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시황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시황릉은 중국 진시황의 능묘로, 기원전 246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어 중국 통일 후 최대 70만 명이 동원된 대규모 공사였다. 사마천의 『사기』에는 릉의 내부 모습과 건설 과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있으며, 1987년 병마용갱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릉은 진나라 말 혼란과 도굴, 화재 피해를 입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일부 학자들은 온전하게 보존되었을 가능성을 주장한다. 현재 발굴 논쟁이 진행 중이며, 중국 정부는 기술적 문제와 유물 보호를 이유로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안시의 관광지 - 소안탑
소안탑은 당나라 중종 시기에 세워진 탑으로, 지진 피해와 복구를 거쳐 현재는 43m 높이로 남아 있으며, 승려 의정이 불경을 번역하고 보관하던 중심지로서 실크로드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시안시의 관광지 - 시안 종루
시안 종루는 명나라 시대에 건설되어 위치를 옮긴 누각 건축물로, 과거 시간 보고와 뉴스 발표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관광 명소로 보존되고 있다. - 진 시황제 - 분서갱유
분서갱유는 기원전 213년 진시황이 사상 통제를 위해 서적을 불태우고 유학자를 생매장한 사건을 통칭하며,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 진 시황제 - 부소
부소는 진시황의 장남으로, 분서갱유를 반대하고 학자들을 옹호했으나 사후 조고 등에 의해 자결하여 죽음을 맞이했다. - 시안시의 건축물 - 시안 셴양 국제공항
시안 셴양 국제공항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시안에 위치하며, 1991년에 개항하여 국내선과 국제선 항공편을 처리하고, 3개의 터미널을 운영하며 확장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 시안시의 건축물 - 시안 자오퉁 대학
시안 자오퉁 대학은 1896년 상하이에 설립된 난양공학을 전신으로 1956년 시안으로 이전한 중국 명문 공립 대학으로, 이공계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며 "211 공정", "985 공정", "C9 리그"에 속하는 주요 대학 중 하나이다.
진시황릉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린퉁 구, 시안, 산시 성 |
위치 국가 | 중국 |
좌표 | 34 |
웹사이트 | bmy.com.cn |
명칭 | |
공식 명칭 | 진시황릉 |
로마자 표기 | Qínshǐhuáng Líng |
세계 유산 등재 정보 | |
등재 유형 | 문화 유산 |
등재 기준 | i, iii, iv, vi |
등재 번호 | 441 |
등재 년도 | 1987년 |
등재 지역 | 아시아-태평양 |
유네스코 공식 명칭 | Mausoleum of the First Qin Emperor |
관련 정보 | |
주요 내용 | 진시황의 무덤 |
병마용 | 병마용 |
기타 | |
지형 | 예 |
지도 정보 | |
2. 역사
기원전 246년, 진시황이 왕위에 오르면서 진시황릉 건설이 시작되었다.[9] 초기에는 소규모로 진행되었으나, 기원전 221년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후 70만 명 이상이 동원되는 대규모 공사로 확대되었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진시황릉은 기원전 208년까지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35] 1981년 조사에서는 능묘 주변에서 수은 증발이 확인되어, 사기에 기록된 "수은으로 만든 강과 바다"가 실제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37] 능묘는 피라미드 형태의 토루로 높이 76m이며 오랜 풍화 작용으로 꼭대기는 둥글게 되었다.
2. 1. 사마천의 기록
사마천의 『사기』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에는 진시황릉의 건설 과정과 내부 모습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9][10]이 기록에 따르면, 진시황릉 건설에는 최대 70만 명의 인력이 동원되었으며, 지하 3층까지 깊게 파고 구리를 부어 외부 관을 만들었다. 내부는 궁궐, 관리, 진귀한 보물로 채워졌고, 침입자를 막기 위해 자동 발사되는 쇠뇌가 설치되었다. 수은으로 강과 바다를 만들고, 천장과 바닥에는 천문과 지리를 묘사했다. '인어' 기름으로 만든 초는 오랫동안 꺼지지 않도록 했다고 한다.
일부 학자들은 "지하수 세 층"이라는 표현이 과장된 비유라고 생각하며,[11] '인어'의 정체에 대해서는 고래, 듀공, 대형 도롱뇽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12][13]
2. 2. 진시황릉 건설 중단과 도굴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따르면, 진나라 말기 사회 혼란과 반란으로 인해 진시황릉 건설은 중단되었다. 장한 장군은 진시황릉 건설에 동원되었던 70만 명의 인력을 반란 진압에 투입하면서 공사가 중단되었다.[14]이후 항우가 함양에 들어와 30만 명의 병력을 동원해 진시황릉을 도굴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15] 또한, 항우가 파놓은 구덩이에 양을 찾으러 들어간 목동이 횃불을 잘못 다루어 불을 내 진시황릉 내부 목조 건축물이 전소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16] 실제로 병마용갱에서 화재 흔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17]
하지만 실제 도굴 여부와 피해 규모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진시황릉이 크게 훼손되지 않고 온전한 상태로 남아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7]
2. 3. 현대의 발견과 세계유산 등재
1974년, 우물을 파던 농부에 의해 병마용이 우연히 발견되면서 진시황릉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졌다.[35] 1975년 신화사의 보도로 세계적인 뉴스가 되었다.[36] 1987년, 진시황릉은 병마용갱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18]
3. 병마용
병마용은 진시황릉 동쪽에 있는 갱도로, 실물 크기의 병사, 말, 전차 등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부장품이다. 1987년, 병마용갱을 포함한 진시황릉은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18]
3. 1. 병마용의 발견
1974년 3월, 산시성 린퉁현 시양 마을 주민들이 우물을 파다가 우연히 병마용 조각과 청동 화살촉을 발견했다.[19][20] 약 2미터 깊이에서 굳은 흙, 붉은색 토기, 토기 파편, 청동 화살촉, 토기 벽돌을 발견했다.[21] 처음에는 이 발견의 중요성을 알지 못했지만, 수리 공사 담당 관리인 방슈묘(方樹苗)가 발견된 물건을 보고 마을 주민들에게 이를 지역 문화센터에 판매할 것을 제안했다. 이후 문화센터 책임자인 조캉민(趙康民)이 마을에 와서 모든 유물을 사들이고, 과학적 탐사와 발굴 조사를 통해 진시황릉의 일부임을 확인했다.1974년 5월, 산시성에서 파견된 고고학자 팀이 현장에 와서 1호갱을 발굴하기 시작했다. 이후 시추 조사를 통해 2호갱(1976년 5월)과 3호갱(1976년 7월)이 추가로 발견되었다.[22] 약 20,000제곱미터 면적에 걸쳐 발굴 작업을 진행하여 약 7,000개의 병마용과 말 조각상, 약 100대의 목재 전차, 그리고 수많은 무기를 출토했다.[22] 갱을 보호하기 위해 대형 구조물이 세워졌으며, 첫 번째 구조물은 1979년에 완공되었다. 2008년까지 600개가 넘는 갱으로 이루어진 더 큰 무덤이 발굴되었고,[23] 일부 갱은 진시황의 능으로부터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21]
병마용의 발견은 중국 역사 연구에 있어 당시의 의복, 무기, 마구 등의 모습과 구성, 그리고 진시황의 사상 등을 파악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병마용갱은 현재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공개된 구역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도 광대한 미발굴 지역이 남아 있지만, 발굴과 동시에 병마용 표면에 칠해진 채색이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등의 이유로 조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3. 2. 병마용의 구성
병마용갱은 여러 개의 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갱에는 다양한 형태와 계급의 병사들이 배치되어 있다. 1974년 5월, 산시성(陝西省)에서 파견된 고고학자 팀이 유적지를 발굴하기 시작하여 1호갱, 2호갱, 3호갱을 발굴하였다. 약 20,000제곱미터 면적에서 약 7,000개에 달하는 병마용과 말, 수백 개에 달하는 목제 전차와 가마 등이 출토되었다.[22]병마용은 진시황릉에서 동쪽으로 1.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3개의 갱에는 전차 100여 대, 토마 600기, 성인 남성 실물 크기의 군인 형상 병마용 약 8,000기가 동쪽을 향해 전투 태세를 갖추고 있다.

이 병마용의 발견은 당시의 의복과 무기, 마구 등의 모습과 구성, 그리고 시황제의 사상 등을 파악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병마용갱은 현재 발굴 조사되어 공개된 구역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도 광대한 미발굴 지역이 남아 있다. 그러나 발굴과 동시에 병마용 표면에 칠해진 채색이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등의 이유로 조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4. 고고학적 연구
진시황릉은 진시황의 궁전을 축소, 복제한 모형으로, 중앙의 거대한 봉분을 내성과 외성이 둘러싸고 있다. 내성과 외성 안팎에는 병마용과 유물들이 묻혀있다.[24] 내성벽 내부 서쪽에서는 청동 마차와 말, 황제를 모시던 관리와 행정 각료들의 인형이 발견되었다. 외성과 내성 사이에서는 무희와 곡예사 인형, 외성벽 북쪽에서는 청동 학, 거위, 오리, 악사 모형의 황실 정원이 발견되었다. 외성 바깥쪽에서는 산 채로 묻힌 말, 서쪽에서는 능 건설 희생자들의 유해가 발견되었다.[25] 병마용갱은 리산(驪山)에서 동쪽으로 약 1.5km 떨어져 있다.[24]
1974년 현지 주민이 병마용을 발견했고,[35] 1975년 신화사 보도로 세계적인 뉴스가 되었다.[36] 능묘는 피라미드 형태의 토루로 높이는 76m이며, 오랜 풍화 작용으로 꼭대기는 둥글게 되었다. 3개의 갱에는 전차 100여 대, 토마 600기, 실물 크기 군인 형상의 병마용 약 8000기가 동쪽을 향해 전투 태세를 취하고 있다.
병마용 발견은 당시 의복, 무기, 마구 등의 모습과 구성, 시황제의 사상 등을 파악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병마용갱은 현재 공개된 구역 외에도 광대한 미발굴 지역이 남아 있지만, 발굴 시 병마용 표면 채색이 사라질 가능성 등으로 인해 조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4. 1. 지하 궁전
진시황의 지하 궁전은 봉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6] 고고학자들이 금속 탐지기로 조사한 결과, 봉분 아래에서 높이 약 4m, 가로 390m, 세로 460m의 벽돌로 만들어진 벽이 발견되었다. 이 벽은 지하 궁전을 지탱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네 면에는 경사로가 연결되어 있다. 서쪽 경사로에서는 청동 말과 마차가 발견되었다.[26]관이 있는 매장실은 동서로 80m, 남북으로 50m, 높이는 약 15m이다.[26] 지하궁전의 깊이에 대해서는 20m에서 50m까지 다양한 학설이 있다.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진시황릉에 묻힌 대부분의 금속 구조물들은 안정적인 배수 시스템 덕분에 잘 보존되어 있다.[26] 2000년에는 지하 댐과 배수 수로가 발견되었고, 지하 궁전은 침수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26]
사마천의 기록에는 '수은으로 하천과 강, 바다를 가득 채웠다'라는 내용이 있는데, 진시황릉 주변 토양에서 높은 수치의 수은이 검출되어 이 기록과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26] 다만, 지하 궁전 발굴 시 수은이 휘발될 것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토양 검사 결과 대부분 지역에서 평균 수준의 수은이 검출되었고, 높은 수치는 산업 오염 때문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27]
2012년에는 진시황릉에서 거대한 '옛 황궁' 터가 발견되었다.[28] 이 궁궐터는 길이 690m, 너비 250m, 면적 17만 제곱미터로, 베이징의 자금성 크기와 비슷하다. 18개의 부속 건물과 1개의 거대한 건물이 있었다.[29]
4. 2. 수은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진시황릉 속에 묻혀 있던 대부분의 금속 구조물들은 안정적인 배수 시스템 덕분에 잘 보존된 채로 남아있다고 한다.[26] 2000년에는 지하 댐과 배수 수로가 발견되었고, 지하궁전은 침수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26] 진시황릉 주변 토양에서는 극도로 높은 수치의 수은이 검출되었는데,[26] 이는 사마천의 ''사기''에 기록된 "수은으로 하천과 강, 바다를 가득 채웠다"라는 부분과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있다. 토양 검사 결과, 총 54곳 중 한 곳에서만 1440ppb에 달하는 수은이 검출되었고, 나머지 53곳에서는 평균 205ppb에 근접한 수치가 나왔다. 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은 검출량이 인근 지역의 산업 오염으로 인해 생겨난 것이라는 학설도 제기되었다.[27] "린통현지(Lintong County Annals)"에 따르면 1978년부터 1980년까지 벤젠, 수은, 납과 관련된 근로자 1193명이 21개 공장에서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27]
사기에는 시황제의 시신이 안치된 곳 근처에 "수은으로 만든 강과 바다가 만들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오랫동안 과장된 전설로 여겨졌으나, 1981년 조사에서 그 주변에서 수은의 증발이 확인되었다.[37]
4. 3. 황궁 유적
2012년, 중국 고고학계는 진시황릉에서 거대한 '옛 황궁' 터가 보존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28] 이 가설에 따르면, 이 안마당 형식의 궁궐은 길이 690m, 너비 250m로, 면적이 170000m2에 달하는데, 이는 베이징에 있는 자금성 크기의 약 4분의 1에 해당한다. 궁정에는 18개의 안마당 건물들이 있었고, 이 건물들을 내려다보는 1개의 거대한 건물이 있었다. 고고학자들은 2010년부터 이 터를 조사하여 벽돌, 벽, 성문, 도자기 파편 등을 발견했다.[29]5. 발굴 논쟁
1976년 진시황릉이 발견된 이후, 진시황릉은 중국 고고학계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였으며, 발굴을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었다. 발굴 찬성 측은 지진대로부터의 문화재 보호, 관광 산업 발전, 도굴 방지 등을 주장했다. 반면 발굴 반대 측은 중국의 고고학 기술 부족과 병마용의 사례처럼 문화재 훼손 가능성을 우려했다.
이러한 논쟁 속에서 중국 정부는 진시황릉 발굴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며, 관련 기술과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5. 1. 발굴 찬성 측
진시황릉은 지진대 위에 있어 지하에 매장된 부장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발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30] 또한 진시황릉 발굴은 관광 산업을 크게 발전시킬 수 있고,[30] 도굴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발굴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30]5. 2. 발굴 반대 측
대다수 학자들은 아직 중국의 고고학 기술이 진시황릉과 같은 거대한 역사지구를 발굴하는 데에는 충분치 못하다며 반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진시황릉과 인접해 있는 병마용갱만 봐도, 중국 고고학계는 병마용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면서 겉면에 화려하게 칠해져 있었던 색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막지 못했다.[31][32] 중국 정부는 이에 따라, 진시황릉 발굴을 위해서는 일단 관련 기술과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공식 방침으로 내세웠고, 이로 인해 진시황릉 주위에 있는 황손의 묘를 발굴 조사하는 것도 한시적으로 금지하였다.[33]5. 3. 중국 정부의 입장
중국 정부는 진시황릉 발굴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1976년 진시황릉이 발견된 이후, 학계에서는 지진대로부터의 문화재 보호, 관광 산업 발전, 도굴 방지 등을 이유로 발굴을 주장해 왔다.[30] 하지만, 중국의 고고학 기술로는 진시황릉과 같은 거대한 유적을 발굴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반론도 제기되었다. 실제로 병마용갱의 경우, 병마용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면서 표면에 칠해진 색이 벗겨지는 것을 막지 못했다.[31][32]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진시황릉 발굴에 앞서 관련 기술과 연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진시황릉 주변 황손의 묘 발굴 조사도 일시적으로 금지했다.[33] 국가문화유산국(SACH)은 지하궁전 보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우선 연구와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황제의 손자 묘 발굴 제안을 거부했는데, 이는 주능(진시황릉) 자체에 대한 손상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이다.[33]
6. 의의
진시황릉 발굴은 사마천이 저술한 역사서인 사기의 신뢰성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38] 이전까지 《사기》의 본기(本紀) 전반부는 역사적 근거가 없는 신화나 설화로 평가되어 부정적인 시각이 있었으나, 진시황릉과 병마용의 발굴로 이러한 평가가 개선되었다.[38]
1974년 현지 주민에 의해 발견된[35] 병마용은 1975년 신화사 보도를 통해 세계적인 뉴스가 되었다.[36] 이는 중국 역사 연구에 있어 당시의 의복, 무기, 마구 등의 모습과 구성을 알 수 있게 해 주었고, 진시황의 사상 등을 파악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사기에는 시황제의 시신이 안치된 곳 근처에 "수은으로 만든 강과 바다가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오랫동안 과장된 전설로 여겨졌으나, 1981년 조사에서 그 주변의 수은 증발이 확인되며 사실로 드러났다.[37]
참조
[1]
간행물
The first emperor of China: new discoveries & research
2016-07-11
[2]
뉴스
New York City welcomes the Terracotta Warriors
http://usa.chinadail[...]
2012-07-13
[3]
웹사이트
Terra Cotta Warriors: Guardians of China's First Emperor
http://www.terracott[...]
2012-04-30
[4]
뉴스
"Teenage warriors" discovered in China's terracotta army
https://web.archive.[...]
Xinhua News Agency
2012-07-13
[5]
웹사이트
世界文化遗产——秦始皇陵
http://www.gov.cn/te[...]
2023-03-24
[6]
저널
Discoveries May Rewrite History of China's Terra-Cotta Warriors
https://web.archive.[...]
2016-10-12
[7]
서적
The First Emperor of China
https://books.google[...]
Sutton
2022-01-10
[8]
웹사이트
水經注•渭水
https://web.archive.[...]
2012-10-17
[9]
서적
史记
中华书局
[10]
웹사이트
Shiji
https://web.archive.[...]
2013-10-05
[11]
서적
The First Emperor: China's Terracotta Army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史记·卷六 十二本纪 秦始皇本纪第六
http://www.ziyexing.[...]
2013-12-04
[13]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14]
서적
China : a history
https://books.google[...]
Hackett Pub. Co.
[15]
서적
China's imperial tombs and mausoleums
Foreign Languages Press
[16]
웹사이트
Han Shu
https://web.archive.[...]
2015-12-08
[17]
뉴스
China unearths 114 new Terracotta Warriors
http://news.bbc.co.u[...]
BBC News
2011-12-03
[18]
웹사이트
Mausoleum of the First Qin Emperor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2-06-09
[19]
웹사이트
Living with the Terra-cotta Army
https://web.archive.[...]
2016-05-25
[20]
뉴스
The Army that Conquered the World
http://www.bbc.com/c[...]
2019-12-10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Art et archéologie : la Chine du Néolithique à la fin des Cinq Dynasties, 960 de notre ère
Ecole du Louvre
2008
[24]
웹사이트
The Necropolis of the First Emperor of Qin – Excerpt from lecture in History 1420: Ancient China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5]
웹사이트
The First Emperor – China's Terracotta Army
https://web.archive.[...]
British Museum
2017-06-15
[26]
서적
The First Emperor: China's Terracotta Arm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09-22
[27]
저널
泰始皇陵中埋藏汞的初步研究
https://web.archive.[...]
2012-05-01
[28]
뉴스
"Imperial palace" found at first Chinese emperor's cemetery
https://web.archive.[...]
Xinhuanet
2012-12-03
[29]
뉴스
China unearths ruined palace near terracotta army
https://www.theguard[...]
2012-12-03
[30]
뉴스
Nine held over tomb robbery in Xi'an
http://www.chinadail[...]
2012-07-13
[31]
뉴스
More Terracotta Warriors rise from the earth
https://www.chinadai[...]
2012-07-13
[32]
뉴스
Terracotta army emerges in its true colors
https://archive.toda[...]
2012-07-13
[33]
뉴스
No excavation for mysterious tomb near Qinshihuang Mausoleum
https://web.archive.[...]
Xinhua News Agency
2012-07-13
[34]
웹사이트
西安市秦始皇兵馬俑博物館
https://www.mct.gov.[...]
中華人民共和国文化観光部
2021-07-22
[35]
웹사이트
兵馬俑考古発見の第一人者・趙康民氏が死去 世界が注目
http://japanese.chin[...]
2019-10-03
[36]
웹사이트
世界的奇迹 民族的骄傲 (五)
http://www.bmy.com.c[...]
2019-10-03
[37]
Youtube
央視官方頻道-秦陵之尘封的帝国5
https://www.youtube.[...]
[38]
저널
사마천 사기(史記)를 통한 학교장 리더십 탐색 -항우와 유방을 중심으로-
http://www.ksslem.co[...]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