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성과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경성과지수(EPI)는 예일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 연구진이 개발하여 발표하는 지표로, 각 국가의 환경 정책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EPI는 환경 건강, 생태계 활력, 기후 변화를 목표로 30개의 이슈 범주와 58개의 성과 지표를 기반으로 180개국을 평가하며, 에스토니아, 룩셈부르크, 독일 등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인도, 미얀마 등이 하위권을 기록했다. 국가의 부는 환경 성과와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인적 개발, 법치 등 다른 요인들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순위 - V-Dem 민주주의 지수
V-Dem 민주주의 지수는 민주주의 다양성 연구소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선거, 자유, 참여, 숙의, 평등 민주주의 등 다섯 가지 핵심 지수를 포함하여 민주주의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한다. - 국제 순위 - 세계 언론 자유 지수
세계 언론 자유 지수는 국경 없는 기자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언론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며, 설문 조사와 데이터 결합을 통해 산출되고 정치, 법 등 5가지 범주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도가 높다.
환경성과지수 | |
---|---|
환경 성과 지수 | |
![]() | |
개발 | 예일 대학교 환경법 및 정책 센터와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 지구과학 정보 네트워크 센터 |
발행인 | 예일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 |
첫 발행 | 2002년 |
마지막 발행 | 2024년 |
주기 | 격년 |
측정 대상 |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국가의 성과 환경 문제에 대한 국가의 대응 |
측정 지표 | |
주요 지표 | 생태계 활력 환경 보건 |
하위 지표 | 기후 변화 대기 질 위생 및 식수 생물 다양성 생태계 서비스 수자원 농업 중금속 폐기물 관리 |
평가 방법 | |
데이터 | 국가별 환경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지수 계산 | 다양한 지표를 가중 평균하여 국가별 점수 산출 |
순위 결정 | 국가별 점수를 기준으로 순위 결정 |
주요 특징 | |
목적 | 환경 정책 개선 및 지속가능한 개발 촉진 국가 간 환경 성과 비교 및 평가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
범위 | 전 세계 국가의 환경 성과를 평가 다양한 환경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제공 |
특징 |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인 평가 정책 결정 및 개선을 위한 도구 제공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촉진 |
기타 | |
웹사이트 | 환경 성과 지수 공식 웹사이트 |
2. EPI의 개념과 방법론
EPI는 예일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의 연구진이 개발하여 발표하는 지표로, 각 국가의 환경 정책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2. 1. 방법론 비판
EPI 방법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표 선택의 임의성과 환경 지속가능성 지표로서의 성능 저하에 대한 비판을 받아왔다.[2] 특히, 구체적인 정책 제안이 부족하고, 데이터가 부족한 국가에 대한 지수 가중치 편향이 있어 개발도상국의 생태적 진보를 간과하게 만든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2]2024년 인도는 EPI 순위에서 176위를 기록했는데, 인도 환경·산림·기후변화부(MoEF&CC)는 성명을 통해 계산에 사용된 여러 지표들이 근거 없는 가정과 비과학적인 방법에 기반한다고 비판했다.[3][4][5]
유엔 유럽 경제 위원회는 EPI의 장단점을 분석했다. 장점으로는 쉽게 비교 가능한 지수 제공, 생태계 활력 점수의 6가지 구성 정책 범주(물 자원, 농업, 산림, 어업, 생물다양성 및 서식지, 기후 및 에너지) 기반, 참조 데이터베이스의 각 부분 지수 정규화(0…100)를 꼽았다. 단점으로는 국가 및 기업의 생태적 성과를 정량화하려는 시도, 기능 장애의 실제 이유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정책 관련성 부족을 지적했다.[6]
이러한 비판의 결과로 EPI 지표의 수가 증가하고 가중치가 변경되어 전 세계 지속 가능성 상태에 대한 더 나은 데이터 기반 요약을 제공하게 되었다. 2024년 지수는 환경 건강, 생태계 활력 및 기후 변화를 목표로 30개의 이슈 범주로 그룹화된 58개의 성과 지표를 기반으로 180개국을 평가했다.[8]
2. 2. 2024년 EPI 지표 및 가중치

2024년 EPI는 환경 건강, 생태계 활력, 기후 변화를 목표로 30개의 이슈 범주로 그룹화된 58개의 성과 지표를 기반으로 180개국을 평가했다.[8] 각 지표는 정책 목표별로 가중치가 부여되며, 생태계 활력(45%), 환경 건강(25%), 기후 변화 완화(30%)의 세 가지 주요 정책 목표로 구성된다.
환경성과지수(EPI)는 격년으로 발표되며, 각 국가의 환경 성과를 비교,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2020년에는 덴마크가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28위를 기록했다.[1] 2018년에는 스위스가 1위를 차지했다.
3. 연도별 EPI 순위
3. 1. 2024년 EPI 국가 순위
2024년 환경성과지수(EPI) 보고서는 180개국 및 지역을 평가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 5개국은 에스토니아, 룩셈부르크, 독일, 핀란드, 영국이며, 하위 5개국은 인도, 미얀마, 라오스, 파키스탄, 베트남입니다.[9]
대한민국은 2024년 EPI에서 66.5점을 받아 180개국 중 29위를 기록했습니다.
순위 | 국가 | 점수 |
---|---|---|
1 | Estonia|에스토니아영어 | 65.3 |
2 | Luxembourg|룩셈부르크영어 | 82.3 |
3 | Deutschland|독일de | 77.2 |
4 | Suomi|핀란드fi | 78.9 |
5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81.3 |
6 | Sverige|스웨덴sv | 78.7 |
7 | Österreich|오스트리아de | 79.6 |
8 | Schweiz|스위스de | 81.5 |
9 | Danmark|덴마크da | 82.5 |
10 | Ísland|아이슬란드is | 72.3 |
11 | Nederland|네덜란드nl | 75.3 |
12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80 |
13 | 日本|일본일본어 | 75.1 |
14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74.9 |
15 | España|스페인es | 74.3 |
16 | Česko|체코cs | 71 |
17 | Belgique|벨기에프랑스어 | 73.3 |
18 | Éire|아일랜드ga | 72.8 |
19 | Slovenija|슬로베니아sl | 72 |
20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71.3 |
21 | Italia|이탈리아it | 71 |
22 | Malta|몰타몰타어 | 70.7 |
23 | Canada|캐나다영어 | 71 |
24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69.3 |
25 | Ελλάδα|그리스el | 69.1 |
26 | Slovensko|슬로바키아sk | 68.3 |
27 | Portugal|포르투갈pt | 67 |
28 | ישראל|이스라엘he | 65.8 |
29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66.5 |
30 | Κύπρος|키프로스el | 64.8 |
130 | 中国|중국중국어 | 35.4 |
3. 2. 2020년 EPI 순위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환경성과지수영어(EPI) 2020년 순위에서 덴마크가 82.5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1] 대한민국은 66.5점으로 29위를 기록했다.[1]2020년 EPI 순위는 다음과 같다.[1]
순위 | 국가 | 점수 |
---|---|---|
1 | Danmark|덴마크da | 82.5 |
2 | Lëtzebuerg|룩셈부르크lb | 82.3 |
3 | Schweiz|스위스de | 81.5 |
4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81.3 |
5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80 |
6 | Österreich|오스트리아de | 79.6 |
7 | Suomi|핀란드fi | 78.9 |
8 | Sverige|스웨덴sv | 78.7 |
9 | Norge|노르웨이no | 77.7 |
10 | Deutschland|독일de | 77.2 |
11 | Nederland|네덜란드nl | 75.3 |
12 | 日本|일본일본어 | 75.1 |
13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74.9 |
14 | España|스페인es | 74.3 |
15 | België|벨기에nl | 73.3 |
16 | Éire|아일랜드ga | 72.8 |
17 | Ísland|아이슬란드is | 72.3 |
18 | Slovenija|슬로베니아sl | 72 |
19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71.3 |
20 | Canada|캐나다영어 | 71 |
21 | Česko|체코cs | 71 |
22 | Italia|이탈리아it | 71 |
23 | Malta|몰타몰타어 | 70.7 |
24 | United States|미국영어 | 69.3 |
25 | Ελλάδα|그리스el | 69.1 |
26 | Slovensko|슬로바키아sk | 68.3 |
27 | Portugal|포르투갈pt | 67 |
28 | 대한민국한국어 | 66.5 |
29 | ישראל|이스라엘he | 65.8 |
30 | Eesti|에스토니아et | 65.3 |
31 | Κύπρος|키프로스el | 64.8 |
32 | România|루마니아ro | 64.7 |
3. 3. 2018년 EPI 순위
2018년 환경성과지수에서 스위스가 87.42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4. EPI와 1인당 GDP의 관계
EPI 점수는 국가의 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부의 증가에 따른 환경 성과 개선 효과는 감소한다.
4. 1. 부와 환경 성과의 관계
EPI 점수는 국가의 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부의 증가는 환경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든다. 그러나 모든 경제 개발 수준에서 일부 국가는 다른 국가보다 좋은 성과를 내는 반면, 다른 국가들은 뒤처진다.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일부는 가장 부유한 국가 중 일부보다 더 나은 성과를 보이기도 한다. 인적 개발, 법치, 규제 품질과 같은 부 이외의 요인들이 환경 성과를 예측하는 더 강력한 지표이다.[10]부유함은 국가가 깨끗한 식수를 제공하고, 폐기물을 안전하게 관리하며, 재생 에너지를 빠르게 확장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에 투자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부는 더 높은 물질 소비와 관련된 환경적 영향(더 높은 폐기물 발생률, 온실가스 배출 및 생태계 훼손)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농업에서 살충제와 비료로 인한 오염, 산림 경관의 보전, 파괴적인 어업 방법의 사용 등 일부 생태계 활력 지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많은 국가들은 경제가 정체되고 저개발되었기 때문이다.[9]
4. 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과제
개발도상국은 과거 선진국들이 범했던 환경 파괴적인 산업화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반면, 선진국들은 소비와 환경 훼손의 연관성을 끊고, 개발도상국이 지속가능한 발전 경로를 따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7][9][10]부유한 국가는 깨끗한 식수 공급, 안전한 폐기물 관리, 재생 가능 에너지 확장에 필요한 인프라 투자를 할 수 있지만, 이는 동시에 높은 물질 소비로 인한 환경 문제 (높은 폐기물 발생, 온실가스 배출, 생태계 훼손)를 야기하기도 한다. 일부 생태계 활력 지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국가들은 경제가 정체되고 저개발되었기 때문인 경우도 있는데, 이는 농업 분야의 살충제 및 비료 사용으로 인한 오염, 산림 경관 보전, 파괴적인 어업 방식 등에서 나타난다.[9]
따라서, 생물 다양성 보전과 같은 전 지구적 차원의 중요한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모든 인류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다.[7]
5. 대한민국의 환경 정책과 과제 (중도진보적 관점)
대한민국은 경제 성장 과정에서 환경 문제를 겪었지만, 최근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탄소 중립 정책, 미세먼지 저감 대책, 녹색 뉴딜 등을 추진하며 환경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2024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https://epi.yale.edu[...]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 Policy & Center for International Earth Science Information Network Earth Institute, Columbia University
2024-10-24
[2]
논문
Assessing Global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Via an Unsupervised Clustering Framework
https://docs.lib.pur[...]
2024-10-24
[3]
뉴스
What Happened to Green India? Ranked Lowest as per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India Disputes Methodology
https://www.business[...]
2024-10-24
[4]
뉴스
India's lagging sustainability performance
https://www.hindusta[...]
2024-10-24
[5]
뉴스
Explained: What is the environment index, and why has India questioned it?
https://indianexpres[...]
2024-10-24
[6]
웹사이트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EPI. Pros & Cons
https://unece.org/en[...]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2024-10-24
[7]
웹사이트
2024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Technical Appendix
https://epi.yale.edu[...]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 Policy
2024-10-24
[8]
웹사이트
2024 Weights
https://epi.yale.edu[...]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 Policy
2024-10-24
[9]
웹사이트
2024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https://epi.yale.edu[...]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 Policy
2024-10-24
[10]
웹사이트
2024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Policymakers' Summary
https://epi.yale.edu[...]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 Policy & Center for International Earth Science Information Network Earth Institute, Columbia University
2024-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