 유물과 항아리 매장, 링링오 옥 장신구,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가 특징이다. - 동남아시아의 고고문화 - 옥에오
옥에오는 1세기에서 5세기 사이 메콩강 삼각주에 위치하며 해상 무역 중심지였던 고대 도시로, 로마, 인도, 중국 등 다양한 지역과의 교역 흔적과 복잡한 수로 체계가 특징이며, 도시화 과정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아시아의 선사 시대 -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는 기원전 1550년경부터 1200년경까지 이집트, 히타이트, 메소포타미아, 미케네 등 번성했던 고대 문명들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쇠퇴하고 붕괴한 현상을 일컫는다. - 아시아의 선사 시대 - 대만의 선사 시대
대만의 선사 시대는 구석기 시대부터 철기 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문화가 존재했으며, 대만 원주민의 기원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기로, 인류 화석과 다양한 고고학적 유적 및 유물을 통해 그 생활상을 엿볼 수 있고,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기원지로도 여겨진다.
호아빈 문화 | |
---|---|
지도 정보 | |
문화 개요 | |
시기 | 기원전 10,000년경 ~ 기원전 8000년경 |
위치 | 동남아시아 |
다른 명칭 | 호아빈 문화(베트남어: Văn hóa Hòa Bình) |
발견 | 1920년대 |
특징 | 조잡하지만 독특한 자갈 석기 다양한 연마 석기 간석기 동물 뼈와 치아로 만든 도구 |
기술 복합체 | |
기술 | 호아빈 문화 기술 복합체 |
연대 |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호아빈 문화 기술 복합체(기원전 43,500년) |
초기 유적 | 중국 윈난성 샤오둥 바위그늘 유적 |
연관 문화 | |
관련 문화 | 박손 문화 |
영향 | 후기 신석기 문화에 영향 |
유적지 | |
주요 유적 |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중국 |
추가 유적 |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인도 방글라데시 필리핀 스리랑카 |
연구 | |
연구 분야 | 고고학, 인류학, 유전학 |
관련 연구 | 동남아시아의 인구 이동, 초기 농경의 발달 |
2. 정의
호아빈 문화(Văn hóa Hòa Bình|호아빈 문화vi; culture de Hoà Bình|호아빈 문화프랑스어)라는 용어는 베트남 북부에서 발굴 작업을 하던 프랑스 고고학자들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암석 보호소에서 발굴된 홀로세 시대의 고고학적 집합체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관련 영어 형용사인 호아비니안(hoabianien)은 영어 기반 문헌에서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발견된 석기 유물 집합체를 설명하는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는데, 이는 떼어낸 깬돌과 자갈 유물을 포함한다.[6] 이 용어는 원래 특정 민족 집단, 제한된 기간, 독특한 생계 경제 및 기술에 국한된 것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특정 형식적 특징을 가진 유물과 집합체를 가리키는 데 이 용어를 사용한다.[7]
3. 역사
마들렌 콜라니는 1927년 베트남 북부 호아빈 지역에서 9차례 발굴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1932년 극동 선사학자 제1차 회의에서 호아빈 문화에 대한 정의가 내려졌고, 이후 1994년 하노이 학술 대회에서 재정의되기까지 여러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졌다.
3. 1. 초기 연구
1927년, 마들렌 콜라니는 베트남 북부 호아빈 지역에서 9차례 발굴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8] 1932년 극동 선사학자 제1차 회의에서는 호아빈 문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원시적인 제작 방식으로 석기를 떼어낸 문화입니다. 한쪽 면만 가공한 도구, 망치돌, 삼각형에 가까운 단면의 도구, 원반형 도구, 짧은 도끼, 아몬드 모양의 유물, 그리고 상당수의 뼈 도구가 특징입니다 (Matthews 1966).
콜라니는 사오동에서 발견된 82개의 유물을 28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정도로 정교한 유형론을 제시했다.[8] 그러나 이 유형론은 매우 복잡하여, 대부분의 호아빈 유적지는 수마트랄리스의 존재 여부로만 확인된다.[8] 콜라니와 1950년대 이전의 학자들은 유물에서 발견된 현존 동물군과 멸종 동물군의 부재를 근거로 호아빈 유물의 연대를 홀로세로 추정했다.[8]
콜라니의 유형론에 대한 문제점은 매튜스(1964)에 의해 제기되었다. 그는 태국 서중부 깐짜나부리의 사이욕 암석 보호구역 호아빈 지층에서 단면 박편 깬 자갈 유물의 측정 및 기술적 속성을 분석했다. 그는 호아빈 유형이 존재하지 않으며, 호아빈 유물은 연속적인 범위의 형태와 크기를 반영한다는 것을 발견했다.[8]
체스터 고먼(1970)은 태국 북서부 매홍손 발굴 및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자세한 정의를 제안했다.[8]
# 일반적으로 단면 박편으로 만들어진 석기 전통. 주로 물에 마모된 조약돌과 이 조약돌에서 떼어낸 큰 박편으로 만들어짐
# 조약돌 한쪽 면을 완전히 박편으로 떼어내어 만든 핵 도구("수마트랄리스")와, 산화철과 함께 발견되는 둥근 조약돌로 만든 갈돌
# 사용된 박편의 높은 비율(모서리 손상 특징으로 식별)
# 현존하는 조개류, 어류 및 중소형 포유류의 유해를 포함한 상당히 유사한 식량 유적
# 고지대 카르스트 지형의 담수 개울 근처 암석 보호구 사용 (호아빈 패각 쓰레기 더미는 예외)
# 호아빈 지층 상층부에서 발견되는 모서리 갈기와 끈 자국이 있는 도자기
고먼의 연구에는 호아빈 문화의 홀로세 시대를 확인하는 여러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가 포함되었다. 스피릿 동굴(태국)의 호아빈 지층은 1만 2천 년 전부터 8천 년 전 사이에 형성되었으며, 끈 자국이 있는 도자기도 발견되었다.[8]
1994년 하노이 학술 대회에서 고고학자들은 호아빈 문화에 대해 재정의했다. 베트남 고고학자들은 1만 7천 년 전의 호아빈 유물 증거를 제시했고,[9] 투표 결과 다음 내용에 합의했다.
# 호아빈 문화 개념 유지
# "호아빈"은 문화나 기술 복합체가 아닌 산업
# 호아빈 산업 연대는 "후기-말기 플라이스토세부터 전기-중기 홀로세"
# "수마트랄리스" 용어 유지
# 호아빈 산업은 "조약돌" 도구 산업이 아닌 "자갈" 도구 산업
# 호아빈 문화를 "중석기" 현상으로 언급 불가
3. 2. 문제 제기 및 재정의
마들렌 콜라니는 1927년 베트남 북부 호아빈성 지역에서 9차례 발굴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1932년 극동 선사학자 제1차 회의에서 호아빈 문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콜라니는 사오동에서 발견된 82개의 유물을 28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지만, 이 유형론은 매우 복잡하여 대부분의 호아빈 유적지는 수마트랄리스의 존재 여부로만 확인되었다.[8] 콜라니와 1950년대 이전의 학자들은 호아빈 유물의 연대를 홀로세로 추정했다.
매튜스(1964)는 콜라니의 유형론에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태국 서중부 깐짜나부리의 사이욕 암석 보호구역에서 호아빈 지층의 단면 박편 깬 자갈 유물의 측정 및 기술적 속성을 분석했다. 그는 호아빈 유물 유형이 길이, 너비, 두께, 질량, 길이-너비 비율, 피질의 양과 분포 등 반복되는 속성의 군집으로 정의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매튜스는 호아빈 유형이 존재하지 않으며, 호아빈 유물은 연속적인 범위의 형태와 크기를 반영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체스터 고먼(1970)은 태국 북서부 매홍손에서의 발굴 및 조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더 자세한 정의를 제안했다.
고먼의 연구에는 호아빈 문화의 홀로세 시대를 확인하는 여러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가 포함되어 있다. 스피릿 동굴(태국)의 호아빈 지층은 1만 2천 년 전부터 8천 년 전 사이에 형성되었으며, 끈 자국이 있는 도자기도 발견되었다.[8]
1994년 하노이에서 열린 학술 대회에서 베트남 고고학자들은 1만 7천 년 전의 호아빈 유물에 대한 증거를 제시했다.[9] 투표 결과 다음과 같이 합의되었다.
4. 지리적 분포
이 용어가 처음 베트남 유적지의 집합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 이후, 본토와 섬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전역의 많은 유적지가 호아빈 문화의 요소를 지닌 것으로 묘사되었다. 베트남에서 120곳 이상의 호아빈 문화 유적지가 집중적으로 발견된 것은 선사시대 호아빈 문화 활동의 중심지 위치 때문이라기보다는 이 지역에서 집중적인 연구 활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가장 오래된 호아빈 문화 유적지는 중국 윈난성 샤오둥(Xiaodong)이라는 대형 바위그늘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곳은 버마 국경에서 40km 떨어져 있다. 중국에서 발견된 유일한 호아빈 문화 유적지이다.[11]
트랑아누, 수마트라, 태국, 라오스, 미얀마 및 캄보디아의 고고학 유적지들이 호아빈 문화 유적지로 확인되었지만, 설명의 질과 양은 다양하며 이들 유적지에서 호아빈 문화 요소의 상대적 중요성을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최근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지역 간 호아빈 문화 유물의 변이가 주로 지역 특유의 자원 근접성과 환경 조건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12]
이 핵심 지역을 넘어, 일부 고고학자들은 네팔, 중국 남부, 타이완 및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호아빈 문화의 요소를 보이는 격리된 석기 유물 목록이 있다고 주장한다.
5. 석기 기술
하반떤은 자신의 논문에서 호아빈 문화 이전에 존재했던 석기 기술에 대한 정의를 제시했다. 그는 동남아시아 여러 유적지에서 호아빈 문화의 조약돌 도구보다 더 아래 지층에서 원시적인 석편들을 발견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 타이응웬성 응엄 암석 대피소에서 발견된 다량의 석편들에서 이름을 따와 이 석편 기술을 응엄 문화(Nguomian)라고 명명했다.[10] 호아빈 문화(Hoabininhian) 기술은 손 문화(Sonvian) 기술의 연속으로 여겨진다.[10]
마위크(Marwick, 2008)는 호아빈 문화 유적을 분석하기 위한 변수와 방법을 규명하는 실험적인 호아빈 문화 유물 집합체를 만들고 분석했다. 그는 석편의 등면 피질 위치를 포함하는 새로운 방법의 사용을 주장했는데, 이 방법은 특히 감소 강도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계, 지리적 범위 및 가축화와 관련된 더 광범위한 고고학적 질문에 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4] 마위크 자신의 연구[14]와 슈콘데지(Shoocongdej, 2000, 2006)의 연구를 바탕으로, 행동 생태학적 모델이 탐로드(Tham Lod)와 반 라이(Ban Rai) 암석 대피소에서 발견된 석기 집합체를 통해 인간 행동을 조사하는 데 적용되었다. 이론적으로, 전처리의 높은 빈도는 물류 이동 전략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탐로드에서는 전처리의 높은 빈도(CPM)와 주거 이동 전략(ODM), 그리고 낮은 강도의 점유(PCM)가 관찰되었다. 모델 간의 내적 모순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순되는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다중 최적 모델이 제안되었는데, 이 모델은 하나 이상의 최적 시나리오를 허용하며, 동시에 시간을 많이 소비하는 석기 기술(즉, 석기의 전처리)과 더 주거적인 이동 전략을 설명하는 데 유효하다.[15]
6. 생계와 식생활
고먼(Gorman)과 졸하임(Solheim)의 연구를 통해 호아빈 문화의 초기 농업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 비엣(Viet, 2004)은 베트남 호아빈 문화를 연구하면서, 호아빈인들이 주로 산악 지역의 조개류, 견과류, 과일 등을 먹었다고 밝혔다. 특히 다붓(Da But) 유적에서는 습지와 호수에 사는 *Corbicula spp* 속 민물 조개를 섭취한 흔적이 발견되었다.[13]
호아빈인들의 주요 식량 채취 환경은 다음과 같다.[13]
환경 | 식량원 |
---|---|
석회암 산악 지대 | 육지 달팽이, 일부 소형 포유류 |
계류, 소하천, 습지, 호수 등 산악 수원 | 달팽이, 물고기 |
계곡 토양 지표면 | 견과류, 과일, 균류, 채소류, 야생 곡물, 야생 포유류 |
6. 1. 식물 재배의 가능성
고먼(Gorman, 1971)은 태국 스피릿 동굴에서 발견된 유적에서 살구(almond)속, *Terminalia*, 빈랑(betel)속, 벳지(큰 벳지) 또는 *Phaseolus*, 완두콩(pea) 또는 *Pisum*, 병호박(bottle gourd)인 *Raphia lagenaria*, 마름(water caltrop)인 *Trapa*, 후추(후추)속, 붓넛 나무(붓넛 나무)인 *Madhuca*, Canarium속 식물, 캔들 너트(candle nut)인 *Aleurites*, 그리고 오이(cucumber)의 일종인 Cucumis속 식물의 잔해가 기원전 9800~8500년경 지층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13] 그는 이것들이 식량, 조미료(condiment), 자극제(stimulant), 조명 등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특히 콩과(legume) 식물은 "매우 초기의 재배 식물(재배)의 사용을 가리킨다"(Gorman 1969:672)고 제안했다.[13] 그러나 회수된 표본 중 어떤 것도 야생 표현형(phenotype)과 다르지 않았다.[13] 그는 나중에 (1971:311) "그것들이 확실히 초기 재배종(cultigen)인지(Yen n.d.:12 참조)는 아직 밝혀져야 한다... 중요한 것은, 그리고 우리가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그 유적들이 동남아시아에서 여전히 문화적으로 중요한 특정 종의 초기이자 매우 정교한 사용을 나타낸다는 것이다"라고 적었다.[13]1972년, 스피릿 동굴 발굴 프로젝트 책임자였던 빌헬름 게르하르트 졸하임 2세(W. G. 졸하임)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13] 졸하임은 표본이 "단순히 주변 시골에서 채집한 야생 종일 수도 있다"고 언급했지만, 스피릿 동굴 주민들은 "고도의 원예(horticulture)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했다.[13] 졸하임의 연대표(chronology)는 동남아시아에서 "초기 농업(agriculture)"이 기원전 2만 년경에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13] 그는 또한 도자기 기술이 기원전 1만 3천 년에 발명되었지만 스피릿 동굴에서는 기원전 6800년 이후에야 도자기가 등장한다고 제안한다.[13]
졸하임은 자신의 재구성이 "대부분 가설적(hypothetical)"이라고 결론짓지만, 고먼의 발굴 결과에 대한 과장(hyperbole)은 호아빈 문화의 농업에 대한 과장된 주장으로 이어졌다.[13] 이러한 주장은 호아빈 문화 시대의 인간 생계(subsistence)와 고환경 조건에 대한 잘 보존된 증거를 가지고 있는 유적지로서의 스피릿 동굴의 중요성을 떨어뜨렸다.[13]
베트남 학자 비엣(Viet, 2004)은 주로 베트남의 호아빈 문화를 연구했다.[13] 그의 연구에서 다붓(Da But) 유적지는 기원전 5천년~6천년경부터 기원전 3천년 말까지의 연대를 가진다.[13] 비엣은 이 유적지에서 호아빈인들이 주로 산악 지역의 조개류, 견과류, 과일을 중심으로 식량을 섭취했음을 관찰했다.[13] 이 유적지에서는 그들이 섭취한 새로운 조개류 종도 발견되었는데, 아직 명칭이 정해지지 않은 *Corbicula spp* 속의 민물 조개의 일종으로, 습지와 호수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호아빈인들의 일반적인 식량원은 다음과 같은 환경 조건에서 채취되었다.[13]
- 석회암 산악 지대 (육지 달팽이와 일부 소형 포유류 제공)
- 계류, 소하천, 습지, 호수와 같은 산악 수원 (달팽이와 물고기 제공)
- 계곡 토양 지표면 (견과류, 과일, 균류, 채소류, 야생 곡물, 야생 포유류)
7. 유전학적 연관성
호아빈 문화의 조상은 현재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인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매우 오래전에 갈라져 나온 것으로 설명된다.[16] 2022년 기준으로, 호아빈 문화 관련 유적에서 발굴된 개인에 대한 고대 DNA 샘플은 두 개만 추출되었다. 하나는 라오스 볼리캄싸이주 파파엔(Pha Faen)에서 발견된 표본(7888 ± 40 BP)[17]이고, 다른 하나는 말레이시아 울루 켈란탄 구아 차에서 발견되었다(4319 ± 64 BP). 이 두 샘플이 나타내는 호아빈 문화 조상의 상부 구석기 시대 기원은 알 수 없지만, 호아빈 문화 조상은 대부분의 현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인에게서 발견되는 주요 '동아시아' 조상 구성 요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그로부터 매우 오래전에 갈라져 나왔다.[18][19] 현대 인구 중에서는 안다만 제도의 옹게족과 자라와족, 그리고 말레이 반도 내륙의 셈족(말레이시아 네그리토로도 알려짐)과 마니크족이 샘플링된 고대 호아빈 문화 개인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다.[18][20]
동남아시아의 신석기 시대의 등장은 중국 남부에서의 이동에 의한 인구 변화와 함께 진행되었다. 신석기 시대 본토 동남아시아 샘플은 주로 중국 남부의 고대 인구와 관련된 동아시아 조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샘플 중 상당수는 더 적은 정도로 호아빈 문화 관련 조상과의 혼혈을 보인다. 현대 인구에서 이러한 동아시아와 호아빈 문화 관련 조상의 혼혈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을 사용하는 집단과 가장 강하게 관련되어 있으며,[18] 옹게족 샘플을 호아빈 문화 조상의 대리로 사용하는 모델에서도 재현될 수 있다.[21]
참조
[1]
논문
[2]
논문
[3]
저널
The oldest Hoabinhian technocomplex in Asia (43.5 ka) at Xiaodong rockshelter, Yunnan Province, southwest China
2016-05-02
[4]
서적
Prehistory of the Indo-Malaysian Archipelago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5]
백과사전
Bacsonian
[6]
백과사전
Hoabinhian
[7]
논문
The Hoabinhian of Southeast Asia and its Relationship to Regional Pleistocene Lithic Technologies
[8]
서적
Who Needs the Past?: Indigenous Values and Archaeology
[9]
웹사이트
THE HOABINHIAN 60 YEARS AFTER MADELEINE COLANI: ANNIVERSARY CONFERENCE. HANOI, 28 DECEMBER 1993 - 3 JANUARY 1994.
http://www.geocities[...]
2009-10-26
[10]
간행물
The Hoabinhian and before
[11]
저널
The oldest Hoabinhian technocomplex in Asia (43.5 ka) at Xiaodong rockshelter, Yunnan Province, southwest China
2016-05
[12]
저널
Multiple Optima in Hoabinhian flaked stone artefact palaeoeconomics and palaeoecology at two archaeological sites in Northwest Thailand
https://ro.uow.edu.a[...]
2013-12
[13]
서적
Hoabinhian Food Strategy in Viet Nam
[14]
저널
What attributes are important for the measurement of assemblage reduction intensity? Results from an experimental stone artefact assemblage with relevance to the Hoabinhian of mainland Southeast Asia.
2008
[15]
저널
Multiple Optima in Hoabinhian flaked stone artefact palaeoeconomics and palaeoecology at two archaeological sites in Northwest Thailand
https://ro.uow.edu.a[...]
2013-12
[16]
저널
A genetic history of migration, diversification, and admixture in Asia
2022-01-06
[17]
저널
The prehistoric peopling of Southeast Asia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2018-07-06
[18]
저널
The prehistoric peopling of Southeast Asia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
저널
A genetic history of migration, diversification, and admixture in Asia
2022-01-06
[20]
저널
Unveiling the Genetic History of the Maniq, a Primary Hunter-Gatherer Society
[21]
저널
Extensive ethnolinguistic diversity in Vietnam reflects multiple sources of genetic diversity
2020-04
[22]
서적
Prehistory of the Indo-Malaysian Archipelago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23]
백과사전
Bacsonian
https://books.google[...]
Springer
[24]
논문
The Hoabinhian in Southeast Asia and elsewher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25]
저널
Excavations at Spirit Cave, North Thailand: Some interim interpretations
[26]
저널
The prehistoric peopling of Southeast Asia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