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정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정은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나 인천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중퇴하고 이승원 작가에게 창작 수업을 받았다. 200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소설 《엄마》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 《파씨의 입문》, 《아무도 아닌》 등과 장편 소설 《백의 그림자》, 《계속해보겠습니다》 등을 발표했다. 《백의 그림자》로 한국일보 문학상을, 《파씨의 입문》으로 신동엽문학상을, 《계속해보겠습니다》로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작품은 영어와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유정문학상 수상자 - 편혜영
    편혜영은 2000년 등단 후 기괴하고 잔혹한 묘사로 현대 사회의 소외와 폭력성을 드러내며 한국일보문학상, 셜리 잭슨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고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소설가이다.
  • 김유정문학상 수상자 - 윤대녕
    윤대녕은 1962년 충남 예산 출생으로 단국대학교를 졸업하고 1988년 등단하여 1990년대 도시적 감수성을 보여준 소설가이며, 이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신동엽창작상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신동엽창작상 - 송기원
    송기원은 1947년 출생하여 2024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고 불교적 사유를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 편혜영
    편혜영은 2000년 등단 후 기괴하고 잔혹한 묘사로 현대 사회의 소외와 폭력성을 드러내며 한국일보문학상, 셜리 잭슨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고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소설가이다.
황정은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황정은
로마자 표기Hwang Jeong-eun
출생일1976년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언어한국어

2. 생애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인천대학교 불문과를 중퇴했다. 200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작가 이승원에게 창작 수업을 받았다. 경향신문의 문학상에 투고한 단편 「마더」가 입선하여 문단에 데뷔했다. 「마더」는 어머니에게 버려진 아이를 주인공으로 하며, 저작의 시작점부터 모든 폭력을 주제로 다루는 작가로 여겨진다..

팟캐스트 《2012문장의 소리》, 《작가의 방》, 《창비 라디오 책다방 시즌1》을 진행했다. 2008년, 첫 단편집 『7시 32분 코끼리 열차』를 발표했고, 이후 『파씨의 입문』, 『아무도 아닌』, 『백의 그림자』, 『계속 해보겠습니다』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2010년에는 『백의 그림자』로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했다. 2012년 『파씨의 입문』으로 신동엽문학상을 받았다. 『양의 미래』로 제59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했으나 현대문학 사태로 상을 반납했다.[11]

2014년 단편 《누가》로 15회 이효석문학상을 받았다. 2015년 《계속해보겠습니다》로 제23회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2017년 중편 《웃는 남자》로 제11회 김유정문학상을 수상하며 한국의 중견 소설가로 자리매김했다. 2019년 만해문학상을 수상했다.[12]

3. 작품 활동

황정은은 2010년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했고, 2013년에는 소설 "파씨의 정원"으로 신동엽문학상을 받았다.[2]

팟캐스트 진행 경력으로는 《2012 문장의 소리》의 〈작가의 방〉 코너와 《창비 라디오 책다방 시즌1》(2013년 1월~2015년 5월)이 있다.[2] 2015년 9월 12일에는 명동에서 열린 이중 언어 작가 원탁 회의에 주요 연사로 참여했다.[2] 소설 ''콩, 나의 모든 것을''은 아시아 출판사에서 영어로 번역되었으며,[2] 최신 저서는 ''일곱 시 삼십이분 코끼리 열차''이다.[2]

3. 1. 작풍

황정은은 "빈민가"라는 단어로 표현될 수 없는 공간, 즉 항상 붕괴될 위험에 처한 공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을 예리하게 묘사한다.[2] 보상받을 수 없는 삶의 불꽃 자취와 돈으로 환산될 수 없는 삶의 고통을 보여준다.[2] 소설집 『일곱 시 삼십이분 코끼리 열차』에 실린 이야기들은 도시의 가장자리로 밀려난 소외된 사람들을 묘사한다.[2] 도시의 사치스러운 소음과 휴대폰 및 TV 소리 속에서 거의 들리지 않는 대중의 신음 소리에 묻힌 작고 연약한 목소리에 힘을 실어준다.[2] 그 목소리는 듣기에 너무 고통스러워서 귀를 막고 싶어질 정도다.[2] 사라져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담고 있으며, 노숙자와 버려진 아이들을 위한 공개 마이크 랠리다.[2]

3. 2. 팟캐스트

황정은은 팟캐스트 《2012 문장의 소리》의 〈작가의 방〉 코너와 《창비 라디오 책다방 시즌1》을 진행했다. 《창비 라디오 책다방 시즌1》은 2013년 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방송되었다.[12][2]

4. 수상 경력


  • 2010년 한국일보 문학상: 《백의 그림자》
  • 2012년 신동엽문학상: 〈파씨의 입문〉
  • 2013년 젊은 작가상: 〈상류의 독수리들〉
  • 2014년 이효석 문학상: 〈누가〉
  • 2015년 대산문학상: 《계속해보겠습니다》
  • 2017년 김유정문학상: 〈웃는 남자〉

5. 저서

황정은은 2010년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했고, 2013년에는 작품 "파씨의 정원"으로 신동엽 문학상을 수상했다.[2]

''Korean Literature Now''는 황정은의 작품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했다.[3][4]

황정은은 "빈민가"라는 단어로 표현될 수 없는, 항상 붕괴될 위험에 처한 공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을 예리하게 묘사한다. 그녀는 보상받을 수 없는 삶의 불꽃 자취와 돈으로 환산될 수 없는 삶의 고통을 보여준다. 소설집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에 실린 이야기들은 도시의 가장자리로 밀려난 소외된 사람들을 묘사한다. 그녀의 이야기는 도시의 사치스러운 소음과 휴대폰 및 TV 소리 속에서 거의 들리지 않는 대중의 신음 소리에 묻힌 작고 연약한 목소리에 힘을 실어준다. 그 목소리는 듣기에 너무 고통스러워서 귀를 막고 싶어질 정도다. 그녀의 이야기는 사라져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담고 있다. 황정은의 소설은 노숙자와 버려진 아이들을 위한 공개 마이크 랠리다.

황정은은 ''2012 문장의 소리''의 "작가 방" 코너와 2013년 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라디오 북다방”이라는 두 개의 팟캐스트를 진행했다.

5. 1. 장편 소설


  • 백의 그림자 (민음사, 2010년 / 창비, 2022년)
  • 야만적인 앨리스씨 (문학동네, 2013년 / 2023년)
  • 계속해보겠습니다 (창비, 2014년)
  • One hundred shadows영어 (Tilted Axis Press, 2016년)
  • I'll go on영어 (Tilted Axis Press, 2018년)
  • 百の 그림자일본어 (오영아 역, 아키쇼보, 2023년) [1]
  • 野蛮なアリスさん일본어 (사이토 마리코 역, 가와이데 쇼보 신샤, 2018년) [2]
  • 続けてみます일본어 (오영아 역, 쇼분샤, 2020년) [3]

5. 2. 소설집


  • 2008년 문학동네에서 소설집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를 출간하였다.[2]
  • 2012년 창비에서 소설집 《파씨의 입문》을 출간하였다.[2]
  • 2016년 문학동네에서 소설집 《아무도 아닌》을 출간하였다.[2] 이 소설집에는 단편 소설 〈콩의 미래〉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소설은 아시아출판사에서 2015년에 《콩의 정원》으로 번역되었다.

5. 3. 연작 소설


  • 디디의 우산 (창비, 2019년)
  • 연년세세 (창비, 2020년)
  • 디디의 우산 (창비, 2019년, 斎藤真理子|사이토 마리코일본어 역, 아키 쇼보, 2020년)
  • 연년세세 (창비, 2020년, 斎藤真理子|사이토 마리코일본어 역, 가와데 쇼보 신샤, 2022년)

5. 4. 산문집

일기》 (창비, 2021년)

5. 5. 공저

도서수록작출판일출판사비고
2007 제8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모자2007년해토
2008 제53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오뚝이와 지빠귀2007년 11월현대문학
2008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소설곡도와 살고 있다2008년 3월작가
일곱가지 색깔로 내리는 비낙하하다2011년 1월열림원
양의 미래: 제59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양의 미래2013년 12월현대문학
한밤의 산행: 테마 소설집아무도 아닌, 명실2014년 4월한겨레출판사
맨발로 글목을 돌다: 2011년 제35회 이상문학상 작품집猫氏生2011년 1월문학사상사
2014 제5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상류엔 맹금류2014년 12월문학동네
눈먼 자들의 국가: 세월호를 바라보는 작가의 눈가까스로, 인간2014년 10월문학동네
2019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파묘2019년 9월문학동네
가슴 뛰는 소설대니 드비토2020년 8월창비교육


5. 6. 영어

황정은의 작품 ''콩, 나의 모든 것을''은 아시아 출판사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 그녀는 2015년 9월 12일 명동에서 열린 이중 언어 작가 원탁 회의에서 4명의 주요 연사 중 한 명이었다.[2]

5. 7. 일본어

wikitext

한국어 제목일본어 제목번역가출판사출간 연도
백의 그림자百の影|햐쿠노 가게일본어오영아아키 쇼보2023
야만적인 앨리스 씨野蛮なアリスさん|야반나 아리스 상일본어사이토 마리코가와이데 쇼보 신샤2018
계속 해보겠습니다こつこつと、やってみます|고쓰고쓰토, 얏테미마스일본어오영아쇼분샤2020
디디의 우산ディディの傘|디디노 가사일본어사이토 마리코아키 쇼보2020
연년세세年年歳歳|넨넨사이사이일본어사이토 마리코가와데 쇼보 신샤2022
아무도 아닌誰もいない|다레모 이나이일본어사이토 마리코쇼분샤2018


참조

[1] 웹사이트 "[문학공장] 작가 황정은" http://www.kyeonggi.[...] 2014-11-11
[2] 웹사이트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http://www.ktlit.com 2015-09-19
[3] 간행물 "Experimenting with the Imagination: Hwang Jung-eun, Kim Tae-yong, Pyun Hye-Young, Yun Ko-eun, and Han Yujoo" http://www.list.or.k[...] LTI Korea 2001-Summer
[4] 웹사이트 Kong's Garden https://www.amazon.c[...] Asia Publishers 2018-11-14
[5] 웹사이트 2018 print bundle https://www.tiltedax[...]
[6] 서적 誰でもない(訳者のあとがき) 晶文社 2018-01-25
[7] 뉴스 "'現代文学上'受賞者2人上返却" 韓国日報 2013-12-18
[8] 웹사이트 誰でもないものになること、〈人間〉をやめること 『野蛮なアリスさん』『誰でもない』 https://www.bookbang[...]
[9] 웹사이트 ファン・ジョンウンさん 社会を生きて、書く 韓国で注目を集める小説家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10] 웹사이트 傾いた船、降りられない乗客たち 目の眩んだ者たちの国家 https://www.shinsens[...] 新泉社
[11] 뉴스 "'현대문학상' 수상자 2명 상 반납" http://m.hankooki.co[...] 한국일보 2013-12-18
[12] 뉴스 만해문학상에 황정은 소설 ‘디디의 우산’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19-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