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쓰마타 세이이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쓰마타 세이이치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사회주의 이론가로 활동했다. 시즈오카현에서 태어나 교토제국대학 농학부를 졸업한 후 관료로 근무하다가 기획원 사건에 연루되었다. 1947년 중의원 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 일본사회당에서 국회대책위원장, 정책심의회장 등을 역임했다. 1967년 사회당 위원장에 취임했으나, 1968년 참의원 선거 참패로 사임했다. 1983년 중의원 부의장에 선출되었으며, 1986년 정계 은퇴 후 훈1등 욱일대수장을 수장했다. 가쓰마타는 소련 KGB 스파이 의혹을 받았으며, 이론 중심의 정치 활동으로 대중적 인기는 낮았지만, 사회주의 이론가로서 '일본에서 사회주의로의 길' 작성에 참여하는 등 사회주의 운동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혁신관료 - 시나 에쓰사부로
시나 에쓰사부로는 일본의 관료, 사업가, 정치인으로, 상공성 근무와 만주국 산업 개발 기여, 전시 경제 정책 수립, 자유민주당 부총재 역임, 한일 기본조약 체결, 중의원 의원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혁신관료 - 와다 히로오
와다 히로오는 일본 농림성 관료 출신으로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서 농림상으로 제2차 농지 개혁을 주도하고, 이후 일본사회당에서 당내 좌파를 이끌며 현실주의 노선을 추구한 정치인이다. - 일본사회당 위원장 - 아사누마 이네지로
아사누마 이네지로는 일본 사회당 위원장으로, 사회주의 운동가, 정치인으로서 일본 노농당 창립, 도쿄 시의회 의원, 국회 의원, 사회당 재건, 헌법 9조 개정 및 재군사화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1960년 미일 안보 조약 개정 반대 투쟁 중 극우 청년에게 암살당했다. - 일본사회당 위원장 - 도이 다카코
도이 다카코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헌법학자로, 일본사회당과 사회민주당에서 활동하며 일본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당수이자 중의원 의장을 역임했고,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에 기여, 진보적인 정치 활동을 펼쳤으나, 납북자 문제 대응 및 당 운영에 대한 비판과 친북 성향 논란 등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가쓰마타 세이이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가쓰마타 세이이치 |
한자 표기 | 勝間田 清一 |
로마자 표기 | Katsumata Seiichi |
출생일 | 1908년 2월 11일 |
출생지 | 시즈오카현 고텐바시 |
사망일 | 1989년 12월 14일 |
학력 | 교토제국대학 농학부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일본사회당 |
이전 소속 정당 | 사회당 좌파 |
직책 | 제55대 중의원 부의장 |
중의원 부의장 임기 시작 | 1983년 12월 26일 |
중의원 부의장 임기 종료 | 1986년 6월 2일 |
중의원 의원 선거구 | 시즈오카현 제2구 |
중의원 의원 당선 횟수 | 14회 |
중의원 의원 임기 시작 | 1947년 4월 26일 |
중의원 의원 임기 종료 | 1976년 12월 9일 |
중의원 의원 재임 시작 | 1979년 10월 8일 |
중의원 의원 재임 종료 | 1986년 6월 2일 |
일본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 | 제7대 |
일본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 임기 시작 | 1967년 8월 19일 |
일본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 임기 종료 | 1968년 10월 4일 |
이전 직업 | 기획원 관료 |
기타 정보 | |
칭호/훈장 | 정3위, 훈1등욱일대수장, 중의원 영년 재직 의원 |
2. 생애
시즈오카현 고텐바시에서 태어났다. 가쓰마타 가문은 도토미국 하이바라군의 국인이었다. 1476년 이마가와 요시타다에 대한 반란에 실패한 후 가문은 몰락했고, 후손들은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세이이치의 가문도 양잠업 등에 종사하던 농가였다. 고텐바 실업학교(현 시즈오카현립 고텐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우쓰노미야 고등농림학교(현 우쓰노미야대학)에 진학했는데, 이때 마르크스주의를 접하고 사회주의 사상을 갖게 되었다. 이후 교토제국대학 농학부에 입학했다.
1931년 교토제국대학을 졸업한 뒤 협조회와 내각조사국에서 근무하며 와다 히로오와 인연을 맺었다. 내각조사국이 기획원으로 확대 개편된 후 조사관으로 일했으며, 1941년 대정익찬회 조직부 규슈반장에 취임했으나 기획원 사건에 연루되어 검거되었다.
총선에서 일본사회당 후보로 시즈오카현에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가타야마 내각에서 와다 히로오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의 비서관을 지냈다. 와다가 사회당에 입당하자 와다 파벌에 들어갔으며, 사회당이 분열되었을 때도 와다를 따라 사회당 좌파에 남았다.
이후 와다파의 중진으로 활약했으며, 1955년 사회당이 통일되자 국회대책위원장이 되었고, 1958년 와다가 정책심의회장에서 물러나자 후임 회장이 되었다. 1967년 와다의 정계 은퇴 후 와다 파벌을 계승했고, 사사키 고조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일본 사회당 위원장에 취임했다. 가쓰마타는 시민들과 직접 대화하는 총대화 운동을 전개했으나, 1968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사회당이 참패하자 책임을 지고 1년 만에 위원장 자리에서 내려왔다.
1983년 중의원 부의장이 되었고, 3년 뒤 총선에 불출마한 채 그대로 정계를 은퇴했다.
사회주의이론위원회 사무국장으로서 「일본에서 사회주의로의 길」을 만드는 데 힘썼으며, 1978년 사회주의이론센터 초대 소장이 되었다.
1986년 사회당 위원장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훈1등 욱일대수장을 받았고, 1989년 12월 14일 81세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시즈오카현 고텐바시에서 태어났다. 가쓰마타 가문은 도토미국 하이바라군의 국인이었다. 1476년 이마가와 요시타다에 대한 반란에 실패한 후 가문은 몰락했고, 후손들은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세이이치의 가문도 양잠업 등에 종사하던 농가였다. 고텐바 실업학교(현 시즈오카현립 고텐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우쓰노미야 고등농림학교(현 우쓰노미야대학)에 진학했는데, 이때 마르크스주의를 접하고 사회주의 사상을 갖게 되었다. 이후 교토제국대학 농학부에 입학했다.2. 2. 관료 생활과 기획원 사건
1931년 교토제국대학을 졸업한 뒤 협조회와 내각조사국에서 근무하며 와다 히로오와 인연을 맺었다. 내각조사국이 기획원으로 확대 개편된 후 조사관으로 일했으며, 1941년 대정익찬회 조직부 규슈반장에 취임했으나 기획원 사건에 연루되어 검거되었다.2. 3. 정치 경력
총선에서 일본사회당 후보로 시즈오카현에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가타야마 내각에서 와다 히로오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의 비서관을 지냈다. 와다가 사회당에 입당하자 와다 파벌에 들어갔으며, 사회당이 분열되었을 때도 와다를 따라 사회당 좌파에 남았다.[1]이후 와다파의 중진으로 활약했으며, 1955년 사회당이 통일되자 국회대책위원장이 되었고, 1958년 와다가 정책심의회장에서 물러나자 후임 회장이 되었다. 미일안보조약 개정을 둘러싼 의회 논쟁 당시, 가쓰마타는 다른 사회당 지도자들과 함께 조약의 성격에 대한 정부 인사들의 상반된 발언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며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2] 1961년 중일 관계 문제가 불거졌을 때, 가쓰마타는 사사키 고조보다 상대적으로 친중국 성향이 덜한 것으로 알려졌다.[3]
1966년 산리즈카 투쟁이 시작되자, 사회당도 이를 지지했고 가쓰마타는 현장 연설을 통해 지지를 표명했다.[4][5] 1967년에는 미국과의 오키나와 반환협정 논의 당시, 사토 에이사쿠 총리와 정부를 비판했다. 가쓰마타는 일본 정부의 미국 해외 군사 활동 지원을 비판하며, 베트남 전쟁 지원을 예로 들어 "일본을 극동 지역의 대규모 미국 군사 전략에 더욱 깊이 끌어들이고 있다"고 비난했고, 오키나와현 미군 기지 존재와 핵무기 배치 가능성에도 반대했다.[2]
1967년 와다의 정계 은퇴 후 와다 파벌을 계승했다. 그해 사사키 고조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일본 사회당 위원장에 취임했다. 위원장이 된 가쓰마타는 시민들과 직접 대화하는 총대화 운동을 전개했다. 1968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사회당의 개선 의석 수가 30석에도 못 미치는 28석에 그치자 책임을 지고 1년 만에 위원장 자리에서 내려왔다.
1976년 일본 총선거에서 사회당이 의석을 늘렸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강력한 세 개의 사회당 파벌(사사키, 에다, 가쓰마타)의 지도자들은 모두 낙선했다. 그러나 가쓰마타는 1979년 일본 총선거에서 곧바로 의석을 되찾았고, 그 이후로 재선에 실패하지 않았다.[6]
1983년 중의원 부의장이 되었고, 3년 뒤 총선에 불출마한 채 그대로 정계를 은퇴했다.
2. 4. 사회주의 이론가로서의 활동
가쓰마타 세이이치는 일본 사회당 내에서 이름난 이론가였다. 사회주의이론위원회 사무국장으로서 「일본에서 사회주의로의 길」을 만드는 데 힘썼다.[1] 이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긍정하는 등 교조주의적인 발언이 잦아졌다. 1978년 사회주의이론센터 초대 소장이 되었는데, 「일본에서 사회주의로의 길」의 재검토에 착수하는 등 당의 방침에 따라 자신의 이론을 몇 번씩 바꾸곤 했다.2. 5. 말년
1986년, 가쓰마타 세이이치는 사회당 위원장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훈1등 욱일대수장을 받았다. 1989년 12월 14일, 81세로 사망했다.3. 소련 KGB 스파이 의혹
미국으로 망명한 소련 국가보안위원회(KGB) 소령 스타니슬라프 레브첸코는 1982년 미국 의회에서 KGB가 관리하는 일본의 소련 스파이 조직망에 관해 증언하면서 가쓰마타가 'GAVR'라는 암호명을 가진 KGB 공작원이었다고 주장했다.[8] 소련의 붕괴 이후 영국으로 망명한 KGB 간부 바실리 미트로킨이 제출한 극비 문서(미트로힌 문서)에도 가쓰마타가 KGB 스파이로 기록되어 있었다.[9][10][11][12]
그러나 전 소련 공산당 국제부 일본과장 이반 코발렌코는 레브첸코를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했다.
4. 평가
가쓰마타 세이이치는 이론 중심의 정치 활동으로 대중적 인기는 낮았고, 뚜렷한 정치적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7] 그러나 그는 혁신 관료 출신으로 사회당 외에도 지지자가 많았으며, 사회주의협회파의 노선 전환과 '일본사회당의 신선언' 제정에 기여했다. 그의 이론은 동독 마르틴 루터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을 정도로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다.[7]
한국의 시각 (더불어민주당 관점): 가쓰마타 세이이치는 냉전 시대 일본의 대표적인 좌파 정치인 중 한 명으로, 그의 정치 역정은 당시 일본 사회의 이념적 갈등과 국제 정세의 영향을 반영한다. (KGB 연루 의혹은 원문에 없으므로 삭제) 한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가쓰마타 세이이치의 정치 활동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5. 기타
산리즈카 투쟁 초기, 일본사회당이 산리즈카 시바야마 연합공항 반대동맹을 지원했기 때문에, 가쓰마타 세이이치도 현지에 들어가 연설을 했다.[13] 또한, 일평방미터 지주와 입목 트러스트에도 이름을 올렸다.[14][15]
6. 역대 선거 기록
선거명 | 선거일 | 선거 종류 | 회차 | 대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총선거 | 1947년 | 중의원 의원 | 23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31,302표 | 11.49% | 5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49년 | 중의원 의원 | 24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29,957표 | 9.32%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52년 | 중의원 의원 | 25회 | 시즈오카현 2구 | 좌파사회당 | 61,475표 | 18.5%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53년 | 중의원 의원 | 26회 | 시즈오카현 2구 | 좌파사회당 | 59,131표 | 18.37%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55년 | 중의원 의원 | 27회 | 시즈오카현 2구 | 좌파사회당 | 55,753표 | 15.78%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58년 | 중의원 의원 | 28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56,271표 | 14.39% | 5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60년 | 중의원 의원 | 29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73,298표 | 19.11%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63년 | 중의원 의원 | 30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77,079표 | 18.05%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67년 | 중의원 의원 | 31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68,185표 | 14.34%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69년 | 중의원 의원 | 32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67,572표 | 12.99% | 5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72년 | 중의원 의원 | 33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77,398표 | 13.65%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76년 | 중의원 의원 | 34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59,368표 | 9.38% | 8위 | 낙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79년 | 중의원 의원 | 35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90,268표 | 14.61%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80년 | 중의원 의원 | 36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103,152표 | 16.22%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83년 | 중의원 의원 | 37회 | 시즈오카현 2구 | 일본사회당 | 115,414표 | 19.46%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참조
[1]
논문
Japan's Leaders, 1958
https://www.jstor.or[...]
1958
[2]
논문
Explaining Japanese Antimilitarism: Normative and Realist Constraints on Japan's Security Policy
https://www.jstor.or[...]
2010
[3]
논문
The Japanese People and Japan's Policy toward Communist China
https://www.jstor.or[...]
1969
[4]
웹사이트
第065回国会 予算委員会 第7号
http://kokkai.ndl.go[...]
国立国会図書館
2019-02-04
[5]
서적
千葉県の歴史 資料編 近現代9社会・教育・文化3
千葉県
[6]
논문
The 1976 General Election in Japan
https://www.jstor.or[...]
1977
[7]
논문
Student Radicalism in Japan: A "Cultural Revolution"?
https://www.jstor.or[...]
1969
[8]
서적
大地の乱 成田闘争―三里塚反対同盟事務局長の30年
お茶の水書房
[9]
웹사이트
第065回国会 予算委員会 第7号
http://kokkai.ndl.go[...]
国立国会図書館
2019-02-04
[10]
서적
千葉県の歴史 資料編 近現代9社会・教育・文化3
千葉県
[11]
간행물
米国下院情報特別委員会聴聞会
1982-07-14
[12]
서적
The Mitrokin Archive II: The KGB and the World
Allen Lane
[13]
서적
大地の乱 成田闘争―三里塚反対同盟事務局長の30年
お茶の水書房
[14]
웹사이트
第065回国会 予算委員会 第7号
https://kokkai.ndl.g[...]
国立国会図書館
2019-02-04
[15]
서적
千葉県の歴史 資料編 近現代9社会・教育・文化3
千葉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