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니는 제3왕조 말기에 이집트를 통치했던 파라오로, 그의 재위 기간과 업적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지만, 건축 사업과 관련된 몇 가지 유물을 통해 그의 존재가 확인된다. 그의 이름은 엘레판틴 섬에서 발견된 화강암 원뿔과 남아부시르의 석재 그릇 등에서 확인되며, 카르투슈 이름의 다양한 판독과 호루스 이름의 논란이 있다. 토리노 파피루스에 따르면 24년간 통치했으며, 메이둠 피라미드 건설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자위예트 엘 아리안의 층상 피라미드 건설을 지시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 - 조세르
    조세르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이며, 사카라에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하여 이집트 피라미드 건축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시나이 반도 원정과 재상 임호텝의 지휘 아래 대규모 건축 사업을 통해 이집트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했다.
  •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 - 사나크테
    사나크트는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정체성, 재위 시기, 왕조 내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베이트 칼라프의 마스타바 K2에서 그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 발견되었고, 그의 무덤 위치는 불분명하지만 마스타바 K2에서 발견된 거대한 남성 골격은 고대 이집트 거인증 사례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기원전 27세기 파라오 - 조세르
    조세르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이며, 사카라에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하여 이집트 피라미드 건축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시나이 반도 원정과 재상 임호텝의 지휘 아래 대규모 건축 사업을 통해 이집트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했다.
  • 기원전 27세기 파라오 - 사나크테
    사나크트는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정체성, 재위 시기, 왕조 내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베이트 칼라프의 마스타바 K2에서 그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 발견되었고, 그의 무덤 위치는 불분명하지만 마스타바 K2에서 발견된 거대한 남성 골격은 고대 이집트 거인증 사례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후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원전 2650-2600년경의 왕의 머리
분홍색 화강암 머리, 아마도 후니를 묘사한 것으로, 브루클린 미술관 소장
다른 이름니-스웨테흐, 니수트-후, 후-엔-니수트, 카헤제트 (?), 케르페리스, 아케스
통치 기간기원전 2636-2613년 (24년)
왕조이집트 제3왕조
이전 통치자카바 (?)
다음 통치자스네페루
즉위명아부시르 돌 그릇
니수트-비트 후-엔-니수트
M23:X1-L2:X1-M23-X1:N35-V28

엘레판티네 원뿔/팔레르모 석
후-엔-니수트
<-M23-X1:N35-V28->

파피루스 프리스
후이
강타자
V10A-A25-N35:Z4-V11A

사카라 석판
후이
강타자
<-V28-A25-N35:Z4-D40->

토리노 왕 목록
후... 왕
V10A-V28-Z5-A25-HASH-V11A-G7
가족 관계
배우자제파트네브티 (?), 메레스앙크 1세 (?)
자녀헤테페레스 1세 (?), 스네페루 (?)
기념물엘레판티네의 숭배용 계단식 피라미드와 궁전
카르투슈
호루스 이름카헤제트
호루스 이름 (상형 문자)N29-S1

2. 역사적 기록과 증거

후니의 이름이 새겨진 동시대 유물은 두 점이 있다. 엘레판틴 섬에서 발견된 카르투슈가 새겨진 화강암 원뿔[4]마그네사이트로 만들어진 광택 처리된 석재 그릇[5]이다.

170px

2. 1. 동시대 유물

후니의 이름이 새겨진 동시대 유물은 두 점이 있다. 엘레판틴 섬에서 발견된 카르투슈가 새겨진 화강암 원뿔[4]마그네사이트로 만들어진 광택 처리된 석재 그릇[5]이다.

  • 첫 번째 유물은 엘레판틴 섬에서 발견된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원뿔 모양의 석비이다. 약 159.99cm 길이, 약 68.99cm 두께, 약 50.01cm 너비를 가지고 있다. 앞면에는 "후니의 머리띠 궁전"이라는 왕궁과 왕의 카르투슈 안에 후니의 이름을 새겨 넣은 직사각형 틈새가 있다. 이 유물은 '''''유물 JE 41556''''''으로 카이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4][12]

  • 2007년에 발견된 두 번째 유물은 마그네사이트로 만들어진 광택 처리된 석재 그릇으로, 남아부시르의 마스타바 무덤 '''''AS-54''''''에서 발견되었다. 이 석재 그릇 비문은 카르투슈 없이 후니의 이름을 언급하지만, ''Njswt-Bity'' 칭호를 함께 사용했다. 후니의 이름을 형성하는 상형 문자의 정자법은 ''Njswt-Hw'' 또는 ''Hw-en-Niswt''로 읽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5]

3. 이름과 정체성 논란

후니의 이름과 정체성은 여러 기록과 해석이 엇갈리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카르투슈 이름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호루스 이름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아 학자들 사이에 여러 이론이 존재한다.

3. 1. 카르투슈 이름

후니의 정체성은 그의 이름이 대부분 카르투슈 이름으로, 그리고 여러 변형으로 전해져 내려와 확립하기 어렵다. 그의 카르투슈 이름의 가장 초기의 언급은 코끼리 섬의 화강암 원뿔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이는 동시대일 가능성이 있다. 그렇지 않다면, 후니의 카르투슈는 제5왕조에 속하는 팔레르모 석비 P1과 제13왕조의 프리세 파피루스에서 가장 초기에 나타난다.[9] 후니의 카르투슈는 또한 사카라 왕 목록과 토리노 왕령에서도 발견되는데, 이 두 목록 모두 제19왕조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비도스 왕 목록은 제19왕조에 속하는데, 후니의 이름을 생략하고 이집트학자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네페르카라 1세''를 대신 제시한다.[9]

그의 카르투슈 이름의 판독과 번역 또한 논쟁의 대상이다. 일반적으로 그의 이름에는 두 가지 기본 버전이 존재한다. 즉, (잃어버린) 원본에 가장 가까운 옛 버전과 람세스 시대의 해석과 오독을 기반으로 한 젊은 버전이 있다.

170px


오래된 버전은 상형 문자 기호인 '양초 심지'(가디너 기호 V28), '골풀 싹'(가디너 기호 M23), '빵 덩어리'(가디너 기호 X1) 및 '물결선'(가디너 기호 N35)을 사용한다. 이 표기 형식은 팔레르모 석비 정면(네페리르카레의 치세), 메트젠의 묘비명, 아부시르에서 발견된 석기 및 코끼리 섬의 화강암 원뿔과 같은 고왕국 시대의 유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부시르의 석기에는 카르투슈 없이 후니의 이름이 쓰여 있지만, ''니스위트-비티'' 칭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다른 모든 고왕국 시대의 기록에서는 왕의 이름을 타원형 카르투슈 안에 넣고 있다.[17]

람세스 시대의 버전은 상형 문자 기호인 '양초 심지'(가디너 기호 V28), '구타하는 사람'(가디너 기호 A25), '물결선'(가디너 기호 N35) 및 '지팡이를 든 팔'(가디너 기호 D40)을 사용한다. 사카라 왕 목록의 카르투슈 No. 15에는 물결선과 구타하는 팔 사이에 두 개의 수직선이 있다. 프리세 파피루스에는 양초 심지와 구타하는 팔이 생략되어 있다.[17]

루트비히 보르하르트는 20세기 초에 오래된 카르투슈 버전과 람세스 시대의 카르투슈 버전이 동일한 왕을 지칭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람세스 시대의 서기관들이 ''니스위트-비티'' 칭호의 갈대 기호를 잘못 제거하여 왕의 카르투슈 앞에 배치했기 때문에 이 기호가 후니의 원래 출생 또는 왕위명칭의 일부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고 제안했다. 그는 또한 양초 심지가 "강타"의 기호로 잘못 해석되어 람세스 시대의 서기관들이 그 뒤에 구타하는 사람의 상형 문자를 배치하도록 유도했다고 제안했다.[10] 이러한 결론은 오늘날 학자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공유되고 있다.[12]

보르하르트는 자신의 가설에 따라 후니의 카르투슈 이름을 ''니스위트 후''("왕 후")로 읽는다.[10] 그러나 한스 괴디케는 대신 ''니 스웨테'' 또는 ''니스웨테''("구타하는 자에게 속한 자")로 읽고 후니의 이름이 신을 숭배하는 이름이라고 확신한다. 그는 후니의 이름 구성을 네트제리("호루스의 신에게 속한 자")와 네우세르레("레의 힘을 가진 자들에게 속한 자")와 같은 왕들의 이름과 비교한다.[11] 라이너 슈테델만과 볼프강 헬크는 괴디케의 판독을 반박하며, "스웨테"라는 신, 사람, 장소 또는 심지어 구어체 용어를 언급하는 이집트 문서는 하나도 없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왕의 이름을 "니스웨테"로 만들 수 있는 문법적 출처가 없다. 헬크는 대신 ''흐위-니-니스위트''로 읽는 것을 제안하고 이를 "말은 왕에게 속한다"로 번역한다.[12][17]

3. 2. 호루스 이름

후니의 호루스 이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카르투슈 이름인 "후니"를 당시의 호루스 이름과 연결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1960년대 후반, 루브르 박물관은 호루스 이름이 ''호루스-카헤제트''("호루스의 왕관이 세워졌다")인 왕을 묘사하는 석비 하나를 구입했다. 양식상으로 이 석비는 제3왕조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어, 후니의 호루스 이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13] 그러나 이 석비의 연대와 진위는 여러 차례 의심받았고, 오늘날에는 위조되었거나 투트모세 3세(제18왕조)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제3왕조의 예술 양식을 모방한 것으로 추정된다.[14]

페터 카플로니는 자위예트 엘 아리안의 미완성 피라미드 묘실에서 발견된 ''네브-헤제트누브''("황금 왕관의 지배자")라는 이름을 후니의 호루스 이름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에이던 도슨과 같은 이집트학자들은 이 이론에 반대하며, ''네브-헤제트누브''는 비케리스의 황금 호루스 이름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5][16]

토비 윌킨슨과 라이너 슈타델만과 같은 다른 이집트학자들은 후니를 ''호루스-카바''("호루스의 영혼이 나타난다")와 동일시한다. 이들은 두 왕의 호루스 이름이 석기에 새겨진 방식이 카세켐위 왕의 죽음(제2왕조 말)부터 스네프루 왕(제4왕조 초)까지의 유행과 일치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슈타델만은 카바에 의해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자위예트 엘 아리안의 층상 피라미드를 증거로 제시하며, 토리노 파피루스가 후니에게 24년의 재위를 부여한 점을 들어 층상 피라미드 건설 기간과 부합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집트 전역에서 발견된 다량의 유물을 근거로 더 오랜 재위를 추정하며 카바와 후니를 동일시한다.[9][12]

1960년대 후반 루브르 박물관에서 왕의 호루스 명인 "카헤제트(Qahedjet)"가 쓰여진 부조를 구입했다는 내용은 앞서 언급되었기에 중복되므로 삭제한다.[45]

4. 가족 관계

헤테페레스 1세는 이집트 제4왕조를 창건한 스네프루의 왕비이자, 쿠푸 왕의 어머니였다. 헤테페레스 1세는 "Sat-netjer"("신의 딸")이라는 칭호를 가졌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그녀가 후니의 딸이라고 주장한다. 이 경우, 헤테페레스 1세는 왕위 계승 공주였으며 스네프루와의 결혼을 통해 왕실 혈통을 보존했을 것이다.[19][20] 그러나 이 칭호가 그녀의 남편을 명확히 밝히지 않는다는 반론도 존재한다.[21]

프리스 파피루스(『카게므니의 가르침』)에 따르면, 스네프루가 후니의 뒤를 이었지만, 스네프루가 후니의 아들인지는 불분명하다.

제파트네브티 여왕은 엘레판티네에서 발견된 맥주 항아리에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hete-셉터의 위대한 자"라는 칭호로 보아 왕비였음을 알 수 있다. 귄터 드레이어는 이 표기가 후니 통치 22년차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으나,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8]

5. 통치 기간과 업적

후니는 이집트 제3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그의 통치 기간과 업적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대부분의 증거는 간접적인 자료를 통해 추정할 뿐이다.

엘레판틴 섬에서 발견된 화강암 원뿔에는 "후니의 머리띠 궁전"이라는 왕궁과 함께 후니의 이름이 카르투슈 안에 새겨져 있다.[4] 2007년에는 남아부시르의 한 마스타바 무덤에서 후니의 이름이 새겨진 석재 그릇이 발견되기도 했다.[5] 이러한 유물들은 후니의 존재를 증명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토리노 파피루스에 따르면 후니는 24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4] 팔레르모 석과 카겜니의 교훈 등의 기록을 통해, 학자들은 후니가 제3왕조의 마지막 왕이자 제4왕조를 연 스네프루의 아버지 혹은 장인 이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 하였다.[8]

후니의 시대는 고왕국 전성기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 메트옌 등 고위 관료들의 무덤 비문을 통해 당시 노마르크와 재상이 중요한 권력을 행사했고, 고위 관료와 사제 칭호가 세습되었음을 알 수 있다.[9]

후니는 몇몇 건축 사업을 수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후니가 어떤 건물을 세워 후대에 칭송받았다는 기록이 있지만, 아쉽게도 파피루스가 손상되어 건물의 정확한 이름은 알 수 없다. 다만, 학자들은 이 건물이 여러 개의 작은 숭배 피라미드를 포함한 건축 사업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한다.[22][23]

메이둠 피라미드는 한때 후니가 건설을 시작하고 스네프루가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스네프루의 단독 작품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자위예트 엘 아리안의 층상 피라미드는 후니와 동일인으로 추정되는 카바의 피라미드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나일 강을 따라 세워진 여러 개의 작은 계단식 피라미드들이 후니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확실한 증거는 부족하다.

5. 1. 주요 업적

후니의 치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토리노 파피루스에 따르면 24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학자들은 이를 일반적으로 받아들인다.[4] 그의 치세 동안 종교적 또는 군사적 활동은 알려진 바가 없다.

후니 시대의 정치, 사회적 발전을 알 수 있는 유일한 동시대 문서는 메트옌, 카바우소카르, 아아크티, 페헤르네페르와 같은 고위 관료들의 무덤 비문이다. 이들은 제3왕조 말부터 제4왕조 초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비문들은 후니의 치세가 고왕국의 전성기 시작이었음을 보여준다. 처음으로 비문들은 노마르크와 재상이 중요한 권력을 행사하면서 국가 권력 구조에 대한 명확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메트옌의 무덤 비문은 이집트 역사상 처음으로 고위 관료와 사제의 칭호가 아버지로부터 아들로 상속되었음을 언급한다.[9]

후니는 몇몇 건축 사업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토리노 파피루스는 후니가 어떤 건물을 세웠고, 이로 인해 후대에 칭송을 받았을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불행히도 파피루스는 손상되어 건물의 완전한 이름은 오늘날 유실되었다. 이집트학자 귄터 드레이어와 베르너 카이저는 "그는 '세켐...'을 건설했다"고 읽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그들은 이 건물이 여러 개의 작은 숭배 피라미드를 포함하여 전 지역에 걸쳐 이루어진 건축 사업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믿는다.[22][23]

후니 시대의 가능한 건축 사업과 도시 건설에 대한 또 다른 암시는 역사적인 도시인 ''에흐나스''(오늘날에는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로 더 잘 알려짐)의 이름에 숨겨져 있을 수 있다. 볼프강 헬크는 이 도시의 고왕국 이름이 ''넨지-니스우트''였으며, 이 이름이 후니의 카르투슈 이름과 정확히 동일한 상형 문자로 기록되었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그는 후니를 에흐나스의 창시자로 제안한다. 또한 메트옌의 무덤 비문은 노메 레토폴리스에 있는 장례 영역을 언급한다. 이 건물은 아직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지 않았다.[24][25]

사후에 후니는 오랫동안 지속되는 장례 숭배를 누렸던 것으로 보인다. 후니 사후 백 년이 넘어서 만들어진 팔레르모 석에는 후니의 장례 사원 단지에 기증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후니의 이름은 또한 프리스 파피루스에도 언급되어 있으며, 이 파피루스가 제12왕조 시대에 쓰여졌다는 점에서 후니가 죽은 지 오래되었음에도 기억되었음을 보여주는 추가 증거이다.[9] 제세르의 법정 고관의 이름에도 후니(Huni)라는 이름이 나오는데 이들이 동일 인물이라고 한다면 후니는 상당히 고령으로 왕위에 올랐을 가능성이 있다.

후니는 엘레판틴에 요새를 축조하여 나일강의 폭우에 대비하고 이집트 남부 해안을 방어했다. 후니의 주석상은 카겜니 1세라는 남성이었다.[43][44]

후니는 메이둠에 조세르의 것보다 큰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했다고 한다. 이것은 그의 죽음까지 완성되지 못하고 후계자인 스네페르 재위 기간 중에 완성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설은 후니에게 귀속될 거대한 기념물을 원한다는 단순한 희망에서 나온 것이다. 메이둠의 피라미드가 후니의 묘소라는 어떠한 근거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스네페르의 이름이 메이둠에서 발견되었고, 스네페르의 많은 자녀, 특히 네페르마아트와 라호테프는 메이둠의 네크로폴리스마스타바에 묻혔다. 따라서, 이 지역에 피라미드를 건설한 것은 스네페르일 가능성이 높으며, 치세 후기에 계단 피라미드를 진정한 피라미드로 개조했다고 생각된다. 피라미드는 그 후 붕괴되어 핵심 부분만 남았다.

엘레판틴 유적에서 발견된 작은 피라미드 역시 후니에 의해 세워졌다고 생각되지만, 이 피라미드는 묘가 아니며 사원에도 둘러싸여 있지 않다. 그 진정한 기능과 종교적 중요성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러한 작은 피라미드는 고왕국 시대 동안 다수 건설되었다.

왕의 호루스 명은 현재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1960년대 후반 루브르 박물관은 왕의 호루스 명인 "카헤제트(Qahedjet)"가 쓰여진 부조를 구입했다. 문체상의 이유로 부조는 제3왕조의 것으로, 아마도 후니의 것일 것이라고 생각된다.[45]

5. 2. 피라미드 건설

후니는 잘 알려진 파라오가 아니며, 그에 대한 증거는 대부분 간접적이다. 그의 이름이 새겨진 동시대 유물은 단 두 점뿐이다.[4]

  • 엘레판틴 섬의 화강암 원뿔: 1909년 발견. 길이 약 159.99cm, 두께 약 68.99cm, 너비 약 50.01cm. 초기 왕조 시대 왕들의 마스타바 무덤에서 볼 수 있는 벤벤 석비와 유사하다. 앞면에 "후니의 머리띠 궁전"이라는 왕궁과 후니의 이름이 카르투슈 안에 새겨진 비문이 있다. 학자들은 이 틈새를 "현현 창"으로 해석한다. 현재 카이로 박물관에 '''''유물 JE 41556''''''으로 전시 중이다.[4][12]
  • 마그네사이트 석재 그릇: 2007년 남아부시르의 마스타바 무덤 '''''AS-54''''''에서 발견. 카르투슈 없이 후니의 이름과 ''Njswt-Bity'' 칭호를 언급한다. ''Njswt-Hw'' 또는 ''Hw-en-Niswt''로 읽을 수 있다.[5]


후니는 메트옌의 사카라 마스타바 ''L6'' (후니의 왕실 영지 ''Hw.t-njswt.-hw'' 언급[6]), 팔레르모 석 뒷면(제5왕조 네페르이르카레 카카이가 후니 숭배 장례 신전 건립 추정[9]), 카겜니의 교훈이 있는 프리스 파피루스(제13왕조 추정, 후니의 계승 정보 제공[8])에도 언급된다.

학자들은 스네프루가 후니의 직계 선임자(제3왕조 마지막 왕, 제4왕조 첫 번째 통치자)라는 이론을 강화한다.[8]

후니 시대의 정치·사회적 발전은 메트옌, 카바우소카르, 아아크티, 페헤르네페르 등 고위 관료들의 무덤 비문을 통해 평가 가능하다. 이들은 제3왕조 말~제4왕조 초에 해당하며, 후니 치세가 고왕국 전성기의 시작이었음을 보여준다. 노마르크와 재상의 권력, 고위 관료와 사제 칭호의 부자 상속 등이 나타난다.[9]

후니는 건축 사업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토리노 파피루스 기록(손상됨)에 따르면, 후니는 어떤 건물을 세워 후대에 칭송받았다. 귄터 드레이어와 베르너 카이저는 "그는 '세켐...'을 건설했다"고 추정하며, 여러 개의 작은 숭배 피라미드를 포함한 건축 사업의 일부였을 가능성을 제시한다.[22][23]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의 고왕국 이름 ''넨지-니스우트''가 후니의 카르투슈 이름과 동일한 상형 문자로 기록되어, 후니가 이 도시의 창시자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레토폴리스의 장례 영역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24][25]

후니는 사후에도 오랫동안 장례 숭배를 누렸다. 팔레르모 석에는 후니의 장례 사원 단지에 기증된 내용이 언급되고, 프리스 파피루스에도 후니의 이름이 언급되어 후니가 죽은 지 오래되었음에도 기억되었음을 보여준다.[9]

메이둠 피라미드. 처음에는 후니가 시작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스네프루의 단독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20세기 초, 메이둠 피라미드는 후니의 작품으로 여겨졌다. 후니가 계단식 피라미드를 시작하고, 스네프루가 즉위하여 "진정한 피라미드"로 만들었다는 이론이 있었다. 그러나 "스네프루 왕의 흰색 피라미드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는 무덤 비문과 순례자 낙서, 스네프루와 메레산크 1세에게 기도 요청, 주변 마스타바 무덤의 연대(스네프루 통치) 등은 메이둠 피라미드가 스네프루의 업적임을 보여준다.[26][27]

후니와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있는 카바가 건설한 것으로 추정되는 층상 피라미드


라이너 슈타델만은 후니가 자위예트 엘 아리안의 ''층상 피라미드''를 건설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미완성 상태였지만 거의 완공 단계였다. 인근 마스타바 '''''Z500''''''에서 호루스 왕 카바의 이름이 새겨진 석기가 발견되어, 층상 피라미드는 카바의 피라미드로 알려져 있다. 슈타델만은 카바와 후니가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하며, 토리노 왕 목록의 후니 통치 기간(24년)이 피라미드 건설에 충분하다고 본다.

나일 강을 따라 세워진 몇몇 작은 계단식 피라미드들도 후니의 것으로 여겨진다. 숭배 기능을 하고 왕실 영지를 표시했으며, 내부 방이 없고 매장용이 아니다. 엘레판틴 섬 동쪽 끝의 피라미드는 1909년 근처에서 후니의 이름이 새겨진 화강암 원뿔이 발견되어 후니의 것으로 여겨진다.[35] 그러나 안제이 치비에크 등은 람세스 시대 사제들이 고왕국 시대 숭배 장소를 복원하며 원뿔을 재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36] 세일라 피라미드는 스네프루의 이름이 새겨진 석비가 발견되어 스네프루의 피라미드로 확인된다.[37]

후니는 엘레판틴에 요새를 축조하여 나일강의 폭우에 대비하고 이집트 남부 해안을 방어했다.

후니는 메이둠에 조세르보다 큰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나, 미완성 상태로 사망하고 스네페르가 완성했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메이둠 피라미드가 후니의 묘소라는 근거는 없다. 스네페르의 이름, 자녀들의 무덤 등이 메이둠에서 발견되어, 스네페르가 건설했을 가능성이 높다.

엘레판틴 유적에서 발견된 작은 피라미드는 묘나 사원이 아니며, 기능과 종교적 중요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6. 매장지

라이너 슈타델만(Rainer Stadelmann)과 미로슬라프 베르너(Miroslav Verner)는 자위엣 엘-아리안(Zawyet el-Aryan)의 계단식 피라미드를 후니의 무덤으로 추정한다. 그 이유는 후니를 하바와 동일시하고, 하바는 호루스 이름이 새겨진 여러 석제 그릇들이 주변 묘지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계단식 피라미드와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38]

슈타델만은 메이둠에 있는 거대한 마스타바 M17을 후니의 매장지로 제안한다. 마스타바 M17은 원래 100m x 200m 크기였으며 높이는 약 15m에서 20m였다. 지상 부분은 흙벽돌로 만들어졌고 메이둠 피라미드의 두 번째 건설 단계에서 나온 잔해로 채워졌다. 지하 구조물에는 통로로 이어지는 3.7m 깊이의 샤프트와 여러 개의 큰 예배당과 틈새가 있었다. 매장실은 고대에 약탈당했고 모든 장식이 파괴되거나 도난당했다. 크고 거칠게 다듬어진 석관에는 심하게 찢어진 미라의 유해가 들어 있었다. 슈타델만과 페터 야노시(Peter Janosi)는 이 마스타바가 스네프루 왕의 왕위 계승자로 죽은 왕세자의 무덤이거나, 후니 자신의 매장지였다고 생각한다.[39]

반면에 미로슬라프 바르타(Miroslav Bárta)는 사우스-아부시르의 마스타바 AS-54를 가장 유력한 매장지로 제안한다. 이것은 후니의 'niswt-bity' 칭호가 새겨진 연마된 마그네사이트 그릇의 발견으로 뒷받침된다. 마스타바 자체는 한때 꽤 컸으며 큰 틈새와 예배당이 있었다. 또한 상당히 많은 양의 연마된 접시, 꽃병 및 항아리가 포함되어 있었다. 모순되게도, 거의 모든 그릇은 장식이 없고 물체에는 잉크 비문이나 조각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진정한 소유자의 이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단 하나의 그릇에만 후니의 이름이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으며, 다른 몇몇 그릇에는 작은 흔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바르타는 마스타바 소유자에 대해 두 가지 가능성을 본다. 후니 시대의 왕자처럼 매우 고위 관리이거나, 후니 왕 자신이거나.[40]

7. 문화적 영향

카젬니의 가르침에서는 스네프루 시대로의 전환이 언급되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의 지혜 문학 훈계의 허구적 배경 설정을 위해 사용되었다.[41]

참조

[1] 웹사이트 Head of a King https://www.brooklyn[...]
[2] 문서 Turin King List 4.08
[3] 서적 Lexikon der Pharaonen Albatros
[4] 간행물 "Zum altägyptischen Namen des Königs Aches. In: Mitteilungen des Deutschen Archäologischen Instituts, Abteilung Kairo. (MDAIK)" von Zabern, Mainz
[5] 간행물 "An Abusir Mastaba from the Reign of Huni, in: Vivienne Gae Callender (et al., editors): Times, Signs and Pyramids: Studies in Honour of Miroslav Verner on the Occasion of his Seventieth Birthday" Charles University, Faculty in Art, Prague
[6] 간행물 "Der Name des letzten Königs der 3. Dynastie und die Stadt Ehnas, in: Studien zur Altägyptischen Kultur (SAK)"
[7] 서적 Altägyptische Erziehung Harrassowitz, Wiesbaden
[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9]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 New York
[10] 간행물 "König Hu. In: Zeitschrift für Ägyptische Sprache und Altertumskunde (ZÄS)" Berlin/Cairo
[11] 간행물 "Der Name des Huni. In: Zeitschrift für Ägyptische Sprache und Altertumskunde (ZÄS)" Berlin/Cairo
[12] 간행물 "King Huni: His Monuments and His Place in the History of the Old Kingdom. In: Zahi A. Hawass, Janet Richards (Hrsg.): The Archaeology and Art of Ancient Egypt. Essays in Honor of David B. O’Connor." Conceil Suprême des Antiquités de l’Égypte, Kairo
[13]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New York
[14] 문서 L’Horus Qahedjet: Souverain de la IIIe dynastie?. page 1455–1472
[15] 간행물 "On the date of the unfinished pyramid of Zawyet el-Aryan. In: Discussion in Egyptology" University Press, Oxford (UK)
[16] 간행물 "Die Rollsiegel des Alten Reichs: Katalog der Rollsiegel" Fondation Egypt. Reine Elisabeth, Cairo
[17] 간행물 "Der Name des letzten Königs der 3. Dynastie und die Stadt Ehnas. In: Studien zur Altägyptischen Kultur. (SAK)"
[18] 서적 Die Königsmütter des Alten Ägypten von der Frühzeit bis zum Ende der 12. Dynastie Harrassowitz, Wiesbaden
[19] 간행물 "Inscriptional Evidence for the History of the Fourth Dynasty. In: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20] 서적 "A History of the Giza Necropolis - Volume II.: The tomb of Hetep-Heres, the mother of Cheops. A Study of Egyptian Civilization in the Ol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1] 간행물 "Hetepheres I. In: Wolfgang Helck, Eberhard Otto: Lexikon der Ägyptologie"
[22] 간행물 "King Huni: His Monuments and His Place in the History of the Old Kingdom. In: Zahi A. Hawass, Janet Richards (Hrsg.): The Archaeology and Art of Ancient Egypt. Essays in Honor of David B. O’Connor" Conceil Suprême des Antiquités de l’Égypte, Kairo
[23] 간행물 "Zu den kleinen Stufenpyramiden Ober- und Mittelägyptens. In: Mitteilungen des Deutschen Archäologischen Instituts Abteilung Kairo" Philipp von Zabern, Mainz
[24] 간행물 "Der Name des letzten Königs der 3. Dynastie und die Stadt Ehnas. In: Studien zur Altägyptischen Kultur (SAK)"
[25] 서적 Geschichte des Altertums: Band 1. Erweiterte Ausgabe Jazzybee Verlag, Altenmünster
[26] 서적 Die Pyramiden Rowohlt Verlag, Wiesbaden
[27] 간행물 "Snofru und die Pyramiden von Meidum und Dahschur. in: Mitteilungen des Deutschen Archäologischen Instituts Kairo (MDAIK)" Zabern, Mainz
[28] 서적 Lexikon der Pharaonen Albatros, Düsseldorf
[29] 서적 Die großen Pyramiden von Giza Akad. Druck- u. Verlagsanstalt, Graz
[30] 서적 Die Pyramiden Rowohlt, Wiesbaden
[31] 문서 Denkmäler aus Ägypten und Äthiopien
[32]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New York
[33] 서적 Die Pyramiden Rowohlt, Wiesbaden
[34] 서적 The brick pyramid at Abu Rawash Number "I" by Lepsius Publications of the Archeological Society of Alexandria, Kairo
[35] 간행물 "Zu den kleinen Stufenpyramiden Ober- und Mittelägyptens. In: Mitteilungen des Deutschen Archäologischen Instituts, Abteilung Kairo (MDAIK)"
[36] 간행물 "Date and Function of the so-called Minor Step Pyramids" Göttinger Miszellen 1998
[37] 서적 Snofru – Builder and Unique Creator of the Pyramids of Seila and Meidum Harrassowitz, Wiesbaden 2010
[38] 서적 Die Pyramiden Rowohlt, Wiesbaden 1999
[39] 서적 Die Gräberwelt der Pyramidenzeit von Zabern, Mainz 2009
[40] 서적 An Abusir Mastaba from the Reign of Huni Charles University – Faculty in Art, Praha 2011
[41] 웹사이트 THE INSTRUCTION OF PTAH-HOTEP AND THE INSTRUCTION OF KE'GEMNI: THE OLDEST BOOKS IN THE WORLD. https://www.gutenber[...]
[42] 서적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43] 웹사이트 Huni http://www.charlesmi[...]
[44] 웹사이트 Huni http://www.phouka.co[...]
[45] 서적 Early Dynastic Egypt London/New York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