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다 히로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다 히로오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농림성 관료 출신이다. 그는 기획원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농림대신과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을 역임했다. 사회당에서 활동하며 정책심의회장, 서기장 등을 지냈으나, 당내 갈등과 부정 정치 자금 수수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60년대 초 구조개혁론을 지지하며 사회당 국제국장을 맡았고, 1967년 정계 은퇴 후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농림관료 - 이토 마사요시
이토 마사요시는 농림성 관료 출신으로 중의원 의원을 9선 지냈으며, 내각관방장관과 외무대신을 역임하고 총리 임시대리를 맡기도 한 일본의 정치인이다. - 일본의 농림관료 - 구마자와 히데아키
구마자와 히데아키는 1943년 기후현 출생으로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농림수산성 사무차관, 일본 농협공제회연구소 이사장, 체코 주재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한 일본의 관료이다. - 혁신관료 - 시나 에쓰사부로
시나 에쓰사부로는 일본의 관료, 사업가, 정치인으로, 상공성 근무와 만주국 산업 개발 기여, 전시 경제 정책 수립, 자유민주당 부총재 역임, 한일 기본조약 체결, 중의원 의원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혁신관료 - 기획원 사건
기획원 사건은 1938년부터 1941년까지 일본 전시체제기획원에서 발생한 일련의 검거 사건으로, 게이힌 그룹, 판임관 그룹, 고등관 그룹 사건으로 나뉘어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다수의 기획원 관계자들이 체포되어 만철 조사부 사건으로 확대되었으며, 전시 경제 체제하의 사상 탄압 및 사회주의 운동 탄압의 성격을 지닌다. - 일본의 농림대신 - 요시다 시게루
요시다 시게루는 친미·친영 성향으로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과 미일 안보 조약 체결을 주도하고 경제 재건 중심의 '요시다 독트린'을 추진하여 일본 고도 경제 성장의 기반을 마련한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며 네 차례 총리를 역임했다. - 일본의 농림대신 - 후쿠다 다케오
후쿠다 다케오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중의원 의원, 농림대신, 대장상, 외상을 역임하고 제67대 일본의 총리가 되어 중일평화우호조약을 체결했으며, 후쿠다 독트린을 발표했다.
와다 히로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와다 히로오 |
원어명 | 和田博雄 |
로마자 표기 | Wada Hiroo |
출생일 | 1903년 2월 17일 |
출생지 | 사이타마현 가와고에시 |
사망일 | 1967년 3월 4일 |
사망지 | 도쿄도 |
학력 |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
소속 정당 | 녹풍회→일본사회당→사회당 좌파→일본사회당 |
상훈 | 정삼위 훈일등 서보장 |
![]() | |
관직 | |
제4대 농림대신 | 내각: 제1차 요시다 내각 취임일: 1946년 5월 22일 퇴임일: 1947년 1월 31일 |
제4대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제4대 물가청 장관 | 내각: 가타야마 내각 취임일: 1947년 6월 1일 퇴임일: 1948년 3월 10일 |
중의원 의원 | 선거구: 오카야마현 제1구 당선 횟수: 6회 취임일: 1952년 10월 2일 퇴임일: 1966년 12월 27일 |
참의원 의원 | 선거구: 전국구 당선 횟수: 1회 취임일: 1947년 4월 21일 퇴임일: 1952년 |
2. 생애
와다 히로오는 1903년 사이타마현 가와고에시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일본의 정치인이자 경제 관료로 활동했다. 도쿄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농림성 관료로 근무했으며, 기획원 사건으로 체포되었다가 무죄 판결을 받고 복귀했다. 요시다 시게루 내각과 가타야마 데쓰 내각에서 농림상과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등을 역임하며 농지개혁과 경사생산 방식 도입에 기여했다.
일본사회당에 입당하여 중의원과 참의원 의원을 지냈으며, 당내 좌파와 우파 간의 갈등 속에서 구조개혁론을 지지했다. 사회당 국제국장,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당의 노선 변화를 꾀했지만, 1967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은퇴 직후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으며, 사후 서보대수장이 추증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사이타마현 가와고에시에서 구제중학교 교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아버지가 오카야마현의 중학교로 발령을 받아 오카야마현으로 이사했고 거기서 고등학교까지 나왔다. 제육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진학하여 1925년에 졸업했다. 대학생 시절 와다는 좌익 계열 학생운동에 참가한 적은 없었다. 대학을 졸업한 뒤 농림성에 들어가 관료가 되었다.[1]2. 2. 관료 경력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 와다는 농림성을 나와 기획원 조사관이 되어 전시 통제 경제 확립에 종사했다. 1940년 10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는 기획원 사건이 일어나 관에서 추방당했다. 약 3년에 걸친 구금을 거쳐 보석되었고 종전 직후인 1945년 9월 최종적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무죄 판결을 받은 달에 농림성에 복귀했고 다음 달엔 농정국장이 되었다. 1946년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이 된 요시다 시게루는 일본사회당과의 연립을 꾀했지만 불발로 끝났다. 요시다 내각은 소수 내각이었기에 거국일치내각을 꾸릴 필요성이 있었고 한편으로 경제 통제나 농정 개혁을 위해 좌파 지식인의 입각을 희망하고 있었다. 다른 사람들에게 모두 거절당한 끝에 요시다는 와다를 농림상으로 발탁했지만, 기획원 사건에 연루된 적이 있는 와다를 자유당 내에서 반발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하지만 미키 부키치가 "와다 농상을 거부해서 요시다 내각이 무너지면 GHQ가 사회당-공산당 연립 내각을 꾸릴지도 모른다"라고 설득하여 와다는 농상에 취임할 수 있었다. 이후 와다는 제2차 농지 개혁을 성공시켜 요시다의 신임을 받았다.
2. 3. 전후 정치 활동
1945년 농림성에 복귀하여 다음 해 농정국장이 되었다.[2] 1946년 요시다 시게루 내각은 일본사회당과의 연립에 실패하여 거국일치내각을 구성해야 했고, 경제 통제와 농지개혁을 위해 좌익 지식인의 입각을 희망했다. 요시다는 와다를 농림상으로 발탁했지만, 기획원 사건 연루 경력 때문에 자유당 내에서 반발이 있었다. 그러나 미키 부키치가 "와다 농상을 거부하면 GHQ가 사회당-공산당 연립 내각을 꾸릴지도 모른다"라고 설득하여 농상에 취임했다. 와다는 제2차 농지 개혁을 성공시켜 요시다의 신임을 받았다.1947년 제2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사회당이 원내1당이 되고 가타야마 데쓰가 총리대신이 되자, 요시다는 와다를 내각에 유임시킬 것을 권했고, 가타야마는 와다를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겸 물가청 장관에 임명했다. 와다는 쓰루 시게토 등 경제학자를 중용해 경제백서를 만들고 경사생산을 추진했다.
같은 해 제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는데, 이때는 녹풍회에 속해 있었다. 1949년 일본사회당에 입당했다. 당시 닷지 라인의 여파로 디플레이션 상황이었고, 시장 경제가 파탄난다는 우려가 있었다. 와다 역시 일본에 사회주의가 도래할 것이라 생각했다.
1951년 사회당이 분열했을 때 사회당 좌파에 속했고, 곧 정책심의회장이 되었다. 와다는 미국과의 상호 방위 원조 협정(MSA 협정)에 대항하는 정책을 발표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1952년 오카야마현 제1구에 출마해 중의원 의원이 되었고, 1954년 사회당 좌파 서기장이 되었다. 스즈키 모사부로와는 성향이 맞지 않았고, 사회주의협회와 손을 잡고 점차 교조적인 언동을 하기 시작했다. 1955년 사회당 우파와의 통합에 반발했고, 통일 사회당의 집행부에서 배제되었다.
1957년 사회당 정책심의회장이 되었지만, 다음 해 전국구매농업협동조합연합회로부터 부정 정치 자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1년간 당원권이 정지되었고, 정책심의회장직에서 해임되었다.
1960년 초 사회당에서 구조개혁론이 대두하자 이를 지지했지만, 에다 사부로와의 관계는 좋지 못했다. 사회당 좌파 시절의 기관지인 『사회 타임스』와 관련한 채무를 에다 때문에 와다가 모두 떠안아야 했고, 에다가 고향인 오카야마현 제1구에 출마하려 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구조개혁파의 지지를 받아 1961년 사회당 국제국장에 선출될 수 있었다.
와다는 서구 선진국의 사회민주주의 정당과의 제휴를 통해 사회당을 현실주의 정당으로 만들고자 했지만, 체력적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1964년 사사키 고조와 함께 사회당 부위원장에 선출되었다. 다음 해 가와카미 조타로가 병을 이유로 사회당 위원장을 사임하자 후계 위원장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이를 고사하고 사사키에게 자리를 양보했다. 1967년 정계를 은퇴했다.
2. 4. 사회당 내 갈등과 구조개혁 논쟁
1951년 일본사회당이 분열되자 와다는 좌파 사회당에 속했다. 좌파 사회당에서 정책심의회장이 된 와다는 미국과의 상호 방위 원조 협정(MSA 협정)에 대항하는 정책 계획을 발표하여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4] 1952년에는 오카야마현 제1구에서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1954년에는 좌파 사회당 서기장이 되었다. 그러나 좌파 사회당 위원장 스즈키 모사부로와는 성향이 맞지 않아, 사회주의협회와 손을 잡고 점차 교조적인 언동을 보이기 시작했다. 1955년 사회당 우파와의 통합에 반대하여 통합 사회당 집행부에서 배제되었다.[4]1957년 사회당 정책심의회장에 복귀했지만, 이듬해 전국구매농업협동조합연합회(전구련)로부터 부정 정치 자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1년간 당원권이 정지되고 정책심의회장직에서 해임되었다(전구련 사건).[4]
1960년대 초, 사회당 내에서 구조개혁론이 대두되자 와다는 이를 지지했다. 그러나 구조개혁론을 주도하던 에다 사부로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좌파 사회당 시절 기관지 『사회 타임스』와 관련된 채무 문제, 그리고 에다가 와다의 지역구인 오카야마현 제1구에 출마하려 했기 때문이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와다는 구조개혁파의 지지를 받아 1961년 사회당 국제국장에 선출될 수 있었다.
2. 5. 말년
와다 히로오는 정계에서 은퇴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현대하이쿠협회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걷다가 시바공원 근처에서 심근 경색으로 쓰러져 사망했다. 사후에 서보대수장이 추증되었다.[1]3. 평가 및 유산
와다는 사회당 정치인 중에서는 드물게 관료 출신으로 당 안팎의 기대를 받았지만, 그 능력을 발휘할 기회가 많지 않았다. 이는 와다의 능력을 살리지 못한 사회당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지만, 당시 사회당 최대 실력자인 스즈키 모사부로와 원만한 관계를 쌓지 못한 와다에게도 잘못이 있다. 에다 사부로와의 제휴도 순탄하지 못해 구조개혁 논쟁이 한창일 때 당내 세력 확장에도 실패했다.[6]
사토 에이사쿠 당시 내각총리대신은 와다의 부고 소식을 듣고 "가엾은 불행한 정치가"라고 평했다.[6]
3. 1. 비판적 시각
와다는 사회당 정치인 중에서 비교적 드물었던 관료 출신으로 당 안팎의 기대를 모았지만, 그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 그 책임은 와다의 능력을 살리지 못한 사회당에도 있지만, 사회당 최고 실력자였던 스즈키 모사부로와 좋은 관계를 맺지 못한 것도 큰 원인이었다. 또한 에다 사부로와의 연계도 잘 되지 않아, 구조 개혁 논쟁을 이용하여 당내에서 세력을 확장하지도 못했다.[6]끝까지 관료·학자의 기색을 남기고 정치가가 되지 못한 것이 와다가 정치가로서 성공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사망한 날, 당시 내각총리대신 사토 에이사쿠는 일기에서 와다의 부고를 언급하며 "안됐지만 불행한 정치가"라고 적었다.[6]
4. 저서
제목 | 출판일 | 출판사 | 비고 |
---|---|---|---|
농지조정법의 해설 | 1946년 4월 | 일본경제신문사(日本経済新聞社) | |
겨울밤의 역 | 1959년 11월 | 하야와라비카이(早蕨会) | |
구집 백우 | 1967년 1월 | 하츠네쇼보(初音書房) | |
와다 히로오 구초 | 1969년 3월 | 고 와다 히로오의 구비건설위원회(故和田博雄の句碑建設委員会) | |
농업협동조합의 진로 | 1947년 8월 | 농지개혁협의회 | 〈세계 경제의 동향과 농업협동조합〉(1~14쪽) |
애틀리 자서전 (상권) | 1955년 4월 | 신초사(新潮社) | C.R. 애틀리(Clement Attlee) 저, 와다 히로오・야마구치 후사오 역, 일시간 문고(一時間文庫) 시리즈 |
애틀리 자서전 (하권) | 1955년 4월 | 신초사(新潮社) | C.R. 애틀리(Clement Attlee) 저, 와다 히로오・야마구치 후사오 역, 일시간 문고(一時間文庫) 시리즈 |
와다 히로오 유고집 | 1981년 12월 | 농림통계협회 |
5. 역대 선거 기록
선거명 | 선거일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통상선거 | 1947년 | 무소속 | 21위 | 당선 | 참의원 의원 (전국구) | ||
총선거 | 1952년 | 좌파사회당 | 37,155표 | 9.8% | 5위 | 당선 | 중의원 의원 (오카야마현 제1구) |
총선거 | 1953년 | 좌파사회당 | 49,379표 | 13.6% | 2위 | 당선 | 중의원 의원 (오카야마현 제1구) |
총선거 | 1955년 | 일본사회당 | 58,386표 | 15.1% | 3위 | 당선 | 중의원 의원 (오카야마현 제1구) |
총선거 | 1958년 | 일본사회당 | 55,832표 | 14% | 5위 | 당선 | 중의원 의원 (오카야마현 제1구) |
총선거 | 1960년 | 일본사회당 | 57,473표 | 14.3% | 3위 | 당선 | 중의원 의원 (오카야마현 제1구) |
총선거 | 1963년 | 일본사회당 | 50,942표 | 12.5% | 5위 | 당선 | 중의원 의원 (오카야마현 제1구) |
참조
[1]
서적
日本官僚制総合事典
東京大学出版会
2001-11
[2]
Kotobank
和田 博雄
2023-02-26
[3]
서적
昭和天皇実録第十
東京書籍
2017-03-30
[4]
국회회의록
第4回国会 衆議院 不当財産取引調査特別委員会 第5号
https://kokkai.ndl.g[...]
1948-12-13
[5]
간행물
官報
1967-03-08
[6]
서적
佐藤栄作日記〈第3巻〉
朝日新聞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