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확률의 공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확률의 공리는 확률 이론의 기초를 다지는 일련의 규칙으로, 확률 공간을 정의하고 확률 측도의 성질을 규정한다. 확률의 공리는 안드레이 콜모고로프에 의해 정립되었으며, 비음성, 정규화, 가산 가법성의 세 가지 공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리들을 통해 공집합의 확률, 여사건의 확률, 포함-배제 원리, 확률의 덧셈 정리 등 다양한 확률 관련 성질들을 유도할 수 있다. 확률의 공리는 표본 공간, 사건 공간, 확률 측도로 구성된 확률 공간을 정의하며, 동전 던지기와 같은 간단한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돕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리 - 평행선 공준
    평행선 공준은 유클리드 기하학의 다섯 번째 공준으로, 한 직선 밖의 한 점을 지나는 평행선이 많아야 하나 존재한다는 내용이며, 이를 부정함으로써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탄생했다.
  • 공리 - 페아노 공리계
    페아노 공리계는 자연수를 엄밀하게 정의하기 위해 주세페 페아노가 제시한 공리계로, 자연수 집합이 만족해야 할 5가지 성질(0의 존재, 따름수의 존재, 따름수의 0이 아님, 따름수 함수의 단사성, 수학적 귀납법)을 규정하며 현대 수학의 기초를 이룬다.
  • 확률론 - 확률 밀도 함수
    확률 밀도 함수는 연속 확률 변수의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함수로, 특정 구간에서 확률 변수가 값을 가질 확률은 해당 구간에 대한 함수의 적분으로 계산되며, 통계적 특성 계산 및 변수 변환 등에 활용되어 불확실성 모델링 및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확률론 - 체비쇼프 부등식
    체비쇼프 부등식은 확률 변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확률의 상한을 제공하는 부등식으로, 이레네-쥘 비네메가 처음 공식화하고 체비쇼프와 안드레이 마르코프에 의해 일반화 및 증명되었으며, 확률론적 표현 외에도 측도 공간에 대한 명제로 확장될 수 있다.
확률의 공리

2. 콜모고로프 공리

콜모고로프 공리는 현대 확률론의 수학적 기초를 제공하는 세 가지 공리이다. 이 공리들은 확률을 측정 가능한 공간에서 정의된 함수로 규정하며, 확률이 가져야 할 기본적인 성질들을 명시한다.

콜모고로프(Андрей Николаевич Колмогоров)는 확률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리계를 제시했다.[13]

확률 공간 (\Omega, \mathfrak{F}, P)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Omega근원사건의 집합이다.
  • \mathfrak{F}\Omega의 부분 집합으로 구성된 족(family)이며, 사건이라고 불린다.
  • P\mathfrak{F} 상의 집합 함수이다.


이때, 다음의 5가지 공리를 만족해야 한다.

1. \mathfrak{F}는 유한 개의 요소에 의한 합집합, 차집합, 교집합에 대해 닫혀 있다.[14]

2. \mathfrak{F}\Omega를 포함한다. 즉, \Omega \in \mathfrak{F}.[15]

3. P는 비음의 실수 값을 취한다. 즉, P:\mathfrak{F} \rightarrow \mathbb{R}_{\geq 0}

4. P(\Omega) = 1.

5. A, B \in \mathfrak{F}가 상호 배타적인 집합(Disjoint sets)이라면, P(A \cup B) =P(A) + P(B)이다. (유한 가법성)

\Omega가 무한 집합일 경우에는 다음의 연속성 공리가 추가된다.[16]

6. \mathfrak{F}의 감소열 A_1 \supset A_2 \supset A_3 \supset \cdots가, \textstyle\bigcap\limits_{n=1}^\infty A_n =\emptyset를 만족한다면, \lim_{n\to\infty} P(A_n) =0.

공리 5와 6으로부터 일반화 가법 정리(완전 가법성)가 유도된다.[18]
일반화 가법 정리: 집합열 \{ A_n \}_{n\in \mathbb{N}}가 상호 배타적이며, \textstyle\bigcup\limits_{n=1}^{\infty} A_n \in \mathfrak{F}라면,

::P\bigl( \textstyle\bigcup\limits_{i=1}^\infty A_i \bigr) = \sum\limits_{i=1}^\infty P(A_i).

일반화 가법 정리를 만족하는 P\mathfrak{F}가 생성하는 완전 가법족(σ-대수) 상의 비음이며 완전 가법적인 집합 함수로 유일하게 확장 가능하다.[19]

현대에는 이 논의를 바탕으로 확률 측도의 세 가지 조건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20]

: \Omega는 임의의 집합, \mathfrak{F}\Omega 위의 완전 가법족 (σ-집합체) (또는 유한 가법족), P\mathfrak{F} 위의 집합 함수이다. P가 다음 3가지 조건을 만족할 때(하위 섹션 참조), P(\Omega, \mathfrak{F}) 위의 확률 측도가 되며, \Omega는 표본 공간, \mathfrak{F}는 사상 공간이라고 불린다.

2. 1. 제1공리 (비음성)

모든 사건의 확률은 음수가 아닌 실수이다.[13][14][15][16][17][18][19][20]

:P(E)\in\mathbb{R}, P(E)\geq 0 \qquad \forall E \in F (F사건 공간)

이에 따라 P(E)는 일반 측도론에서 다루는 일부 대상과는 달리 반드시 유한해야 한다. 음의 확률을 할당하는 이론은 이 공리를 완화한다.

2. 2. 제2공리 (정규화)

전체 표본 공간의 확률(적어도 하나의 근원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1이다.[13][14][15][16][17][18][19][20]

:P(\Omega) = 1.

이는 단위 측도의 가정으로, 전체 표본 공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본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1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선거에서 모든 후보의 득표율을 합하면 100%가 되고, 여론조사에서 모든 응답의 비율을 합해도 100%가 되는 것과 같다.

2. 3. 제3공리 (가산 가법성)

시그마 가법성에 관한 공리이다.

서로소 집합(상호 배타적인 사건들)의 가산E_1, E_2, \ldots은 항상 다음을 만족한다.

::P\left(\bigcup_{i = 1}^\infty E_i\right) = \sum_{i=1}^\infty P(E_i).

이는 σ-가산성의 가정이다. 가산 수열의 상호 배타적 사건 (''상호 배타적 사건''과 같음) E_1, E_2, \ldots는 다음을 만족한다.

::P\left(\bigcup_{i = 1}^\infty E_i\right) = \sum_{i=1}^\infty P(E_i).

현대에는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20]

\Omega는 임의의 집합, \mathfrak{F}\Omega 위의 완전 가법족 (σ-집합체) (또는 유한 가법족), P\mathfrak{F} 위의 집합 함수이다. P가 다음 3가지 조건을 만족할 때, P(\Omega, \mathfrak{F}) 위의 확률 측도가 되며, \Omega는 표본 공간, \mathfrak{F}는 사상 공간이라고 불린다.

σ-가법성의 가정에서 상호 배타적인 집합 (Disjoint sets)의 임의의 가산개의 열 (Mutual exclusivity|상호 배타영어와 동의어) E_1, E_2, \cdots \in \mathfrak{F}는 다음을 만족한다.

::P \Bigl( \textstyle\bigcup\limits_{i=1}^\infty E_i \Big) = \sum\limits_{i=1}^\infty P(E_i).

3. 공리로부터 유도되는 성질

콜모고로프의 공리로부터 확률을 연구하는 데 유용한 다른 법칙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법칙들의 증명[6][7][8]은 제3공리의 강력함과 앞선 두 공리와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매우 통찰력 있는 절차이다.

아래는 공리로부터 유도되는 주요 성질들이다. (각 성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하위 섹션 참조)


  • 공집합의 확률: 공집합의 확률은 0이다.
  • 여사건의 확률: 어떤 사건이 일어나지 않을 확률은 1에서 그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뺀 값과 같다.
  • 포함-배제 원리: 확률의 덧셈 법칙을 임의의 개수의 집합으로 확장한 것이다.
  • 단조성: A가 B의 부분집합이면 A의 확률은 B의 확률보다 작거나 같다.
  • 확률의 덧셈 정리: 두 사건의 합집합의 확률은 각 사건의 확률의 합에서 두 사건의 교집합의 확률을 뺀 값과 같다.

3. 1. 공집합의 확률

콜모고로프 공리로부터 확률을 연구하는 데 유용한 다른 규칙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이 규칙들의 증명[6][7][8]은 세 번째 공리의 강력함과 앞선 두 공리와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매우 통찰력 있는 절차이다.

:P(\varnothing)=0.

대부분의 경우, \varnothing는 확률이 0인 유일한 사건이 아니다.

P(\varnothing \cup \varnothing) = P(\varnothing)인데, 그 이유는 \varnothing \cup \varnothing = \varnothing이기 때문이다. 셋째 공리를 좌변에 적용하면, P(\varnothing)+P(\varnothing) = P(\varnothing)이 된다(참고로 \varnothing은 자기 자신과 서로소이다). 따라서 P(\varnothing)을 방정식의 각 변에서 빼면 P(\varnothing) = 0이다.

사건이 비가산적인 경우, 반대로 확률이 0이라도 사건이 \varnothing일 필요는 없다. 이전 증명에서 P(\varnothing)=0이 증명되었다. 단, 이 결론은 귀류법으로 증명된다.

:P(B)=P(A)+P(B\setminus A)+\sum_{i=3}^\infty P(E_i)는 수렴하므로, P(\varnothing)=:a라고 하면,

:\sum_{i=3}^\infty P(E_i)=\sum_{i=3}^\infty P(\varnothing)=\sum_{i=3}^\infty a = \begin{cases}

0 &(a=0) \\

\infty &(a>0)

\end{cases}도 수렴한다.

a>0이라고 가정하면, 우변은 발산하여 모순되므로, a= P(\varnothing) =0이 된다.

3. 2. 여사건의 확률

어떤 사건이 일어나지 않을 확률은 1에서 그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뺀 값과 같다.

:P\left(A^{c}\right) = P(\Omega-A) = 1 - P(A)

:AA^{c}가 상호 배타적이며 A \cup A^c = \Omega 일 때:

:P(A \cup A^c)=P(A)+P(A^c) ''... (공리 3에 의해)''

:그리고, P(A \cup A^c)=P(\Omega)=1 ... ''(공리 2에 의해)''

: \Rightarrow P(A)+P(A^c)=1

:\therefore P(A^c)=1-P(A)[6][7][8][22][23][24]

3. 3. 포함-배제 원리

확률의 덧셈 법칙을 임의의 개수의 집합으로 확장한 것이 포함-배제 원리이다.[6][7][8][22][23][24]

3. 4. 단조성

만약 A\subseteq B이면 P(A)\leq P(B)이다.

A가 B의 부분집합이거나 B와 같다면, A의 확률은 B의 확률보다 작거나 같다.[6][7][8]

단조성으로부터 다음이 즉시 도출된다.

:0\leq P(E)\leq 1\qquad \forall E\in F.

이는 여집합 규칙 P(E^c)=1-P(E) 와 '공리 1' P(E^c)\geq0이 주어지면,

1-P(E) \geq 0

\Rightarrow 1 \geq P(E)

\therefore 0\leq P(E)\leq 1

와 같이 증명되며, \varnothing \subset E \subset \Omega에 단조성의 성질을 사용하면, P(\varnothing)=0이므로,

:0\leq P(E)\leq 1 이 성립한다.

3. 5. 확률의 덧셈 정리

두 사건 A와 B의 합집합의 확률은 각 사건의 확률의 합에서 두 사건의 교집합의 확률을 뺀 값과 같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6][7][8]

:P(A \cup B) = P(A) + P(B) - P(A \cap B).

이를 확률의 덧셈 법칙 또는 합 규칙이라고 한다. 즉, 사건 ''A'' ''또는'' ''B''가 발생할 확률은 사건 ''A''의 확률과 사건 ''B''의 확률의 합에서 ''A'' ''그리고'' ''B'' 모두에 속하는 사건의 확률을 뺀 값이다.

이에 대한 증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P(A\cup B) = P(A) + P(B\setminus A) (공리 3에 의해)

따라서,

:P(A \cup B) = P(A) + P(B\setminus (A \cap B)) (B \setminus A = B\setminus (A \cap B)에 의해).

또한,

:P(B) = P(B\setminus (A \cap B)) + P(A \cap B)

두 식에서 P(B\setminus (A \cap B))을 소거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덧셈 법칙을 임의의 개수의 집합으로 확장한 것이 포함-배제 원리이다.

4. 추가 설명

주어진 원본 소스에 '추가 설명'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4. 1. 확률 공간

(\Omega, F, P)P(E)가 어떤 사건 E확률인 측도 공간이라고 하고, P(\Omega) = 1이라고 하자. 그러면 (\Omega, F, P)표본 공간 \Omega, 사건 공간 F 및 확률 측도 P를 갖는 확률 공간이다.

콜모고로프는 확률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리계를 제시했다.[13]

:\Omega근원사건의 집합, \mathfrak{F}\Omega의 부분 집합으로 구성된 족(family)이며, 그 요소는 사건이다. P\mathfrak{F} 상의 집합 함수이다. 다음 5개의 공리를 만족하는 계 (\Omega, \mathfrak{F}, P)를 확률 공간이라고 부른다.

:1. \mathfrak{F}는 유한 개의 요소에 의한 합집합, 차집합, 교집합에 대해 닫혀 있다.[14]

:2. \mathfrak{F}\Omega를 포함한다. 즉, \Omega \in \mathfrak{F}.[15]

:3. P는 비음의 실수 값을 취한다. 즉, P:\mathfrak{F} \rightarrow \mathbb{R}_{\geq 0}

:4. P(\Omega) = 1.

:5. A, B \in \mathfrak{F}가 상호 배타적인 집합이면, P(A \cup B) =P(A) + P(B). (유한 가법성)

\Omega가 무한 집합인 경우에는 다음의 연속성 공리를 추가한다.[16]

:6. \mathfrak{F}의 감소열 A_1 \supset A_2 \supset A_3 \supset \cdots가, \textstyle\bigcap\limits_{n=1}^\infty A_n =\emptyset를 만족한다면, \lim_{n\to\infty} P(A_n) =0.

공리 5와 6으로부터, 다음의 일반화 가법 정리(완전 가법성)가 유도된다.[18]

; 일반화 가법 정리

: 집합열 \{ A_n \}_{n\in \mathbb{N}}는 상호 배타적이며, \textstyle\bigcup\limits_{n=1}^{\infty} A_n \in \mathfrak{F}라면,

:: P\bigl( \textstyle\bigcup\limits_{i=1}^\infty A_i \bigr) = \sum\limits_{i=1}^\infty P(A_i).

일반화 가법 정리를 만족하는 P\mathfrak{F}가 생성하는 완전 가법족(σ-대수) 상의 비음이며 완전 가법적인 집합 함수로 유일하게 확장 가능하다.[19]

4. 1. 1. 표본 공간

표본 공간은 실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결과들의 집합이다.[1]

4. 1. 2. 사건 공간

사건 공간 F는 표본 공간 \Omega의 부분 집합들로 구성된 족(family)이며, 그 요소는 사건이라고 불린다.[13] 사건 공간은 다음의 성질을 만족해야 한다.

:1. F는 유한 개의 요소에 의한 합집합, 차집합, 교집합에 대해 닫혀 있다.[14]

:2. F\Omega를 포함한다. 즉, \Omega \in F.[15]

4. 1. 3. 확률 측도

(\Omega, \mathfrak{F}, P)P(E)가 어떤 사건 E확률인 측도 공간이라고 하고, P(\Omega) = 1이라고 하면, (\Omega, \mathfrak{F}, P)는 표본 공간 \Omega, 사건 공간 F 및 확률 측도 P를 갖는 확률 공간이다.[13]

\Omega는 임의의 집합, \mathfrak{F}\Omega 위의 완전 가법족 (σ-집합체) (또는 유한 가법족), P\mathfrak{F} 위의 집합 함수이다. P가 다음 3가지 조건을 만족할 때, P(\Omega, \mathfrak{F}) 위의 확률 측도가 되며, \Omega는 표본 공간, \mathfrak{F}는 사상 공간이라고 불린다.[20]

5. 간단한 예시: 동전 던지기

한 번의 동전 던지기를 생각해 보자. 동전은 앞면(H) 또는 뒷면(T) 중 하나로 떨어지며, 둘 다 동시에 나올 수는 없다. 동전이 공정한지에 대한 가정은 하지 않는다.[9]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Omega = \{H,T\}

:F = \{\varnothing, \{H\}, \{T\}, \{H,T\}\}

콜모고로프 공리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P(\varnothing) = 0

:앞면도 뒷면도 나오지 않을 확률은 0이다.

:P(\{H,T\}^c) = 0

:앞면 또는 뒷면이 나올 확률은 1이다.

:P(\{H\}) + P(\{T\}) = 1

:앞면이 나올 확률과 뒷면이 나올 확률의 합은 1이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Foundations of the theory of probability https://archive.org/[...] Chelsea Publishing Company
[2] 웹사이트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Kolmogorov axioms? https://www.stat.ber[...] 2019-11-19
[3] 간행물 Probability, Frequency and Reasonable Expectation
[4] 서적 The Algebra of Probable Infere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Interpretations of Probability https://plato.stanfo[...] 2019-11-17
[6] 서적 A first course in probability
[7] 웹사이트 Proofs from axioms https://dcgerard.git[...] 2019-11-20
[8] 웹사이트 Probability (Lecture Notes - Week 3) http://www.maths.qmu[...] 2019-11-20
[9] 간행물 Dynamical Bias in the Coin Toss https://statweb.stan[...] 2024-01-05
[10] harvnb
[11] 웹사이트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Kolmogorov axioms? https://www.stat.ber[...] 2019-11-19
[12] 간행물 Cox's Theorem and the Jaynesian Interpretation of Probability https://archive.org/[...]
[13] harvnb
[14] 문서 コルモゴロフはこのような系を「集合体」と呼んでいるが、これだけの条件では[[補集合]]について閉じていることは言えないので、現代の意味での[[有限加法族|集合体]]とは異なる。
[15] 문서 この条件を加えることにより、\mathfrak{F} は、現代の意味での[[有限加法族|集合体]]になる。
[16] harvnb
[17] URL extension-th.pdf https://home.hiroshi[...] 若木宏文(広島大学大学院先進理工系科学研究科)
[18] harvnb
[19] harvnb
[20] harv
[21] 웹사이트 Interpretations of Probability https://plato.stanfo[...] 2019-11-17
[22] 서적 A first course in probability
[23] 웹사이트 Proofs from axioms https://dcgerard.git[...] 2019-11-20
[24] 웹사이트 Probability (Lecture Notes - Week 3) http://www.maths.qmu[...] 2019-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