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 (부산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구 (부산광역시)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삼한 시대부터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 1978년 부산진구와 김해군의 일부를 통합하여 신설되었다. 현재 구포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동, 만덕동 등 5개의 법정동과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3호선과 경부선 철도가 지나며, 부산과학기술대학교, 한국폴리텍7대학, 여러 고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자매 도시로는 중국 자오저우 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북구 - 화명도서관
화명도서관은 2010년 2월 2일 개관하여 북구 평생학습관으로 지정되었고 토요스쿨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에 휴관하는 지상 5층, 지하 1층 규모의 도서관이다. - 부산 북구 - 부산광역시립구포도서관
부산광역시립구포도서관은 1983년 개관하여 평생학습관 지정, 유아 및 어린이 특성화 도서관 지정, 장애인 및 어르신을 위한 시설 설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우수한 운영 성과를 인정받는 부산광역시의 공공도서관이다. - 부산 북구의 행정 구역 - 구포동 (부산)
구포동은 부산광역시 북구에 속하며, 거북이 갯가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낙동강 3대 나루터였고, 현재는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산과학기술대학교와 구포역, 구명역, 구남역, 구포역이 지나가고, 당숲이 있는 지역이다. - 부산 북구의 행정 구역 - 만덕동 (부산)
만덕동은 임진왜란 피난민 설화에서 유래된 부산광역시의 동으로,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지나고 아파트 단지들과 만덕사지 등의 명소가 있다. - 1978년 설치 - 구미시
구미시는 경상북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어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자원을 보유한 인구 약 40만 명의 도시이다. - 1978년 설치 - 서울강동경찰서
서울강동경찰서는 1978년 강남경찰서에서 분리되어 개서하여 강남구 일부를 관할하다 강동구 성립 후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고, 송파경찰서 개설로 송파구를 이관하여 현재는 강동구만을 관할하며 4개의 지구대와 4개의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있다.
북구 (부산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행정 | |
면적 및 인구 | |
상징 | |
기타 정보 |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 |
2. 역사
삼한시대에는 변한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금관가야의 지배를 받았다. 삼국시대 신라 지증왕 때 신라에 복속되었다. 통일신라 665년(문무왕 5년) 삽량주에 속했다가, 757년(경덕왕 16년) 양주에 속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년) 양주에 속했다가, 938년 (성종 2년) 경주목 양주군이 되었다. 1022년(현종 13년)에는 경상도 양주군이 되었다.[5]
시기 | 행정 구역 |
---|---|
1413년(태종 13년) | 경상도 양산군 좌이전방과 하동방 일부 |
1520년(중종 15년) | 경상좌도 양산군 |
1603년(선조 36년) | 경상도 양산군 좌이면(공창리, 동원리, 대천리, 와석리, 용당리, 수정리, 산양리, 사량리, 남창리, 소요리, 유도리). 만덕리는 동래부 서면에 속함. |
1840년(영조 16년) | 경상도 양산군 좌이면 |
1869년(고종 6년) | 경상도 동래부 좌이면 |
1875년(고종 12년) | 경상도 양산군 좌이면 |
1896년(고종 33년) | 경상남도 부산부 좌이면으로 되었다가 이듬해 다시 양산군 좌이면으로 환원 |
일제시대인 1910년 | 경상남도 부산부 좌이면(만덕리는 동래군 서하면에 속함) |
194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
1975년 8월 30일 | 시 직할 북부출장소 설치(구포와 사상지역) |
1978년 2월 15일 | 부산진구의 일부와 경상남도 김해군 일부를 관할로 하여 북구가 신설.[6] |
1983년 5월 1일 | 시 직할 강서출장소 설치 |
1983년 12월 15일 | 대저동 을숙도, 일웅도가 사하구에 편입. |
1988년 5월 1일 | 자치구로 승격. |
1989년 1월 1일 | 북구의 일부를 관할로 하여 강서구가 신설.[7] |
1991년 1월 1일 | 부산직할시 북구의회 개원 |
1995년 1월 1일 | 부산광역시 북구로 개칭.[8] |
1995년 3월 1일 | 북구의 일부를 분리하여 사상구가 신설. 현재 북구는 5개 법정동(구포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동, 만덕동)을 관할.[9] |
북구는 5개의 법정동(구포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동, 만덕동)과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0]
3. 행정 구역
2015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북구의 면적은 39.36km2이고, 인구는 310,484명, 세대수는 118,865세대이다.[10]
3. 1. 구포동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0]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명) | 세대 |
---|---|---|---|---|
구포1동 | 龜浦1洞 | 1.14km2 | 15,668 | 7,090 |
구포2동 | 龜浦2洞 | 2.91km2 | 28,587 | 11,703 |
구포3동 | 龜浦3洞 | 1.47km2 | 24,186 | 9,679 |
3. 2. 금곡동
2015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금곡동의 면적은 8.12 km2이며, 인구는 44,312명, 18,315 세대이다.[10] 금곡동은 단일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행정동 | 법정동 |
---|---|
금곡동 | 금곡동 |
3. 3. 화명동
화명동은 부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으로, 화명1동, 화명2동, 화명3동의 3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0] 2015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면적, 인구, 세대 수는 다음과 같다.
3. 4. 덕천동
덕천1동, 덕천2동, 덕천3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0]
3. 5. 만덕동
만덕동은 만덕1동, 만덕2동, 만덕3동의 3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각 행정동별 면적, 인구, 세대 수는 다음과 같다.[10]
4. 인구
연도 | 총인구 |
---|---|
1980년 | 338,375명 |
1985년 | 385,920명 |
1990년 | 476,854명 |
1995년 | 278,104명 |
2000년 | 298,183명 |
2005년 | 328,939명 |
2010년 | 301,296명 |
2015년 | 299,182명 |
2020년 | 290,908명 |
1990년대에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가, 사상구 분구 등으로 인해 감소하였다. 최근에는 다시 인구가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5. 교통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북구를 지난다.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의 화명역과 구포역도 북구에 있다.
5. 1.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금곡역, 동원역, 율리역, 화명역, 수정역, 덕천역, 구명역, 구남역을 지난다.[1]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구포역, 덕천역, 숙등역, 남산정역, 만덕역을 지난다.[1]5. 2. 철도
한국철도공사 경부선 화명역, 구포역이 있다.6. 교육 기관
(부산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