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경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흥경궁은 당나라 시기에 존재했던 궁궐로, 훗날 당 현종이 황자 시절 다섯 형제와 함께 거주했던 융경방에서 시작되었다. 현종 즉위 후 흥경궁으로 개칭되었으며, 정무를 보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흥경궁은 멸망 후 1958년 공원으로 조성되었고, 현재 시안시의 주요 공원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안시의 역사 - 시안 사건
시안 사건은 1936년 장쉐량과 양호성이 장제스를 감금하여 국공 내전 중단과 항일 전쟁 동참을 요구한 사건으로, 제2차 국공 합작의 계기가 되었으나 장쉐량은 투옥되고 양호성은 처형당했으며 중국 공산당 세력 확장의 전환점이 되었다. - 시안시의 역사 - 란톈 원인
란톈 원인은 1963년 중국 람톈현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화석 인류로, 하악골 및 두개골 화석을 통해 약 165만 년에서 68만 4천 년 전에 생존했으며, 중국을 인류학 연구의 중심지로 부상시키고 아시아 호모 에렉투스 연구에 기여했다. - 시안시의 건축물 - 진시황릉
진시황릉은 기원전 246년부터 건설되어 최대 70만 명이 동원된 진시황의 능묘이며, 병마용갱과 함께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현재 발굴 논쟁이 진행 중이다. - 시안시의 건축물 - 시안 셴양 국제공항
시안 셴양 국제공항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시안에 위치하며, 1991년에 개항하여 국내선과 국제선 항공편을 처리하고, 3개의 터미널을 운영하며 확장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흥경궁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흥경궁공원 (兴庆宫公园) |
위치 | 중국 산시성 시안시 신성구 함녕로 동쪽 55호 |
면적 | 782무 (약 52만 평방미터) |
주요 볼거리 | 흥경호, 침향정, 현종 이융기 조각상, 꽃의 왕 부용원 |
역사 | |
건설 시기 | 1958년 |
전신 | 당나라 흥경궁 유적지 |
주요 사건 | 당 현종과 양귀비의 로맨스 안사의 난 발발 전의 정치적 중심지 |
특징 | |
건축 양식 | 당나라 스타일 |
식물 | 다양한 종류의 나무와 꽃 |
호수 | 흥경호 (면적: 150무) |
교통 정보 | |
지하철 | 시안 지하철 3호선 흥경궁역 |
버스 | 다수의 시내버스 노선 경유 |
운영 정보 | |
개장 시간 | 연중무휴 |
입장료 | 무료 (일부 구역 제외) |
2. 역사
흥경궁은 당 현종 이융기가 황자 시절에 다섯 형제들과 함께 살았던 융경방(隆慶坊)이라는 저택에서 기원한다. 융경방은 장안 동쪽 끝에 위치해 있었다. 현종이 즉위한 후, 714년(개원 2년)에 현종의 휘를 피하여 흥경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728년(개원 16년) 정월부터 현종은 흥경궁에서 정무를 보기 시작했다.[1] 732년(개원 20년)에는 흥경궁과 장안 동남쪽 모퉁이의 곡강지 부근에 이궁 부용원이 지어지고, 북부의 대명궁과 연결되는 황제 전용 통로인 협성이 완성되었다. 협성은 이중 성벽으로 둘러싸인 통로로, 주민들은 알 수 없는 길이었으며 황제들은 이 길을 통해 대명궁에서 흥경궁으로 이동했다. 현종은 이곳에서 양귀비와 함께 살았으며, 안사의 난 이후 양위한 후에도 이곳에서 거주했다.[1]
흥경궁은 북쪽의 태극궁, 대명궁과 구별하기 위해 '남내'라고 불렸다. 궁의 정문은 중국 궁궐에서는 드물게 서쪽에 있었으며, '흥경문'이라고 불렸다. 흥경궁 서북쪽의 흥경전이 정전이었고, 그 남쪽에는 대동전이 있었다. 옆에는 종루와 고루가 있었고, 노자의 상이 모셔져 있었다. 용지 근처에는 침향나무로 만든 침향정이 있었다. 근정무본루와 화악상휘루는 대로에 직접 닿도록 만들어진 고층 건축물이었다.
용지에는 운기가 감돌고 황룡이 나타나 현종의 즉위 전조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남쪽에는 용을 모시는 용당과 오룡단이 있었다. 동북쪽에는 침향정이 있었고, 모란 명소로 알려져 현종과 양귀비가 꽃구경을 하고, 이백이 이를 소재로 시를 짓고, 이귀년이 노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대동전에는 오도현과 이사훈의 산수화가 그려져 있었다고 한다. 화악상휘루는 현종이 형제들과 친분을 쌓기 위해 지어졌으며, 근정무본루는 현종이 정무를 보는 중심 장소이자 중대한 의식을 거행하는 장소였다. 현종의 생일인 8월 5일에는 천추절이 열렸고, 다양한 구경거리가 열렸다.
당나라 말기에 흥경궁은 파괴되었고, 연못인 용지는 명나라 말기에서 청나라 초기에 이르러 논밭으로 변했다.[1] 1957년 5월 31일, 흥경궁 옛 터는 중국 정부에 의해 산시성(陕西省)의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1] 1958년에는 흥경궁공원으로 바뀌어 시안시(西安市)에서 가장 큰 공원이 되었다. 흥경궁공원의 정문은 시안 교통대학과 마주 보고 있으며, 공원 안에는 흥경호(옛 용지)와 침향정, 화악상휘루, 남훈각 등 당대 건축 양식으로 재현된 전각들이 있다.[1]
2. 1. 건립과 변천
이융기(훗날 당 현종)이 황자로 있을 때 그의 다섯 형제들과 함께 거주했던 저택으로 원래 이름은 '''융경방'''('''隆慶坊''')이었다. 개원(開元) 2년(714년) 현종의 휘를 피해 흥경궁으로 바뀌었다. 융경방은 장안 동쪽 끝에 위치해 있었다.[1]현종은 728년(개원 16년) 정월부터 흥경궁에 머물며 정무를 보았다.[1] 732년(개원 20년)에는 흥경궁과 장안 동남쪽 모퉁이에 위치한 곡강지(曲江池) 부근에 이궁(離宮) 부용원(芙蓉園)이 지어지고, 북부의 대명궁과 이어지는 황제 전용 통로 협성(夾城)이 완성되었다. 협성은 이중성벽으로 에워싸인 통로로 주민들은 알지 못하는 길이었으며, 황제들은 이곳을 통해 대명궁에서 흥경궁으로 이동하였다.[1] 또한 이곳에서 양귀비(楊貴妃)와 함께 기거하였으며, 안사의 난 이후 양위하고 또한 이곳에서 거주하였다.[1]
당나라 말기 흥경궁은 파괴되어, 연못인 용지(龍池)의 경우는 명 왕조 말기에서 청 왕조 초기에 이르러 아예 부지가 논밭으로 변해 있을 정도였다.[1] 1957년 5월 31일, 중국 정부에 의해 흥경궁 옛 터가 산시성(陕西省)의 문물보호단위(文物保护单位)로 지정되었다.[1] 1958년 부지는 흥경궁공원이라는 공원으로 바뀌었으며, 이후 시안시(西安市) 시내에서 최대 규모의 공원으로 자리잡았다.[1]
흥경궁공원의 정문은 시안 교통대학과 마주 보고 있으며, 공원 부지 안에는 흥경호(興慶湖)라 이름이 바뀐 호수(옛 용지)와, 그 가운데 인공섬 위에 세워진 누각 침향정을 비롯해 화악상휘루(花萼相辉楼), 남훈각(南薰阁) 등의 당대 건축물의 옛 이름을 붙인 전각들이 당대 건축양식에 따라 재현되어 있다.[1]
720년(개원 8년)에는 궁성의 남서쪽에 돌출된 형태로 근정무본루와 화악상휘루가 건조되었다. 흥경궁은 북쪽에 있는 태극궁과 대명궁과 구별하기 위해 "남내"라고 불렸다. 남북 1.3킬로미터, 동서 1.1킬로미터였으며, 북쪽은 궁전, 남쪽은 정원이었다. 남쪽에는 용지라는 호수가 존재하여 배를 띄우기도 했다.
흥경궁의 정문은 중국 궁궐에서는 드물게 서쪽에 있었으며, "흥경문"이라고 했다. 그 안에 있던 흥경궁 서북부에 있는 "흥경전"이 정전이 되었다. 그 남쪽이 "대동전"이었으며, 옆에는 종루와 고루가 서 있었고, 노자의 상이 모셔져 있었다. 또한, "용지" 근처에는 침향 나무로 만든 "침향정"이 있었다. "근정무본루"와 "화악상휘루"는 직접 대로에 접하도록 만들어진 고층 건축물이었다.
"용지"에는 운기가 감돌고 황룡이 나타나 현종이 황제에 즉위하기 전조가 되었다는 전승이 있으며, 남쪽에는 용을 모시는 "용당"과 "오룡단"이 있었다. 또한, 동북쪽에는 "침향정"이 있었고, 모란 명소로 알려져 있으며, 현종과 양귀비가 꽃구경을 한 일, 이백이 이를 소재로 시를 짓고, 이를 이귀년이 노래했다는 에피소드로 알려져 있다.
"대동전"은 오도현과 이사훈의 산수화가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악상휘루"는 흥경궁의 서쪽에 있는 "승업방"에 사는 형인 영왕 이헌, 동생 설왕 이업, 서북쪽 "안흥방"에 사는 형 신왕 이휘, 동생 기왕 이범과 친분을 쌓기 위해 지어졌다(현종을 포함한 이 다섯 명을 "오왕"이라고 불렀다).
"근정무본루"는 현종이 정무를 보는 중심적인 장소가 되었으며, 중대한 의식을 거행하는 장소이기도 했다. 현종의 생일인 8월 5일에는 천추절이 열렸고, 신하와 백성들에게 술과 고기가 제공되었으며, 직접 접하는 춘명문대가에서는 다양한 구경거리가 열려 많은 구경꾼들로 붐볐다. 이때의 에피소드로 궁녀 영신의 설화가 알려져 있다. 또한, 100마리의 춤추는 말이 잔을 입에 물고 배례하는 행사도 열렸다.
안사의 난 후에는 급속도로 쇠퇴하여 황제의 방문도 드물어졌고, "용지"도 명대에 경작지가 되었다.
2. 2. 현종과 흥경궁
현종은 황자 시절, 원래 '''융경방'''('''隆慶坊''')이라 불리던 곳에서 다섯 형제들과 함께 거주했다. 훗날 현종이 즉위하면서 개원(開元) 2년(714년)에 흥경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융경방은 장안 동쪽 끝에 위치해 있었다.[1]현종은 728년(개원 16년) 정월부터 흥경궁에 머물며 정무를 보았다.[1] 732년(개원 20년)에는 흥경궁과 장안 동남쪽 모퉁이에 위치한 곡강지(曲江池) 부근에 이궁(離宮) 부용원(芙蓉園)이 지어지고, 북부의 대명궁과 이어지는 황제 전용 통로인 협성(夾城)이 완성되었다.[1] 협성은 이중 성벽으로 에워싸인 통로로 주민들은 알지 못하는 길이었으며, 황제들은 이곳을 통해 대명궁에서 흥경궁으로 이동하였다.[1] 현종은 이곳에서 양귀비(楊貴妃)와 함께 기거하였으며, 안사의 난 이후 양위하고 난 뒤에도 이곳에서 거주하였다.[1]
흥경궁은 북쪽에 있는 태극궁과 대명궁과 구별하기 위해 "남내"라고 불렸다. 남북 1.3킬로미터, 동서 1.1킬로미터였으며, 북쪽은 궁전, 남쪽은 정원이었다. 남쪽에는 용지라는 호수가 존재하여 배를 띄우기도 했다.
흥경궁의 정문은 중국 궁궐에서는 드물게 서쪽에 있었으며, "흥경문"이라고 했다. 흥경궁 서북부에 있는 "흥경전"이 정전이 되었다. 그 남쪽이 "대동전"이었으며, 옆에는 종루와 고루가 서 있었고, 노자의 상이 모셔져 있었다. "용지" 근처에는 침향 나무로 만든 "침향정"이 있었다. "근정무본루"와 "화악상휘루"는 직접 대로에 접하도록 만들어진 고층 건축물이었다.
"용지"에는 운기가 감돌고 황룡이 나타나 현종이 황제에 즉위하기 전조가 되었다는 전승이 있으며, 남쪽에는 용을 모시는 "용당"과 "오룡단"이 있었다. 동북쪽에는 "침향정"이 있었고, 모란 명소로 알려져 있으며, 현종과 양귀비가 꽃구경을 한 일, 이백이 이를 소재로 시를 짓고, 이를 이귀년이 노래했다는 에피소드로 알려져 있다. 근처 "금화락"에 위사의 둔전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대동전"은 오도현과 이사훈의 산수화가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악상휘루"는 흥경궁의 서쪽에 있는 "승업방"에 사는 형인 영왕 이헌, 동생 설왕 이업, 서북쪽 "안흥방"에 사는 형 신왕 이휘, 동생 기왕 이범과 친분을 쌓기 위해 지어졌다(현종을 포함한 이 다섯 명을 "오왕"이라고 불렀다). 현종은 그들을 불러 기쁨과 친애를 나타내는 동시에 그들의 동태를 조사하여 유락에 빠진 것을 알고 기뻐했다고 전해진다.
"근정무본루"는 현종이 정무를 보는 중심적인 장소가 되었으며, 중대한 의식을 거행하는 장소이기도 했다. 현종의 생일인 8월 5일에는 천추절이 열렸고, 신하와 백성들에게 술과 고기가 제공되었으며, 직접 접하는 춘명문대가에서는 다양한 구경거리가 열려 많은 구경꾼들로 붐볐다. 이때의 에피소드로 궁녀 영신의 설화가 알려져 있다. 또한, 100마리의 춤추는 말이 잔을 입에 물고 배례하는 행사도 열렸다.
2. 3. 쇠퇴와 재건
훗날 당 현종으로 즉위하게 되는 이융기(李隆基)가 황자로 있을 때 그의 다섯 형제들과 함께 거주했던 저택으로 원래 이름은 '''융경방'''('''隆慶坊''')이라 했으며, 궁전으로 바뀐 뒤에는 현종의 휘를 피해 개원(開元) 2년(714년) 흥경궁으로 바뀌었다.[1] 융경방은 장안 동쪽 끝에 위치해 있었다.[1]현종은 개원(開元) 16년(728년) 정월부터 흥경궁에 머물며 정무를 보았다.[1] 개원 20년(732년)에는 흥경궁과 장안 동남쪽 모퉁이에 위치한 곡강지(曲江池) 부근에 이궁(離宮) 부용원(芙蓉園)이 지어지고, 북부의 대명궁과 이어지는 황제 전용 통로 협성(夾城)이 완성되었다.[1] 협성은 이중성벽으로 에워싸인 통로로 주민들은 알지 못하는 길이었으며, 황제들은 이곳을 통해 대명궁에서 흥경궁으로 이동하였다.[1] 또한 이곳에서 양귀비(楊貴妃)와 함께 기거하였으며, 안사의 난 이후 양위하고 또한 이곳에서 거주하였다.[1]
당 왕조 말기 흥경궁은 파괴되어, 연못인 용지(龍池)의 경우는 명(明) 왕조 말기에서 청(清) 왕조 초기에 이르러 아예 부지가 논밭으로 변해 있을 정도였다.[1] 1957년 5월 31일, 중국 정부에 의해 흥경궁 옛 터가 산시성(陕西省)의 문물보호단위(文物保护单位)로 지정되었다.[1] 1958년 부지는 흥경궁공원이라는 공원으로 바뀌었으며, 이후 시안시(西安市) 시내에서 최대 규모의 공원으로 자리잡았다.[1]
흥경궁공원의 정문은 시안 교통대학과 마주 보고 있으며, 공원 부지 안에는 흥경호(興慶湖)라 이름이 바뀐 호수(옛 용지)와, 그 가운데 인공섬 위에 세워진 누각 침향정을 비롯해 화악상휘루(花萼相辉楼), 남훈각(南薰阁) 등의 당대 건축물의 옛 이름을 붙인 전각들이 당대 건축양식에 따라 재현되어 있다.[1]
3. 구조
현종 시기 여러 차례 개수된 흥경궁은 남북 1.3km, 동서 1.1km 규모로, 북쪽에는 궁전, 남쪽에는 정원이 있는 형태였다. 흥경궁의 정문인 흥경문은 특이하게도 서쪽에 있었다. 궁 안에는 정전(正殿)인 흥경전을 비롯하여 대동전, 근정무본루, 화악상휘루 등 여러 전각이 있었다.
흥경궁 남쪽에는 용지(龍池) 또는 흥경지(興慶池)라 불리는 큰 호수가 있었는데, 이곳에서 뱃놀이를 하기도 했다. 현종이 즉위하기 전 황룡이 나타났다는 전설이 있어, 용을 제사 지내는 시설을 설치하기도 했다. 또한, 이백과 악공 이구년이 이곳을 배경으로 시를 짓고 노래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3. 1. 주요 전각
흥경궁의 주요 전각은 다음과 같다.- 흥경전(興慶殿): 흥경궁 서북부에 위치한 정전(正殿)이다.
- 대동전(大同殿): 흥경전 남쪽에 위치했으며, 오도현(呉道玄)과 이사훈(李思訓)이 그린 산수화가 있었다. 종과 북을 단 문루를 세우고 노자의 상을 모셨다.[1]
- 근정무본루(勤政務本樓): 720년(개원 8년) 흥경궁 서남쪽에 돌출된 형태로 지어졌으며, 큰길로 직접 닿아 내려다볼 수 있게 지어진 고층 건축물이다. 현종의 정무 중심지였고, 중대한 의식이 이곳에서 이루어졌다.[1] 특히 현종의 탄신일인 천추절(8월 5일)에는 여러 행사가 벌어졌다.[1]
- 화악상휘루(花萼相輝楼): 근정무본루와 함께 720년(개원 8년) 흥경궁 서남쪽에 돌출된 형태로 지어졌다. 흥경궁 서쪽 승업방(勝業坊)에 거주하던 현종의 형 이헌(영왕 헌), 동생 이업(설왕 업), 서북쪽 안흥방(安興坊)에 거주하던 이휘(신왕 위)와 이범(기왕 범)의 거처와 가깝도록 지어졌다.[1] 현종은 그들을 불러 자주 잔치를 열어 우애를 보였다.[1]
- 침향정(沉香亭): 용지(龍池) 동쪽에 침향목으로 지어진 누각으로, 주변에 모란을 비롯한 여러 꽃을 심었다.[1] 이백이 이곳을 소재로 청평조사(淸平調詞) 3수를 짓고, 악공 이구년이 읊었다는 일화가 있다.[1]
- 금화탑(金花落): 황제와 궁성을 호위하는 위사(衛士)들이 주둔하였다.[1]
- 용당(竜堂)과 오룡단(五竜壇): 용지 남쪽에 용을 제사 지내기 위해 설치되었다.[1]
3. 2. 용지(龍池)와 정원
흥경궁 남쪽에는 연꽃이 가득한 용지(龍池) 또는 흥경지(興慶池)라 불린 호수가 있었고, 이곳에서 뱃놀이를 즐기기도 하였다.[1] 현종이 즉위하기 전, 이곳에서 황룡이 나타났다는 전설이 있어, 용지 남쪽에 용을 제사 지내는 용당(龍堂)과 오룡단(五竜壇)이 있었다.[1] 이백은 이곳을 소재로 청평조사(淸平調詞) 3수를 지었고, 악공 이구년이 이 시를 노래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1]침향정(沉香亭)은 용지 동쪽에 침향목으로 지어진 누각으로, 주변에 모란을 비롯한 여러 꽃들을 심어 꽃이 필 때면 장관을 이루었다고 한다. 아침에는 붉은색, 오후에는 푸른색, 저녁에는 노란색, 밤에는 흰색으로 꽃 색깔이 변했다고 전해진다.[1]
4. 흥경궁 공원
1958년, 상하이 자오퉁 대학의 서쪽 이전에 맞춰, 시안에서 가장 큰 '''흥경궁 공원'''(743acre)이 흥경궁 옛터에 세워졌다. 공원의 남쪽은 시안 자오퉁 대학과 마주하고 있으며, 원내에는 흥경호(호수 면적: 150acre)가 있고, 호수 위의 침향정은 당나라 시대 건축 양식으로 되어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