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신백화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신백화점은 일제강점기인 1931년 박흥식이 경성부에 설립한 백화점이다. 1935년 화재로 소실된 후 박길룡의 설계로 1937년 6층 건물로 재건되었으며,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옥상 전광 게시판 등 당시 최첨단 시설을 갖추었다. 광복 후에도 운영되었으나, 1987년 폐점하고 철거되었다. 이후 이건희가 토지를 매입하여 종로타워를 건설했으며, 현재는 SK그룹 소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7년 해체된 기업 - 삼성전기
삼성전기는 1973년 삼성산요파츠로 설립되어 MLCC, 카메라 모듈, 반도체용 기판 등을 생산하며 스마트폰, 자동차 전장용 부품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글로벌 생산 거점 확보 및 지속가능경영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전자 부품 제조 기업이다. - 1987년 해체된 기업 - 파블로 레코드
파블로 레코드는 1973년 노먼 그란츠가 설립한 재즈 음반 레이블로, 엘라 피츠제럴드, 오스카 피터슨 등 거장들의 음반을 발매했으며, 이후 판타지 레코드를 거쳐 콩코드 뮤직 그룹의 일부가 되었다. - 없어진 백화점 - 삼풍백화점
삼풍백화점은 부실 공사, 무리한 구조 변경, 안전 관리 부재로 1995년 붕괴되어 502명의 사망자를 낸 대한민국의 백화점이며, 이 사고는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인명 피해를 낸 참사로 기록되어 재난 및 안전 관리 시스템 개선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없어진 백화점 - 미도파백화점
미도파백화점은 일제강점기 죠지야백화점으로 시작된 백화점이며, 1975년 매장 사진을 통해 당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일본의 백화점 - 미쓰코시
미쓰코시는 1673년 기모노 판매점 에치고야로 시작하여 현금 판매와 정찰제를 도입, 일본 최초 백화점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이세탄 미쓰코시홀딩스의 일부로 일본 및 해외에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가진 백화점이다. - 일본의 백화점 - 세이부 백화점
세이부 백화점은 1928년 다루마야 창업으로 시작하여 194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일본의 대표적인 백화점으로, 이케부쿠로 본점 중심 성장, 혁신적인 경영, 경영 위기, 재건, 해외 진출 등을 거치며 일본 유통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독자적인 이미지를 구축해왔다.
화신백화점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적 | 경성부 본정 서울특별시 종로구 |
영문 사명 | 화신백화점 (Whashin Department Store) |
종류 | 백화점 |
설립 | 1931년 |
해체 | 1987년 2월 |
업종 | 6100 |
사업 내용 | 소매업 |
창립자 | 박흥식 |
대표 | 박흥식 |
관련 인물 | 박길룡 이건희 |
추가 정보 | |
본점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 역사
1931년, 일제강점기 조선의 기업가인 박흥식이 경성부 본정(현재의 서울 종로)에 화신백화점을 설립했다. 1935년 화재로 전소된 후, 건축가 박길룡의 설계로 1937년에 지상 6층, 지하 1층 건물로 재건되었다. 이는 당시 경성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며, 내부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옥상에는 전광 게시판이 설치되어 있었다.
1945년 광복 이후에도 화신백화점은 존속했지만, 1987년 2월에 폐업하고 같은 해 6월에 건물이 철거되었다. 이후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가 토지를 매입하여 1999년에 종로타워를 완공했으나, 2016년에 이지스 자산운용에 매각되었다.[2][3] 그 후, KB자산운용에 매각된 뒤, 2022년에는 SK그룹의 소유가 되었다.
2. 1. 화신상회
1908년 11월 김연학의 자본과 신태화의 기술을 기반으로 남대문통 2정목에 신행상회(信行商會)라는 이름의 금은상점이 설립되었다.[4] 1915년 김연학의 아들 김석규가 대를 이었으며 7월에는 종로 지점을 설치한다.[4] 1918년 3월에는 동업을 그만두고 본점은 김석규가, 종로점은 신태화가 운영한다.[4] 신태화는 처음에는 광신상회(廣信商會)라 명명하였으나 곧 본인의 이름에서 '화(和)'를, 신행상회에서 '신(信)'을 따와 화신상회(和信商會)로 이름을 바꾸었다.[4]2. 2. 화신백화점 설립과 운영
신태화는 무리한 사업 확장과 1929년 대공황으로 인해 박흥식에게 진 채무를 갚지 못하고, 1931년 경영권을 인계한다. 박흥식은 신태화에서 상회를 주식회사로 전환할 것을 제안하고, 회장직에 신태화를 앉힌 뒤 본인은 사장으로 취임하여 경영 실권을 갖게된다. 1932년에는 동아백화점을 인수 합병, 1934년에는 상호명을 화신상회에서 ㈜화신으로 변경하고, 신태화를 퇴임시킨다.[4]1935년 1월 27일에 화신백화점 서관에서 화재가 나 서관이 전소, 동관이 반소되는 피해를 입는다. 박흥식은 명월관에서 총독 우가키 가즈시게를 만나 백화점의 전소는 안일한 소방시스템으로 인한 것이므로 정부와 총독의 책임을 주장하고, 화재 발생 일주일 뒤 동관 수습 후 결국 전 종로경찰서 건물을 빌려 임시 개점한다.[4][5]
이후 박길룡과 이천승의 설계로 1937년 11월에 지하 1층, 지상 6층의 현대식 백화점 건물로 재건되었다.[5] 재건된 건물은 당시 경성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며, 내부에 엘리베이터 4대와 에스컬레이터 2대가 설치되고 옥상에 일루미네이션이 설치되었다.[6] 쇼핑이 아니더라도 엘레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사람들이 방문했다.[7]
1937년 중일전쟁, 1941년 태평양전쟁에 따라 일제는 전시총동원체계에 돌입한다. 백화점에서는 전쟁을 홍보하는 전람회가 열렸고, 일루미네이션은 일제를 선전하는 도구로 이용되었다. 화신무역회사는 1944년 총독부의 지원으로 조선비행기공업주식회사를 설립한다.[4]
2. 3. 광복 이후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이 성립된 후에도 화신백화점은 계속 영업을 지속하였다. 직후 화신백화점 노동자들은 박흥식 타도 및 경영권을 자치위원회로 넘길 것을 주장했으나, 미군정에 의해 좌절된다.[8] 박흥식은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체포되었다. 6.25 전쟁 발발 후에는 인민군 치하에서 국영백화점으로 운영되다가 서울 수복 전투에서 화재가 일어나 영업하지 못했다. 해방 후 화신은 1955년에는 맞은편에 신신백화점을 건립하고, 1956년에는 전체 수리를 마친 뒤 재개장한다.[4]1962년 종로2정목 3~4번지의 소유주인 한학수는 자기 소유의 건물을 종로백화점이라는 이름으로 직접 운영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화신백화점은 2개로 나뉘었다. 1967년에는 종로백화점이 ㈜신생에 인수되어 신생백화점으로 상호명을 바꾼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무리한 사업 확장과 경영 악화, 그리고 이후 개점한 신세계백화점과 롯데백화점, 미도파백화점 등에 밀려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화신은 1980년 부도, 건물의 소유주는 계속 바뀐다. 결국 백화점은 1987년 2월 문을 닫았고 3월 14일 철거가 시작된다. 후에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가 화신백화점의 토지를 매수하여, 1999년 종로타워를 완공하였다. 이후, 종로타워는 2016년에 매각이 결정되어, 같은해 3월 이지스 자산운용에 정식으로 매각되었다.[9] 그 후, KB자산운용에 매각된 뒤, 2022년에는 SK그룹의 소유가 되었다.
2. 4. 폐점과 그 이후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이 성립된 후에도 화신백화점은 계속 영업을 지속하였다. 직후에는 화신백화점 노동자들이 박흥식 타도 및 경영권을 자치위원회로 넘길 것을 주장했으나, 미군정에 의해 좌절된다.[8]박흥식은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체포되었다. 6.25 전쟁 발발 후에는 인민군 치하에서 국영백화점으로 운영되다가 서울 수복 전투에서 화재가 일어나 영업하지 못하였다. 해방 후 화신은 1955년에는 맞은편에 신신백화점을 건립하고, 1956년에는 전체 수리를 마친 뒤 재개장한다.[4]
1962년 종로2정목 3~4번지의 소유주인 한학수는 자기 소유의 건물을 종로백화점이라는 이름으로 직접 운영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화신백화점은 2개로 나뉘었다. 1967년에는 종로백화점이 ㈜신생에 인수되어 신생백화점으로 상호명을 바꿨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무리한 사업 확장과 경영 악화, 그리고 이후 개점한 신세계백화점과 롯데백화점, 미도파백화점 등에 밀려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화신은 1980년 부도, 건물의 소유주는 계속 바뀐다. 결국 백화점은 1987년 2월 문을 닫았고 3월 14일 철거가 시작된다.[9]
이후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가 화신백화점의 토지를 매수하여, 1999년 종로타워를 완공하였다. 종로타워는 2016년에 매각이 결정되어, 같은 해 3월 이지스 자산운용에 정식으로 매각되었다.[9] 그 후, KB자산운용에 매각된 뒤, 2022년에는 SK그룹의 소유가 되었다.
3. 건축학적 특징
3. 1. 재건축 이전
3. 2. 재건축 (1937)
4. 사회문화적 의의
4. 1. 일제강점기
박흥식이 1931년 일제강점기 조선의 경성부 본정(현재 명동과 을지로 일대)에 설립했다. 1935년 전소된 후 박길룡의 설계에 따라 1937년에 지상 6층, 지하 1층의 건물이 재건되었다. 이는 당시 경성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며, 내부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옥상에는 전광 게시판이 설치되어 있었다.4. 2. 광복 이후
5.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그때 오늘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1-28
[2]
뉴스
韓国サムスン、相次ぐ資産・事業売却に見る本気度
http://jbpress.ismed[...]
2016-01-14
[3]
뉴스
イージス第81号私募不動産投資有限会社による鍾路タワーの買い取り
https://www.kimchang[...]
2019-07-31
[4]
웹인용
화신백화점_사라진 종로의 랜드마크
https://museum.seoul[...]
2021-10-12
[5]
웹인용
"[이호 기자의 공개 못한 취재수첩] 경찰서 임대해 신신백화점 설립"
https://jmagazine.jo[...]
중앙일보
2021-10-18
[6]
뉴스
불에 탄 화신백화점, 6층짜리 ‘초고층’ 건물로 다시 태어나다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7]
서적
내가 자란 서울
1990
[8]
웹인용
해방 후(1945~46년) 공장관리운동 60주년 - 한국사 최초의 대중적 노동자 민주주의
https://wspaper.org/[...]
2021-10-18
[9]
간행물
김앤장 뉴스레터
https://www.kimchang[...]
2016-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