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디우스 (비디오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라디우스는 1985년 코나미에서 출시된 횡스크롤 슈팅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우주선 빅 바이퍼를 조종하여 적을 격파하고 파워 캡슐을 모아 무기와 기능을 강화하며, 7개의 스테이지를 진행한다. 혁신적인 파워업 시스템과 독특한 스테이지 구성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패밀리 컴퓨터, MSX, PC 엔진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그라디우스는 여러 후속작을 낳았으며, 다른 게임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라디우스 - 사라만다 2
사라만다 2는 1996년 코나미에서 출시한 아케이드 횡스크롤 슈팅 게임으로, 전작 사라만다의 후속작이자 그라디우스 프랜차이즈의 스핀오프이며, 새로운 공격 방식과 발전된 그래픽 및 사운드를 특징으로 한다. - 그라디우스 - 사라만다
사라만다는 1986년 코나미에서 발매한 횡스크롤 슈팅 게임으로, 《그라디우스》 시리즈의 외전작이며 가로세로 스크롤 전환 및 파워업 시스템을 특징으로 아케이드 외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고 OVA로도 제작되었다. - 닌텐도 VS. 시스템 게임 - 베이스볼 (비디오 게임)
1983년 닌텐도에서 발매한 패밀리 컴퓨터용 야구 게임 베이스볼은 실제 야구와 유사한 규칙, 1-2인 플레이 지원, 그리고 간단한 조작 방식과 십자 버튼 조작 체계로 이후 야구 게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닌텐도 VS. 시스템 게임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는 1985년 닌텐도에서 출시된 횡스크롤 플랫폼 게임으로, 마리오 또는 루이지를 조작하여 피치 공주를 구출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횡스크롤 액션 게임 장르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 PC 엔진 게임 - 스페이스 인베이더
스페이스 인베이더는 1978년 니시카도 토모히로가 개발한 고정 슈팅 게임으로, 화면 하단의 발사대를 조작하여 화면 상단의 외계인을 격추하는 게임이며, 아케이드 게임 시장에 혁신적인 시스템을 도입하여 큰 영향을 미쳤고, 사회 현상으로까지 발전했다. - PC 엔진 게임 - 드루아가의 탑
드루아가의 탑은 남코에서 1984년에 출시한 액션 롤플레잉 미로 게임으로, 기사 길가메시가 되어 60층 탑을 탐험하며 악마 드루아가로부터 처녀 키를 구출하는 모험을 떠나는 게임이다.
그라디우스 (비디오 게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그라디우스 (グラディウス) |
개발사 | 코나미 |
유통사 | 코나미 |
감독 | Hiroyasu Machiguchi |
시리즈 | 그라디우스 시리즈 |
플랫폼 | 아케이드 게임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암스트래드 CPC 코모도어 64 PC-8801 게임보이 X1 MSX ZX 스펙트럼 PC 엔진 X68000 휴대 전화 플레이스테이션 4 닌텐도 스위치 |
출시일 | 일본: 1985년 2월 2일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1985년 9월 북미: 1985년 12월 일본: 1986년 4월 25일 북미: 1986년 12월 유럽: 1988년 11월 30일 |
장르 | 횡스크롤 슈팅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멀티플레이어 |
작곡가 | 미키 히가시노 |
아케이드 시스템 | 버블 시스템 |
개발 및 출시 (일본어) | |
개발 | 코나미 개발 1과 |
출시일 | 일본: 1985년 5월 29일 미국: 1985년 유럽: 1995년 9월 일본: 1986년 4월 25일 미국: 1986년 12월 유럽: 1988년 11월 30일 일본: 1986년 7월 25일 유럽: 1986년 일본: 1986년 11월 19일 일본: 1986년 12월 28일 유럽: 1987년 1월 1일 유럽: 1986년 유럽: 1987년 1월 8일 일본: 1987년 3월 28일 일본: 1987년 3월 28일 일본: 2002년 12월 2일 revo) 일본: 2006년 3월 14일 일본: 2006년 12월 2일 일본: 2007년 8월 7일 일본: 2009년 8월 24일 일본: 2010년 6월 16일 미국: 2012년 10월 18일 유럽: 2012년 11월 1일 일본: 2013년 5월 8일 일본: 2013년 5월 14일 일본: 2013년 6월 3일 cluster 일본: 2013년 6월 20일 유럽: 2013년 9월 26일 일본: 2013년 10월 2일 미국: 2014년 1월 9일 일본: 2013년 12월 20일 일본: 2013년 12월 25일 일본: 2014년 3월 3일 일본: 2014년 4월 16일 일본: 2015년 1월 29일 일본: 2015년 9월 30일 일본: 2019년 8월 15일 일본: 2020년 7월 9일 |
심의 등급 | |
콘텐츠 아이콘 | ESRB: Mild Fantasy Violence PEGI: Violence |
조작 장치 | 8방향 레버 3버튼 |
CPU | MC68000 (@ 9.216 MHz) |
사운드 | Z80 (@ 3.579545 MHz) AY8910 (@ 1.789772 MHz) ×2 005289 (@ 1.789772 MHz) VLM5030 (@ 3.579545 MHz) |
디스플레이 | 래스터 스캔 가로 모니터 256×224픽셀 60.61Hz 팔레트 2048색 |
2. 게임 방식
플레이어는 차원 이동 우주선 빅 바이퍼를 조종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적의 공격을 격파해야 한다.[6] 8방향 레버와 3개의 버튼(파워 업, 대공 샷, 대지 미사일. 플랫폼에 따라 대공 샷과 대지 미사일을 1개의 버튼으로 병용)으로 조작한다. 총 7개의 스테이지로 변화가 풍부한 세계를 무대로 박테리안 군과 싸운다.
게임이 시작되면 빅 바이퍼는 비교적 느리고 약한 총만을 가지고 있지만, 파워 업 아이템을 수집하고 사용하여 더 큰 능력을 얻을 수 있다.[6]
이 게임은 "핵을 파괴하라!"라는 문구와 동의어가 되었는데, 그라디우스 시리즈의 보스전은 거대한 우주선과의 전투를 포함했기 때문이다. 이 우주선의 중앙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파란색 구체가 위치해 있었다. 보스는 거대한 우주선의 외부에서 핵 중 하나로 바로 이어지는 일직선 통로가 있도록 설계되었다. 플레이어는 보스 몸체에 있는 무기 배치의 공격 패턴을 피하면서 이 통로에 총을 쏴야 한다. 그러나 이 통로에는 작지만 파괴 가능한 벽이 위치해 있어 총알이 핵에 피해를 입히는 것을 방해하며, 반복적인 조준 사격으로 깎아내야 한다. 이 작은 벽들은 핵이 공격에 취약해질 때까지 보스의 방어 게이지를 나타낸다. 일부 보스는 이 벽을 재생할 수 있다. 핵이 충분한 피해를 입으면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색상이 바뀌며, 이는 치명적인 상태이며 파괴가 임박했음을 나타낸다. 핵이 파괴되면 보스의 일부가 작동 중지될 수 있는데, 이는 더 이상 핵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며, 모든 핵이 파괴되면 보스 전체가 파괴된다. 이러한 핵은 그라디우스의 더 유기적인 보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보스들은 입, 머리 또는 눈과 같은 약점을 가지고 있다.
- 샷 버튼: 통상 2연사가 가능한 노멀 샷을 전방으로 발사한다. 파워 업을 통해 더블 또는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다.
- 미사일 버튼: 파워 업 "MISSILE" 장착 후에 미사일을 발사한다.
- 파워 업 버튼: 빨간 파워 캡슐 획득 후, 파워 미터가 빛나는 부분의 파워 업을 장착한다.
2. 1. 파워업 시스템
붉은색 파워 캡슐을 얻으면 화면 하단의 파워 미터가 한 칸씩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원하는 파워업에 해당하는 칸에 도달했을 때 파워업 버튼을 누르면 해당 파워업이 빅 바이퍼에 장착된다. 파워 미터는 총 6칸으로, '스피드 업', '미사일', '더블', '레이저', '옵션', '?' (배리어)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파워 미터의 마지막 칸에서 캡슐을 얻으면 다시 첫 칸인 '스피드 업'으로 돌아간다.[6]파워업의 종류와 게이지 순서는 아래 표와 같다. (아케이드 버전 기준)[6]
순서 | 1 | 2 | 3 | 4 | 5 | 6 |
---|---|---|---|---|---|---|
게이지 표기 | SPEED UP | MISSILE | DOUBLE | LASER | OPTION | ? |
각 파워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1. 스피드 업 (SPEED UP)
Speed Up영어은 빅 바이퍼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이다.[6] 붉은색 캡슐을 얻어 파워업 게이지에서 스피드 업을 선택하면 속도가 한 단계씩 올라간다. 이 게임은 파워 업 아이템을 사용하여 빅 바이퍼의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대부분의 아케이드 게임이 개별 파워 업 아이템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그라디우스는 단일 파워 업 아이템을 통해 파워 업 메뉴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6]2. 1. 2. 미사일 (MISSILE)
Missile영어은 전방 대각선 아래로 미사일을 발사하며, 지표면에 닿으면 전진하는 무기이다.[6]2. 1. 3. 더블 (DOUBLE)
더블은 전방과 전방 대각선 위로 동시에 노멀 샷을 발사하는 파워업이다. 파워업을 하면 45도 위로 올라가는 탄이 동시에 발사된다.[6]2. 1. 4. 레이저 (LASER)
전방으로 관통력 있는 레이저를 발사한다. 레이저는 빅 바이퍼의 파워 업 중 하나이다.[6]2. 1. 5. 옵션 (OPTION)
옵션은 빅 바이퍼와 동일한 무장을 가진 무적의 분신이다. 최대 4개까지 생성 가능하며, 기종에 따라서는 2개까지 가능한 경우도 있다.[6]2. 1. 6. 배리어 (?)
Shield|실드영어는 빅 바이퍼의 전방을 방어하는 기능이다. 파워 업 게이지에는 물음표(?)로 표시된다.[6] 시리즈에 따라 명칭과 기능이 다르다.2. 2. 부활 패턴
각 스테이지는 여러 구획으로 나뉘며, 플레이어가 격추되면 모든 장비를 잃고 해당 구획의 시작 지점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6] 숙련된 플레이어는 "부활 패턴"을 이용해 장비를 잃은 불리한 상황에서도 게임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3. 스토리
행성 그라디우스를 구하기 위해 초시공 전투기 빅 바이퍼를 조종하여 아시공성단 박테리안과 싸운다.[6] 주인공 전투기의 이름은 '''빅 바이퍼'''이다.
플레이어는 차원 이동 우주선 빅 바이퍼를 조종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적의 공격을 격파해야 한다. 이 게임은 "핵을 파괴하라!"라는 문구와 동의어가 되었는데, 그라디우스 시리즈의 보스전 표준이 거대한 우주선과의 전투를 포함했기 때문이다. 이 우주선의 중앙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파란색 구체가 있었다. 이러한 보스는 거대한 우주선의 외부에서 이러한 핵 중 하나로 바로 이어지는 일직선 통로가 있도록 설계되었다. 플레이어는 보스 몸체에 있는 무기 배치로부터 공격 패턴을 피하면서 이 통로에 총을 쏴야 한다. 그러나 이 통로에는 작지만 파괴 가능한 벽이 위치해 있어 총알이 핵에 피해를 입히는 것을 방해하며, 반복적인 조준 사격으로 깎아내야 한다. 어떤 면에서, 이 작은 벽들은 핵이 마침내 공격에 취약해질 때까지 보스의 방어 게이지를 나타낸다. 일부 보스는 이 벽을 재생할 수 있다. 핵이 충분한 피해를 입으면 일반적으로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색상이 바뀌며, 이는 치명적인 상태이며 파괴가 임박했음을 나타낸다. 핵이 파괴되면 보스의 일부가 작동 중지될 수 있는데, 이는 더 이상 핵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며, 모든 핵이 파괴되면 보스 전체가 패배하고 만족스럽게 폭발한다. 이러한 핵은 그라디우스의 더 유기적인 보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보스들은 입, 머리 또는 눈과 같은 약점을 가지고 있다.
4. 개발
1980년대 초, 코나미의 게임 디자이너 마치구치 히로야스(Machiguchi Hiroyasu)가 그라디우스를 제작했다.[7] 그는 코나미에 프로그래머로 입사하여 소규모 팀에 배정되었는데, 당시 코나미는 메달 머신 제작에서 비디오 게임 개발사로 전환하려 했기 때문에 회사를 알릴 수 있는 게임을 만들고자 했다.[7]
마치구치 히로야스는 팀원들에게 어떤 종류의 게임을 만들고 싶은지 물었고, 그들은 슈팅 게임을 만들고 싶다고 답했다.[7] 당시 슈팅 게임 장르는 남코의 제비우스로 인해 부활했고,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제비우스를 능가하는 슈팅 게임을 만드는 것이었다.[7] 이 프로젝트는 처음에는 코나미의 이전 게임 스크램블(1981)의 후속작으로 기획되어 '스크램블 2'라는 제목으로 많은 자료와 게임 메커니즘을 재사용했다.[7]
그라디우스의 개발은 약 1년 동안 진행되었는데, 마치구치 히로야스는 이 기간이 제작팀의 첫 게임이라서 불안감과 걱정으로 가득했다고 회고하며, 그들이 하는 일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했다고 밝혔다.[7] 프로젝트 팀원들은 아이디어를 내고 아케이드 모니터에서 작동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했다.[7] 옵션 위성을 디자인하는 동안, 팀은 20가지가 넘는 다양한 움직임 패턴을 테스트했으며, 작동하지 않는 것을 기준으로 제거하는 과정을 거쳤다.[7]
이 게임은 코나미 버블 시스템 16비트 아케이드 하드웨어용으로 제작되었으며, 이를 통해 팀은 더 많은 하드웨어 용량과 메모리를 실험할 수 있었다.[7] 마치구치 히로야스는 게임이 당시 슈팅 게임에서는 비교적 드물었던 독특한 적과 장소로 시각적으로 뚜렷한 세계를 갖기를 원했다.[7] 메커니즘과 스토리에 대한 영감은 스타워즈: 새로운 희망과 렌즈맨과 같은 영화에서 얻었으며, 레이저 무기는 렌즈맨의 무기를 직접적으로 가져온 것이다.[7]
파워 미터 메커니즘에 대한 아이디어는 팀이 플레이어에게 원하는 무기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주고 싶어했기 때문이다.[7] 초기 버전에서는 플레이어가 개별 픽업 아이콘을 수집했는데, 이는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다"는 이유로 잘려나갔다. 대신, 플레이어가 캡슐을 모아 다른 무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막대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키보드의 기능 키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다.[7] 모아이 적들은 제비우스와 그 나스카 라인에 경의를 표하고, 게임에 신비감을 부여하기 위해 추가되었다.[7]
5. 스테이지 구성
아케이드판 기준으로 총 7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며, 각 스테이지는 독특한 배경과 적들로 구성된다. 거의 모든 시리즈에 화산과 모아이가 등장하며, 마지막은 기지로 끝난다.[1][6]
5. 1. 스테이지 1: 화산
동굴 내부를 배경으로, 화산탄과 빅 코어가 보스로 등장한다.[1]5. 2. 스테이지 2: 스톤헨지
아케이드판을 기준으로 스테이지 2는 돌 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괴 가능한 돌과 파괴 불가능한 돌, 그리고 포대가 배치되어 있으며, 위아래로 계속 스크롤된다.[1]5. 3. 스테이지 3: 모아이
세 번째 스테이지에서는 모아이 석상이 이온 링을 발사하며 공격한다.[6]
5. 4. 스테이지 4: 역 화산
스테이지 1의 천지가 뒤바뀐 형태로, 공격이 더욱 격렬하다.[1]5. 5. 스테이지 5: 촉수
우주 공간을 배경으로, 촉수를 가진 세포 덩어리가 공격해 온다.[1]
거의 모든 시리즈에 화산과 모아이가 있으며 기지로 끝난다.[1] MSX와 PC 엔진 기반에서는 스테이지 4와 스테이지 5 사이에 뼈 스테이지가 하나 더 있으며, 어떤 지점에 들어서면 보너스 스테이지가 나온다.[1]
5. 6. 스테이지 6: 세포
아케이드판 기준으로 스테이지 6은 거대한 세포 내부를 배경으로, 아메바와 해치가 등장한다.[1]
거의 모든 시리즈에 화산과 모아이가 있으며 기지로 끝난다.[1] MSX와 PC 엔진 기반에서는 스테이지 4와 스테이지 5 사이에 뼈 스테이지가 하나 더 있으며, 어떤 지점에 들어서면 보너스 스테이지가 나온다.[1]
5. 7. 스테이지 7: 요새
스테이지 7은 제로스 요새 내부를 배경으로 하며, 다양한 적의 공격과 장애물이 등장한다. 최종 보스는 마더 컴퓨터이다. 거의 모든 시리즈에 화산과 모아이가 있으며 기지로 끝난다.[6]6. 적 캐릭터
보스를 제외한 적들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지 초반 공중전에서는 작은 적들이 편대로 돌진하며, 이들을 모두 죽이거나 붉은색 적을 격추하면 캡슐이 나타난다. 스테이지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 지상 공격을 하는 적과 벙커가 등장하는데, 이들 역시 한 방에 파괴 가능하며 붉은색을 파괴하면 캡슐을 얻을 수 있다.[6]
스테이지 2와 스테이지 7에 등장하는 네모꼴의 적은 화면 중간에 갑자기 나오기도 한다.[6] 스테이지 4의 중간보스나 스테이지 5의 촉수괴물 등은 한 방에 죽지 않는다.[6]
적군들은 시리즈를 거듭할수록 더욱 다양해진다.
- 시리즈 공통의 적 캐릭터는 #시리즈 공통 문단을 참고.
- 해당 작품 한정 적 캐릭터는 #해당 작품 한정 적 캐릭터 문단을 참고.
6. 1. 시리즈 공통
스테이지 초반 공중전에서는 작은 적들이 편대로 돌진하며, 이들을 모두 죽이거나 붉은색 적을 격추하면 캡슐이 나타난다. 이는 시리즈 공통 사항이다.[6] 스테이지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 지상 공격을 하는 적과 벙커가 등장하는데, 이들 역시 한 방에 파괴 가능하며 붉은색을 파괴하면 캡슐을 얻을 수 있다.[6]플레이어는 빅 바이퍼를 조종하여 그라디우스 시리즈 보스전의 표준이 된 거대 우주선과 전투를 벌인다. "핵을 파괴하라!"라는 문구처럼, 거대 우주선 중앙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파란색 핵이 존재한다. 이 핵으로 이어지는 일직선 통로를 통해 사격하여 핵을 파괴해야 한다. 통로에는 총알을 막는 작은 벽이 있지만 반복 사격으로 파괴 가능하며, 일부 보스는 벽을 재생하기도 한다. 핵은 충분한 피해를 입으면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하며 파괴된다.[6]
6. 1. 1. 팬
각 스테이지 처음에 등장하는 초계기는 한 방에 죽일 수 있다. 편대로 돌진하는 적들을 모두 죽이거나 붉은색 적을 죽이면 캡슐이 나오는데, 이는 전 시리즈 공통이다.[6]6. 1. 2. 루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루글'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제목 '루글'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따라서 원본 소스에서 관련 정보를 찾을 수 없다는 내용을 그대로 출력한다.6. 1. 3. 갈룬
갈룬(Galun영어)은 회전하며 고속으로 이동하는 고속 전투기이다.6. 1. 4. 빈즈
8자 모양으로 비행하는 정찰 유격기이다.6. 1. 5. 디01
이전 답변에서 "디01"이라는 섹션이 존재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는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제목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을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6. 1. 6. 다커
(빈 텍스트)6. 1. 7. 점퍼
요약에 해당하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6. 1. 8. 우로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우로스'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시하는 것이 최선입니다.6. 1. 9. 자브
자브는 화면 중간에 갑자기 나타나 이동하는 시공간 이동 폭뢰로, 스테이지 2와 스테이지 7에 등장한다.[6]6. 1. 10. 다굼
스크램블 해치(Scramble Hatch영어)는 지상에 설치된 벙커이다. 한 방에 파괴할 수 있으며, 붉은색을 파괴하면 캡슐이 나온다.6. 1. 11. 러시
Scramble영어 전투기는 해치에서 발진한다.6. 1. 12. 모아이
입에서 이온 링을 발사하는 거대 석상이다.6. 1. 13. 이온 링
イオンリング|이온 링일본어은 모아이가 발사하는 링 모양 에너지체이다.[6]6. 1. 14. 칠드
Mother영어에서 발사되는 소형 원반이다.6. 1. 15. 마더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마더'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출력합니다.6. 1. 16. 아이언 메이든
(빈 텍스트)6. 1. 17. 빅 코어
그라디우스 시리즈의 보스 중 하나로, 제로스의 대형 모함이다. 중앙 코어를 파괴해야 한다.[6]거의 모든 시리즈에 등장하며, 중앙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파란색 구체가 있다. 이 구체로 바로 이어지는 일직선 통로가 있으며, 플레이어는 이 통로에 총을 쏴서 코어를 파괴해야 한다. 통로에는 작지만 파괴 가능한 벽이 있어 총알을 막지만, 반복적인 사격으로 파괴할 수 있다. 일부 보스는 이 벽을 재생하기도 한다. 코어가 충분한 피해를 입으면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하며, 이는 파괴가 임박했음을 의미한다. 모든 코어가 파괴되면 보스는 폭발한다.[6]
6. 2. 해당 작품 한정 적 캐릭터
- 레이저 포대: 스테이지 1 후반, 마름모꼴 공중 지형에 고정된 포대이다. 앙각(위쪽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정면으로만 레이저를 계속 발사한다.[6]
- 사발: 스테이지 2 전반부에만 나타나는 전투기이다. 천천히 자신의 Y축(세로축)에 맞춰 이동하다가, 자신의 정면에 플레이어가 오면 빠른 속도로 돌진한다.[6]
- 포스: 제로스 표준 순항기이다. 스테이지 3 전반부에만 등장한다. 여러 대가 무리를 지어 천천히 플레이어에게 접근하지만, 플레이어가 다가가면 도망간다. 모두 없애면 캡슐을 얻을 수 있다.[6]
- 우스카: 제로스 수송선이다. 스테이지 5 전반부에만 나타나며, 천천히 직진하면서 공격한다.[6]
- 촉수: 흐물흐물한 둥근 몸체에서 여러 개의 가느다란 팔이 뻗어 나온 생물이다. 팔 끝에서 탄을 발사하며, 둥근 본체를 공격하면 파괴할 수 있지만 내구력이 높다. 팔 중간의 색깔이 다른 부분을 공격하면 그 팔만 파괴할 수 있다.[6]
- 아메바: 세포 스테이지의 망상 세포 안에 숨어 있으며, 내구력이 높다.[6]
- 핵세포: 스테이지 6의 보스이다.[6]
- 전자 배리어: 요새 스테이지 가장 깊숙한 곳의 트인 장소에 나타나는 움직이는 장애물이다. 사실상 중간 보스이지만 파괴할 수 없다.[6]
- 메카 촉수: 제로스 요새 방어 촉수이다. 요새 스테이지 가장 깊숙한 곳을 방어하는 기계 촉수이며, 약점은 위의 촉수와 마찬가지로 팔 중간의 색깔이 다른 부분이다.[6]
7. 이식 및 출시
1986년 12월
1988년 11월 30일
NEMESIS영어
1986년
코모도어 64
(닌텐도 VS. 시스템)
※ 단, X68 사용자라면 보수 부품 취급으로 입수가 가능
세가 새턴
(T-9509G)
그라디우스 II와의 커플링
(Java 앱)
(코나미 J-APPLI)
및 W-ZERO3 시리즈 전용
(i-revo)
2007년 1월 8일[40]
2007년 2월 2일
(버추얼 콘솔)
(버추얼 콘솔)
(mixi)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게임 아카이브스)
2012년 11월 1일[43]
2013년 5월 8일[44]
(버추얼 콘솔)
(클라우드 게임)
(클라우드 게임)
2013년 10월 2일[47]
2014년 1월 9일
(버추얼 콘솔)
(버추얼 콘솔)
프로젝트 EGG
(버추얼 콘솔)
2015년 6월 9일
2015년 6월 23일
(아케이드 아카이브스)
그라디우스
(버추얼 콘솔)
패밀리 컴퓨터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가입자 전용
애니버서리 컬렉션
플레이스테이션 4
Xbox One
Steam
고치 테크놀로지
옴니버스 소프트의 1작품으로 수록.
업데이트로 영어판(NEMESIS)이 추가.
닌텐도 스위치
(아케이드 아카이브스)
(이식 담당)
Amazon.com 전매
(아케이드 아카이브스)
북미 및 유럽판의 NEMESIS를 각각 수록.
5종류의 엄선 설정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