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역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3호선의 환승역이다. 1982년 12월 2호선 종합운동장역 - 교대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3호선은 1985년 독립문역 - 양재역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역명은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유래되었으며, 2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3호선은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주변에는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초구의 전철역 - 반포역
반포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으로, 2000년 개통 이후 현재는 일평균 12,697명의 승하차 인원을 기록하며 6개의 출구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건대입구, 상봉, 고속터미널, 석남 방면으로 운행된다. - 서울 서초구의 전철역 - 양재역
양재역은 서울 서초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으로, 1985년 3호선 개통 후 2011년 신분당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12개의 출구를 통해 다양한 시설과 연결된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무악재역
무악재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4개의 출구를 통해 홍제역과 독립문역 사이의 지역 주민과 시설에 접근성을 제공하며, 2010년대 중반부터 일평균 이용객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 1982년 개업한 철도역 - 삼성역
삼성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위치한 역으로, 삼성동의 지명에서 유래되었으며 코엑스몰과 연결되어 많은 이용객이 이용하나, 국가적 행사 시 무정차 통과될 수 있다. - 1982년 개업한 철도역 - 역삼역
역삼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82년 개통하여 2022년 역삼(센터필드)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교대역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서울교육대학교 (법원·검찰청) |
로마자 표기 | Seoul Nat'l Univ. of Education (Court & Prosecutor's Office) |
한자 표기 | 敎大(法院·檢察廳)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지하 294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개업일 | 1982년 12월 23일 |
이용 정보 | |
승강장 | 2호선: 2면 2선 (상대식), 3호선: 1면 2선 (섬식) |
일일 승객 수 | 2012년 기준 |
2호선 일일 승객 수 | 85,532명 |
3호선 일일 승객 수 | 26,526명 |
단말기 코드 | 2호선: 0223, 3호선: 0330 |
노선 정보 | |
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2호선 역 번호 | 223 |
2호선 영업 거리 | 시청 기점 23.0 km |
2호선 이전 역 | 222 강남 |
2호선 이전 역 간 거리 | 1.2 km |
2호선 다음 역 | 224 서초 |
2호선 다음 역 간 거리 | 0.7 km |
3호선 역 번호 | 340 |
3호선 영업 거리 | 대화 기점 44.3 km |
3호선 이전 역 | 339 고속터미널 |
3호선 이전 역 간 거리 | 1.6 km |
3호선 다음 역 | 341 남부터미널 |
3호선 다음 역 간 거리 | 0.9 km |
역사 | |
2호선 개통 | 1982년 12월 23일 |
3호선 개통 | 1985년 10월 18일 |
기타 정보 | |
![]() | |
![]() | |
![]() | |
![]() |
2. 역사
1982년 12월 9일 '''교대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고[6], 12월 23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역명도 '''교대역'''으로 결정되었으며[7],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9] 1983년 12월 17일에는 2호선이 서울대입구역까지 연장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8]
1990년 4월 1일 '''교대역''' 명칭을 '''교대역'''(敎大驛) 또는 '''법원·검찰청역'''(法院·檢察廳驛)으로 병기하기 시작했다.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변경되었고,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
2. 1. 서울 지하철 2호선
- 1982년 12월 9일: '''교대역'''으로 역명 결정[6]
- 1982년 12월 23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83년 12월 17일: 서울대입구역까지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됨[8]
- -- 2호선 (역 번호는 '''223''')
2. 2. 서울 지하철 3호선
-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역명을 '''교대역'''으로 결정[7]
-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9]
- -- 3호선 - 역 번호는 "'''340'''"
3. 역명의 유래
역명은 인근에 있는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유래되었다. 1990년 4월 1일부터는 '교대역'(敎大驛) 또는 '법원·검찰청역'(法院·檢察廳驛)으로 역명을 병기했으나, 현재는 교대역만 사용하고 있다. 이는 인근에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등 법조 기관이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4. 역 구조
서울 지하철 2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서울 지하철 3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2호선과 3호선이 별도로 존재하며,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2곳 있다. 출입구는 1번부터 14번까지 있다.
4. 1. 2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2호선 내선순환과 외선순환 열차가 운행된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3호선과의 환승 통로는 승강장 서쪽 끝(서초역 방면)에 있다. 2호선 개찰구는 내선·외선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개찰구 안에서 승강장 간 이동은 3호선 승강장 및 콘코스를 경유해야 한다.
4. 2. 3호선 승강장

3호선 교대역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행(고속버스터미널, 종로3가, 구파발, 대화 방면)과 하행(남부터미널, 양재, 도곡, 수서, 오금 방면) 열차가 운행된다. 2호선으로 환승하는 경우, 내선 승강장에는 승강장 북쪽 끝(고속터미널 방면)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 외선 승강장에는 승강장 중간에 있는 계단 2곳을 이용할 수 있다. 3호선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다.
4. 3. 환승
2호선과 3호선의 환승 통로는 2개이다. 2호선 내선 - 3호선, 2호선 외선 - 3호선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2호선 내선순환에서 3호선 승강장으로 가는 통로는 전동차 맨 앞 칸에서 나오면 바로 보이고, 2호선 외선순환에서 3호선 승강장으로 가는 통로는 전동차 맨 뒤 칸에서 나오면 바로 보인다.[1] 2호선 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이고, 3호선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이다.[1]5. 역 주변
교대역 주변은 대한법률구조공단, 서울고등법원, 서울고등검찰청,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서울회생법원, 서울가정법원, 서울행정법원 등 법조 타운이 형성되어 있다.[10][11] 또한 서울교육대학교가 있으며, 대성학원, 메가스터디, 중앙학원, 김영편입학원 등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기업은행과 중소기업은행 교대역지점이 있다. 14번 출구 하단에는 무인민원발급기가 있으며, 365일 오전 5시 30분부터 24시까지 운영된다.[12] 2000년대 초반까지 서초구 서초대로52길 12(현재의 삼성스토어 서초 위치)에 반서파출소가 있었다.[10][11]
6. 이용객 변동
교대역한국어의 이용객 변동은 서울교통공사에서 2호선과 3호선의 이용객 수를 합산하여 통계를 낸다.[13]
2000년부터 2018년까지의 교대역의 연도별, 노선별 일평균 승하차 인원수는 다음과 같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2호선 | 승차 | 33,775 | 34,933 | 34,869 | 35,444 | 35,811 | 37,410 | 39,001 | 40,277 | 40,827 | 40,776 | [13] |
하차 | 37,312 | 39,519 | 39,668 | 39,856 | 39,965 | 41,617 | 43,548 | 44,695 | 44,613 | 45,233 | ||
승하차 | 71,087 | 74,452 | 74,537 | 75,301 | 75,776 | 79,027 | 82,549 | 84,972 | 85,440 | 86,009 | ||
3호선 | 승차 | 11,801 | 13,939 | 13,998 | 13,686 | 13,676 | 13,131 | 13,439 | 13,424 | 12,822 | 13,178 | |
하차 | 9,832 | 11,248 | 11,091 | 10,883 | 10,819 | 10,374 | 10,484 | 10,478 | 10,361 | 10,041 | ||
승하차 | 21,632 | 25,187 | 25,089 | 24,569 | 24,495 | 23,505 | 23,922 | 23,902 | 23,183 | 23,219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2호선 | 승차 | 41,673 | 41,864 | 40,502 | 39,852 | 39,917 | 38,198 | 37,684 | 36,211 | 35,864 | ||
하차 | 47,008 | 47,021 | 45,162 | 44,471 | 44,739 | 42,345 | 41,796 | 40,933 | 40,485 | |||
승하차 | 88,681 | 88,885 | 85,664 | 84,323 | 84,656 | 80,543 | 79,480 | 77,144 | 76,349 | |||
3호선 | 승차 | 14,811 | 15,089 | 15,056 | 14,782 | 14,772 | 14,120 | 14,087 | 14,568 | 14,465 | ||
하차 | 10,960 | 11,327 | 11,516 | 11,221 | 11,032 | 10,614 | 10,375 | 9,905 | 9,729 | |||
승하차 | 25,771 | 26,416 | 26,572 | 26,003 | 25,805 | 24,734 | 24,462 | 24,473 | 24,194 |
7. 인접한 역
서울 지하철 2호선 | ||
---|---|---|
강남 | 외선 순환 | 서초 |
서울 지하철 3호선 | ||
고속터미널 | 대화 방면 | 남부터미널 |
오금 방면 |
7. 1.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 | ||
---|---|---|
강남 (222) | 외선 순환 | 서초역 (224) |
강남 (222) | 내선 순환 | 서초역 (224) |
7. 2. 서울 지하철 3호선
참조
[1]
웹사이트
교대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6-05-10
[2]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2013-10-15
[3]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www.seoulmetr[...]
[4]
웹페이지
[5]
웹인용
새로운 기능 중심지로 주목받던 지역은 테헤란로와 주요 간선도로가 지나는 삼성동, 서초동, 그리고 강남역 주변이었다. 특히 이 일대에 예술의 전당과 국립도서관 등 문화시설과 한국 종합무역센터 등 주요 업무시설의 입지는 이 일대 개발의 촉매제로 작용했다. 또한, 1984년 교대역에서 삼성역을 지나는 지하철 2호선의 준공과 함께 서울 각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되고, 간선도로변 대규모 획지 개발을 완성하는 테헤란로 도시설계를 통해 강남은 중심 업무지구로서 그 입지를 확고히 했다.
https://seoulsolutio[...]
서울시
[6]
고시
서울특별시고시 제505호
http://event.seoul.g[...]
1982-12-09
[7]
고시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http://event.seoul.g[...]
1983-09-13
[8]
뉴스
지하철(지하철)Ⅱ 교대(교대)앞~서울대입구(대입구)구간 개통 서울대(대)~을지로(을지로)입구 49분 걸려 새벽 5시~밤 11시 51분까지 운행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3-12-17
[9]
뉴스
지하철(지하철)3.4호선 완전개통(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18
[10]
뉴스
파출소 창고 공부방 '경사났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02-01-29
[11]
뉴스
검찰청사 코앞 초대형 파출소 속뜻은?
https://www.hani.co.[...]
한겨레
2012-05-23
[12]
웹인용
무인민원발급 설치장소안내
https://www.gov.kr/m[...]
2024-10-06
[13]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