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활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활꼴은 현과 호로 둘러싸인 원의 일부분을 의미하는 기하학적 도형이다. 활꼴은 현, 호, 화살, 아포템 등의 요소로 구성되며, 반지름, 중심각, 현의 길이, 호의 길이, 화살의 길이, 면적 등 다양한 성질과 공식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성질과 공식은 공학, 건축, 디자인, 품질 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한국의 유물 복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 (기하학) - 대원
    구면기하학에서 대원은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구의 교선으로, 유클리드 공간의 직선에 대응하며, 서로 대극점이 아닌 두 점을 잇는 최단 거리인 대원 거리를 정의하고, 자오선이나 적도처럼 항해,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원 (기하학) - 반지름
    반지름은 원의 중심에서 원 위의 점까지의 거리로, 원의 지름과 둘레, 넓이 계산에 사용될 뿐 아니라 정다각형 외접원, 그래프 이론, 극좌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도형의 반지름을 구하는 공식이 존재하고 한국의 교육, 건축, 디자인 분야에서도 널리 쓰인다.
  • 초등 기하학 - 대원
    구면기하학에서 대원은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구의 교선으로, 유클리드 공간의 직선에 대응하며, 서로 대극점이 아닌 두 점을 잇는 최단 거리인 대원 거리를 정의하고, 자오선이나 적도처럼 항해,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초등 기하학 - 현 (기하학)
    현은 원 둘레를 두 호로 나누는 선분으로, 원에 내접하는 정다각형의 변이 될 수 있으며, 원의 중심을 지나는 가장 긴 현은 지름이라고 한다.
  • 기하학 - 밀러 지수
    밀러 지수는 결정학에서 결정 면과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지수이며, 역격자 벡터 또는 격자 벡터 절편의 역수를 통해 정의되며,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 및 기술적 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하학 - 반지름
    반지름은 원의 중심에서 원 위의 점까지의 거리로, 원의 지름과 둘레, 넓이 계산에 사용될 뿐 아니라 정다각형 외접원, 그래프 이론, 극좌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도형의 반지름을 구하는 공식이 존재하고 한국의 교육, 건축, 디자인 분야에서도 널리 쓰인다.
활꼴

2. 정의

활꼴은 원의 로 둘러싸인 도형이다. 은 원 위의 두 점을 잇는 선분이며, 는 원의 일부분이다. 활꼴은 부채꼴에서 삼각형 부분을 뺀 모양과 같다.


  • '''현(chord):''' 원 위의 두 점을 연결하는 선분.
  • '''호(arc):''' 원의 둘레를 따라 두 점 사이를 연결하는 곡선.
  • '''화살(sagitta):''' 현의 중점에서 호의 중점까지의 거리로, 활꼴의 높이(''h'')에 해당.
  • '''아포템(apothem):''' 원의 중심에서 현의 중점까지의 거리(''d'').
  • '''중심각(θ):''' 호의 양 끝점과 원의 중심을 이은 두 반지름이 이루는 각.


활꼴의 넓이, 호의 길이 등은 현의 길이, 화살의 길이, 반지름, 중심각 등의 요소들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1]

2. 1. 현 (Chord)

점 BX는 직선에서 현, 곡선에서 호이며 활꼴이 된다. 또한 직경(AB)는 원 위에서 가장 큰 활꼴이다.


호의 일부를 형성하는 호의 반지름을 ''R'', 라디안으로 표시된 호를 이루는 중심각을 ''θ'', 현의 길이를 ''c'', 호의 길이를 ''s'', 세그먼트의 sagitta(높이)를 ''h'', 세그먼트의 아포템을 ''d'', 세그먼트의 면적을 ''a''라고 하자.

일반적으로 현의 길이와 높이가 주어지거나 측정되며, 때로는 둘레의 일부인 호의 길이도 주어지며, 미지수는 면적과 때로는 호의 길이이다. 이들은 현의 길이와 높이만으로는 간단히 계산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먼저 두 개의 중간 변수인 반지름과 중심각을 계산한다.[1]

원의 반지름을 ''R'', 중심각은 로 하고, 현의 길이 ''c'' 및 호의 길이 ''s''와 화살의 길이 ''h'' 및 부채꼴의 삼각형 부분의 높이를 ''d''로 한다.

원의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R = h + d = \frac{h}{2}+\frac{c^2}{8h}

위 식은 Intersecting chords theorem영어(방멱의 정리의 특별한 경우)에서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지름의 길이)와 가 서로 직교하는 현)

:\begin{align}

&(2R-h)\cdot h = \frac{c}{2}\cdot\frac{c}{2} = \frac{c^2}{4}\\

&\iff 2R = \frac{c^2}{4h} + h\\

&\iff R = \frac{c^2}{8h} + \frac{h}{2}

\end{align}

원호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s = \frac{\alpha}{180}\pi R = \theta R = \arcsin\!\Big(\frac{c}{h+(c^2/4h)}\Bigr)\Bigl(h + \frac{c^2}{4h}\Bigr)

마지막 역정현 함수 을 사용한 식은, 같은 호를 보고 한 변이 지름이 되는 원주각을 고려하여 유도된다. 실제로, 원주각의 크기는 이고, 그 각을 포함하는 빗변이 지름인 직각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아래에서 볼 수 있는 다른 역삼각 함수 공식을 유도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또한 반각 공식이나 피타고라스 관계식 등을 사용하면, 현의 길이

:c = 2R\sin\frac{\theta}{2} = R\sqrt{2-2\cos\theta} = 2R\sqrt{1-(d/R)^2}

또는 화살의 길이

:h = R\Bigl(1-\cos\frac{\theta}{2}\Bigr) = R - \sqrt{R^2 - \frac{c^2}{4}}

및 중심각

: \theta = 2\arctan\frac{c}{2d}= 2\arccos\frac{d}{R} = 2\arccos\Bigl(1- \frac{h}{R}\Bigr) = 2\arcsin\frac{c}{2R}

등도 계산할 수 있다.

2. 2. 호 (Arc)



호는 원 또는 곡선 위의 두 점 사이의 부분이다. 호의 반지름을 ''R'', 라디안으로 표시된 호를 이루는 중심각을 ''θ'', 현의 길이를 ''c'', 호의 길이를 ''s'', 세그먼트의 sagitta(높이)를 ''h'', 세그먼트의 아포템을 ''d'', 세그먼트의 면적을 ''a''라고 한다.

현의 길이와 높이가 주어지거나 측정되며, 때로는 둘레의 일부인 호의 길이도 주어지며, 미지수는 면적과 때로는 호의 길이이다. 이들은 현의 길이와 높이만으로는 간단히 계산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먼저 두 개의 중간 변수인 반지름과 중심각을 계산한다.

원의 반지름을 ''R'', 중심각은 로 하고, 현의 길이 ''c'' 및 호의 길이 ''s''와 화살의 길이 ''h'' 및 부채꼴의 삼각형 부분의 높이를 ''d''로 한다.

원의 반지름은 R = h + d = \frac{h}{2}+\frac{c^2}{8h} 로 나타낼 수 있다.

''h''와 ''c''로 나타낸 식은, (지름의 길이)와 ''c''가 서로 직교하는 현의 길이임을 주의하면, Intersecting chords theorem영어(방멱의 정리의 특별한 경우)에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egin{align}

&(2R-h)\cdot h = \frac{c}{2}\cdot\frac{c}{2} = \frac{c^2}{4}\\

&\iff 2R = \frac{c^2}{4h} + h\\

&\iff R = \frac{c^2}{8h} + \frac{h}{2}

\end{align}

원호의 길이는 s = \frac{\alpha}{180}\pi R = \theta R = \arcsin\!\Big(\frac{c}{h+(c^2/4h)}\Bigr)\Bigl(h + \frac{c^2}{4h}\Bigr) 로 쓸 수 있다.

역정현 함수 을 사용한 식은, 같은 호를 보고 한 변이 지름이 되는 원주각을 고려하여 유도된다. 원주각의 크기는 이고, 그 각을 포함하는 빗변이 지름인 직각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

반각 공식이나 피타고라스 관계식 등을 사용하면, 현의 길이 c = 2R\sin\frac{\theta}{2} = R\sqrt{2-2\cos\theta} = 2R\sqrt{1-(d/R)^2} 또는 화살의 길이 h = R\Bigl(1-\cos\frac{\theta}{2}\Bigr) = R - \sqrt{R^2 - \frac{c^2}{4}} 및 중심각 \theta = 2\arctan\frac{c}{2d}= 2\arccos\frac{d}{R} = 2\arccos\Bigl(1- \frac{h}{R}\Bigr) = 2\arcsin\frac{c}{2R} 등도 계산할 수 있다.

2. 3. 활꼴 (Circular Segment)

현과 그 현에 의해 잘린 호로 둘러싸인 영역을 활꼴이라고 한다. 활꼴은 원의 일부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도형이다.[1]

원의 반지름을 , 중심각은 (라디안) 또는 (°)로 하고, 현의 길이 , 호의 길이 , 화살의 길이 (높이) , 부채꼴의 삼각형 부분의 높이를 라고 하자.

원의 반지름은 R = h + d = \frac{h}{2}+\frac{c^2}{8h}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은 지름의 길이 와 가 서로 직교하는 현의 길이임을 이용, 교차현 정리(방멱의 정리의 특별한 경우)를 통해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begin{align}

&(2R-h)\cdot h = \frac{c}{2}\cdot\frac{c}{2} = \frac{c^2}{4}\\

&\iff 2R = \frac{c^2}{4h} + h\\

&\iff R = \frac{c^2}{8h} + \frac{h}{2}

\end{align}

원호의 길이는 s = \frac{\alpha}{180}\pi R = \theta R = \arcsin\!\Big(\frac{c}{h+(c^2/4h)}\Bigr)\Bigl(h + \frac{c^2}{4h}\Bigr)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은 같은 호를 보며 한 변이 지름이 되는 원주각을 고려하여 유도된다. 원주각의 크기는 이고, 그 각을 포함하는 빗변이 지름인 직각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

반각 공식이나 피타고라스 관계식을 사용하면, 현의 길이 c = 2R\sin\frac{\theta}{2} = R\sqrt{2-2\cos\theta} = 2R\sqrt{1-(d/R)^2}, 화살의 길이 h = R\Bigl(1-\cos\frac{\theta}{2}\Bigr) = R - \sqrt{R^2 - \frac{c^2}{4}}, 중심각 \theta = 2\arctan\frac{c}{2d}= 2\arccos\frac{d}{R} = 2\arccos\Bigl(1- \frac{h}{R}\Bigr) = 2\arcsin\frac{c}{2R} 등도 계산할 수 있다.

활꼴의 면적 ''A''는 부채꼴의 면적에서 삼각형 부분의 면적을 빼서 구할 수 있다.

:A = \frac{R^2}{2} (\theta - \sin \theta) = R^2 \Bigl(\arcsin \frac{c}{2R} - \frac{c}{2R} \sqrt{1 - \left(\frac{c}{2R}\right)^2\,}\,\Bigr)

중심각을 도수법으로 측정한다면 다음과 같다.

:A = \frac{R^2}{2} \Bigl(\frac{\alpha\pi}{180} - \sin \alpha\Bigr)

원판 전체의 면적 와의 비는 다음과 같다.

:\frac{A}{S} = \frac{1}{2 \pi}(\theta - \sin \theta) = \frac{\alpha}{360} - \frac{\sin \alpha }{2 \pi}

2. 4. 화살 (Sagitta)

현의 중점에서 호의 중점까지의 거리를 화살(sagitta)이라고 하며, 활꼴의 높이(''h'')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현의 길이와 높이가 주어지거나 측정되며, 때로는 둘레의 일부인 호의 길이도 주어지며, 미지수는 면적과 때로는 호의 길이이다. 이들은 현의 길이와 높이만으로는 간단히 계산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먼저 두 개의 중간 변수인 반지름과 중심각을 계산한다. 현의 길이와 높이는 반지름과 중심각으로부터 역으로 계산할 수 있다.

현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c = 2R\sin\tfrac{\theta}{2} = R\sqrt{2(1-\cos\theta)}

:c = 2\sqrt{R^2 - (R - h)^2} = 2\sqrt{2Rh - h^2}

화살(높이)은 다음과 같다.

:h =R-\sqrt{R^2-\frac{c^2}{4}}= R(1-\cos\tfrac{\theta}{2})=R\left(1-\sqrt{\tfrac{1+\cos\theta}{2}}\right)=\frac{c}{2}\tan\frac{\theta}{4}

아포템은 다음과 같다.

: d = R - h = \sqrt{R^2-\frac{c^2}{4}} = R\cos\tfrac{\theta}{2}

원의 반지름을 , 중심각은 로 하고, 현의 길이 및 호의 길이 와 화살의 길이 및 부채꼴의 삼각형 부분의 높이를 로 한다.

원의 반지름은 R = h + d = \frac{h}{2}+\frac{c^2}{8h} 로 나타낼 수 있다.

와 로 나타낸 식은, (지름의 길이)와 가 서로 직교하는 현의 길이임을 주의하면, (방멱의 정리의 특별한 경우)에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egin{align}

&(2R-h)\cdot h = \frac{c}{2}\cdot\frac{c}{2} = \frac{c^2}{4}\\

&\iff 2R = \frac{c^2}{4h} + h\\

&\iff R = \frac{c^2}{8h} + \frac{h}{2}

\end{align}

원호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s = \frac{\alpha}{180}\pi R = \theta R = \arcsin\!\Big(\frac{c}{h+(c^2/4h)}\Bigr)\Bigl(h + \frac{c^2}{4h}\Bigr)

역정현 함수 을 사용한 식은, 같은 호를 보고 한 변이 지름이 되는 원주각을 고려하여 유도된다. 실제로, 원주각의 크기는 이고, 그 각을 포함하는 빗변이 지름인 직각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

반각 공식이나 피타고라스 관계식 등을 사용하면, 현의 길이

:c = 2R\sin\frac{\theta}{2} = R\sqrt{2-2\cos\theta} = 2R\sqrt{1-(d/R)^2}

또는 화살의 길이

:h = R\Bigl(1-\cos\frac{\theta}{2}\Bigr) = R - \sqrt{R^2 - \frac{c^2}{4}}

및 중심각

: \theta = 2\arctan\frac{c}{2d}= 2\arccos\frac{d}{R} = 2\arccos\Bigl(1- \frac{h}{R}\Bigr) = 2\arcsin\frac{c}{2R}

등도 계산할 수 있다.



(예시)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제3권 법칙35

\overline{CD} 와 직경 \overline{AB} 가 수직으로 만나는 점 E에서 선분 AE와 선분EB와의 비율은 원둘레에서 호의 길이의 비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은 선분 AE와 선분EB와의 비율에서 역시 활꼴의 면적을 보여줄 수 있다.

한편 활꼴의 길이 선분CD와 활꼴의 높이 선분EB를 갖는 활꼴의 길이(l)는 높이( h)와 직경(D)에서 다음의 관계가 있다.

: \left( \overline{CE} \right) \left( \overline{ED} \right) = \left( \overline{AE} \right) \left( \overline{EB} \right) 이다.

: \overline{CD} = \overline{CE} + \overline{ED} 이고 \overline{CE} = \overline{ED} 이면

: \overline{AE} = a, \overline{EB} = b , \overline{CE} =x를 예약하고

: x^2 = ab

: x = \sqrt{ab}

: l = 2x = 2\sqrt{ab}이고 a =D-b이다.

따라서

: l = 2\sqrt{(D-b)b}

따라서

: l = \sqrt{ \left( 4D h \right) - \left( 4 h^2 \right) }

2. 5. 아포템 (Apothem)

아포템 ''d''는 원의 중심에서 의 중점까지의 거리이며, 활꼴의 높이 ''h''와 반지름 ''R''의 차이이다. 아포템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d = R - h = \sqrt{R^2-\frac{c^2}{4}} = R\cos\tfrac{\theta}{2}

여기서 ''R''은 반지름, ''h''는 화살의 길이(높이), ''c''는 현의 길이, ''θ''는 라디안으로 표시된 중심각이다.

3. 성질 및 공식



호의 반지름을 ''R'', 라디안으로 표시된 호를 이루는 중심각을 ''θ'', 현의 길이를 ''c'', 호의 길이를 ''s'', 활꼴의 높이(sagitta)를 ''h'', 아포템을 ''d'', 활꼴의 면적을 ''a''라고 하자.

일반적으로 현의 길이와 높이가 주어지거나 측정되며, 때로는 둘레의 일부인 호의 길이도 주어진다. 이때 미지수는 면적과 호의 길이인데, 이들은 현의 길이와 높이만으로는 간단히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반지름과 중심각을 먼저 계산한다.

아포템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d = R - h = \sqrt{R^2-\frac{c^2}{4}} = R\cos\tfrac{\theta}{2}

활꼴의 면적 ''a''는 부채꼴의 면적에서 삼각형 부분의 면적을 뺀 값이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a = \tfrac{R^2}{2} \left(\theta - \sin \theta\right)

''R'' 및 ''h''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a = R^2\arccos\left(1-\frac{h}{R}\right) - \left(R-h\right)\sqrt{R^2-\left(R-h\right)^2}

''c'' 및 ''h''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a = \left(\frac{c^2+4h^2}{8h}\right)^2\arccos\left(\frac{c^2-4h^2}{c^2+4h^2}\right) - \frac{c}{16h}(c^2-4h^2)

중심각이 작아지거나 반지름이 커질수록 면적 ''a''는 \tfrac{2}{3}c\cdot h에 빠르게 접근한다. 만약 \theta \ll 1이면, a = \tfrac{2}{3}c\cdot h는 상당히 좋은 근삿값이다.

c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반지름이 변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frac{\partial a}{\partial s} = R

중심각이 π에 가까워질수록 활꼴의 면적은 반원의 면적 \tfrac{\pi R^2}{2}로 수렴한다. 이때 좋은 근삿값은 반원 면적에서 델타 오프셋을 뺀 값이다.

:a\approx \tfrac{\pi R^2}{2}-(R+\tfrac{c}{2})(R-h) (h > 0.75''R''인 경우)

예를 들어, 면적은 ''θ'' ≈ 2.31 라디안 (132.3°)일 때 원의 1/4이며, 이는 반지름의 약 59.6% 높이 및 약 183% 현 길이에 해당한다.

둘레 ''p''는 호의 길이와 현의 길이를 더한 값으로, 다음과 같다.

:p=c+s=c+\theta R

3. 1. 반지름과 중심각

반지름(R영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3]

:R영어 = tfrac|h|2영어+tfrac|c^2|8h영어

중심각(θ영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영어 = 2arcsin영어tfrac|c|2R영어

원의 반지름을 R영어, 중심각을 θ영어, 현의 길이를 c영어, 호의 길이를 s영어, 화살의 길이를 h영어, 부채꼴의 삼각형 부분의 높이를 d영어라고 하면,

원의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영어 = h영어 + d영어 = frac|h|2영어+frac|c^2|8h영어

h영어와 c영어로 나타낸 식은, 2R영어(지름)과 c영어가 서로 직교하는 현의 길이임을 이용, 방멱의 정리를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ang|en|begin{align}

&(2R-h)·h = frac{c}{2}·frac{c}{2} = frac{c^2}{4}\

&iff 2R = frac{c^2}{4h} + h\

&iff R = frac{c^2}{8h} + frac{h}{2}

end{align}}}

삼각함수를 사용하면, 현의 길이, 화살의 길이, 중심각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현의 길이:

:c영어 = 2R영어sin영어frac|θ|2영어 = R영어sqrt|2-2영어cos영어θ영어 = 2R영어sqrt|1-(d/R)^2영어

  • 화살의 길이:

:h영어 = R영어(1-cos영어frac|θ|2영어) = R영어 - }

  • 중심각:

영어 = 2arctan영어frac|c|2d영어= 2arccos영어frac|d|R영어 = 2arccos영어(1- frac|h|R영어) = 2arcsin영어frac|c|2R영어

3. 2. 현의 길이와 화살의 길이

현의 길이 ''c''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c영어 = 2R영어sinθ/2영어 = R영어√(2(1-cosθ))영어

: c영어 = 2√(R² - (R - h)²)영어= 2√(2Rh - h²)영어

화살의 길이 ''h''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h영어 = R영어-√(R² - c²/4)영어 = R(1 - cos θ/2)영어 = R(1 - √(1 + cosθ)/2)영어 = (c/2)tan θ/4영어

3. 3. 호의 길이와 활꼴의 면적

호의 길이(''s'')와 활꼴의 면적(''a'')은 반지름(''R'')과 중심각(''θ'')으로 표현할 수 있다.

호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s = {\theta}R

원형 활꼴의 면적 ''a''는 부채꼴의 면적에서 삼각형 부분의 면적을 뺀 값으로 다음과 같다.

:a = \tfrac{R^2}{2} \left(\theta - \sin \theta\right)

여기서 사용된 변수는 다음과 같다.

  • ''R'': 원의 반지름
  • ''θ'': 라디안으로 표시된 중심각
  • ''c'': 의 길이
  • ''s'': 호의 길이
  • ''h'': 활꼴의 높이(sagitta)
  • ''d'': 활꼴의 아포템(apothem)
  • ''a'': 활꼴의 면적


전체 원판의 면적 A= \pi R^2에 대한 활꼴의 면적 비율은 다음과 같다.

: \frac{a}{A}= \frac{\theta - \sin \theta}{2\pi}

3. 4. 현과 직경과의 관계 (한국적 관점)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제3권 법칙35에서는 현 \overline{CD} 와 직경 \overline{AB} 가 수직으로 만나는 점 E에서 선분 AE와 선분EB와의 비율은 원둘레에서 호의 길이의 비율을 보여준다고 설명한다.[1] 또한, 이 성질을 이용하여 선분 AE와 선분EB와의 비율에서 활꼴의 면적을 유추할 수 있다.[1]

활꼴의 길이 선분CD와 활꼴의 높이 선분EB를 갖는 활꼴의 길이(l)는 높이( h)와 직경(D)에 대해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1]

: \left( \overline{CE} \right) \left( \overline{ED} \right) = \left( \overline{AE} \right) \left( \overline{EB} \right) (∵ \overline{CD} = \overline{CE} + \overline{ED}이고 \overline{CE} = \overline{ED})[1]

\overline{AE} = a, \overline{EB} = b, \overline{CE} =x로 정의하면,[1]

: x^2 = ab[1]

: x = \sqrt{ab}[1]

: l = 2x = 2\sqrt{ab} (∵ a =D-b)[1]

따라서,[1]

: l = 2\sqrt{(D-b)b} 이고,[1]

최종적으로 다음 식이 유도된다.[1]

: l = \sqrt{ \left( 4D h \right) - \left( 4 h^2 \right) }[1]

4. 활용

활꼴의 성질과 공식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원의 면적 공식은 수평으로 놓인 부분적으로 채워진 원통형 탱크의 부피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또한 둥근 상단이 있는 창문이나 문을 설계할 때, 파편 조각으로 완전한 원형 객체의 치수를 재구성할 때, 기계 가공된 제품의 품질 검사 등에도 활용된다.[1]

4. 1. 공학 및 건축

둥근 천장, 아치형 구조물, 원형 탱크 등의 설계 및 제작에 활꼴이 활용된다.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채워진 원통형 탱크의 부피를 계산하는 데 활꼴의 면적 공식이 사용될 수 있다.[1]

활꼴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활용된다.

  • 둥근 상단이 있는 창문이나 문의 설계 시, ''c''와 ''h''만 알려진 값일 수 있으며, 제도사의 컴퍼스 설정을 위해 ''R''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 파편의 호의 길이와 현의 길이를 측정하여 파편으로부터 완전한 원형 객체의 전체 치수를 재구성할 수 있다.[1]
  • 원형 패턴에서 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기계 가공된 제품의 품질 검사에 유용하다.[1]
  • 원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평면 도형의 면적 또는 무게 중심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1]

4. 2. 디자인

활꼴은 둥근 상단이 있는 창문이나 문과 같은 곡선 디자인 요소를 설계하는 데 활용된다. 제도사는 컴퍼스를 사용하여 원의 반지름을 계산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곡선 형태를 만들 수 있다.[1]

4. 3. 품질 검사

기계 가공된 제품의 품질 검사에서 원형 패턴의 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 활꼴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1]

4. 4. 유물 복원 (한국적 관점)

깨진 도자기나 원형 구조물 일부와 같은 한국 전통 유물의 경우, 활꼴의 호와 현의 길이를 측정하여 원래 형태를 추정할 수 있다.[1] 이는 한국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복원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1]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