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동 (서울특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동은 조선 시대 신덕왕후의 정릉이 있던 곳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현재는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지역이다. 19세기 말부터 미국, 영국, 러시아 등 여러 국가의 공사관이 설치되면서 근대 외교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도 여러 외국 대사관이 자리하고 있다. 덕수궁, 배재학당, 구 러시아 공사관 등 역사적 건축물과 이화여자고등학교, 예원학교 등 교육 시설, 그리고 정동제일교회와 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 등 종교 시설이 위치해 있다. 정동 문화 야행과 같은 문화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구의 법정동 - 중림동
    중림동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행정동으로, 조선 시대부터 여러 변화를 거쳐 194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약현성당, 손기정공원 등 주요 시설과 서울 지하철 2호선 충정로역이 위치한다.
  • 서울 중구의 법정동 - 황학동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황학동은 조선시대 두모방 신당리계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 신당정을 거쳐 광복 후 신당동에서 분리되었고, 서울중앙시장, 황학동 가구거리, 황학동 벼룩시장 등 다양한 시장과 신당역을 통한 편리한 교통이 특징이다.
  • 서울 도심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는 금융 정책, 금융기관 감독, 자본시장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담당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위원회를 통해 금융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하며 금융정보분석원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 서울 도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1946년 설치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1946년 설치 - 홍제동 (서울)
    홍제동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하며, 중국 사신이 머물던 홍제원에서 이름이 유래했고, 서울 지하철 3호선 역과 무악재 고개가 있는 지역이다.
정동 (서울특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한글정동
한자貞洞
로마자 표기Jeong-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특별시서울특별시

2. 역사

정동은 조선 초 한성부 서부 황화방에 속하였으며,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정릉이 있던 곳이라 하여 정릉동이라 불렸다.[7] 태종 대에 정릉이 도성 밖으로 이전되었으나, '정릉동(貞陵洞)' 혹은 '정동(貞洞)'이라는 지명은 그대로 남았다.[7]단종실록』 1452년 7월 3일자 기사에는 안평대군 이용(1418~1453)의 행태를 비난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정릉동'이라는 표기가 등장한다.[7]

이후 '대정동(大貞洞)' 혹은 '대정릉동(大貞陵洞)'과 '소정동(小貞洞)' 혹은 '소정릉동(小貞陵洞)'이라는 지명도 나타났다.[7] 정동길의 서쪽 일대는 '대정동', 동쪽 일대는 '소정동'이라고 불렀으며, 대정동은 서울시립미술관이 있는 서소문동 일부와 배재학당, 이화학당 지역을, 소정동은 덕수궁대한문 앞(서울시청광장 일대)을 포함하는 것으로 파악된다.[8]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정동과 소정동이 통합되어 정동(貞洞)이 되었으나, 많은 지역이 주변 지역으로 편입되었다.[9] 이때 조선총독부는 전국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면서 개별 단위의 동네들을 자신들의 편의대로 구역을 재편하거나 명칭을 변경하였다.[9] 『조선총독부 관보』1914년 4월 27일자에 게제된 '조선총독부 경기도고시 제7호 경성부 정동의 명칭 및 구역'(고시일자 1914년 4월 1일)에서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9] 토지조사사업 결과 새로운 지번이 부여된 이래로 행정구역상 정동에 존속했던 지번은 '정동 1번지'부터 '정동 34번지'에 이르는 구성이었다.[9] 1936년 행정구역 개편 때 정동정(貞洞町)이 되었고,[9] 정동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다.[9]

1946년 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975년 중구 관할이 되었다.[9]

19세기 말부터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등 여러 국가의 공사관 및 영사관이 정동에 설치되기 시작했다.[10] 1883년 5월에 개설된 미국 공사관(정동 10번지)과 1884년 4월에 개설된 영국 공사관(정동 4번지)이 그 시초였다.[10] 이후 1885년 10월에는 러시아 공사관(정동 15-1번지)이, 1889년 10월에는 프랑스 공사관(정동 28번지)이 정동으로 이전해 왔다.[10]

1977년 사적으로 지정된 구 러시아 공사관이 현재까지 남아있다.[10] 과거 프랑스 공사관 자리에는 현재 창덕여자중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1901년 10월에 개설되었던 벨기에 영사관(정동 16-1번지) 자리에는 해방 이후 하남호텔을 거쳐 현재 캐나다 대사관이 자리하고 있다.[10] 1891년 후반에 서소문동 38번지에 설치되었던 독일 영사관은 현재 서울시립미술관 자리이다.[10]

1894년에는 정동 17번지에 외교관 구락부 건물이 신축되었다.[10] 1892년 결성되어 프랑스 공사관 인접 가옥에서 회합을 가지다가 이 곳에 건물을 신축한 것이다.[10] 1923년에 이 자리를 서울외국인학교가 매입하여 1957년까지 사용하였고, 현재는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건물이 자리하고 있다.[10] 현재 미국 대사관저(정동 10번지), 영국 대사관(정동 4번지) 등이 거의 변동 없이 남아있다.[10]

2. 1. 조선 시대

정동은 조선 초 한성부 서부 황화방에 속하였으며,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정릉이 있던 곳이라 하여 정릉동이라 불렸다.[7] 태종 대에 정릉이 도성 밖으로 이전되었으나, '정릉동(貞陵洞)' 혹은 '정동(貞洞)'이라는 지명은 그대로 남았다.[7]단종실록』 1452년 7월 3일자 기사에는 안평대군 이용(1418~1453)의 행태를 비난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정릉동'이라는 표기가 등장한다.[7]

이후 '대정동(大貞洞)' 혹은 '대정릉동(大貞陵洞)'과 '소정동(小貞洞)' 혹은 '소정릉동(小貞陵洞)'이라는 지명도 나타났다.[7] 정동길의 서쪽 일대는 '대정동', 동쪽 일대는 '소정동'이라고 불렀으며, 대정동은 서울시립미술관이 있는 서소문동 일부와 배재학당, 이화학당 지역을, 소정동은 덕수궁대한문 앞(서울시청광장 일대)을 포함하는 것으로 파악된다.[8]

2. 2. 일제강점기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정동과 소정동이 통합되어 정동(貞洞)이 되었으나, 많은 지역이 주변 지역으로 편입되었다.[9] 이때 조선총독부는 전국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면서 개별 단위의 동네들을 자신들의 편의대로 구역을 재편하거나 명칭을 변경하였다.[9] 『조선총독부 관보』1914년 4월 27일자에 게제된 '조선총독부 경기도고시 제7호 경성부 정동의 명칭 및 구역'(고시일자 1914년 4월 1일)에서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9] 토지조사사업 결과 새로운 지번이 부여된 이래로 행정구역상 정동에 존속했던 지번은 '정동 1번지'부터 '정동 34번지'에 이르는 구성이었다.[9] 1936년 행정구역 개편 때 정동정(貞洞町)이 되었고,[9] 정동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다.[9]

2. 3. 해방 이후

1936년 행정구역 개편 때 정동정(貞洞町)이 되었고,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다.[9] 1946년 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975년 중구 관할이 되었다.[9]

19세기 말부터 각국 공사관들이 정동에 들어오기 시작했다.[10] 미국공사관(1883년 5월 개설, 정동 10번지), 영국공사관(1884년 4월 개설, 정동 4번지), 러시아공사관(1885년 10월 개설, 정동 15-1번지) 등이 있었다.[10] 현재 미국대사관저(정동 10번지), 영국대사관(정동 4번지)이 남아있다.[10]

2. 4. 근대 외교 공관

19세기 말부터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등 여러 국가의 공사관 및 영사관이 정동에 설치되기 시작했다.[10] 1883년 5월에 개설된 미국 공사관(정동 10번지)과 1884년 4월에 개설된 영국 공사관(정동 4번지)이 그 시초였다.[10] 이후 1885년 10월에는 러시아 공사관(정동 15-1번지)이, 1889년 10월에는 프랑스 공사관(정동 28번지)이 정동으로 이전해 왔다.[10]

1977년 사적으로 지정된 구 러시아 공사관이 현재까지 남아있다.[10] 과거 프랑스 공사관 자리에는 현재 창덕여자중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1901년 10월에 개설되었던 벨기에 영사관(정동 16-1번지) 자리에는 해방 이후 하남호텔을 거쳐 현재 캐나다 대사관이 자리하고 있다.[10] 1891년 후반에 서소문동 38번지에 설치되었던 독일 영사관은 현재 서울시립미술관 자리이다.[10]

1894년에는 정동 17번지에 외교관 구락부 건물이 신축되었다.[10] 1892년 결성되어 프랑스 공사관 인접 가옥에서 회합을 가지다가 이 곳에 건물을 신축한 것이다.[10] 1923년에 이 자리를 서울외국인학교가 매입하여 1957년까지 사용하였고, 현재는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건물이 자리하고 있다.[10] 현재 미국 대사관저(정동 10번지), 영국 대사관(정동 4번지) 등이 거의 변동 없이 남아있다.[10]

3. 주요 시설

덕수궁, 배재학당, 구 러시아 공사관, 중명전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건물들이 보존되어 있다.[5] 정동극장과 같은 예술 시설과 주한 미국 대사관을 비롯한 여러 외국 공관들도 위치해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이화여자고등학교, 예원학교 등이 있으며, 종교 시설로는 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과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교회인 정동제일교회가 있다.[6] 경향신문 또한 정동에 위치한다.

주한 미국 대사관,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 주한 러시아 대사관, 주한 영국 대사관, 주한 캐나다 대사관 등 여러 국가의 공관이 정동에 위치해 있다. 과거 벨기에 영사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은 현재 주한 캐나다 대사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화여자고등학교, 예원학교, 창덕여자중학교, 덕수초등학교 등 여러 학교가 정동에 위치하고 있다.

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과 정동제일교회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교 시설이 정동에 위치하고 있다.[6] 정동제일교회는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6]

정동극장은 정동에 위치한 예술 시설이다. 경향신문사 또한 정동에 위치해 있다.

3. 1. 문화재 및 역사적 건축물

덕수궁, 배재학당, 구 러시아 공사관, 중명전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건물들이 보존되어 있다.[5] 정동극장과 같은 예술 시설과 주한 미국 대사관을 비롯한 여러 외국 공관들도 위치해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이화여자고등학교, 예원학교 등이 있으며, 종교 시설로는 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과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교회인 정동제일교회가 있다.[6] 경향신문 또한 정동에 위치한다.

3. 2. 외국 공관

주한 미국 대사관,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 주한 러시아 대사관, 주한 영국 대사관, 주한 캐나다 대사관 등 여러 국가의 공관이 정동에 위치해 있다. 과거 벨기에 영사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은 현재 주한 캐나다 대사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3. 3. 교육 기관

이화여자고등학교, 예원학교, 창덕여자중학교, 덕수초등학교 등 여러 학교가 정동에 위치하고 있다.

3. 4. 종교 시설

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과 정동제일교회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교 시설이 정동에 위치하고 있다.[6] 정동제일교회는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6]

3. 5. 기타 시설

정동극장은 정동에 위치한 예술 시설이다. 경향신문사 또한 정동에 위치해 있다.

4. 문화 행사

정동 문화 야행은 덕수궁을 비롯하여 조선 시대 왕이 머물렀던 곳으로, 근대 서양 문화가 처음 뿌리내린 곳이다. 이화학당, 배재학당, 정동제일교회 등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한 곳들이 정동의 생생한 역사를 전하고 있다.[3] 정동 문화 야행은 국내외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문화 체험을 제공한다. 어가행렬, 군악대 퍼레이드, 콘서트, 스토리텔링, 버스킹, 영화 상영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서울특별시와 연계하여 개최될 예정이다.[4]

5. 사진



6. 교통

참조

[1] 웹사이트 ko:정동 (Jeong-dong 貞洞) http://www.encyber.c[...] 2008-05-09
[2] 뉴스 Past and present share space in Jeong-dong http://koreajoongang[...] 2013-01-27
[3] 웹사이트 ko:정동야행 http://culture-night[...] 2018-05-13
[4] 뉴스 '[Travel Bits] Festivals, sights around Korea' http://www.koreahera[...] 2018-05-13
[5] 뉴스 Seoul's historic foreign quarter http://koreajoongang[...] 2008-02-04
[6] 웹사이트 Chungdong First Methodist Church (서울 정동교회) https://english.visi[...] 2023-12-17
[7] 서적 정동과 각국 공사관 하늘재 2012
[8] 웹사이트 대정동과 소정동 http://jungdong.cult[...]
[9] 서적 정동과 각국 공사관 하늘재 2012
[10] 서적 정동과 각국 공사관 하늘재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