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코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코젠은 포도당 잔기가 α(1→4)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약 8~12개의 포도당 잔기마다 가지가 있는 분지형 생체고분자이다. 글리코제닌 단백질을 중심으로 12개 층으로 이루어진 포도당 나무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간과 근육에 저장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간의 글리코젠은 혈당 조절에, 근육의 글리코젠은 근육 수축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글리코젠 대사 장애는 당뇨병, 저혈당증, 글리코젠 축적 질환과 관련되며, 지구력 운동 선수의 글리코젠 고갈은 운동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생물학 - 펩티도글리칸
펩티도글리칸은 세균 세포벽의 골격 구조를 이루는 주요 성분으로,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N-아세틸무라민산이 반복된 다당사슬에 펩티드 곁사슬이 붙은 형태이며, 세균의 형태 유지, 삼투압 저항성 제공, 면역 반응 유도, 항생제 표적 등의 역할을 한다. - 당생물학 - 이당류가수분해효소
이당류가수분해효소는 락테이스, 말테이스, 수크레이스, 트레할레이스와 같이 이당류를 단당류로 분해하는 효소의 총칭이며, 이러한 효소 결핍은 락토스 불내증과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운동생리학 - 피로
피로는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 고갈 상태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약물 치료, 정신 건강 도구 활용, 생활 습관 개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 운동생리학 - 아데노신 삼인산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아데닌, 리보스, 세 개의 인산기로 구성된 뉴클레오티드로서, 고에너지 인산 결합의 가수분해를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여 세포 과정에 사용되는 생명체의 주요 에너지 저장 및 전달 분자이며, 다양한 대사 경로를 통해 생성 및 재생될 뿐만 아니라 세포 신호 전달과 DNA 및 RNA 합성에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 다당류 - 덱스트란
덱스트란은 미생물이 생성하는 포도당 중합체 다당류로, 혈장 대체제로 개발되어 의학적으로 활용되었으며, 현재는 항혈전제, 혈량 증량제, 안약 윤활제 등으로 사용되고 약물 전달 시스템 연구에도 활용된다. - 다당류 - 키틴
키틴은 절지동물의 외골격, 버섯류의 세포벽 등을 구성하는 질소를 함유한 다당류이며, 키토산으로 변환되어 생의학, 식품, 제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글리코젠 | |
---|---|
개요 | |
유형 | 다당류 |
단위체 | 포도당 |
화학식 | (C₆H₁₀O₅)ₙ |
CAS 등록번호 | 9005-79-2 |
상세 정보 | |
역할 | 동물에서의 에너지 저장 형태 |
주요 저장 위치 | 간 근육 |
혈액 내 포도당 양 | 70kg 사람 기준 약 4g 유지 |
간 글리코젠 저장량 | 약 100g |
근육 글리코젠 저장량 | 약 400g |
뇌 | 뇌는 휴식 시 혈액 포도당의 약 60%를 소비함 |
적혈구 | 적혈구 내에도 소량 존재 |
관련 질병 | |
관련 질병 | 비정상적인 글리코젠 부족은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음 |
2. 구조
글리코젠은 약 8~12개의 포도당 잔기마다 가지를 가지고 있는 분지형 생체고분자이다.[67] 포도당 단위체들은 α(1→4) 글리코사이드 결합에 의해 선형으로 연결된다. 가지는 새로운 가지의 첫 번째 포도당과 줄기 사슬의 포도당 사이에 α(1→6)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된다.[68]
글리코젠은 주로 간과 근육에 저장되며, 그 기능은 서로 다르다. 간에 저장된 글리코젠은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혈당의 주요 공급원이다. 반면 근육에 저장된 글리코젠은 해당 근육 세포 내에서만 사용되며, 주로 근수축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모든 글리코젠 과립은 그 핵심에 글리코제닌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69] 글리코제닌은 글루코실 전이효소(glucosyltransferase) 활성을 가지고 있는 단백질로, 글리코젠의 중심부에 이합체로 존재하며 글리코젠의 한쪽 환원 말단에 공유결합된 상태로 과립 안에 묻혀 있다.[70] 글리코젠이 가지고 있는 많은 수의 비환원 말단들은 글리코젠의 빠른 합성과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각 글리코젠은 본질적으로 글리코제닌 단백질을 중심으로 12개 층으로 이루어진 포도당 나무의 공과 같으며, A, B, C의 세 가지 종류의 포도당 사슬이 있다. 글리코제닌에 부착된 C 사슬은 하나뿐이며, 글리코제닌의 자기 글루코실화에 의해 형성되어 짧은 프라이머 사슬을 형성한다. C 사슬에서 B 사슬이 뻗어 나오고, B 사슬에서 B 사슬과 A 사슬이 분기된다. B 사슬은 평균 2개의 분기점을 가지는 반면, A 사슬은 말단으로 분기되지 않는다. 평균적으로 각 사슬의 길이는 12이며, 11에서 15 사이로 엄격하게 제한된다. 모든 A 사슬은 글리코겐의 구형 표면에 도달한다.[22][23]
3. 기능
3. 1. 간의 글리코젠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을 함유한 식사를 섭취하고 소화하면 혈당량이 증가하고 이자에서 인슐린이 분비된다. 간문맥을 거쳐 나온 혈당은 간세포로 들어간다. 인슐린은 간세포에 작용하여 글리코젠 생성효소를 포함한 여러 효소들의 작용을 자극한다. 포도당 분자는 인슐린과 포도당이 충분하게 남아있는 한 글리코젠 사슬에 첨가된다. 식사 후에 간은 간에서 방출되는 것보다 많은 포도당을 혈액으로부터 흡수한다.
음식물이 소화되고 포도당 수치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인슐린 분비가 감소하고, 글리코젠 합성이 중단된다. 에너지가 필요할 때 글리코젠은 분해되어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된다. 글리코젠 포스포릴레이스는 글리코젠 분해의 주요 효소이다. 다음 8~12 시간 동안 간의 글리코젠으로부터 분해된 포도당은 신체의 나머지 부분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혈당의 주요 공급원이다.
이자에서 생성되는 또 다른 호르몬인 글루카곤은 인슐린과 길항작용을 한다. 인슐린의 수치가 정상보다 낮아지면(혈당량이 정상 범위 이하로 떨어지기 시작하면), 글루카곤의 분비량이 증가하고 글리코젠의 분해와 포도당신생합성(다른 공급원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성)을 자극한다.
3. 2. 근육의 글리코젠
골격근의 글리코젠은 근육 세포가 사용할 수 있는 포도당을 즉시 예비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근육 세포에는 포도당 6-포스파테이스(포도당 6-인산가수분해효소)가 부족하여 포도당을 혈액으로 내보낼 수 없기 때문에, 근육에 저장된 글리코젠은 해당 근육 세포 내에서만 사용되고 다른 세포와 공유되지 않는다. 이는 필요에 따라 저장된 글리코젠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만들어 혈류를 통해 다른 장기에 연료로 보내는 간세포와 대조적이다.[72][26]
골격근은 ATP(에너지 제공)를 근육 수축과 이완에 필요로 하며, 이는 활주설로 알려져 있다. 골격근은 휴식에서 활동으로 전환되는 처음 몇 분 동안, 고강도 유산소 활동 및 모든 무산소 활동을 하는 동안 주로 글리코겐 분해에 의존한다.[27] 역도 및 등장성 운동과 같은 무산소 활동 동안에는 산소나 혈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포스파젠 시스템(ATP-PCr)과 근육 글리코겐만이 사용되는 유일한 기질이다.[27]
다양한 생체 에너지 시스템은 서로 다른 속도로 ATP를 생성하며, 근육 글리코겐에서 생성된 ATP가 지방산 산화보다 훨씬 빠르다.[28] 운동 강도 수준 또한 ATP 합성에 사용되는 기질(연료)의 양을 결정한다. 근육 글리코겐은 혈중 포도당보다 ATP 합성에 훨씬 더 높은 속도의 기질을 공급할 수 있다. 최대 강도 운동 중 근육 글리코겐은 40 mmol 포도당/kg 습윤 중량/분을[29] 공급할 수 있는 반면, 혈중 포도당은 4~5 mmol을 공급할 수 있다.[30][4] 높은 공급 속도와 빠른 ATP 합성을 위해, 고강도 유산소 활동(빠른 걷기, 조깅 또는 달리기 등) 동안 운동 강도가 높을수록 근육 세포는 근육 글리코겐으로부터 더 많은 ATP를 생성한다.[31]
4. 역사
글리코젠은 클로드 베르나르에 의해 발견되었다. 베르나르는 간이 환원당을 생성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실험으로 보여주었다. 1857년까지 베르나르는 "la matière glycogène" 또는 "당 형성 물질(sugar-forming substance)"이라고 불리는 물질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73] 간에서 글리코젠이 발견된 직후, A. 산손(A. Sanson)은 근육 조직에도 글리코젠이 있음을 발견했다. 글리코젠의 실험식 (C6H10O5)n은 1858년 아우구스트 케쿨레에 의해 확립되었다.[73]
5. 물질대사
글리코젠은 글루코키나아제, 헥소키나아제,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 UTP-글루코스-1-인산 우리딜릴트랜스퍼라아제, 글리코겐 생성 효소의 작용으로 글루코스에서 합성된다. 가지는 1,4-α-글루칸 분지 효소에 의해 형성된다.[51]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아제는 글리코겐을 포도당 단위로 분해한다. 이때 글리코겐에서 떨어져 나오는 포도당 분자는 포도당 1-인산 형태이다. 포도당 1-인산은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에 의해 포도당 6-인산으로 전환되어야 대사될 수 있다.[51]
간은 포도당 6-인산가수분해효소(포도당-6-포스파타아제)를 가지고 있어 포도당 신생합성 등으로 생성된 포도당 6-인산의 인산기를 제거하여 포도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포도당은 혈액으로 방출되어 다른 세포로 운반된다. 포도당 6-포스파타아제는 포도당 항상성 유지를 위해 간과 신장(콩팥)의 소포체 내막에 존재한다. 간과 신장 이외의 근육에는 이 효소가 없기 때문에, 근육 내 글리코겐은 다른 장기에서 포도당으로 이용될 수 없고 근육 자체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젖산 수송에는 여러 종류의 수송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글리코겐이 포도당을 거쳐 속근 섬유에서 분해되어 젖산을 생성하고, 그 젖산이 세포막을 통과하여 지근 섬유나 심근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52] 젖산은 간에서 포도당 신생합성에 의해 포도당이 생성되어 전신에서 포도당으로 이용된다.[53]
안정 시나 강도가 낮은 운동 시에는 지방이 당보다 더 많이 사용된다. 혈당과 글리코겐은 이용하기 쉽지만 저장량이 많지 않으므로 안정 시 등에서는 그다지 많이 사용되지 않으며, 강도가 높은 운동 시 등에 당이 우선적으로 사용되게 된다.[52] 운동 강도가 낮은 경우에는 지방과 글리코겐의 연소 비율이 1:1이지만, 운동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방보다 글리코겐의 연소 비율이 높아진다.[54]
5. 1. 글리코젠 합성
글리코젠 합성은 흡열 반응으로,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글리코젠 합성에 필요한 에너지는 유리딘 삼인산(UTP)에서 나오는데, UTP는 글루코스-1-인산과 반응하여 UDP-글루코스를 형성한다. 이 반응은 UTP—글루코스-1-인산 유리딜전이효소에 의해 촉매된다.[36]글리코젠은 처음에 단량체 UDP-글루코스로부터 단백질 글리코제닌에 의해 합성된다. 글리코제닌은 호모이량체이므로 글리코젠의 환원 말단을 위한 두 개의 티로신 앵커를 가지고 있다. 약 8개의 글루코스 분자가 티로신 잔기에 추가된 후, 효소 글리코젠 생성효소는 UDP-글루코스를 사용하여 글리코젠 사슬을 점진적으로 늘리고, 글리코젠 사슬의 비환원 말단에 α(1→4)-결합된 글루코스를 추가한다.[36]
글리코젠 분지효소는 비환원 말단에서 글루코스 잔기 6개 또는 7개의 말단 조각을 글리코젠 분자 내부의 글루코스 잔기의 C-6 수산화기로 전이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분지 효소는 최소 11 개의 잔기를 가진 분지에만 작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글루코스 사슬 또는 인접한 글루코스 사슬로 전이될 수 있다.[74]
글루코스에서 글리코젠을 합성하는데 관여하는 효소는 다음과 같다.
효소 번호(EC) | 효소 | 반응 |
---|---|---|
2.7.1.2 | 글루코키나아제 | ATP + D-헥소스 = ADP + D-헥소스-6-인산 |
2.7.1.1 | 헥소키나아제 | ATP + D-글루코스 = ADP + D-글루코스-6-인산 |
5.4.2.2 |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 | a-D-글루코스-6-인산 = a-D-글루코스-1-인산 |
2.7.7.9 | UTP-글루코스-1-인산 우리딜릴트랜스퍼라아제 | UTP + a-D-글루코스-1-인산 = 이인산 + UDP-글루코스 |
2.4.1.11 | 글리코젠 생성효소 | UDP-글루코스 + (1,4-a-D-글루코실)n = UDP + (1,4-a-D-글루코실)n+1 |
2.4.1.18 | 1,4-α-글루칸 분지 효소 | 1,4-a-D-글루칸 사슬의 일부를 유사한 글루칸 사슬의 1차 수산기에 전이시킨다. |
5. 2. 글리코젠 분해
글리코젠 가인산분해효소(글리코젠 포스포릴레이스)는 글리코젠 사슬의 비환원 말단에서 포도당 1-인산을 생성하며 글리코젠 분해를 시작한다.[75]
생체 내 인산과 포도당 1-인산의 비율은 보통 100을 초과하므로, 가인산분해는 글리코젠 분해 방향으로 진행된다.[75]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는 포도당 1-인산을 포도당 6-인산으로 전환시킨다. 글리코겐 탈분지효소(glycogen debranching enzyme)는 글리코젠의 α(1→6) 가지를 제거하고 사슬을 선형 중합체로 만든다.
포도당 6-인산은 다음 세 가지 경로로 대사될 수 있다.
- 해당과정을 통해 연료로 사용.
- 오탄당 인산 경로를 통해 NADPH와 오탄당을 생성.
- 간과 콩팥에서 포도당 6-인산가수분해효소(포도당 6-포스파테이스)에 의해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포도당신생합성 경로의 마지막 단계를 거침.
간은 포도당 6-인산가수분해효소(포도당 6-포스파테이스)를 가지고 있어 포도당 6-인산의 인산기를 제거하여 포도당을 생성하고, 이는 혈액으로 방출되어 다른 세포로 운반된다. 포도당 6-포스파테이스는 포도당 항상성 유지를 위해 간과 신장(콩팥)의 소포체 내막에 존재한다.
근육에는 포도당 6-포스파테이스가 없어 포도당 6-인산을 포도당으로 전환할 수 없다. 따라서 근육 내 글리코젠은 다른 장기에서 사용될 수 없고, 근육 자체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6. 임상 관련성
글리코젠 대사에 이상이 생기는 가장 흔한 질환은 당뇨병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이상으로 인해 간에 글리코젠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거나 고갈될 수 있는 질환이다. 과도한 인슐린 때문에 저혈당증이 생기면, 간의 글리코젠 수치는 높지만 높은 인슐린 수치가 정상 혈당 유지를 위해 필요한 글리코젠 분해를 방해한다. 글루카곤은 이러한 유형의 저혈당증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51] 글리코젠 합성이나 분해에 필요한 효소가 부족하면 다양한 선천성 대사 이상이 발생하며, 이를 통틀어 글리코겐 축적 질환(당원병)이라고 한다.[51]
마라톤, 크로스컨트리 스키, 사이클과 같은 장거리 운동 선수들은 종종 글리코젠 고갈을 경험한다. 글리코젠 고갈은 충분한 탄수화물 섭취 없이 장시간 운동 후 운동선수의 글리코젠 저장량이 거의 바닥났을 때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을 마라톤에서는 "벽에 부딪힘(hitting the wall)", 사이클에서는 "봉킹"이라고 부른다. 글리코젠 고갈은 다음의 방법으로 예방할 수 있다.
- 운동 중 혈당으로 전환되는 속도가 가장 빠른 탄수화물(높은 혈당지수)을 지속적으로 섭취한다.
- 지구력 훈련과 특수 훈련을 통해 연료로 사용되는 지방산의 비율을 높여 탄수화물 사용을 절약한다.[76][77]
- 운동이나 식단으로 글리코겐 저장량이 고갈된 후 다량의 탄수화물을 섭취하여 근육 내 글리코겐 저장 용량을 증가시킨다. [78][79][80] 이 과정을 탄수화물 로딩이라고 한다.[81][82]
고강도 운동 후 탄수화물과 카페인을 함께 섭취하면 글리코젠 저장량이 더 빠르게 보충되는 경향이 있다.[83][84][85]
6. 1. 글리코젠 대사 장애
글리코젠 대사에 이상이 생기는 가장 흔한 질환은 당뇨병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이상으로 인해 간에 글리코젠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거나 고갈될 수 있는 질환이다. 정상적인 포도당 대사가 회복되면 보통 글리코젠 대사도 정상화된다.[51]과도한 인슐린 때문에 저혈당증이 생기면, 간의 글리코젠 수치는 높지만 높은 인슐린 수치가 정상 혈당 유지를 위해 필요한 글리코젠 분해를 방해한다. 글루카곤은 이러한 유형의 저혈당증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51]
글리코젠 합성이나 분해에 필요한 효소가 부족하면 다양한 선천성 대사 이상이 발생한다. 이를 통틀어 글리코겐 축적 질환(당원병)이라고 한다.[51]
6. 2. 글리코젠 고갈과 지구력 운동
마라톤, 크로스컨트리 스키, 사이클과 같은 장거리 운동 선수들은 종종 글리코젠 고갈을 경험한다. 글리코젠 고갈은 충분한 탄수화물 섭취 없이 장시간 운동 후 운동선수의 글리코젠 저장량이 거의 바닥났을 때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을 마라톤에서는 "벽에 부딪힘(hitting the wall)", 사이클에서는 "봉킹"이라고 부른다.글리코젠 고갈은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예방할 수 있다.
- 첫째, 운동 중 혈당으로 전환되는 속도가 가장 빠른 탄수화물(높은 혈당지수)을 지속적으로 섭취한다. 이 방법은 최대 심박수의 약 80% 이상에서 소비되는 포도당의 약 35%를 대체할 수 있다.
- 둘째, 지구력 훈련과 특수 훈련(예: 단식, 저강도 지구력 훈련)을 통해 신체는 1형 근육 섬유를 훈련시켜 연료 사용 효율성과 작업 부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연료로 사용되는 지방산의 비율을 높여 탄수화물 사용을 절약할 수 있다.[76][77]
- 셋째, 운동이나 식단으로 글리코겐 저장량이 고갈된 후 다량의 탄수화물을 섭취하여 근육 내 글리코겐 저장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78][79][80] 이 과정을 탄수화물 로딩이라고 한다. 일시적인 글리코겐 고갈로 인해 근육의 인슐린 감수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탄수화물 공급원의 혈당지수는 중요하지 않다.[81][82]
고강도 운동 후 탄수화물과 카페인을 함께 섭취하면 글리코젠 저장량이 더 빠르게 보충되는 경향이 있다.[83][84][85] 그러나 글리코젠 축적에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카페인의 최소 투여량은 정해지지 않았다.[85]
7. 기타
스포츠 의학에서는 글리코젠을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글리코겐 로딩 또는 탄수화물 로딩이라고 부른다. 글리코젠 저장을 늘림으로써 글리코젠 고갈로 인한 운동 능력의 한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전처리로 글리코젠 고갈을 일으켜 글리코겐 합성 능력을 높인 후 탄수화물 식품을 섭취하는 고전적인 방법이나, 탄수화물과 글리코겐 분해를 억제하는 구연산을 동시에 섭취하는 고속 로딩법 등이 있다. 글리코젠 나노입자는 잠재적인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연구되어 왔다.[47]
참조
[1]
서적
Exercise physiology: Energy, nutrition, and human performanc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
서적
Life
W. H. Freeman
[3]
서적
Biochemistry
W. H. Freeman
2015-04-08
[4]
논문
Four grams of glucose
2009-01
[5]
서적
Guyton and Hall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https://books.google[...]
Saunders/Elsevier
[6]
논문
Glycogen metabolism in the normal red blood cell
1972-12
[7]
논문
Glycogen content and release of glucose from red blood cells of the sipunculan worm themiste dyscrita
http://jeb.biologist[...]
[8]
논문
An improved quantitative assay of glycogen in erythrocytes
2002-11
[9]
논문
Fundamentals of glycogen metabolism for coaches and athletes
2018-04
[10]
논문
Glycogen distribution in the microwave-fixed mouse brain reveals heterogeneous astrocytic patterns
2016-06
[11]
서적
Biology: Exploring Life
http://www.phschool.[...]
Pearson Prentice Hall
[12]
논문
Heterogeneity in subcellular muscle glycogen utilisation during exercise impacts endurance capacity in men
2020-10-01
[13]
논문
Glycogen supercompensation is due to increased number, not size, of glycogen particles in human skeletal muscle
2021-05-01
[14]
논문
Diet, Muscle Glycogen and Physical Performance
1967-10
[15]
논문
Quantification of subcellular glycogen in resting human muscle: granule size, number, and location
2002-11-01
[16]
논문
Studies on the metabolism of the protozoa. 5: Metabolism of the parasitic flagellate Trichomonas foetus
1955-03
[17]
논문
''Tritrichomonas foetus'':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calcium in the plasma membrane and in the hydrogenosome
1982-12
[18]
논문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f stages of ''histomonas meleagridis'' from clonal cultures
2008-09-01
[19]
논문
Recent developments in our understanding of glycogen structure
[20]
서적
Netter's Essentials Biochemistry
Elsevier
[21]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22]
논문
A revision of the Meyer-Bernfeld model of glycogen and amylopectin
1970-12-28
[23]
논문
Glycogen and its metabolism: some new developments and old themes
2012-01-16
[24]
논문
Glycogen storage: Illusions of easy weight loss, excessive weight regain, and distortions in estimates of body composition
1992-07
[25]
논문
BrowZine
https://browzine.com[...]
2023-05-12
[26]
웹사이트
Glycogen Biosynthesis; Glycogen Breakdown
https://oregonstate.[...]
2018-02-28
[27]
논문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glycogen storage disease V & VII (McArdle disease and Tarui disease) from an international study group
2021-12
[28]
웹사이트
Hormonal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 Berne and Levy Physiology, 6th ed (2008)
https://doctorlib.in[...]
2023-10-21
[29]
논문
Fundamentals of glycogen metabolism for coaches and athletes
2018-04-01
[30]
논문
The Precious Few Grams of Glucose During Exercise
2020-01
[31]
논문
The effects of increasing exercise intensity on muscle fuel utilisation in humans
2001-10-01
[32]
논문
The Fractal Structure of Glycogen: A Clever Solution to Optimize Cell Metabolism
1999-09
[33]
논문
Liver glycogen in type 2 diabetic mice is randomly branched as enlarged aggregates with blunted glucose release
2015-10-31
[34]
논문
Exploring glycogen biosynthesis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2018-05-08
[35]
논문
Claude Bernard and the discovery of glycogen
1957-06-22
[36]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W.H. Freeman and Company
[37]
서적
Biochemistry
Freeman
[38]
웹사이트
Methods of endurance training, Part 1
http://www.bodyrecom[...]
2009-10-30
[39]
웹사이트
Steady state vs. tempo training and fat loss
http://www.bodyrecom[...]
2008-06-02
[40]
웹사이트
Research review: An in-depth look into carbing up on the cyclical ketogenic diet
http://www.directlyf[...]
2012-07-25
[41]
서적
The Ketogenic Diet: A complete guide for the dieter and the practitioner
Lyle McDonald
[42]
논문
Muscle glycogen utilization during prolonged exercise on successive days
1971-12
[43]
논문
Glycogen depletion and increased insulin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in muscle after exercise
1986-12
[44]
서적
The Ultimate Diet 2.0
Lyle McDonald
[45]
논문
High rates of muscle glycogen resynthesis after exhaustive exercise when carbohydrate is coingested with caffeine
2008-07
[46]
논문
Nutritional strategies to promote post-exercise recovery
2010-12
[47]
논문
Glycogen as a Building Block for Advanced Biological Materials
2020-05-07
[48]
웹사이트
glycogen
http://dictionary.re[...]
[49]
서적
Biology: Exploring Life
http://www.phschool.[...]
Pearson Prentice Hall
[50]
서적
Human Anatomy & Physiology
Benjamin Cummings
[51]
논문
Pyridoxal 5′_Phosphate as a Catalytic and Conformational Cofactor of Muscle Glycogen Phosphorylase b
[52]
논문
新たな乳酸の見方
https://doi.org/10.5[...]
日本学術協力財団
[53]
논문
腎臓の糖新生とその特異性
https://doi.org/10.1[...]
日本臨床化学会
[54]
논문
グリコーゲンローディング
https://doi.org/10.7[...]
日本体力医学会
[55]
서적
Exercise physiology: energy, nutrition, and human performanc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6]
논문
Four grams of glucose
2009-01
[57]
서적
Life
https://archive.org/[...]
W. H. Freeman
[58]
서적
Guyton and Hall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https://books.google[...]
Saunders/Elsevier
[59]
논문
Glycogen metabolism in the normal red blood cell
http://www.bloodjour[...]
1972-12
[60]
논문
Glycogen content and release of glucose from red blood cells of the sipunculan worm themiste dyscrita
http://jeb.biologist[...]
[61]
논문
An improved quantitative assay of glycogen in erythrocytes
http://journals.sage[...]
2002-11
[62]
논문
Glycogen distribution in the microwave-fixed mouse brain reveals heterogeneous astrocytic patterns
2016-06
[63]
서적
Biology: Exploring Life
http://www.phschool.[...]
Pearson Prentice Hall
[64]
논문
Studies on the metabolism of the protozoa. 5. Metabolism of the parasitic flagellate Trichomonas foetus.
1955-03
[65]
논문
Tritrichomonas foetus: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calcium in the plasma membrane and in the hydrogenosome
https://doi.org/10.1[...]
[66]
논문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f stages of Histomonas meleagridis from clonal cultures
https://doi.org/10.1[...]
2008-09-01
[67]
문서
Manners, D. J. Carbohydr. Polym. 1991, 16, 37.
[68]
서적
Biochemistry
W. H. Freeman
[69]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70]
저널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7rd edition; By David L. Nelson and Michael M. Cox
[71]
논문
Glycogen storage: illusions of easy weight loss, excessive weight regain, and distortions in estimates of body composition
http://ajcn.nutritio[...]
[72]
웹사이트
Glycogen Biosynthesis; Glycogen Breakdown
https://oregonstate.[...]
2018-02-28
[73]
논문
Claude Bernard and the Discovery of Glycogen
[74]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W.H. Freeman and Company
[75]
서적
Biochemistry
Freeman
[7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bodyrecom[...]
2019-01-16
[7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bodyrecom[...]
2019-01-16
[78]
웹인용
Research Review: An In-Depth Look Into Carbing Up On The Cyclical Ketogenic Diet
http://www.directlyf[...]
2017-02-19
[79]
서적
The Ketogenic Diet: A Complete Guide for the Dieter and the Practitioner
Lyle McDonald
[80]
문서
Costill DL et. al. Muscle glycogen utilization during prolonged exercise on successive days. J Appl Physiol (1971) 31: 834–38.
[81]
문서
Glycogen depletion and increased insulin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in muscle after exerciseAm J Physiol Endocrinol MetabDecember 1, 1986 251:(6) E664–69
[82]
서적
The Ultimate Diet 2.0
Lyle McDonald
[83]
논문
High rates of muscle glycogen resynthesis after exhaustive exercise when carbohydrate is coingested with caffeine
2008-07
[84]
웹인용
The Effects Of Caffeine On Athletic Performance
http://journals.clut[...]
Clute Institute
2014-06-17
[85]
논문
Nutritional strategies to promote postexercise recovery
http://journals.huma[...]
20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