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천문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천문대는 1883년 설립된 홍콩의 기상 관측 및 예보 기관이다. 초기에는 기상, 자기 관측, 천문 관측을 수행했으며, 영국 왕립 천문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홍콩 반환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돌아왔다. 현재는 기상 예보, 경보 발표, 기후 변화 연구, 지진 및 해양 관측, 방사능 감시, 표준시 유지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대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홍보 활동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상관측소 - 윌리스 아일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북동쪽에 위치한 윌리스 아일랜드는 1921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의 기상 관측소로 사용되어 사이클론 조기 경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이자 아마추어 무선사들에게 인기 있는 곳으로, 수영장 등의 휴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짐사저이 - 솔즈브리 로
솔즈브리 로는 홍콩 침사추이에 위치한 주요 도로로, 빅토리아 항과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19세기 말 영국의 솔즈베리 후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홍콩 문화센터 등 여러 명소와 인접해 있다. - 짐사저이 - 홍콩문화중심
홍콩문화중심은 침사추이에 위치한 공연 예술 센터로, 콘서트 홀, 대극장 등을 갖추고 홍콩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본거지이자 영화상 시상식 장소로 활용되며, 아시아 최대 규모의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된 콘서트 홀과 편리한 접근성을 자랑한다.
홍콩 천문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기관명 | 홍콩 천문대 |
로마자 표기 | Hong Kong Observatory |
중국어 (번체) | 香港天文台 |
광둥어 발음 | Hoeng1 gong2 tin1 man4 toi4 |
예일 발음 | Hēung góng tīn màhn tòih |
표준중국어 발음 | Xiānggǎng Tiānwéntái |
설립일 | 1883년 3월 2일 |
본부 | 네이선 로드 134A, 침사추이, 가우룽, 홍콩 |
직원 수 | 315명 (2018년 3월) |
예산 | 3억 8140만 홍콩 달러 (2019-20) |
웹사이트 | www.hko.gov.hk www.weather.gov.hk |
조직 | |
최고 책임자 | 청초밍 박사 |
최고 책임자 직책 | 홍콩 천문대 대장 |
소속 부처 | 환경 및 생태국 |
역사 | |
이전 명칭 | 왕립 홍콩 천문대 |
기타 | |
관련 기관 | 환경 보호국 농업, 어업 및 자연 보호부 식품 및 환경 위생부 정부 실험실 |
로고 | |
![]() |
2. 역사
홍콩 천문대는 1883년 총독 조지 보언 경이 설립하였고, 덴마크인 빌리암 도베르크 박사가 초대 관리자로 부임하였다. 초기 업무는 기상 및 지자기 관측, 천문학적 관측을 바탕으로 한 시보, 열대 저기압 경고 발령 등이었다. 1912년 영국 왕실의 칙허장을 받아 '홍콩 왕립 천문대'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원래 명칭으로 돌아왔다.[1]
가우룽 짐사저이에 위치한 천문대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마천루에 둘러싸이게 되었다. 온실 기체 배출, 건물과 도로 표면에서 반사되는 햇빛, 녹지 감소 등으로 인해 열섬 현상이 발생하여, 1980년부터 2005년 사이에 평균 기온이 상승했다. 2002년에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미라마 타워에 자료 센터를 개설,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 1. 설립 초기 (1883년 ~ 1912년)
홍콩 천문대는 1883년 당시 홍콩의 9대 총독이었던 조지 보언 경이 설립하였고, 덴마크인 빌리암 도베르크 박사(1852-1941)가 초대 관리자로 부임하였다.[1] 초기 업무는 기상 및 지자기 관측, 천문학적 관측을 바탕으로 한 시보, 열대 저기압 경고 발령 등이었다.[9][10] 당시 기상 기관의 명칭을 참고하여 '천문대'라고 명명했다.[11] 1912년 영국 왕실의 칙허장을 부여받고 '홍콩 왕립 천문대' (영어: Royal Observatory, Hong Kong; 중국어: 皇家香港天文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원래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홍콩 천문대는 1883년 가우룽 짐사저이에 세워졌다.[1] 짐사저이의 업저버터리 로드(Observatory Road)는 인근에 위치한 천문대로 인해 지어졌다. 그러나 급격한 도시화의 영향으로, 현재는 마천루들에 둘러싸여 있다. 높은 온실 기체 배출, 건물들과 도로 표면에서 반사된 햇빛, 그리고 주변 녹지의 감소 등의 요인으로, 홍콩에서 열섬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1980년과 2005년 사이에 천문대에서 관측된 평균 기온의 상승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02년, 홍콩 천문대는 인근 미라마 타워(Miramar Tower) 23층에 자료 센터를 개설하여, 대중들에게 홍콩 천문대의 출판물과 기상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2. 2. 영국 왕립 천문대 시절 (1912년 ~ 1997년)
홍콩 천문대는 1912년 영국 왕실의 칙허장을 부여받고 홍콩 왕립 천문대 (Royal Observatory, Hong Kong영어; 皇家香港天文台중국어)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원래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2. 3. 홍콩 반환 이후 (1997년 ~ 현재)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홍콩 천문대는 원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1912년 영국 왕실의 칙허장을 부여받고 '홍콩 왕립 천문대' (영어: Royal Observatory, Hong Kong; 중국어: 皇家香港天文台)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반환 이후 다시 변경되었다.[1]홍콩 천문대는 도시 열섬 현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1883년 가우룽 짐사저이에 설립된 천문대는 급격한 도시화의 영향으로 마천루들에 둘러싸이게 되었다. 높은 온실 기체 배출, 건물과 도로 표면에서 반사된 햇빛, 녹지 감소 등으로 인해 1980년과 2005년 사이에 천문대에서 관측된 평균 기온이 상승했다.
2002년에는 인근 미라마 타워 23층에 자료 센터를 개설하여, 대중들이 홍콩 천문대의 출판물과 기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주요 업무
홍콩 천문대는 1883년 설립 당시부터 기상 및 자기 관측, 천문학적 관측을 바탕으로 한 시보, 열대 저기압 경고 발령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 왔다.[1] 1912년 영국 왕실의 칙허장을 부여받고 '홍콩 왕립 천문대'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원래 명칭으로 돌아왔다.[1]
천문대는 일본에서 망원경을 갖춘 천체관측 기관으로 인식되지만, 홍콩 천문대는 천문 외에도 기상·기후·지진·해양 및 방사능 측정, 시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8] 이는 일본의 기상청(기상·기후·지진·해양), 국립천문대(천문), 정보통신연구기관(표준시) 등의 업무를 합친 것과 유사하다.
1883년 가우룽 짐사저이에 설립되었으며, 짐사저이의 업저버터리 로드(Observatory Road)는 천문대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다. 그러나 급격한 도시화로 마천루에 둘러싸였고, 온실 기체 배출, 건물과 도로 표면의 햇빛 반사, 녹지 감소 등으로 도시 열섬 현상이 발생하여 1980년과 2005년 사이에 천문대 관측 평균 기온이 상승했다. 2002년 인근 미라마 타워 23층에 자료 센터를 열어 대중에게 천문대 출판물과 기상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3. 1. 기상 관측 및 예보
홍콩 천문대는 1883년에 제9대 홍콩 총독 조지 퍼거슨 보웬 경에 의해 구룡반도 짐사저이에 설치되었다. 초기 업무는 기상 및 지자기 관측, 천체 관측에 기반한 시보, 열대 저기압 경보 등이었다.[9][10] 이러한 이유로, 당시 기상 기관의 명칭을 참고하여 '천문대'라고 명명되었다.[11]천문대라고 하면 일본에서는 망원경을 갖춘 천체관측 기관이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홍콩 천문대는 천문 외에도 기상·기후·지진·해양 및 방사능 측정, 시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8] 그 업무 범위는 일본의 기상청(기상·기후·지진·해양), 국립천문대(천문), 정보통신연구기관(표준시) 등의 업무를 합친 것과 비슷하다.
3. 1. 1. 기상 예보 및 경보
홍콩 천문대는 일반 대중, 어업, 선박, 항공 등 여러 분야를 위해 기상 예보 및 경보를 발표하며, 대규모 불꽃놀이 대회나 스포츠 대회 시에는 특별 기상 지원도 제공한다.[8]급변하는 폭우 예측을 위해 SWIRLS(Short-range Warning of Intense Rainstorms in Localized Systems)라는 단시간 예측 시스템을 운영하여 6시간 후까지의 예보를 제공한다.
기상 예보 및 경보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발표된다. 천문대의 [https://www.hko.gov.hk/contente.htm 공식 웹사이트],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웨이보, 전화 서비스, 보도, 라디오, 텔레비전 등이 활용된다.[12]
홍콩 아침 뉴스와 유튜브, 페이스북 등에서는 천문대 직원이 직접 출연하여 일기예보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화면 뒤 자막에는 태풍을 형상화한 홍콩 천문대의 문장과 로고가 표시된다. 이는 일본에서 기상청 직원이 직접 출연하지 않고 방송국이나 민간 기상회사 직원이 출연하는 것과는 큰 차이점이다.
또한, 홍콩 천문대는 홍콩 국제공항 및 홍콩 항공정보구역에 국제 항공에 필요한 기상 업무를 제공한다. 특히 홍콩 국제공항에서는 도플러 기상 레이더, 두 곳의 라이더, 다섯 곳의 기상 부표와 자체 개발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윈드시어, 난류, 낙뢰 등 악천후 현상에 대한 자동 경보를 발령한다.
3. 1. 2. 기상 관측
홍콩 천문대는 1883년 설립되어 기상 및 지자기 관측, 천체 관측에 기반한 시보, 열대 저기압 경보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9][10] 초기에는 가우룽 짐사저이에 위치했으나,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마천루에 둘러싸이게 되었다. 온실 기체 배출, 건물과 도로 표면의 햇빛 반사, 녹지 감소 등으로 인해 도시 열섬 현상이 발생하여, 1980년부터 2005년 사이에 천문대에서 기록된 평균 기온이 크게 상승했다.실제 기상 관측은 몽콕 근처 킹스파크(King’s Park, 경사벽)의 관측 지점에서 이루어지며, 이곳의 날씨가 홍콩의 대표적인 날씨로 여겨진다. 홍콩 텔레비전 일기예보에서도 이 지점의 날씨를 우선적으로 설명한다.
그 외에도 홍콩 전역의 주요 지역에서 기온, 상대습도, 풍향, 풍속 등의 관측이 이루어지며, 천문대 공식 웹사이트에서 중국어(번체자 또는 간체자) 또는 영어로 확인할 수 있다.
3. 1. 3. 태풍 등급
등급 | 풍속 |
---|---|
초강력 태풍 | 185km/h 이상 |
강한 태풍 | 150km/h~184km/h |
태풍 | 118km/h~149km/h |
강한 열대성 폭풍 | 88km/h~117km/h |
열대성 폭풍 | 63km/h~87km/h |
열대 저기압 | 41km/h~62km/h |
3. 2. 기후 변화 연구
홍콩 천문대는 산업 활동, 도시 계획, 소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기후 정보를 제공한다.[1]또한, 연간 강수량과 홍콩에 영향을 미치는 열대 저기압의 수를 예측하여 발표하며, 기온과 강수량에 대한 계절 예보도 제공한다.[1]
홍콩 천문대는 기후 변화와 그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일반 대중과 학교를 대상으로 강연, 전시, 교육 자료 개발 등 다양한 홍보 활동을 통해 기후 변화 과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1]
3. 3. 지구물리 관측
홍콩 천문대는 단주기 및 광대역 지진계 관측소를 운영하여 지진 활동을 감시하고 있다. 또한, 쓰나미가 홍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쓰나미 경보를 발표한다. 다만, 발표된 적은 없었다.[8]3. 4. 해양 관측
홍콩 천문대는 검조소 관측망을 운영하여 조석, 평균 해면, 고조 정보를 제공한다.3. 5. 방사능 감시
홍콩천문대는 홍콩 지역의 대기, 토양, 수질, 식품 내 방사능 수준 측정을 수행한다. 대야만 원자력발전소에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홍콩천문대는 즉시 방사능 수준을 감시하고 방사선 영향을 평가하여 정부에 적절한 방호 활동을 자문한다.3. 6. 표준시 유지
홍콩 천문대는 세슘 원자시계를 사용하여 홍콩 표준시를 유지하고 있다. 시보는 전화, 라디오, 네트워크 시간 교정, 웹 클록 등을 통해 제공된다.홍콩 천문대는 GPS를 이용한 고정밀 시간 비교 관측 시스템을 사용하여 국제도량형국에 표준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협정 세계시 결정에 기여하고 있다.
3. 7. 천문 업무
홍콩 천문대는 1883년에 설립되어 기상 및 지자기 관측, 천체 관측 기반 시보, 열대 저기압 경보 등의 업무를 수행해 왔다.[9][10] 1912년 왕실 헌장을 획득하여 '홍콩 왕립 천문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97년 홍콩 주권 이양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천문대라는 명칭은 일본에서 망원경을 갖춘 천체관측 기관이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홍콩 천문대는 천문 업무 외에도 기상, 기후, 지진, 해양 및 방사능 측정, 시보 등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8] 이는 일본의 기상청(기상, 기후, 지진, 해양), 국립천문대(천문), 정보통신연구기관(표준시) 등의 업무를 합친 것과 유사하다. 침사추이에 위치한 본서에서는 예보 업무 및 보도 기관에 대한 예보 배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홍콩 천문대는 웹사이트를 통해 역법, 일식, 월식, 추석, 항성도, 행성의 움직임, 하지, 동지, 박명, 태양과 달의 출몰 등 다양한 천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4. 시설
홍콩 천문대는 1883년 가우룽 짐사저이에 세워졌다. 짐사저이의 업저버터리 로드(Observatory Road)는 인근에 위치한 천문대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다. 그러나 급격한 도시화의 영향으로 현재는 마천루들에 둘러싸여 있다. 높은 온실 기체 배출, 건물과 도로 표면에서 반사된 햇빛, 그리고 주변 녹지의 감소 등의 요인으로 홍콩에서 도시 열섬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1980년과 2005년 사이에 천문대에서 관측된 평균 기온의 상승에서 확인할 수 있다.[1]
4. 1. 1883 빌딩
1883 빌딩은 1883년에 지어진 직사각형의 2층 벽돌 구조물로, 회반죽으로 마감되어 있다. 아치형 창문과 긴 베란다가 특징이며, 현재는 관측소 소장실로 사용되며 관측소 행정 중심 역할을 한다.[3] 1984년부터 홍콩 기념물로 지정되었다.[4][5]4. 2. 홍콩 천문대 본부 (센테너리 빌딩)
홍콩 천문대 센테너리 빌딩(Centenary Building)은 1883년 건물 옆에 있는 홍콩 천문대 본부 건물로, 1983년 천문대 100주년을 기념하여 건립되었다.[6]4. 3. 자료 센터
2002년 홍콩 천문대는 인근 미라마 타워(Miramar Tower) 23층에 자료 센터를 열었다. 이곳에서 일반 대중은 홍콩 천문대의 간행물을 구입하고 기타 기상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1]5. 역대 소장
순서 |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비고 |
---|---|---|---|---|
1 | 윌리엄 도버크 (William Doberck) | 1883년 3월 2일 | 1907년 9월 12일 | 초대 소장, 최장 재임 소장 |
2 | 프레더릭 조지 피그 (Frederick George Figg) | 1907년 9월 13일 | 1912년 6월 13일 | |
3 | 토마스 폴크스 랙스턴 (Thomas Folkes Claxton) | 1912년 6월 14일 | 1932년 7월 8일 | 20년 이상 재임한 두 번째 소장 |
4 | 찰스 윌리엄 제프리스 (Charles William Jeffries) | 1932년 7월 9일 | 1941년 6월 20일 | |
5 | 벤자민 데이비스 에반스 (Benjamin Davis Evans) | 1941년 6월 21일 | 1946년 4월 30일 | 일본 점령기 동안 소장 역임 |
6 | 그레이엄 스커드모어 퍼시벌 헤이우드 (Graham Scudamore Percival Heywood) | 1946년 5월 1일 | 1956년 4월 7일 | |
7 | 이언 에드워드 마인 왓츠 (Ian Edward Mein Watts) | 1956년 4월 8일 | 1965년 8월 23일 | |
8 | 고든 존 벨 (Gordon John Bell) | 1965년 8월 24일 | 1981년 1월 16일 | |
9 | 존 에드거 피콕 (John Edgar Peacock) | 1981년 1월 17일 | 1984년 3월 14일 | 마지막 영국인 소장 |
10 | 패트릭 샴 팍 (Patrick Sham Pak) | 1984년 3월 15일 | 1995년 5월 25일 | 첫 홍콩 중국인 소장 |
11 | 로버트 라우 치콴 (Robert Lau Chi-kwan) | 1995년 5월 26일 | 1996년 12월 21일 | |
12 | 람 헝콴 (Lam Hung-kwan) | 1996년 12월 22일 | 2003년 3월 13일 | 반환 기간 소장 역임 |
13 | 람 치우잉 (Lam Chiu-ying) | 2003년 3월 14일 | 2009년 5월 10일 | |
14 | 리 분잉 (Lee Boon-ying) | 2009년 5월 11일 | 2011년 4월 13일 | |
15 | 슌 치밍 (Shun Chi-ming) | 2011년 4월 14일 | 2020년 2월 14일 | |
16 | 청 초밍 (Cheng Cho-ming) | 2020년 2월 15일 | '현직' |
6. 대외 활동
홍콩 천문대는 대중과의 소통 및 교육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1996년 설립된 '천문대의 친구들'은 천문대와 대중 간의 가교 역할을 하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천문대는 정기적으로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방문 프로그램을 개최하며, 최근에는 초등학생, 노인 및 지역 사회 단체로 대상을 확대했다. 겨울철에는 초등학교에서 강연을 개최하고, 2003년에는 쇼핑몰에서 순회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같은 해, 천문대 서비스와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를 알리기 위해 50건이 넘는 보도자료를 발표하고 7건의 미디어 브리핑을 개최했다. 2008년부터 2009년까지는 PLK Vicwood KT Chong Sixth Form College 지리학회와 같은 학교와 협력하여 행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2002년에는 미라마 타워 23층에 자료 센터를 개설하여 일반인들이 천문대 간행물을 구입하고 기상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1]
6. 1. 천문대의 친구들 (The Friends of the Observatory)
1996년에 홍콩 천문대와 그 서비스를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천문대의 친구들'이라는 관심 그룹이 설립되었다. 이 그룹은 천문대 업무와 관련된 과학 교육 활동을 제공하고, 천문대와 대중 간의 소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7,000명이 넘는 개인 및 가족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1]천문대의 친구들을 위해 조직된 활동에는 정기적인 과학 강연과 천문대 시설 방문이 있다. 회원들에게는 4개월에 한 번씩 뉴스레터(談天說地)가 발행된다. 또한, 이 관심 그룹의 자원봉사 도슨트가 사전 방문 신청을 한 대중에게 천문대 본부를 안내하는 "HKO 가이드 투어"를 진행하여, 천문대의 역사, 환경 및 기상 과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6. 2. 교육 프로그램
홍콩천문대는 대중, 특히 학생들에게 천문학 및 기상학 지식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996년 설립된 '천문대의 친구들(The Friends of the Observatory)'은 천문대와 대중 간의 소통을 돕는 자원봉사 단체이다. 7,000명이 넘는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기 과학 강연, 천문대 시설 방문, 뉴스레터 발행 등의 활동을 한다. 또한, 사전 신청을 통해 천문대 본부를 방문하여 천문대의 역사와 환경, 기상 과학에 대해 배울 수 있는 "HKO 가이드 투어"를 제공한다.
천문대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방문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운영하며, 최근에는 초등학생, 노인, 지역 사회 단체로 대상을 확대했다. 겨울철에는 기상 상황이 좋지 않을 때 초등학교에서 강연을 개최하며, 2003년에는 쇼핑몰에서 순회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천문대는 텔레비전,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dhEGSPvUGVuK7fZUxHKzv51Y_2hy_hW 유튜브, 페이스북에서 "'''기상 냉지식'''"(「냉지식」은 일본어의 「豆知識」(마메치시키, 콩알만 한 지식)에 해당)이라는 교육 프로그램을 방영한다.[13] 천문대 직원이 직접 출연하며, 주제가 작곡 및 연주에도 참여한다. 중국어 자막이 제공되며, 일본 방문 인터뷰도 진행한 적이 있다.[14]
7. 기타
- 텔레비전과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dhEGSPvUGVuK7fZUxHKzv51Y_2hy_hW 유튜브 및 페이스북에서 "'''기상 냉지식'''"(豆知識|마메치시키일본어)이라는 교육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다. 일기예보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천문대 직원이 직접 출연하는 경우가 많다. 주제가 "날씨의 목소리" 역시 천문대 직원이 작곡 및 연주를 담당[13]하였으며, 엔딩 크레딧에 표기되어 있다. 중국어 자막이 있으며, 일본을 방문하여 인터뷰를 진행한 적도 있다.[14]
- 1966년 미국이 TIROS-8 위성을 발사했을 때, 천문대 직원들은 라디오 1대, 텔레비전 1대와 안테나만으로 위성 신호를 수신[15]하여 널리 보도되었다.[16]
- 세계기상기구의 세계 기상 정보 서비스 사이트는 홍콩 천문대가 관리하고 있다.[17]
- 국제운도장 웹페이지 버전은 홍콩 천문대가 개발한 것이다.[18][19]
8. 조직
홍콩 천문대는 소장 아래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 총무·연구개발부, 예보·경보부, 항공기상부, 방사능감시·평가부로 나뉜다.
총무·연구개발부에는 기후과, 지구물리·표준시·항만기상과, 기후변동·기후예측과, 홍보·열대저기압예측과, 총무과가 있다. 예보·경보부에는 예보과, 통신과, 예보연구과, 예보시스템과, 정보기술과가 있다. 항공기상부에는 공항기상과, 기상예보시스템과, 항공기상예보·경보과, 레이더·위성기상과가 있다. 방사능감시·평가부에는 환경방사능감시·기상관측과, 교육훈련과, 기상·방사능관측망과, 긴급대응과가 있다.[9][10][11]
각 부서는 기상, 기후, 지진, 해양, 방사능 측정, 시보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이는 일본의 기상청, 국립천문대, 정보통신연구기관의 업무를 합친 것과 비슷하다.[8]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ong Kong Observatory
http://www.hko.gov.h[...]
Hong Kong Observatory
2011-08-07
[2]
웹사이트
Head 168 – HONG KONG OBSERVATORY
http://www.budget.go[...]
Brand Hong Kong
2019-10-14
[3]
웹사이트
Hong Kong Observatory
http://www.amo.gov.h[...]
[4]
웹사이트
Hong Kong Observatory, Tsim Sha Tsui
http://www.amo.gov.h[...]
Government of Hong Kong
2013-09-22
[5]
웹사이트
Annex I Listing of Declared Monuments
http://www.epd.gov.h[...]
Government of Hong Kong
2013-03-10
[6]
웹사이트
Hong Kong Observatory: Buildings
http://www.hko.gov.h[...]
[7]
웹사이트
The Directors
https://www.hko.gov.[...]
2023-09-08
[8]
웹사이트
天文台綱領範圍
http://www.hko.gov.h[...]
2019-07-16
[9]
웹사이트
香港天文台的歷史
http://www.hko.gov.h[...]
2019-07-16
[10]
Youtube
天文台部門短片 (更新於2017年7月) - YouTube
https://www.youtube.[...]
2019-07-16
[11]
Youtube
天文台全民歷史研習班 - YouTube
https://www.youtube.[...]
2019-07-16
[12]
웹사이트
天文台綱領範圍
http://www.hko.gov.h[...]
2019-07-16
[13]
웹사이트
YouTube天氣短片新增原創背景音樂
https://www.weather.[...]
2019-07-16
[14]
Youtube
【飛出香港】點解由香港搭飛機去日本通常比回程快? - YouTube
https://www.youtube.[...]
2019-07-16
[15]
웹사이트
香港氣象衛星接收系統
http://www.hko.gov.h[...]
2019-07-16
[16]
Youtube
天文台全民歷史研習班(二) - YouTube
https://www.youtube.[...]
2019-07-16
[17]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http://worldweather.[...]
2019-07-16
[18]
웹사이트
International Cloud Atlas
https://cloudatlas.w[...]
2019-07-16
[19]
Youtube
國際雲圖 - YouTube
https://www.youtube.[...]
2019-07-16
[20]
웹인용
Head 168 – HONG KONG OBSERVATORY
http://www.budget.go[...]
Brand Hong Kong
2019-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