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는 일본 국회에서 내각총리대신을 선출하는 절차를 말한다. 지명 자격은 국회의원 및 문민이어야 하며, 참의원 의원이 총리대신으로 지명된 사례는 없다. 선거 절차는 내각의 국회 통지 후 중의원과 참의원에서 투표로 진행되며, 과반수 득표자가 없으면 결선 투표를 실시한다. 중의원과 참의원의 지명자가 다를 경우 양원협의회를 거치며, 합의가 안 되면 중의원의 의결을 따른다. 최종적으로 국회 지명자는 천황의 임명을 받아 총리대신으로 취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선거 - 최고재판소 재판관 국민심사
    최고재판소 재판관 국민심사는 일본국 헌법에 따라 최고재판소 재판관의 파면 여부를 국민이 심사하는 제도로,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동시에 실시되지만 낮은 투표율과 정보 부족 등으로 실효성 논란이 있으며 현재까지 파면된 재판관은 없다.
  • 일본의 선거 - 안분표
    안분표는 투표에서 후보자 이름 표기가 불분명할 때 득표율에 따라 표를 나누는 방식으로, 일본에서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성씨만 기재된 투표를 후보자 득표율에 비례하여 배분하지만, 한국에서는 성씨만 기재된 투표는 무효표로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선거 개요
명칭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로마자 표기Naikaku Sōridaijin Shimei Senkyo
영문 표기Prime Minister of Japan Designation Election
내용일본 국회에서 내각총리대신을 지명하는 선거
법적 근거일본국 헌법 제67조, 국회법
선출 대상내각총리대신
선출 기관국회
투표 방식기명투표
선거 절차
후보국회의원
후보 추천국회의원
투표중의원과 참의원 각각 실시
결과양원 의결이 일치하면 지명 완료, 불일치 시 양원협의회 또는 중의원 우월 의결
선거 결과 처리
지명국회가 지명한 자를 천황이 임명
내각 성립내각총리대신 임명 후 내각 구성
임기내각총리대신 임기 종료 혹은 중의원 해산 시 재선거
역사적 맥락
전후 제도 확립일본국 헌법 제정 후 내각총리대신 선출 방식 규정
초기 선거초창기 선거에서는 여당 총재가 지명되는 관례 확립
관련 용어
내각총리대신행정부 수반, 내각의 수장
국회입법부, 중의원과 참의원으로 구성
양원협의회중의원과 참의원의 의견 불일치 시 조정 기관
지명국회가 내각총리대신 후보를 결정하는 행위
임명천황이 국회의 지명에 따라 내각총리대신을 공식적으로 취임시키는 행위
기타
관련 문서내각총리대신, 일본국 헌법, 국회법

2. 지명 자격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려면 일본 국회의원이어야 하고(일본국헌법 제67조 제1항), 문민(文民)이어야 한다(일본국헌법 제66조 제2항).

2. 1. 국회의원

일본 헌법 제67조 제1항에 따라 일본의 국회의원이어야 한다.[2][3] 하지만 참의원 의원이 총리대신으로 지명된 적은 없는데, 이는 총리대신이 사실상 가지고 있는 중의원 해산을 참의원 의원이 행사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중의원 의원이 총리대신에 취임하는 것이 맞다는 정치적 관례 때문이다. 2009년 야마노이 가즈노리 의원이 참의원 의원이 총리대신이 될 수 있는지 질의했는데, 아소 내각은 헌법 제67조 제1항을 언급하는 것으로 답변을 대신했다.[2][3]

국회의원 자격은 총리대신 선임 요건이자 재직 요건이다.[4] 총리대신이 국회의원 자격을 상실할 경우, 2000년 내각법제국 장관은 총리대신이 궐위된 때에 해당한다고 답변했다.

2. 2. 문민

일본 헌법 제66조 제2항에 따라 내각총리대신은 문민이어야 한다.[1] 나카소네 야스히로(구 일본 해군 소좌), 다케시타 노보루(구 일본 육군 소위), 우노 소스케(학도 동원으로 구 일본 육군 소위), 무라야마 도미이치(징병으로 구 일본 육군 군조)는 군 경력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구 일본군 해체 후 일본국 헌법 하에서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어 임명되었다.[2] 자위대 출신자가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된 예는 없다.[3]

3. 지명 절차

국회법 제64조에 따라 내각은 내각총사직 혹은 내각총리대신 궐위 시 중의원과 참의원 의장에게 통지해야 한다. 양원 의장은 양원 본회의에서 의원들에게 통지받았음을 보고해야 한다. 내각총리대신 궐위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국정에 중대한 지장을 빚을 우려가 있기에 보고가 끝나면 다른 모든 안건보다 우선하여 총리대신 지명을 시작한다. 폐회 중일 때 통지가 이루어지면 개회 후에 지명 선거를 실시한다.

중의원 규칙」 제18조 제1항과 참의원 규칙」 제20조 제1항에 따라 지명은 투표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중의원 규칙」 제18조 제4항과 참의원 규칙」 제20조 제4항에는 투표 외의 방법으로도 지명이 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투표 외의 방법으로 총리대신 지명이 이루어진 사례는 없다.

3. 1. 투표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에서 투표하는 스가 요시히데(2020년 9월 16일)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는 기명 투표로 진행된다.[5] 중의원과 참의원은 각각 투표 용지에 지명할 사람의 이름을 적는다. 중의원은 투표 용지에 지명할 사람과 투표하는 사람의 이름을 모두 적지만, 참의원은 투표 용지에 미리 투표자의 이름이 인쇄되어 있어 지명할 사람의 이름만 적으면 된다. 예전에는 흰색 명찰표를 함께 제출해야 했지만, 참의원은 1955년부터,[5] 중의원은 2008년부터 이 규정이 사라졌다.

투표를 하기 전에 의장은 투표 방법을 설명한다. 투표가 시작되면 의석 번호 순서대로 의원들의 이름을 부르고, 호명된 의원은 단상에 올라가 투표함에 표를 넣는다. 중의원은 의원이 직접 투표함에 표를 넣지만, 참의원은 참사(국회 직원)에게 표를 전달하여 참사가 대신 투표함에 넣는다. 참의원 의장은 관례적으로 투표하지 않지만, 중의원 의장과 양원 부의장은 투표한다.[5]

3. 2. 개표

투표가 끝나면 투표함을 폐쇄한다. 이후 의장의 명을 받아 참사가 개표를 하는데, 중의원에서는 각료 의석 뒤에 마련된 테이블에서, 참의원에서는 연단에서 개표한다. 표의 집계와 기록은 양원 사무차장이 담당하며, 결과를 기재한 용지를 사무총장이 확인한 다음 의장에게 보고한다.[6]

피지명자의 이름을 적지 않거나 특정하기 곤란한 경우, 투표자의 이름이 현역 국회의원이 아니거나 투표자 이름을 기재하지 않은 경우 등은 모두 무효표가 된다. 성이 같은 의원이 두 명 있을 때 성만 적고 이름을 적지 않아 무효표가 된 사례도 있다. 결선투표를 할 경우에는 결선투표에 오른 사람 이외의 이름을 적은 경우도 무효표가 된다.[6]

개표 결과를 보고하기 전에 중의원은 의장이 총 투표수와 과반수, 무효표를 의원에게 보고하고 사무총장이 개표 결과를 보고한다. 참의원은 총 투표수 보고 과정은 따로 없으며 사무총장이 아니라 의장이 개표 결과를 보고한다.

3. 3. 지명

투표 총수의 과반수를 얻은 의원이 피지명자가 된다. 이때 투표 총수는 기권 및 무효표를 포함한다.[7]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상위 2인을 대상으로 결선 투표를 진행한다. 결선 투표는 과반수 득표가 아닌 상대 다수 득표로 결정된다.[7] 1979년 40일 항쟁 당시 중의원 결선투표에서 많은 야당 의원들이 투표를 포기하여 오히라 마사요시 138표, 후쿠다 다케오 121표, 무효 252표가 나왔지만 오히라가 중의원의 지명을 받은 적이 있었다.

만약 첫 번째 지명 선거에서 과반수가 나오지 않고, 세 명 이상이 동일 득표수로 공동 1위를 하거나, 두 명 이상이 동일 득표수로 공동 2위를 하여 상위 득표자 두 명을 선정할 수 없을 때는 추첨으로 두 명을 선정한다. 추첨 방식은 은색 종이로 포장된 둥근 구슬을 추첨함에 넣어 하나씩 뽑은 뒤 포장지를 벗겨 검은색 구슬일 경우 결선투표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다만 실제로 추첨 절차가 진행된 사례는 없다.

투표 절차가 끝나면 의장이 각 원의 지명자를 발표한다. 일본국 헌법 제67조는 국회의 의결로 지명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국회의 의사 결정에 의해 지명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명과 별개로 의결 과정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과거에는 지명과 의결을 별개의 것으로 해석하여 투표 후 지명 여부를 두고 다시 의결을 거쳤는데, 1948년 참의원 총리대신 지명 선거 후 의결 과정에서 반대표가 찬성표보다 많이 나와 의장이 직권으로 의결을 무효로 하고 요시다 시게루를 지명자로 선언한 일이 있었다. 현재는 중의원 규칙 제18조와 참의원 규칙 제20조가 개정되어 별도의 의결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3. 4. 지명 후

각 원에서 총리대신 지명을 의결하면 「국회법」 제86조에 따라 다른 원에 이를 통지한다. 양원에서 모두 총리대신 지명을 의결했을 때 피지명자가 동일 인물이라면 그대로 총리대신이 된다.

양원의 지명 의결을 받은 의원이 다른 사람일 때에는 「국회법」 제86조제2항에 따라 양원협의회를 열어야 한다. 양원협의회에서 합의를 보거나 출석한 협의회 의원 중 2/3의 동의를 얻은 의원이 지명자가 되는데 어느 방식이든 한 명의 지명자를 도출해내지 못하면 중의원 우월 원칙에 따라 중의원의 의결이 국회의 의결로 간주된다. 지금까지 중의원 지명자와 참의원 지명자가 달랐던 적은 다섯 번이 있는데 한 번도 양원협의회에서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해 중의원 우월 원칙에 따라 중의원 지명자가 총리대신이 되었다.[1]

한편 중의원이 지명자를 의결하고도 참의원이 휴회 기간을 제외하고 10일 이내에 지명자를 의결하지 않으면 「국회법」 제67조제2항에 따라 그대로 중의원의 의결이 국회의 의결이 된다. 이 제도는 자연지명이라고 하는데 자연성립의 예는 많이 있지만 자연지명의 예는 지금껏 한 번도 없다.[2]

국회 지명자가 결정되면 중의원 의장이 내각을 통해 천황에게 상주하며 이와 별개로 참의원 의장이 참내하여 직접 천황에게 보고도 한다. 피지명자는 이후 「일본국 헌법」 제6조에 따라 교코에서 친임식을 거행한 뒤 천황으로부터 임명을 받아 정식으로 총리대신에 취임한다.[3]

4. 역대 선거

자민당의 당내 항쟁인 40일 항쟁 과정에서 비주류파가 후쿠다를 옹립하는 등 후보자가 두 명 나왔다.7092특별 국회1980년 7월 17일스즈키 젠코자유민주당291아스카타 이치오일본사회당1061857197임시 국회1982년 11월 26일나카소네 야스히로자유민주당287아스카타 이치오일본사회당10218572101특별 국회1983년 12월 26일나카소네 야스히로자유민주당265이시바시 마사시일본사회당11415173106특별 국회1986년 7월 22일나카소네 야스히로자유민주당304이시바시 마사시일본사회당8422074110임시 국회1987년 11월 6일다케시타 노보루자유민주당299도이 다카코일본사회당14515475114통상 국회1989년 6월 2일우노 소스케자유민주당285도이 다카코일본 사회당13914676115임시 국회1989년 8월 9일가이후 도시키자유민주당294도이 다카코일본사회당14215277118특별 국회1990년 2월 27일가이후 도시키자유민주당286도이 다카코일본사회당14614078122임시 국회1991년 11월 5일미야자와 기이치자유민주당276다나베 마코토일본사회당14013679127특별 국회1993년 8월 6일호소카와 모리히로일본신당262고노 요헤이자유민주당22438일본신당은 제5당80129통상 국회1994년 4월 25일하타 쓰토무신생당274고노 요헤이자유민주당20767신생당은 제3당81129통상 국회1994년 6월 29일무라야마 도미이치일본사회당241가이후 도시키무소속22021결선 투표(무라야마 261표, 가이후 214표, 표차는 47표)
사회당은 제2당
가이후는 자유-사회-사키가케 연립정권의 수반 후보로 옹립되면서 자민당을 탈당82135임시 국회1996년 1월 11일하시모토 류타로자유민주당288오자와 이치로신진당16712183138특별 국회1996년 11월 7일하시모토 류타로자유민주당262오자와 이치로신진당15211084143임시 국회1998년 7월 30일오부치 게이조자유민주당268간 나오토민주당16410485147통상 국회2000년 4월 5일모리 요시로자유민주당335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9524086148특별 국회2000년 7월 4일모리 요시로자유민주당284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13015487151통상 국회2001년 4월 26일고이즈미 준이치로자유민주당287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12716088158특별 국회2003년 11월 19일고이즈미 준이치로자유민주당281간 나오토민주당1869589163특별 국회2005년 9월 21일고이즈미 준이치로자유민주당340마에하라 세이지민주당11422690165임시 국회2006년 9월 26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339오자와 이치로민주당11522491168임시 국회2007년 9월 25일후쿠다 야스오자유민주당338오자와 이치로민주당11722192170임시 국회2008년 9월 24일아소 다로자유민주당337오자와 이치로민주당11722093172특별 국회2009년 9월 16일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327와카바야시 마사토시자유민주당119208와카바야시는 양원 의원 총회장(중의원 선거에서 대패해 야당으로 전락한 아소 총재에 대한 투표를 원하지 않는 의원들의 반발에 의한 백지투표를 피하여 자유민주당이 만장일치로 투표할 수 있는 후보로서 지명. 또한 아소는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를 앞두고 이날 오전에 총재직에서 사임).94174통상 국회2010년 6월 4일간 나오토민주당313다니가키 사다카즈자유민주당11619795177통상 국회2011년 8월 30일노다 요시히코민주당308다니가키 사다카즈자유민주당11819096182특별 국회2012년 12월 26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328가이에다 반리민주당5727197188특별 국회2014년 12월 24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328오카다 가쓰야민주당73255오카다는 대표 대행(가이에다가 총선에서 낙선하여 대표직을 사임했기 때문)98195특별 국회2017년 11월 1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312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6025299202임시 국회2020년 9월 16일스가 요시히데자유민주당314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134180100205임시 국회2021년 10월 4일기시다 후미오자유민주당311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124187101206특별 국회2021년 11월 10일기시다 후미오자유민주당297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108189에다노는 총선 결과를 받아들이고 입헌민주당 대표직에서 사의를 표명했지만 그 시기를 특별국회 폐회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에다노에 대한 투표가 이루어졌다.102214임시 국회2024년 10월 1일이시바 시게루자유민주당291노다 요시히코입헌민주당100191


{| class="wikitable"

|+ '''참의원에서의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

! rowspan=2 | 회차 || rowspan=2 colspan=2 | 회
차 || rowspan=2 | 지명일 || colspan=3 | 1위 (피지명자) || colspan=3 | 2위 || rowspan=2 | 표차 || rowspan=2 | 비고

|-

! 이름 || 정당 || 득표수 || 이름 || 정당 || 득표수

|-

| rowspan=2 | 46 || rowspan=2 | 1 || rowspan=2 | 특별국회 || rowspan=2 | 1947년 5월 23일 || rowspan=2 | 가타야마 데쓰 || rowspan=2 | 일본사회당 || rowspan=2 | 205 || 시데하라 기주로 || 민주당 || rowspan=2 | 1 || rowspan=2 | 204 || rowspan=2 |

|-

| 오자키 유키오 || 무소속

|-

| 47 || 2 || 통상국회 || 1948년 2월 21일 || 요시다 시게루 || 일본자유당 || 101 || 아시다 히토시 || 민주당 || 99 || 2 || 결선투표: 요시다 104표, 아시다 102표 (표차 2표).
중의원과 다른 지명자를 지명하여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함.

|-

| 48 || 3 || 임시국회 || 1948년 10월 14일 || 요시다 시게루 || 민주자유당 || 144 || 가타야마 데쓰 || 일본사회당 || 29 || 115 ||

|-

| 49 || 5 || 특별국회 || 1949년 2월 11일 || 요시다 시게루 || 민주자유당 || 167 || 아사누마 이네지로 || 일본사회당 || 28 || 139 ||

|-

| 50 || 15 || 특별국회 || 1952년 10월 24일 || 요시다 시게루 || 자유당 || 126 || 스즈키 모사부로 || 사회당 좌파 || 35 || 91 ||

|-

| 51 || 16 || 특별국회 || 1953년 5월 19일 || 요시다 시게루 || 자유당 || 141 || 스즈키 모사부로 || 사회당 좌파 || 47 || 94 ||

|-

| 52 || 20 || 임시국회 || 1954년 12월 9일 || 하토야마 이치로 || 일본민주당 || 116 || 오가타 다케토라 || 자유당 || 85 || 31 ||

|-

| 53 || 22 || 특별국회 || 1955년 3월 18일 || 하토야마 이치로 || 일본민주당 || 99 || 스즈키 모사부로 || 사회당 좌파 || 58 || 41 ||

|-

| 54 || 23 || 임시국회 || 1955년 11월 22일 || 하토야마 이치로 || 자유민주당 || 149 || 스즈키 모사부로 || 일본사회당 || 64 || 85 ||

|-

| 55 || 26 || 통상국회 || 1956년 12월 20일 || 이시바시 단잔 || 자유민주당 || 150 || 스즈키 모사부로 || 일본사회당 || 77 || 73 ||

|-

| 56 || 26 || 통상국회 || 1957년 2월 25일 || 기시 노부스케 || 자유민주당 || 147 || 스즈키 모사부로 || 일본사회당 || 70 || 77 ||

|-

| 57 || 29 || 특별국회 || 1958년 6월 12일 || 기시 노부스케 || 자유민주당 || 132 || 스즈키 모사부로 || 일본사회당 || 74 || 58 ||

|-

| 58 || 35 || 임시국회 || 1960년 7월 18일 || 이케다 하야토 || 자유민주당 || 143 || 아사누마 이네지로 || 일본사회당 || 69 || 74 ||

|-

| 59 || 37 || 특별국회 || 1960년 12월 7일 || 이케다 하야토 || 자유민주당 || 134 || 에다 사부로 || 일본사회당 || 62 || 72 ||

|-

| 60 || 45 || 특별국회 || 1963년 12월 9일 || 이케다 하야토 || 자유민주당 || 138 || 가와카미 조타로 || 일본사회당 || 55 || 83 ||

|-

| 61 || 47 || 임시국회 || 1964년 11월 9일 || 사토 에이사쿠 || 자유민주당 || 146 || 가와카미 조타로 || 일본사회당 || 56 || 90 ||

|-

| 62 || 55 || 특별국회 || 1967년 2월 17일 || 사토 에이사쿠 || 자유민주당 || 123 || 사사키 고조 || 일본사회당 || 60 || 63 ||

|-

| 63 || 63 || 특별국회 || 1970년 1월 14일 || 사토 에이사쿠 || 자유민주당 || 126 || 나리타 도모미 || 일본사회당 || 56 || 70 ||

|-

| 64 || 69 || 임시국회 || 1972년 7월 6일 || 다나카 가쿠에이 || 자유민주당 || 133 || 나리타 도모미 || 일본사회당 || 62 || 71 ||

|-

| 65 || 71 || 특별국회 || 1972년 12월 22일 || 다나카 가쿠에이 || 자유민주당 || 128 || 나리타 도모미 || 일본사회당 || 60 || 68 ||

|-

| 66 || 74 || 임시국회 || 1974년 12월 9일 || 미키 다케오 || 자유민주당 || 130 || 나리타 도모미 || 일본사회당 || 66 || 64 ||

|-

| 67 || 79 || 임시국회 || 1976년 12월 24일 || 후쿠다 다케오 || 자유민주당 || 125 || 나리타 도모미 || 일본사회당 || 64 ||

4. 1. 중의원

자민당의 당내 항쟁인 40일 항쟁 과정에서 비주류파가 후쿠다를 옹립하는 등 후보자가 두 명 나왔다.7092특별 국회1980년 7월 17일스즈키 젠코자유민주당291아스카타 이치오일본사회당1061857197임시 국회1982년 11월 26일나카소네 야스히로자유민주당287아스카타 이치오일본사회당10218572101특별 국회1983년 12월 26일나카소네 야스히로자유민주당265이시바시 마사시일본사회당11415173106특별 국회1986년 7월 22일나카소네 야스히로자유민주당304이시바시 마사시일본사회당8422074110임시 국회1987년 11월 6일다케시타 노보루자유민주당299도이 다카코일본사회당14515475114통상 국회1989년 6월 2일우노 소스케자유민주당285도이 다카코일본 사회당13914676115임시 국회1989년 8월 9일가이후 도시키자유민주당294도이 다카코일본사회당14215277118특별 국회1990년 2월 27일가이후 도시키자유민주당286도이 다카코일본사회당14614078122임시 국회1991년 11월 5일미야자와 기이치자유민주당276다나베 마코토일본사회당14013679127특별 국회1993년 8월 6일호소카와 모리히로일본신당262고노 요헤이자유민주당22438일본신당은 제5당80129통상 국회1994년 4월 25일하타 쓰토무신생당274고노 요헤이자유민주당20767신생당은 제3당81129통상 국회1994년 6월 29일무라야마 도미이치일본사회당241가이후 도시키무소속22021결선 투표(무라야마 261표, 가이후 214표, 표차는 47표)
사회당은 제2당
가이후는 자유-사회-사키가케 연립정권의 수반 후보로 옹립되면서 자민당을 탈당82135임시 국회1996년 1월 11일하시모토 류타로자유민주당288오자와 이치로신진당16712183138특별 국회1996년 11월 7일하시모토 류타로자유민주당262오자와 이치로신진당15211084143임시 국회1998년 7월 30일오부치 게이조자유민주당268간 나오토민주당16410485147통상 국회2000년 4월 5일모리 요시로자유민주당335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9524086148특별 국회2000년 7월 4일모리 요시로자유민주당284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13015487151통상 국회2001년 4월 26일고이즈미 준이치로자유민주당287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12716088158특별 국회2003년 11월 19일고이즈미 준이치로자유민주당281간 나오토민주당1869589163특별 국회2005년 9월 21일고이즈미 준이치로자유민주당340마에하라 세이지민주당11422690165임시 국회2006년 9월 26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339오자와 이치로민주당11522491168임시 국회2007년 9월 25일후쿠다 다케오자유민주당338오자와 이치로민주당11722192170임시 국회2008년 9월 24일아소 다로자유민주당337오자와 이치로민주당11722093172특별 국회2009년 9월 16일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327와카바야시 마사토시자유민주당119208와카바야시는 양원 의원 총회장(중의원 선거에서 대패해 야당으로 전락한 아소 총재에 대한 투표를 원하지 않는 의원들의 반발에 의한 백지투표를 피하여 자유민주당이 만장일치로 투표할 수 있는 후보로서 지명. 또한 아소는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를 앞두고 이날 오전에 총재직에서 사임).94174통상 국회2010년 6월 4일간 나오토민주당313다니가키 사다카즈자유민주당11619795177통상 국회2011년 8월 30일노다 요시히코민주당308다니가키 사다카즈자유민주당11819096182특별 국회2012년 12월 26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328가이에다 반리민주당5727197188특별 국회2014년 12월 24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328오카다 가쓰야민주당73255오카다는 대표 대행(가이에다가 총선에서 낙선하여 대표직을 사임했기 때문)98195특별 국회2017년 11월 1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312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6025299202임시 국회2020년 9월 16일스가 요시히데자유민주당314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134180100205임시 국회2021년 10월 4일기시다 후미오자유민주당311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124187101206특별 국회2021년 11월 10일기시다 후미오자유민주당297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108189에다노는 총선 결과를 받아들이고 입헌민주당 대표직에서 사의를 표명했지만 그 시기를 특별국회 폐회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에다노에 대한 투표가 이루어졌다.102214임시 국회2024년 10월 1일이시바 시게루자유민주당291노다 요시히코입헌민주당100191


4. 2. 참의원

'''참의원에서의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회차
지명일1위 (피지명자)2위표차비고
이름정당득표수이름정당득표수
461특별국회1947년 5월 23일가타야마 데쓰일본사회당205시데하라 기주로민주당1204rowspan=2 |
오자키 유키오무소속
472통상국회1948년 2월 21일요시다 시게루일본자유당101아시다 히토시민주당992결선투표: 요시다 104표, 아시다 102표 (표차 2표).
중의원과 다른 지명자를 지명하여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함.
483임시국회1948년 10월 14일요시다 시게루민주자유당144가타야마 데쓰일본사회당29115
495특별국회1949년 2월 11일요시다 시게루민주자유당167아사누마 이네지로일본사회당28139
5015특별국회1952년 10월 24일요시다 시게루자유당126스즈키 모사부로사회당 좌파3591
5116특별국회1953년 5월 19일요시다 시게루자유당141스즈키 모사부로사회당 좌파4794
5220임시국회1954년 12월 9일하토야마 이치로일본민주당116오가타 다케토라자유당8531
5322특별국회1955년 3월 18일하토야마 이치로일본민주당99스즈키 모사부로사회당 좌파5841
5423임시국회1955년 11월 22일하토야마 이치로자유민주당149스즈키 모사부로일본사회당6485
5526통상국회1956년 12월 20일이시바시 단잔자유민주당150스즈키 모사부로일본사회당7773
5626통상국회1957년 2월 25일기시 노부스케자유민주당147스즈키 모사부로일본사회당7077
5729특별국회1958년 6월 12일기시 노부스케자유민주당132스즈키 모사부로일본사회당7458
5835임시국회1960년 7월 18일이케다 하야토자유민주당143아사누마 이네지로일본사회당6974
5937특별국회1960년 12월 7일이케다 하야토자유민주당134에다 사부로일본사회당6272
6045특별국회1963년 12월 9일이케다 하야토자유민주당138가와카미 조타로일본사회당5583
6147임시국회1964년 11월 9일사토 에이사쿠자유민주당146가와카미 조타로일본사회당5690
6255특별국회1967년 2월 17일사토 에이사쿠자유민주당123사사키 고조일본사회당6063
6363특별국회1970년 1월 14일사토 에이사쿠자유민주당126나리타 도모미일본사회당5670
6469임시국회1972년 7월 6일다나카 가쿠에이자유민주당133나리타 도모미일본사회당6271
6571특별국회1972년 12월 22일다나카 가쿠에이자유민주당128나리타 도모미일본사회당6068
6674임시국회1974년 12월 9일미키 다케오자유민주당130나리타 도모미일본사회당6664
6779임시국회1976년 12월 24일후쿠다 다케오자유민주당125나리타 도모미일본사회당6461
6886임시국회1978년 12월 7일오히라 마사요시자유민주당126시모다이라 쇼이치일본사회당5274
6989특별국회1979년 11월 6일오히라 마사요시자유민주당78아스카타 이치오일본사회당5127결선투표: 오히라 97표, 아스카타 52표 (표차 45표).
7092특별국회1980년 7월 17일스즈키 젠코자유민주당134아스카타 이치오일본사회당4985
7197임시국회1982년 11월 26일나카소네 야스히로자유민주당130아스카타 이치오일본사회당5080
72101특별국회1983년 12월 26일나카소네 야스히로자유민주당131이시바시 마사시일본사회당4784
73106특별국회1986년 7월 22일나카소네 야스히로자유민주당139이시바시 마사시일본사회당4594
74110임시국회1987년 11월 6일다케시타 노보루자유민주당143도이 다카코일본사회당7271
75114통상국회1989년 6월 2일우노 소스케자유민주당124도이 다카코일본사회당6559
76115임시국회1989년 8월 9일도이 다카코일본사회당112가이후 도시키자유민주당1093결선투표: 도이 127표, 가이후 109표 (표차 18표).
중의원과 다른 지명자를 지명하여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함.
77118특별국회1990년 2월 27일가이후 도시키자유민주당111도이 다카코일본사회당9120
78122임시국회1991년 11월 5일미야자와 기이치자유민주당115다나베 마코토일본사회당8530
79127특별국회1993년 8월 6일호소카와 모리히로일본신당132고노 요헤이자유민주당9339
80129통상국회1994년 4월 25일하타 쓰토무신생당127고노 요헤이자유민주당9532
81129통상국회1994년 6월 29일무라야마 도미이치일본사회당148가이후 도시키무소속6385
82135임시국회1996년 1월 11일하시모토 류타로자유민주당158오자와 이치로신진당6989
83138특별국회1996년 11월 7일하시모토 류타로자유민주당145오자와 이치로신진당6877
84143임시국회1998년 7월 30일오부치 게이조자유민주당103간 나오토민주당985결선투표: 간 142표, 오부치 103표 (표차 39표).
중의원과 다른 지명자를 지명하여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함.
85147통상국회2000년 4월 5일모리 요시로자유민주당137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5681
86148특별국회2000년 7월 4일모리 요시로자유민주당133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6073
87151통상국회2001년 4월 26일고이즈미 준이치로자유민주당138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5979
88158특별국회2003년 11월 19일고이즈미 준이치로자유민주당136간 나오토민주당8155
89163특별국회2005년 9월 21일고이즈미 준이치로자유민주당134마에하라 세이지민주당8450
90165임시국회2006년 9월 26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136오자와 이치로민주당8551
91168임시국회2007년 9월 25일오자와 이치로민주당117후쿠다 야스오자유민주당10611결선투표: 오자와 133표, 후쿠다 106표 (표차 27표).
중의원과 다른 지명자를 지명하여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함.
92170임시국회2008년 9월 24일오자와 이치로민주당120아소 다로자유민주당10812결선투표: 오자와 125표, 아소 108표 (표차 17표).
중의원과 다른 지명자를 지명하여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함.
93172특별국회2009년 9월 16일하토야마 유키오민주당124와카바야시 마사토시자유민주당8440
94174통상국회2010년 6월 4일간 나오토민주당123다니가키 사다카즈자유민주당7152
95177통상국회2011년 8월 30일노다 요시히코민주당110다니가키 사다카즈자유민주당8525결선투표: 노다 110표, 다니가키 107표 (표차 3표).
96182특별국회2012년 12월 26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107가이에다 반리민주당8720결선투표: 아베 107표, 가이에다 96표 (표차 11표).
97188특별국회2014년 12월 24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135오카다 가쓰야민주당6174
98195특별국회2017년 11월 1일아베 신조자유민주당151오쓰카 고헤이민진당48103
99202임시국회2020년 9월 16일스가 요시히데자유민주당142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7864
100205임시국회2021년 10월 4일기시다 후미오자유민주당141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6576
101206특별국회2021년 11월 10일기시다 후미오자유민주당141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6081


4. 3. 중의원에서의 참의원 의원에 대한 표

'''중의원에서의 참의원 의원에 대한 득표'''
순위중의원 의결일이름정당득표수총투표수득표율
11960년(쇼와 35년) 12월 7일에다 사부로일본사회당14145431.06%
22009년(헤이세이 21년) 9월 16일와카바야시 마사토시자유민주당11948024.79%
32021년(레이와 3년) 11월 10일가타야마 도라노스케일본이신의회414658.82%
41979년(쇼와 54년) 11월 6일미야모토 겐지일본공산당415048.13%
51972년(쇼와 47년) 12월 22일노사카 산조일본공산당404868.23%
62011년(헤이세이 23년) 8월 30일야마구치 나쓰오공명당214764.41%
72017년(헤이세이 29년) 11월 1일오쓰카 고헤이민진당164653.44%
82024년(레이와 6년) 11월 11일야마모토 다로레이와 신센구미94651.94%
92012년(헤이세이 24년) 12월 26일모리 유코일본미래당74751.47%
102010년(헤이세이 22년) 6월 4일후쿠시마 미즈호사회민주당74771.47%
112024년(레이와 6년) 11월 11일가미야 소헤이참정당34650.65%
121996년(헤이세이 8년) 1월 11일사사노 사다코민주개혁연합24800.42%
131996년(헤이세이 8년) 1월 11일야타베 오사무신사회당24800.42%
141979년(쇼와 54년) 11월 6일다 에이후사회민주연합25040.40%
152012년(헤이세이 24년) 12월 26일지미 쇼자부로국민신당14750.21%
162010년(헤이세이 22년) 6월 4일마스조에 요이치신당개혁14770.21%
172000년(헤이세이 12년) 7월 4일시이나 스오무소속의회14780.21%

참조

[1] 웹사이트 首班指名選挙 https://kotobank.jp/[...]
[2] 웹아카이브 内閣総理大臣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s://archive.is/S[...]
[3] 웹사이트 衆議院議員山井和則君提出内閣総理大臣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4] 웹사이트 首相官邸のHP https://www.kantei.g[...]
[5] 기타 衆参議院投票方法の違い
[6] 기타 衆議院無効票処理
[7] 기타 결선투표 진행조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