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콩의 문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의 문장은 홍콩의 역사와 정체성을 나타내는 공식적인 상징이다. 영국 식민지 시대에는 두 가지 형태의 문장이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아군대로도(阿群帶路圖)가 사용되었으며, 1876년부터 1959년까지 영국령 홍콩의 문장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1959년부터 1997년 홍콩 반환까지는 새로운 문장이 사용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현재의 문장이 사용되고 있으며, 원형의 디자인에 자귀나무, 오성홍기, 중국어와 영어 문구가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상징 - 홍콩의 기
    홍콩의 기는 붉은 바탕에 흰색 바우히니아 꽃이 그려진 홍콩 특별행정구의 기이며, 1990년 허타오의 디자인으로 제정되어 1997년 반환과 함께 사용되기 시작했고, 홍콩과 중국 본토의 관계 및 '일국양제' 원칙을 상징하며 사용 및 훼손 금지에 대한 규정이 명시되어 있고, 영국 통치 및 일본 점령기의 기에 대해서도 다룬다.
  • 홍콩의 상징 - 양자형
    양자형은 홍콩의 상징으로 알려진 콩과 하카마카즈라속 식물로, 홍콩에서 처음 발견되어 신종으로 보고되었으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홍콩의 깃발과 휘장에 사용되며, 전통 의학에서 약재로도 쓰인다.
  • 용 문장 - 부탄의 국장
    부탄의 국장은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쥐고 있는 형상으로, 불교 국가인 부탄의 종교적 특성과 왕권을 상징한다.
  • 용 문장 - 러시아의 국장
    러시아의 국장은 러시아를 상징하는 국가 문장으로, 쌍두 독수리와 성 게오르기우스가 용을 물리치는 모습이 주요 구성 요소이며,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로부터 러시아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치며 변화를 겪어왔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상징 - 동방홍
    동방홍은 중국 섬서성 북부 민요 가락에 리유위안이 가사를 붙여 마오쩌둥을 찬양하는 노래로, 마오쩌둥 시대에 사실상 국가 역할을 했으며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마오쩌둥 개인 숭배에 이용되었고, 덩샤오핑 시대 이후 공식적인 사용은 줄었으나 중국인들에게 문화적 상징으로 남아 뮤지컬, 기관차, 역, 광장 등의 명칭에 사용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상징 - 천안문
    천안문은 자금성 남쪽에 위치한 중국의 상징적인 성문으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선포식 이후 중국을 대표하는 상징물이 되었으며, 마오쩌둥 초상화와 슬로건이 걸려 있고, 역사적 사건의 중심지이자 관광 명소이다.
홍콩의 문장
기본 정보
홍콩 특별행정구 구 휘장
홍콩 특별행정구 구 휘장
공식 명칭홍콩 특별행정구 구 휘장
중국어 (번체)香港特別行政區區徽
중국어 병음Hēung góng dahk biht hàhng jing kēui kēui fāi
광동어 예일Hoeng¹ gong² dak⁶ bit⁶ hang⁴ zing³ keoi¹ keoi¹ fai¹
약칭구 휘장
사용 시작1997년
국가홍콩
문양바우히니아 블라케아나 (Bauhinia blakeana)
색상적색, 은색

2. 역사

홍콩의 문장은 크게 영국 식민 통치 시기1997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주권이 반환된 이후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시기별 문장은 당시 홍콩의 정치적 상황과 정체성을 반영하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영국령 홍콩 시기에는 초기 문장인 '아군대로도'와 1959년에 제정된 후기 문장이 사용되었다. 이들 문장은 영국중국의 관계, 홍콩의 해상 무역 등을 상징하는 요소들을 담고 있었다. 특히 1959년 문장은 영국을 상징하는 사자와 중국을 상징하는 용을 포함하여 당시 홍콩의 복잡한 국제적 위치를 드러냈다.[2]

1997년 7월 1일, 홍콩의 주권이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이양되면서 새로운 문장이 채택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현재의 문장은 붉은색 바탕에 흰색 자귀나무(바우히니아) 꽃을 중심으로 디자인되었으며, 꽃잎 안의 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기를 상징한다.[2] 이는 홍콩이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임을 나타낸다.

2. 1. 영국 식민지 시대 (1843년 ~ 1997년)

영국령 홍콩 시기 동안 사용된 문장은 크게 두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 문장은 1843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1959년까지 여러 차례 수정을 거치며 사용되었다. 이 시기의 문장은 흔히 '아군대로도'라고도 불리며, 초기 홍콩 항구의 모습과 무역 활동 등을 묘사하는 도안을 특징으로 한다.

1959년 1월 21일에는 새로운 문장이 공식적으로 제정되어 1997년 7월 1일 주권이 중국으로 반환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이 문장은 방패를 중심으로 영국을 상징하는 사자와 중국을 상징하는 용이 양옆에 배치되어 영국과 중국의 관계를 나타냈다.[2] 또한 정크선과 해군 왕관 등의 요소를 통해 홍콩의 해상 무역과 영국 해군 및 상선대와의 연관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2. 1. 1. 아군대로도 (1876년 ~ 1959년)

'''아군대로도'''(阿群帶路圖|아군대로도중국어)는 1876년부터 1959년까지 사용된 영국령 홍콩의 문장이다. 이 문장은 19세기에 영국 군대가 홍콩에 상륙할 당시, 홍콩섬의 어촌에 살던 진군(陳群, 애칭 아군(阿群))이라는 여성 어민이 길을 안내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1843년 영국령 홍콩 정부는 홍콩을 상징하는 직인 디자인으로 이 문장의 초기 형태를 처음 사용했다. 이후 1876년에 디자인을 수정하여 영국령 홍콩의 공식 문장으로 채택했다. 1843년부터 1959년까지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쳤지만 기본적인 도안의 아이디어는 유지되었다. 초기 디자인(1843년)은 전경 왼쪽에 상인 세 명과 부두에 쌓인 화물을 묘사했고, 배경에는 사각형 돛을 단 배와 중국식 정크선, 그리고 원뿔 모양 언덕을 배경으로 청나라 국기가 펄럭이는 항구가 그려져 있었다. 문장 위쪽에는 영국 왕실 문장이 있었다.

1876년에 수정된 문장은 하단에 육지를 그렸고, 육지 위에는 여러 개의 화물 상자와 영국 상인 1명과 상담하는 중국 상인 2명을 배치했다. 바다 위에는 청나라를 상징하는 황룡기가 달린 중국 범선과 영국의 상선기인 레드 엔사인(Red Ensign)을 단 영국 상선이 나란히 그려져 있다. 바다 뒤쪽으로는 산과 마을 풍경이 펼쳐진다. 이 디자인에서 육지와 바다는 홍콩섬 연안과 빅토리아 항을, 산과 마을은 가우룽반도를 상징한다.

영국령 홍콩 시기 동안 이 문장은 홍콩 경찰의 문장이나 홍콩상하이은행이 발행한 홍콩 달러 지폐 디자인에도 사용되었다.

홍콩의 식민지 문장 (1843–1959)

2. 1. 2. 영국령 홍콩의 문장 (1959년 ~ 1997년)

1959년 1월 21일 영국령 홍콩 정부에 의해 채택되어 중국 반환일인 1997년 7월 1일까지 사용된 문장이다.

문장 중앙의 방패는 상하로 나뉜다. 상단은 빨간색 바탕에 금색 해군 왕관과 하얀색 요철 무늬가 있다. 해군 왕관은 해군 및 상선대와의 연관성을, 요철 무늬는 홍콩의 요새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에 맞선 방어를 상징한다.[2] 하단에는 파란색과 하얀색 물결 무늬 위에 정크선 두 척이 떠 있다. 물결 무늬는 홍콩을 둘러싼 바다를, 정크선은 동양식 해상 무역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방패 왼쪽에는 왕관을 쓴 금색 사자가, 오른쪽에는 금색 중국 용이 방패를 지지하고 있다. 사자는 영국을, 용은 중국을 상징하며, 이는 영국과 중국이 홍콩에서 만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방패와 지지자는 '홍콩'(HONG KONG)이라는 글자가 적힌 리본이 놓인 섬 모양의 칸막이 위에 서 있는데, 이는 섬으로서의 홍콩의 시작과 해양 및 언덕이 많은 지리를 나타낸다.

방패 위쪽에는 왕관을 쓴 금색 사자가 두 발로 진주를 들고 있는 모습의 관모가 있다. 이 진주는 홍콩의 별칭인 "동방의 진주"를 의미하며, 작지만 귀중한 홍콩의 가치를 상징한다.

이 문장은 1959년 7월 식민지 기에도 채택되었으며, 영국 통치 기간 동안 총독부, 입법회, 대부분의 법원, 중앙 정부 사무소 등 주요 기관에 전시되었다.[3] 또한 정부 비행 서비스의 항공기에도 사용되었다. 문장의 관모에 있는 작은 사자는 1997년 반환을 준비하며 바우히니아 디자인이 도입되기 전까지 홍콩 주화의 뒷면에 등장하기도 했다.

홍콩 정부는 1997년 주권 반환 이후 이 문장의 사용을 중단하고 새로운 지역 문장으로 대체했다. 현재는 홍콩 자치 운동(HKAM)이라는 단체에서 파란색 바탕에 옛 문장을 넣은 깃발을 홍콩 자치를 위한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반환 이후 (1997년 ~ 현재)

1997년 7월 1일 홍콩의 주권이 영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이양되면서 새로운 문장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재 사용되는 홍콩의 문장은 전체적으로 '''원형'''이며, 붉은색 바탕을 사용한다. 문장의 중심에는 홍콩을 상징하는 흰색 자귀나무 (바우히니아) 꽃이 그려져 있다. 이 꽃은 다섯 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꽃잎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기를 상징하는 붉은색 오각별과 붉은색 암술대가 새겨져 있다.[2] 꽃잎들은 문장 중심점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열되어 있다.

문장의 바깥쪽에는 흰색 배경의 고리가 있으며, 여기에는 붉은색 글씨가 새겨져 있다. 고리 윗부분에는 중국어 정체자로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라는 공식 명칭이 표준 서체로 적혀 있고, 아랫부분에는 영어로 'HONG KONG'이 표기되어 있다. 글자들은 문장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문장은 홍콩 정부 청사, 행정장관 관저, 행정회의, 입법회, 각급 법원, 구청, 홍콩의 모든 국경 통제소 및 검문소, 홍콩 국제공항, 해외 홍콩 경제무역사무소 등 주요 정부 기관 및 시설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된다.[3] 또한, 행정장관의 공식 차량에 부착되며, 홍콩 정부가 발행하는 자문 보고서나 정책 연설과 같은 중요한 문서의 표지에도 사용된다.

3. 상징

홍콩의 문장에 사용된 여러 요소들은 홍콩의 역사, 지리, 문화를 반영하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영국령 홍콩 시기(1959년~1997년)의 문장은 영국중국의 영향을 동시에 보여준다.


  • 방패 안의 물결 무늬와 섬은 바다와 언덕이 많은 홍콩의 지형을 나타낸다.
  • 요철 무늬는 홍콩의 방어 시설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홍콩 방어전을 상징한다.[2]
  • 금색 해군 왕관은 영국 해군 및 상선대와의 연관성을 의미한다.[2]
  • 정크선은 중국 전통 선박으로 홍콩의 활발한 해상 무역을 상징한다.
  • 방패를 받치는 왕관 쓴 사자와 용은 각각 영국과 중국을 상징하며, 두 문화가 홍콩에서 만나는 것을 나타낸다.
  • 방패 위 왕관 쓴 사자가 들고 있는 진주는 홍콩의 별칭인 '동방의 진주'를 의미하며, 작지만 귀중한 홍콩의 가치를 상징한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사용되는 현재의 문장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강조한다.

  • 전체적으로 붉은색 바탕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상징한다.
  • 중앙의 흰색 자귀나무(바우히니아)는 홍콩을 상징하는 꽃이다.
  • 자귀나무 다섯 꽃잎 안의 붉은색 오각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기인 오성홍기의 별을 따온 것으로, 홍콩이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임을 나타낸다.
  • 문장 테두리에는 중국어 정체자로 中華人民共和國香港特別行政區중국어와 영어로 'HONG KONG'이라는 공식 명칭이 표기되어 있다.

3. 1. 아군대로도

'''아군대로도'''(阿群帶路圖)는 1876년부터 1959년까지 사용된 영국령 홍콩의 문장이다. 문장 하단에는 육지가 그려져 있으며, 그 위에는 여러 개의 화물 상자와 함께 영국 상인 1명과 상담하는 중국 상인 2명이 묘사되어 있다. 바다 위에는 청나라를 상징하는 황룡기를 단 중국 범선과 영국의 상선기인 레드 엔사인을 단 영국 상선이 나란히 그려져 있다. 바다 뒤쪽으로는 산과 마을이 보인다. 여기서 육지와 바다는 각각 홍콩섬 연안과 빅토리아 항을, 산과 마을은 가우룽반도를 상징한다.

이 문장은 19세기 영국 군대가 홍콩에 처음 상륙했을 때, 홍콩섬 어촌에 살던 '진군'(陳群, 애칭 '아군'(阿群))이라는 여성 어민이 길을 안내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1843년 영국령 홍콩 정부가 홍콩을 상징하는 직인 디자인으로 처음 사용했으며, 1876년에 디자인을 수정하여 공식 문장으로 채택했다. 영국령 홍콩 시기에는 홍콩 경찰의 문장이나 홍콩상하이은행이 발행한 홍콩 달러 지폐 디자인에도 사용되었다.

식민지 문장은 1843년부터 1959년에 문장이 수여될 때까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여러 차례 수정되었지만 기본적인 구도는 유지되었다. 문장의 전경 왼쪽에는 세 명의 상인과 부두에 쌓인 화물이 묘사되어 있었다. 배경에는 사각형 돛을 단 배와 중국의 정크선이 있었고, 원뿔형 언덕을 배경으로 청나라 국기가 휘날리는 항구가 묘사되었다. 위쪽에는 영국 왕실 문장이 있었다.

3. 2. 영국령 홍콩의 문장

영국령 홍콩의 문장은 1959년 1월 21일에 영국령 홍콩 정부에 의해 채택되어 중국 반환일1997년 7월 1일까지 사용되었다.

문장 중앙 방패에는 파란색과 하얀색 바다 물결 무늬 위에 떠 있는 초록색 섬이 그려져 있어, 바다와 접한 홍콩을 나타낸다. 방패 안쪽 윗부분에는 빨간색 바탕에 금색 해군 왕관이 그려져 있고, 그 아래에는 하얀색 요철 무늬가 있다. 금색 해군 왕관은 영국 해군과 상선대와의 연관성을, 요철 무늬는 홍콩의 요새를 의미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일본에 맞서 싸운 홍콩 방어전을 기념한다.[2] 방패 아래쪽에는 파란색과 하얀색 바다 물결 무늬 위에 정크선 두 척이 그려져 있다. 이는 중국의 전통 선박으로 홍콩의 해상 무역의 중요성을 상징한다.

방패 왼쪽에는 왕관을 쓴 금색 사자가, 오른쪽에는 금색 용이 방패를 받들고 있다. 사자는 영국을, 용은 중국을 상징하며, 이는 영국과 중국 두 문화가 홍콩에서 만나는 것을 의미한다. 방패 위에는 왕관을 쓴 금색 사자가 두 발로 진주를 들고 서 있다. 이 진주는 홍콩의 별칭인 '동방의 진주'를 상징하며, 작지만 귀중한 홍콩의 가치를 나타낸다. 방패 아래쪽 녹색 섬 모양의 받침대 위에는 'HONG KONG'이라는 영어 명칭이 적힌 리본이 있다.

이 문장은 1959년 7월 식민지 기에도 채택되었으며, 홍콩 반환 이전까지 홍콩 주화 뒷면에도 사용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홍콩 정부는 이 문장의 사용을 중단하고 새로운 지역 문장으로 대체했다. 한편, 홍콩 자치 운동(HKAM)이라는 단체는 이 옛 문장을 파란색 바탕에 넣어 홍콩 자치를 위한 깃발로 사용하기도 했다.

3. 3. 현재의 문장

현재 사용되는 홍콩의 문장은 1997년 7월 1일 홍콩의 주권이 영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이양된 후 사용되기 시작했다.

문장은 전체적으로 원형이며, 붉은색 원형 테두리 안쪽에 문자가 새겨진 흰색 바깥 고리와, 가운데 자귀나무(바우히니아) 도안이 있는 붉은색 안쪽 고리로 구성된다. 안쪽 고리 중앙의 자귀나무 도안은 흰색이며, 다섯 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꽃잎에는 붉은색 오각별과 붉은색 암술대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국기인 오성홍기의 별을 상징하며 홍콩이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임을 나타낸다. 꽃잎들은 문장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열되어 있다.

바깥 고리는 붉은색 테두리와 안쪽 고리 사이에 위치하며, 흰색 배경에 붉은색 문자가 새겨져 있다. 위쪽에는 중국어 정체자로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라는 공식 명칭이 표준 형식으로 배열되어 있고, 아래쪽에는 영어로 "HONG KONG"이 같은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홍콩의 문장은 홍콩 정부청사를 비롯한 주요 정부 청사 및 건물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홍콩 행정회의, 홍콩 입법회, 각급 법원, 구청, 홍콩의 모든 국경 통제소 및 검문소, 홍콩 국제공항, 해외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등에서 볼 수 있다. 또한 홍콩 행정장관의 공식 차량에도 부착되며, 정부에서 발행하는 자문 보고서나 정책 연설문과 같은 중요한 문서의 표지에도 사용된다.

참조

[1] 문서 Hong Kong Basic Law
[2] 서적 Flag badges, seals, and arms of Hong Kong Govt. Press
[3] 서적 Hong Kong and British culture, 1945–97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