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남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흥남구역은 함경남도 함흥시에 속한 구역으로, '함흥의 남쪽'이라는 뜻을 지닌다. 일제강점기에는 중화학공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한국 전쟁 당시 흥남 철수 작전이 진행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비날론 공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시설과 마전유원지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라선, 서호선 등 철도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흥시 - 김정숙해군대학
- 함흥시 - 함흥화학공업대학
함흥화학공업대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흥시에 위치한 대학이다. - 1960년 설치 - 창녕읍
창녕읍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속하는 읍으로, 신라 시대 비사벌로 불리다가 1960년에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17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여러 교육 기관과 문화재, 화왕산, 창녕읍 시장 등이 위치해 있다. - 1960년 설치 - 모란봉구역
모란봉구역은 평양직할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1960년 신설된 구역으로, 모란봉을 중심으로 여러 구역과 경계를 이루고 김일성경기장, 천리마 동상, 평양개선문 등 주요 시설과 공원, 방송국, 대사관 등이 있으며 지하철 천리마선, 혁신선과 릉라도 다리가 지난다.
| 흥남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흥남구역 개요 | |
| 한국어 표기 | 흥남구역 |
| 한자 표기 | 興 |
| 로마자 표기 | Heungnam-guyeok |
| 문화어 표기 | 흥남구역 |
| 면적 | 8마일 (약 13km) |
| 북한 행정 구역 정보 | |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상위 행정 구역 | (정보 없음 -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
| 하위 행정 구역 | (정보 없음 -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
| 나무 | (정보 없음 -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
| 꽃 | (정보 없음 -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
| 새 | (정보 없음 -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
| 인구 통계 | |
| 총 인구 (2008년) | 99,994명 |
| 동 | 18개 |
| 리 | 1개 |
| 기타 정보 | |
| 다른 뜻 | 대한민국의 명목상의 행정 구역 |
![]() | |
2. 역사
흥남은 고대에는 옥저의 영역이었다가 이후 고구려를 거쳐 신라에 복속되었다. 후삼국 시대에는 발해의 영토였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함경도의 일부였다. '흥남'은 '함흥의 남쪽'이라는 뜻이다.
일제강점기에 함경도 지역이 공업화되면서 흥남은 어촌에서 공업 도시로 변화했다. 1927년 일본 노구치의 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 공장과 수력발전소가 건설되면서 중화학공업 도시가 되었다. 1944년 흥남읍과 운남면이 흥남부로 승격되었고, 인구는 20만 명이었다. 노구치는 질소 비료, 화약, 카바이트 등 다양한 공장과 공업단지를 건설했다. 중일전쟁 이후 군수산업 기지로 변화하여 첨단 무기와 항공연료 등을 생산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직전 원폭 물질 개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이야기도 있다.[8]
소련의 한반도 진입 시기 제1극동전선군이 상륙하여 함흥까지 진격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대한민국 국군과 국제 연합군이 압록강까지 진출하였으나, 중화인민지원군 참전으로 혜산진에서 철수하였다. 미국 10 군단과 미국 1 해병 사단이 장진호 전투 후 흥남항에서 집결하여 흥남 철수 작전을 통해 남쪽으로 철수했다.[9][10] 흥남항은 전쟁 이후 북한에서 활용되었으며, 남한의 구호물자가 도착하기도 했다.[11] 강산에는 흥남항을 주제로 "라구요"를 불렀다.[12]
1960년 11월 함흥시에 흡수되어 흥남구역이 되었다가 2001년 흥남시로 분리되었으나, 2005년 다시 함흥시에 흡수되어 흥남구역으로 환원되었다.[13][14]
2. 1. 고대 ~ 조선 시대
고대 한반도에서 흥남 지역은 옥저의 영역이었다. 이후 고구려가 지배하다가 신라 전성기 때 신라 영토로 편입되었다. 후삼국 시대에는 발해의 영역이었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함경도의 지역으로 완전히 자리 잡았다. '흥남'이라는 지명은 '함흥의 남쪽'이라는 뜻으로, 실제로 함흥은 흥남 북쪽에 위치한다.[8]2. 2.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함경도 지역이 공업화되면서 흥남은 어업 중심지에서 공업 도시로 변모했다. 1927년 일본 재벌 노구치의 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 비료공장과 장전강·부전강 수력발전소가 건설되면서 대표적인 중화학공업 도시로 성장했다.[8]1944년 함주군 흥남읍과 운남면이 흥남부로 승격되었고, 당시 인구는 20만여 명이었다. 노구치는 600만 평 부지에 질소 비료, 경화유, 화약, 카바이트, 가성 소다, 소다회 공장과 철강, 아연 공업단지를 건설했다. 중일전쟁 이후 이곳은 일본의 군수산업 기지로 변화하여 화약, 첨단 무기, 비행기 외강판, 항공연료 등을 생산했다.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직전에는 극비리에 원폭 물질 개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비사도 전해진다.[8]

1920년대 개마고원의 수력 발전 (장진호, 부전호) 전력을 바탕으로 흥남에 공업 지대가 건설되었다. 조선질소비료 (1928년 공장 건설) 등 닛세이 콘체른이 중심이 되어 황산 암모늄 등 화학 공업 지대로서 공업화가 진전되었다.
일제강점기 흥남 지역의 연도별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사건 |
|---|---|
| 1930년 10월 | 함주군 운전면 일부 분리, 흥남읍 발족 |
| 1939년 | 함주군 서호면, 운남면 각 일부 흥남읍 편입 |
| 1941년 4월 1일 | 함주군 운남면, 삼평면 각 일부 흥남읍 편입 |
| 1943년 | 함주군 서호면 일부 흥남읍 편입 |
| 1944년 12월 | 함주군 흥남읍 및 운남면 일부 합병, 흥남부 발족 |
2. 3. 한국 전쟁과 흥남 철수
1950년 10월 26일, 한국 전쟁 당시 압록강까지 진출했던 대한민국 국군과 국제 연합군은 중화인민지원군의 참전으로 혜산진에서 철수하였다. 미국 10 군단과 12월 15일에서 12월 24일까지 장진호 전투를 벌이던 미국 1 해병 사단이 장진호에서 철수하여 흥남항에 집결한 후, 선박을 통해 남쪽으로 철수하였다. (흥남 철수 작전)[9][10]
흥남항은 1950년 12월 말 흥남 철수 작전이 있었던 곳으로, 한국 전쟁 중 유엔군과 북한 민간인을 대규모로 철수시킨 사건이다. 약 10만 명의 군 병력과 물자, 10만 명의 민간인이 1950년 크리스마스까지 수 주에 걸쳐 총 193척의 상선과 군 수송선에 실려 부산과 대한민국 내 다른 지역으로 안전하게 수송되었다. 철수 작전에는 SS 메러디스 빅토리호에 실린 14,000명의 난민이 포함되었는데, 이는 단일 선박으로 육지에서 이루어진 가장 큰 규모의 철수 작전이었다. 이 작전은 1950년 12월 16일 트루먼 대통령이 대통령 포고령 제2914호(3 C.F.R. 99 (1953))에 따라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면서 가능해졌다. 이 작전은 포위된 유엔군이 중공군의 함정에서 탈출한 장진호 전투의 절정이었다.
한국 전쟁 당시 북진한 대한민국 국군 · 유엔군이 일시 점령했지만, 1950년 12월에 중국 인민지원군이 참전하자, 중화인민공화국 · 북한 국경 지대에서 퇴각한 미국군을 비롯한 유엔군 10만 명이, 일반 시민 10만 명과 함께 흥남항에서 미국 해군의 선박을 이용해 해로로 남쪽으로 탈출하였다. 흥남은 유엔군의 함포 사격과 공습에 의해 파괴되었다.
2. 4. 북한 시대
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일본어의 비료공장과 장전강·부전강 수력발전소가 들어서면서 흥남은 대표적인 중화학공업 도시가 되었다.[8] 1944년 함주군 흥남읍과 운남면이 흥남부로 승격되었으며, 당시 인구는 20만여 명이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노구치는 600만 평의 부지에 질소 비료, 경화유, 화약, 카바이트, 가성 소다, 소다회 공장과 철강, 아연 공업단지를 건설하였다. 이곳은 중일전쟁 이후 일본의 군수산업 기지로 변화하여, 화약을 비롯하여 각종 첨단 무기, 비행기 외강판, 항공연료 등을 생산하였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직전에 극비리에 원자폭탄물질 개발연구가 이루어졌다는 비사가 알려지기도 하였다.[8]소련의 한반도 진입 시기에는 소련군 제1극동전선군이 이곳에 상륙하여 함흥까지 진격한 적이 있었다. 1950년 10월 26일, 한국 전쟁 당시에는 압록강까지 올라오던 대한민국 국군과 국제 연합군이 중화인민지원군의 참전으로 혜산진에서 철수한 미국 10 군단과 12월 15일에서 12월 24일까지 장진호 전투를 하고 있던 미국 1 해병 사단이 장진호에서 철수하여 이 곳의 항구에서 집결한 다음, 선박을 통해 남쪽으로 철수하였다. 이른바 흥남 철수 작전이다.[9][10] 흥남항은 전쟁 이후에도 북한에서 활용되었으며, 남한이 보낸 구호물자가 이곳으로 도착하기도 하였다.[11] 흥남항을 주제로 강산에가 노래 "라구요"를 부르기도 했다.[12]
1960년 11월에 "함흥직할시"로 승격된 함흥시에 흡수되었다. 그 후 흥남시는 흥남구역이 되었으나, 2001년에 북한에서 산업도시를 개발하기 위해 흥남구역을 흥남시로 바꾸고, 함흥시에서 벗어나도록 하였다. 하지만, 다시 2005년 함흥시에 다시 흡수되어 흥남구역로 환원되었다.[13][14]
북한 시대 흥남구역의 행정 구역 변천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내용 |
|---|---|
| 1930년 10월 | 함주군 운전면의 일부가 분리되어 흥남읍이 발족. |
| 1939년 | 함주군 서호면, 운남면 각 일부가 흥남읍에 편입. |
| 1941년 4월 1일 | 함주군 운남면, 삼평면 각 일부가 흥남읍에 편입. |
| 1943년 | 함주군 서호면의 일부가 흥남읍에 편입. |
| 1944년 12월 | 함주군 흥남읍 및 운남면의 일부가 합병되어, 흥남부가 발족. |
| 1945년 | 흥남부가 흥남시로 개칭. |
| 1949년 | 함주군 운남면의 일부를 편입. |
| 1952년 12월 | 군면리 통폐합에 의해, 함경남도 흥남시의 일부, 함주군 운남면의 일부 지역을 가지고, 흥남시를 설치. (43리) |
| 1954년 10월 | 덕풍리, 풍동리가 함주군에 편입.(41리) |
| 1955년 | 운성리, 구룡리, 호남리, 신상리, 송상리, 동흥리, 하덕리, 천기리, 후농리, 유정리, 응봉리, 서호리, 서흥리, 부흥리, 운흥리, 흥남리, 룡암리, 운중리, 흥덕리, 운남리, 덕리, 송호리, 궁서리, 작도리, 풍서리, 흥경리, 흥상리, 중흥리, 중수리, 수변리, 룡흥리, 영대리, 구탄리, 호상리, 룡연리, 룡성리, 신성리, 수동리, 상수리가 동으로 승격.(39동 2리) |
| 1956년 | 룡성동, 룡연동, 신성동이 합병하여 룡신리가 발족. 영대동, 구탄동, 호상동이 합병하여 영호리가 발족. 중흥동, 풍서동, 흥경동, 흥상동이 합병하여 풍흥리가 발족. (29동 5리) |
| 1957년 | 동흥동, 신상동, 송상동, 서흥동이 합병하여 내호동이 발족. 송호동, 부흥동이 합병하여 송흥동이 발족. 중수동이 상수동에 편입. 운남동이 룡암동에 편입. 수동동이 궁서동에 편입. (22동 5리) |
| 1960년 10월 | 흥남시 폐지. 궁서동, 상수동, 수변동, 영호리, 호전리가 신설된 함흥직할시 사포구역에 편입. 룡흥동, 운흥동, 흥덕동, 흥남동, 룡암동, 룡신리, 창흥리가 신설된 함흥직할시 본궁구역에 편입. 송흥동, 운중동, 운성동, 구룡동이 신설된 함흥직할시 룡성구역에 편입. 호남동, 천기동, 덕동, 응봉동, 하덕동, 내호동, 후농동, 서호동, 작도동, 유정동, 풍흥리가 신설된 함흥직할시 흥남구역에 편입. 함경남도 흥남시 호남동, 천기동, 덕동, 응봉동, 하덕동, 내호동, 후농동, 서호동, 작도동, 류정동, 풍흥리, 퇴조군 마전리, 능동리를 관할로 함흥직할시 흥남구역을 설치 (12동 2리). 류정동의 일부가 분리되어 류정1동이 발족. 풍흥리가 풍흥동으로 승격. 류정동의 잔부와 내호동의 일부가 합병되어 류정2동이 발족. |
| 1963년 | 류정1동, 류정2동의 각 일부가 합병되어 송상동이 발족 (13동 2리). |
| 1965년 | 응봉동이 분할되어 응봉1동, 응봉2동이 발족 (14동 2리). |
| 1967년 | 서호동이 분할되어 서호1동, 서호2동이 발족. 류정1동, 후농동의 각 일부가 합병되어 류정3동이 발족. 풍흥동의 일부가 작도동에 편입. (16동 2리) |
| 1970년 7월 | 함흥직할시의 강등에 따라 함경남도 함흥시 흥남구역이 됨 (16동 2리). |
| 1977년 | 능동리가 새마을리로 개칭 (16동 2리). |
| 2001년 8월 | 흥남구역 폐지. 호남동, 천기동, 응봉1동, 응봉2동, 덕동, 하덕동, 내호동, 류정1동, 류정2동, 류정3동, 송상동, 후농동, 작도동, 풍흥동, 서호1동, 서호2동, 마전리, 새마을리가 신설된 흥남시에 편입. |
3. 산업

흥남구역에는 나일론을 이용한 경공업, 기계수리 공장, 기초식품 공장이 건설되었다. 이곳의 바닷가는 소나무 숲과 함께 매우 맑고 아름다워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마전유원지가 있다.
3. 1. 주요 산업 시설
흥남구역에는 나일론을 이용한 경공업, 기계수리, 기초식품 공업 시설이 발달해 있다. 주요 산업 시설로는 다음이 있다.
이 도시에는 화학 무기 제조에도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흥남 비료 공장이 있다.[4] 2월 8일 비날론 공장 단지에서는 액체 연료 로켓과 미사일에 사용되는 UDMH 연료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흥남 화학 공업 대학도 이곳에 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은 전력, 항만, 공장 등 기반 시설을 건설했다.
흥남은 합성 섬유 (비날론), 화학 섬유 등 화학 공업과 기계 공업 등 중공업이 발달했다. 수산화 나트륨 (가성 소다)와 비료도 많이 생산하고 있다.
4. 행정 구역
흥남구역은 43개 동, 1개 로동자구,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1]
| 동 (43개) | 로동자구 (1개) | 리 (5개) |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5. 교통
평라선 철도가 흥남구역을 지난다. 평라선에는 창흥역, 흥남역, 서호역, 마전역이 있다. 서호선은 사포역, 상수역, 성천역, 운중역, 룡성역, 하덕역, 서호역을 지난다. 비날론선은 비날론역, 흥덕역, 흥남역을 지난다. 창흥선은 창흥역과 련흥역을 잇는다.[1]
6.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Largest cities in North Korea
http://www.geonames.[...]
[2]
웹사이트
행정구역 개편 일지
http://nk.chosun.com[...]
2006-04-29
[3]
웹사이트
Nations Encyclopedia
http://www.nationsen[...]
"Data on North Korea's population is scarce and unreliable."
[4]
웹사이트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ungnam
http://www.globalsec[...]
2006-01-24
[5]
웹사이트
Domestic UDMH Production in the DPRK
http://www.armscontr[...]
[6]
웹사이트
함경남도 함흥시 흥남구역 역사
http://www.cybernk.n[...]
[7]
웹사이트
북한통계>인구일제조사>2008>인구>도, 시/구역/군, 도시/농촌별, 성별인구
http://kosis.kr/stat[...]
[8]
서적
한국 근대사의 풍경
생각의 나무
2004
[9]
웹인용
1950년 흥남철수작전 흥남항에서 철수하는 LCVP 사진
https://artsandcultu[...]
2024-06-09
[10]
웹인용
1950년 흥남철수작전 흥남항 전경
https://artsandcultu[...]
2024-06-09
[11]
웹인용
북한 구호식량품 실은 제8장영호, 북한 흥남항 도착
https://news.kbs.co.[...]
2024-06-09
[12]
웹인용
"[노래의 탄생]강산에 ‘라구요’"
https://www.khan.co.[...]
2024-06-09
[13]
뉴스
北 함흥 흥남구역, 흥남시로 승격
http://nk.chosun.com[...]
NK조선
2013-10-31
[14]
뉴스
北, 함남 흥남시 '흥남구역' 환원
http://nk.chosun.com[...]
NK조선
2013-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