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령 사공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령 사공씨는 중국 당나라 예부시랑 사공도(司空圖)의 후손으로, 고려 충숙왕 때 효령군에 봉해진 사공중상(司空仲常)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본관은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일대이며,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의 사공실, 사공민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사공억 등이 있다. 2015년에는 효령 사공씨와 군위 사공씨를 합쳐 4,297명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효령 사공씨 - 사공일
사공일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관료, 정치인으로, UCLA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KDI 재정금융실장, 산업연구원 원장, 재무부 장관,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국가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장,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한국무역협회 회장, 중앙일보 고문 등을 역임했다. - 효령 사공씨 - 사공영진
대한민국의 법조인인 사공영진은 사법시험 합격 후 판사로서 대구지방법원, 대구고등법원 등에서 활동하고 청주지방법원장을 거쳐 대구고등법원장을 역임했으며 법무법인 삼일 고문 변호사와 해양경찰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 효령 사공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본관 | 효령 사공씨 (孝令 司空氏) |
| 이칭 | 군위 사공씨 (軍威司空氏) |
| 관향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
| 시조 | 사공도 (司空圖) |
| 중시조 | 사공중상 (司空仲常) |
| 나라 | 한국 |
| 인구 정보 | |
| 2015년 인구 | 4,297명 |
| 역사 | |
| 기원 | 중국 사공도(司空圖) |
| 주요 인물 | |
| 인물 | 사공실 사공민 사공억 사공일 사공영진 사공엽 |
| 기타 정보 | |
| 관련 링크 | Academy of Korean Studies 효령사공씨 孝令司空氏 |
2. 역사
'''효령 사공씨'''(司空氏)는 중국 돈구군(직례성 대명부 청풍현, 현 허난성 푸양시)에서 기원한 성씨이다. 사공씨는 가신이 사공의 관직을 받아 관직명을 성씨로 하사받은 것이 시초이다.
효령 사공씨의 시조 사공도는 당나라 희종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냈다. 897년(신라 효공왕 1년) 황소의 난을 피해 일가족과 동료 7학사를 데리고 신라로 와서 당나라 문화를 보급하는 데 힘썼다. 난이 평정되자 사공도는 당나라로 돌아갔고, 신라에 남은 가족들의 후예가 사공씨의 계통을 이었다.
그 후 계보가 불분명하여, 고려 충숙왕 때 봉익대부(奉翊大夫)로 판의시사(判儀시事)를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효령군(孝令君)에 봉해진 '''사공중상'''(司空仲常)을 1세조로 한다.[8]
2. 1. 시조 논란 및 비판
효령 사공씨의 시조는 당나라 희종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낸 사공도(司空圖)로 알려져 있다. 사공도는 897년(신라 효공왕 1년)에 황소의 난을 피해 일가족 및 동료 7학사와 함께 신라로 건너와 당나라 문화를 보급하는 데 힘썼다. 난이 평정된 후 사공도는 당나라로 돌아갔지만, 남은 가족들의 후예가 사공씨의 계통을 이었다고 전해진다.[8]그러나 그 이후의 계대(系代)가 불분명하여, 고려 충숙왕 때 봉익대부(奉翊大夫)로 판의시사(判儀시事)를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효령군(孝令君)에 봉해진 사공중상(司空仲常)을 1세조로 삼고 있다.[8]
3. 본관
효령(孝令)은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일대의 옛 지명이다. 신라 때 모혜현(芼兮縣)이 설치되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효령현(孝靈縣)으로 이름을 바꾸어 숭선군(崇善郡)의 관할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효령현이 상주목(尙州牧)에 속하였다가 1143년(인종 21) 일선현(一善縣) 소속으로 개편되었고, 1390년(공양왕 2) 군위현에 병합되어 감무가 파견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효령(孝靈)의 성으로 유(劉)·사공(司空) 2성이 기록되어 있다.[9] 1914년 군위군 효령면이 되었다.
4. 인물
효령 사공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고려 시대 주요 인물로는 사공실, 사공민, 사공달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사공주, 사공발, 사공비, 사공회, 사공선, 사공용, 사공습, 사공양, 사공기, 사공지, 사공우, 사공균, 사공현, 사공억 등이 있다.
현대에는 사공일 전 재무부 장관, 사공영진 전 대구고등법원장, 야구 선수 사공엽 등이 있다.
4. 1. 고려
- 사공실(司空實): 사공중상의 아들. 자는 백단(伯亶). 1353년(고려 공민왕 2년) 병과 2위로 문과에 급제하여, 광흥창사(廣興倉使)와 대호군(大護軍)을 지내고 한림박사(翰林博士)로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을 떨쳐 동방명현록(東方名賢錄)에 수록되었다.[1]
- 사공민(司空敏): 사공실의 아들. 고려 우왕의 장인인 최영(崔瑩) 장군의 사위다. 공민왕과 창왕 대에 걸쳐 사복시정(司僕寺正)과 삼사 부윤(三司府尹)을 지내고 숭록대부(崇祿大夫)로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으나 고려의 국운(國運)이 기울자 벼슬을 버리고 향리(鄕里)로 돌아가 절의(節義)를 지켰다. 사공민(司空敏)의 사위는 남양 홍씨 창사공(倉使公) 홍계강(洪季康)이다.[1]
- 사공달(司空達): 사공민의 아들. 개성유수(開城留守)를 지냈다.[1]
4. 2. 조선
- 사공주(司空周) : 사공달의 아들. 조선 시대에 자헌대부(資憲大夫)로 성균관사(成均館事)에 올랐으나,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여 낙향하였다. 세조가 있는 북쪽을 향해 앉지도 않았다고 한다.
- 사공발(司空發) : 사공주의 아들. 문종 때 통훈대부(通訓大夫)에 올랐으나, 강직한 성품으로 직간(直諫)하다가 미움을 받아 벼슬을 버리고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슬하에 아들 3형제를 두어 이들이 종파(宗派)·중파(仲派)·계파(季派)로 갈라졌다.
- 사공비 : 성종 때 선무랑(宣務郞)으로 개성부 직장(開城府直長)을 지냈다.
- 사공회(司空誨) : 선조 때 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을 지냈다.
- 사공선(司空銑) : 훈련원 봉사(訓鍊院奉事)를 지냈다.
- 사공용(司空鎔) : 평구도찰방(平丘道察訪)을 지냈다.
- 사공습(司空習) : 군자감직장(軍資監直長)을 지냈다.
- 사공양(司空亮) : 사공습의 아들. 형조정랑(刑曹正郞)을 역임하였다.
- 사공기(司空琦) : 홍문관 부응교(弘文館副應敎)를 지냈다.
- 사공지(司空祉) : 찰방 사공용의 손자. 숙종 때 용양위 부호군(龍양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 사공우(司空祐)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 사공균(司空均)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다.
- 사공현(司空鉉) : 순조 때 병마절제사(兵馬切除使)를 지냈다.
- 사공억(司空檍, 1805년 ~ 1841년) : 조선 후기 문신, 유학자. 호는 다천(茶泉)이다. 경상도 적라(赤羅: 현 군위군) 구택리(鳩澤里)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사공장(司空墇), 조부는 사공준(司空焌), 부친은 사공수(司空洙)이다. 외조부는 홍하원(洪夏源), 처부는 이상회(李尙晦)이다. 1840년(헌종 6)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2등으로 합격하여, 장악원정(掌樂院正, 정3품)을 역임하였다. 37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저서로 『다천선생문집(茶泉先生文集)』 2책이 있다.
4. 3. 현대
5. 과거 급제자
| 시대 | 급제자 | 출생년도 | 시험 종류 및 시기 | 등위 |
|---|---|---|---|---|
| 고려 | 사공실 | 공민왕 2년(1353년) 병과[10] | ||
| 조선 | 사공도(司空鍍) | 1769년 | 생원시, 순조 16년(1816년) 식년시 | 3등 |
| 조선 | 사공간(司空榦) | 1811년 | 진사시, 헌종 1년(1835년) 증광시 | 3등 |
| 조선 | 사공회(司空澮) | 1800년 | 진사시, 헌종 6년(1840년) 식년시 | 3등 |
| 조선 | 사공억(司空檍) | 1805년 | 진사시, 헌종 6년(1840년) 식년시 | 2등 |
6. 집성촌
7. 항렬자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
| 현(鉉) | 영(永) | 상(相) | 병(炳) | 규(圭) | 진(鎭) | 수(洙) | 계(桂) | 열(烈) | 재(在) | 석(錫) | 문(汶) |
8. 인구
| 연도 | 효령 사공씨 | 군위 사공씨 | 합계 |
|---|---|---|---|
| 1985년 | 739가구, 2,828명 | 168가구, 730명 | 3,558명 |
| 2000년 | 867가구, 2,664명 | 493가구, 1,639명 | 4,307명 |
| 2015년 | 2,723명 | 1,574명 | 4,297명[3] |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효령사공씨 孝令司空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0
[4]
뉴스
효령(孝令) 사공(司空)
http://www.jokbo.re.[...]
부천족보전문도서관
[5]
문서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상주목 군위현
http://sillok.histor[...]
[6]
웹사이트
사공씨(司空氏) 본관(本貫) 효령(孝令)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7]
뉴스
화지원(華之元)
http://people.aks.ac[...]
한국학중앙연구원
[8]
웹인용
효령 사공씨 - 부천족보전문도서관
https://web.archive.[...]
2015-11-24
[9]
문서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상주목 군위현
http://sillok.histor[...]
[10]
인물
사공실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