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황학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황학동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다. 1936년 경성부에 편입되기 전까지 논밭이었으며, '황학'이 날아왔다는 이야기나 인근 백학동에 대비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에 속했고, 일제강점기에는 신당정으로 불리다가 광복 후 성동구 신당동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법정동으로 분리되어 황학동이 되었으며, 1970년 신당8동으로 개칭되었다가 1975년 중구로 편입되었다. 주요 명소로는 서울중앙시장, 황학동 벼룩시장, 황학동 가구거리, 황학어린이공원 등이 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과 6호선 환승역인 신당역을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구의 법정동 - 중림동
    중림동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행정동으로, 조선 시대부터 여러 변화를 거쳐 194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약현성당, 손기정공원 등 주요 시설과 서울 지하철 2호선 충정로역이 위치한다.
  • 서울 중구의 법정동 - 정동 (서울특별시)
    정동은 서울 중구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신덕왕후의 능인 정릉에서 유래되었으며, 19세기 말 각국 공사관이 들어서 외교 중심지 역할을 했고 현재도 주요 외국 공관과 역사적 시설이 있으며 '정동 문화 야행' 축제가 개최된다.
  • 1978년 설치 - 구미시
    구미시는 경상북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어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자원을 보유한 인구 약 40만 명의 도시이다.
  • 1978년 설치 - 북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북구는 부산광역시의 16개 구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78년 신설되었으며, 5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2015년 기준 약 31만 명이 거주하고, 부산 도시철도 2, 3호선이 주요 교통수단이며, 중국 자오저우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 서울 중구의 행정동 - 명동
    명동은 조선 시대 주택가에서 일제강점기 상업 지구를 거쳐 광복 후 서울의 대표적인 번화가이자 관광 명소로 발전했으며, 쇼핑, 문화, 상업 시설과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시설이 밀집해 있다.
  • 서울 중구의 행정동 - 필동
    필동은 조선시대 '부골'에서 유래되어 일제강점기 '대화정'으로 불렸다가 해방 후 옛 이름을 되찾은 서울특별시 중구의 행정동으로, 9개의 법정동과 동국대학교,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충무로 '영화인의 거리' 등의 명소가 있으며, 충무로역이 인접하여 대중교통이 편리하다.
황학동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황학동 주민센터
황학동 주민센터
한글황학동
한자黃鶴洞
로마자 표기Hwanghak-dong
행정 정보
국가대한민국
지역수도권
특별/광역시서울특별시
시/군/구중구
면적0.33km²
인구 (2013년)12,238명
세대 (2017년 6월 30일)6,102
법정동황학동
25
152
동주민센터 주소난계로11길 52
동주민센터 홈페이지중구 황학동 주민센터

2. 역사

황학동이라는 동명 유래는 정확하지 않으나, 1936년에 만들어진 《대경성정도》에 의하면 당시 이곳은 대부분 논밭이었는데 ‘황학’이 날아왔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이에 비롯된 듯하다. 또한 현재 신당5동 관내에 옛 자연부락 중 하나인 ‘백학동’이 있어, 이와 대비되어 황학동이라는 동명이 생기지 않았나 하는 추측도 가능하다.[3]

황학동은 조선 초기 한성부에 포함되지 않았다. 1751년 (영조 27년) 《도성 3군문 분계총록》에 의하면 남부 두모방(성외) 신당리계였다. 갑오개혁 때는 한성부 남서 두모방(성외) 왕십리계 신당동이었으며, 이듬해 5월 26일에는 한성부 남부 신당리동이 되었다.[4]

1936년 4월 1일 황학동은 신당정으로 개칭되어 경기도에서 경성부로 편입되었으며,[5] 1943년 6월 10일 성동구 신당정이 되었다.[6] 광복 후에는 서울시 성동구 신당동으로 불리다가 신당동에서 분리되어 황학동이라는 명칭을 가지게 되었으나,[7] 1970년 5월 18일 신당8동으로 개칭되었다.[8] 1975년 10월 1일 성동구에서 중구로 편입되면서 상왕십리동 일부가 황학동으로 편입되었고, 1978년 10월 10일 신당제8동이 황학동으로 개칭되면서 신당동의 일부도 황학동에 편입되어 현재와 같은 구역이 확정되었다.[9]

2. 1. 조선 시대

1936년에 제작된 《대경성정도》에 따르면, 당시 황학동 지역은 대부분 논밭이었으며 ‘황학’이 날아왔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황학동이라는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신당5동 관내에 있는 옛 자연부락 중 하나인 ‘백학동’과 대비되어 황학동이라는 동명이 생겨났을 가능성도 있다.[3]

조선 초기 한성부를 5부 52방으로 나눌 때 황학동은 한성부에 포함되지 않았다. 1751년 영조 27년에 반포된 《도성 3군문 분계총록》에 의하면 남부 두모방(성외) 신당리계였으며, 갑오개혁 때는 한성부 남서 두모방(성외) 왕십리계 신당동이었다. 이듬해 5월 26일에는 한성부 남부 신당리동이 되었다.[4]

2. 2. 일제강점기

1936년 4월 1일 황학동은 신당정으로 이름이 바뀌어 경기도에서 경성부로 편입되었고,[5] 1943년 6월 10일 성동구 신당정이 되었다.[6]

2. 3. 광복 이후

광복 후 일제식 동명 변경에 따라 서울시 성동구 신당동으로 불리다가 이후 신당동에서 법정동 황학동으로 분리되었다.[7] 1970년 5월 18일 신당8동으로 개칭되었다.[8] 1975년 10월 1일 성동구에서 중구로 편입되었고, 이때 상왕십리동 일부가 황학동으로 편입되었다. 1978년 10월 10일 신당제8동이 황학동으로 개칭되면서 신당동의 일부도 황학동에 편입되어 현재와 같은 구역이 확정되었다.[9]

3. 지리

(이전 출력이 원본 소스 부재로 빈칸이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3. 1. 법정동

황학동은 법정동이다.

4. 명소

황학동에는 황학어린이공원, 황학동 벼룩시장, 서울중앙시장, 황학동 가구거리가 있다.[10]

4. 1. 서울중앙시장

서울중앙시장은 30여 년의 전통을 가진 황학동 주방 가구 및 가구 거리에 있으며, 400여 개의 업소가 밀집해 있다. 전국 외식업소 주방 용기의 80%가 이곳에서 조달된다.[10] 서울의 명물인 중고품 시장과 함께 외식업소 창업자들이 반드시 방문하는 곳으로, 업종별 주방 그릇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방 설비 상담부터 시공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10]

4. 2. 황학동 벼룩시장

황학동 벼룩시장은 다양한 중고 물품과 골동품을 판매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곳에서는 전자제품, 의류, 골동품 등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특히 오래된 물건이나 희귀한 물품을 찾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4. 3. 황학동 가구거리

황학동 주방 가구 및 가구 거리는 30여 년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400여 개의 업소가 밀집해 있다. 이곳은 전국 외식업소 주방 용기의 80%를 조달한다.[10] 서울중앙시장과 더불어 외식업소 창업자들이 반드시 방문하는 곳으로, 다양한 업종의 주방 그릇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주방 설비 상담부터 시공까지 한 번에 해결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10]

4. 4. 황학어린이공원

황학동에 있는 어린이공원이다.

5. 교통

황학동은 신당역을 통해 2호선, 6호선을 이용할 수 있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다.

5. 1. 지하철

신당역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junggu.se[...] 2013-09-15
[2]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2008-05-07
[3] 웹사이트 황학동의 유래 및 연혁 http://www.junggu.se[...] 2017-07-09
[4] 문서 칙령 제98호
[5]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8호
[6]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7] 문서 서울특별시 조례 제419호
[8] 문서 서울특별시 조례 제613호
[9] 문서 서울시 조례 제 1286호, 동명칭 및 구역획정
[10] 웹사이트 황학동 가구거리 http://tour.junggu.s[...] 2012-06-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