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흰귀마모셋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귀마모셋은 브라질 남동부의 대서양림에 고유종으로 서식하는 영장류이다. 몸길이는 19~25cm, 꼬리 길이는 27~35cm이며, 흰색 귓속 털이 특징이다. 주행성이며, 4~8마리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과일, 나무 검, 곤충 등을 먹는다. 서식지 파괴, 애완용 채집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단마모셋속 - 흰머리마모셋
    흰머리마모셋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윤리적 문제,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에 대해 다루고 있다.
  • 비단마모셋속 - 비트마모셋
    비트마모셋은 검은 털, 흰색 뺨과 이마 무늬, 고리 모양 꼬리를 가진 수액을 주식으로 하는 사회적 원숭이로, 키메리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협력적 육아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맹금류, 고양이과 동물, 뱀 등이 주요 천적이다.
  • 1812년 기재된 포유류 - 흰머리마모셋
    흰머리마모셋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윤리적 문제,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에 대해 다루고 있다.
  • 1812년 기재된 포유류 - 검은꼬리마모셋
  • 브라질의 고유종 동물 - 마린켈레칼코박쥐
    마린켈레칼코박쥐는 콜롬비아 동부 사바나 서식지에 서식하며 곤충을 먹는 비교적 큰 칼코박쥐속의 박쥐로, 서식지 파괴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존이 시급하다.
  • 브라질의 고유종 동물 - 작은붉은마자마사슴
    작은붉은마자마사슴은 현재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다.
흰귀마모셋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흰귀마모셋
흰귀마모셋 Callithrix aurita
학명Callithrix aurita (에티엔느 조프루아 생틸레르, 1812)
이명chrysopyga (Burmeister, 1854)
coelestis (Miranda Ribeiro, 1924)
itatiayae (Avila-Pires, 1959)
petronius (Miranda Ribeiro, 1924)
영어 이름Buffy-tufted marmoset
일본어 이름키이로미미마모셋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아목직비원아목
하목원숭이하목
소목광비원소목
오마키자루과
아과마모셋아과
코먼마모셋속
흰귀마모셋
분포
분포도
분포역
보존 상태
IUCN취약종
CITES부속서 I

2. 분포

흰귀마모셋은 브라질 남부의 대서양림에 고유종으로 서식한다.[7] 주요 서식지는 미나스제라이스 주, 상파울루 주, 리우데자네이루 주에 걸쳐 있는 세라 두 마르와 만티케이라 산맥의 우림 및 반낙엽성 숲이다. 분포 지역은 미나스제라이스 주의 도스 강 북쪽까지 뻗어 있다.[7] 이들은 주로 낮은 높이의 나무 꼭대기 부분(수관)과 빽빽하게 우거진 아래쪽 식물들 사이에서 먹이를 찾고 이동하며, 보통 땅에서 6m에서 9m 높이 사이에서 발견된다.[7] 서식 고도는 해발 80m에서 1200m 사이이며,[9][10] 대나무가 섞인 다년생 숲, 반낙엽성 숲, 이차림, 혼합된 형태의 숲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간다.[9][10] 노란머리마모셋(C. flaviceps)과 더불어 기후 조건이 가장 혹독한 지역에 서식하는 종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8] 모식 표본이 채집된 기준 산지는 리우데자네이루이다.[25]

3. 형태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띠지만, 줄무늬 없이 붉은 반점이나 얼룩덜룩한 붉은색을 띠는 경우도 있다.[11] 이마는 흰색이고 얼굴 옆면은 검은색이며, 때로는 붉은색 반점이 있기도 하다.[11][28] 귀에는 짧고(20mm~50mm) 흰색의 털 뭉치가 있으며, 갈색이나 노란색을 띨 수도 있다.[11][28] 이 귀 부분의 특징적인 금빛 색조 때문에 종명 ''aurita''가 붙여졌다.[11] 발은 갈색이고 손은 심하게 닳은 듯한 갈색을 띤다.[11] 꼬리는 검은색 바탕에 흰색 고리 모양의 옅고 짙은 줄무늬가 있다.[11][28]

몸길이는 19cm에서 25cm, 꼬리 길이는 27cm에서 35cm이며, 몸무게는 250g에서 450g 정도이다.[11][12][28] 아마도 비단원숭이속(Callithrix) 중에서 가장 큰 종일 것이다.[12]

4. 생태

흰귀마모셋은 주행성이며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동물로, 대부분의 생애를 나무에서 보낸다.[8][13] 서식지는 덤불 숲, 숲 가장자리, 다소 건조하고 나무가 드문 숲 등이다.[28] 주로 나무 위를 뛰어다니며 이동하지만, 나무와 나무 사이의 간격이 넓을 경우에는 땅으로 내려와 이동하기도 한다.[28] 밤에는 나무 구멍이나 빽빽한 초목 속에서 휴식을 취한다.[8][28]

보통 2마리에서 11마리 사이의 개체로 구성된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8][13][28] 무리는 주로 번식 가능한 암수 한 쌍과 새끼들로 구성되지만, 여러 마리의 성체 암수가 포함된 무리도 관찰된다.[8][13][28]

활동 시간은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비가 많이 오는 우기에는 보통 오전 6시 30분부터 저녁 7시까지 활동하지만, 덥고 건조한 시기에는 활동 시간이 줄어들어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만 활동한다.[8]

다른 영장류인 ''Cebus'' 속이나 ''Callicebus'' 속 원숭이들과 같은 지역에서 함께 서식하는 경우(동소성)도 있지만, 같은 ''Callithrix'' 속의 다른 마모셋 종들과 함께 서식하는 경우는 기록된 바 없다.[17]

4. 1. 번식

무리 내 번식 가능한 한 쌍의 암수가 있으며, 지배적인 암컷이 존재한다.[8][13] 다만, 여러 마리의 성체 암수가 포함된 무리도 관찰되며[28], 혼인 형태는 일부다처제로 추정되기도 한다.[28] 임신 기간은 144일이며[14][15], 1년에 두 번[28] 항상 쌍둥이를 낳는다.[14][15] 태어난 새끼는 생후 몇 주 동안 부모의 보살핌을 받으며, 나이가 많은 형제자매들도 육아를 돕는다.[14][15] 성체가 되면 태어난 무리를 떠나 다른 무리로 이동하여 새로운 짝을 찾는다.[14][15]

4. 2. 먹이

흰귀마모셋은 주로 식물성 먹이를 먹는다. 나무에서 나오는 수지나 나무 검, 기타 식물 분비물, 과일, 등을 먹는다.[16][28] 특히 나무줄기나 가지에 구멍을 내어 수지가 흘러나오기를 기다렸다가 먹는 행동을 보인다.[28]

건기에는 먹이가 부족해지면 식단에 동물성 먹이를 추가한다. 곤충류인 나비목 애벌레, 메뚜기류, 바퀴벌레를 비롯하여 거미, 긴다리거미, , 도마뱀, 작은 개구리, 새알 등을 먹기도 한다.[16] 연구에 따르면 대나무 곰팡이도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3]

5. 분류

과거에는 커먼마모셋(''Callithrix jacchus'')의 아종인 ''Callithrix jacchus aurita''로 여겨졌다.[29]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는 분류법이 채택된 이후에도 일부 문헌에서는 이 종의 일본어 이름을 흰귀마모셋(シロミミマーモセット|시로미미마모셋토일본어)으로 기재하기도 했다.[28] 그러나 2018년 일본 포유류 학회와 2019년 일본 몽키 센터 영장류 일본어 명칭 편찬 워킹 그룹은 이 종의 일본어 명칭을 키이로미미마모셋(キイロミミマーモセット|키이로미미마모셋토일본어)으로 정했다.[26][27]

6. 인간과의 관계

도시 개발이나 산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 애완용으로 잡아가거나 검은귀마모셋(''Callithrix penicillata'')나 코먼마모셋 같은 다른 종이 들어오면서 생기는 경쟁 및 유전자 오염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24]. 이러한 위협 때문에 1977년에는 워싱턴 조약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23].

7. 보존

흰귀마모셋은 서식하는 지역의 멸종위기종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18][19][20] 브라질[21] 및 세계 자연 보전 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도 등재되어 있다.[3]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좁은 분포 지역, 도시 개발이나 산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 개체 수 감소, 다른 종과의 경쟁 등이 있다. 특히 흰손마모셋(''Callithrix jacchus'')과 검은꼬리마모셋(''C. penicillata'') 같은 침입성 외래종의 도입으로 인한 잡종 형성과 유전자 오염, 그리고 애완용으로의 불법 포획도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이다.[3][24] 이러한 위협 때문에 1977년에는 워싱턴 조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23]

참조

[1] MSW3
[2] 서적 South American Primates: Comparative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Behavior, Ecology, and Conservation Springer
[3] 간행물 "Callithrix aurita" 2021-11-19
[4]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5] 서적 Marmosets and Tamari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06-10
[6] 학술지 The Taxonomic Status of Wied's Black-tufted-ear Marmoset, ''Callithrix kuhlii'' (Callitrichidae, Primates) 2006
[7] 학술지 Conservation of primates in the Atlantic forest region of eastern Brazil https://zslpublicati[...] 1982-01
[8] 서적 Adaptive Radiations of Neotropical Primates Springer US 2023-11-28
[9] 학술지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of the buffy tufted-ear marmoset, ''Callithrix aurita'', in lowland coastal atlantic forest, southeast Brazil 1998
[10] 학술지 Fatal attack of a pit viper,Bothrops jararaca, on an infant buffy-tufted ear marmoset (''Callithrix aurita'') 1997-04
[11] 웹사이트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 Volume 3 https://www.lynxeds.[...] 2023-11-29
[12] 학술지 An Introduction to the Callithrix Genus and Overview of Recent Advances in Marmoset Research 2020-12-31
[13] 학술지 Field notes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Callithrix aurita in Eastern Brazil https://onlinelibrar[...] 1984-01
[14] 학술지 The marmosets, genus callithrix https://cir.nii.ac.j[...] 1988
[15] 학술지 Demographic review of a captive colony of callitrichids (Callithrix kuhlii) 2007-02
[16] 학술지 Diet of Buffy Tufted-Eared Marmosets (Callithrix aurita) in a Forest Fragment in Southeastern Brazil 2000-06-01
[17] 학위논문 Densidade, genética e saúde populacional como ferramentas para propor um plano de controle e erradicação de invasão biológica: o caso de Callithrix aurita (Primates) no Parque Nacional da Serra dos Órgãos, RJ, Brasil http://www.bdtd.uerj[...]
[18] 웹사이트 Texto publicado no Diário Oficial do Estado do Rio de Janeiro contendo a listagem das 257 espécies https://institutolif[...]
[19] 웹사이트 Pesquisa de legislação http://www.al.sp.gov[...]
[20] 웹사이트 DELIBERAÇÃO NORMATIVA COPAM Nº 147, DE 30 DE ABRIL DE 2010 http://www.siam.mg.g[...] 2023-12-01
[21] 웹사이트 Diário Oficial da União https://www.ibama.go[...]
[22]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23] 웹사이트 "Callithrix aurita" https://www.speciesp[...] UNEP 2020
[24] 간행물 "Callithrix aurita" https://doi.org/10.2[...]
[25] 서적 Order Primates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26] 학술지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27] 웹사이트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霊長類和名リスト 2018年11月版 http://www.j-monkey.[...]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2020-07-31
[28] 서적 シロミミマーモセット 講談社 2001
[29] 학술지 サルの分類名(その6:マーモセット科) https://doi.org/10.2[...] 日本霊長類学会 1988
[30] MSW3
[31] 서적 South American Primates: Comparative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Bahavior, Ecology, and Conservation Springer
[32] IUCN Callithrix auri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