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치바나 나오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치바나 나오쓰구는 1572년에 태어나, 아버지 다치바나 시네타네, 형 다치바나 무네시게와 함께 오토모 씨를 섬겼다. 시마즈 씨의 침공으로 호만산성을 지키다 항복했지만, 아내와 함께 포로가 되었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이후 도요토미 씨의 직신이 되었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하여 패배 후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불려갔으며,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1614년에 히타치 국에서 영지를 받았다. 1617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타네쓰구는 미이케 번을 세웠고, 후손으로는 아소 다로와 호소카와 모리히로 등이 있다.
1572년 아버지 다치바나 쇼운과 형 다치바나 마사토라와 함께 오토모씨를 섬겼다. 형처럼 주군 오토모 요시무네에게서 편휘를 받아 "마사마스"라는 이름을 받았다. 마사토라는 이후 다치바나 도세쓰의 양자가 되었으므로, 마사마스가 지쿠고 다카하시씨의 적남이 되었다.[18][19]
2. 생애
1586년 시마즈씨가 오토모령 지쿠젠국을 침공했을 때, 이와야성 전투에서 아버지 쇼운은 자결했고,[21] 나오쓰구는 호만산성을 지켰으나 지쿠시씨 가신들의 동요와 시마즈씨의 항복 권고로 항복했다. 시마즈씨는 나오쓰구 부부를 다치바나성으로 무사히 보내는 조건으로 항복을 승낙했으나, 성을 나서자 약속을 어기고 부부를 포로로 잡았다.[22][23][24]
같은 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이후, 형과 함께 도요토미씨 직신이 되어 1587년 지쿠고국 미이케군 에우라에 1만 8천 석 영지를 받았다.[25][26] 사사 나리마사 영지에서 히고 국인 일키가 일어나자 형을 따라 기마 철포대를 이끌고 출진, 활약했다.[27][28][29][30]
1588년 히데요시가 주라쿠다이에서 고요제이 천황 행행을 맞이할 때 공봉을 맡았다. 1589년 종5위하 민부소부에 서임되었다.
분로쿠의 역이 시작될 무렵, 형이 무네토라로 개명했고, 이때 마사마스도 "무네카즈"로 개명했다. 이듬해 오토모씨가 개역된 후 "시게타네"로 다시 개명했다.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이어진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형 무네토라와 함께 참전하여 긴잔 전투(1, 2차),[31] 벽제관 전투,[32][33][34] 제2차 진주성 전투,[35][36] 가토쿠지마 전투, 노량 해전 등에서 공을 세웠다.
1599년 시마즈 요시히로 영지에서 쇼나이의 난이 일어나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출진 명령을 받고 이지인 다다마사가 농성하던 휴가국 미야코노조에 출진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형과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에 가담하여 후시미성 전투, 오쓰성 전투 등에 출진했기 때문에, 전후 개역되어 영지를 잃었다.[31] 낭인이 되어 소보쿠도하쿠라고 호를 지었다. 1613년 이에야스에게 알현을 허락받았다. 1614년 히타치국 츠쿠바군 내의 카키오카 5천 석을 받아 기본이 되었다. 이때 가호를 다카하시에서 다치바나로 고치고, 실명을 "나오쓰구"로 하였다. 같은 해 오사카 전투에 출진하여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위기를 구하는 전공을 세웠다.[32]
2. 1. 초기 생애와 가문의 배경
1572년에 태어났다. 아버지 다치바나 시네타네(다치바나 쇼운)와 형 다치바나 마사토라와 함께 오토모씨를 섬겼고, 형처럼 주군 오토모 요시무네에게서 편휘를 받아 "마사마스"라는 이름을 받았다. 마사토라는 이후 다치바나 도세쓰의 양자가 되었으므로, 마사마스가 지쿠고 다카하시씨의 적남이 되었다.[18][19]
1586년 시마즈씨가 오토모령 지쿠젠국을 침공했을 때, 아버지는 이와야성을, 마사마스는 호만산성을 지켰다.[20] 이와야성 전투에서 아버지 쇼운은 자결했고,[21] 호만산성에서는 지쿠시씨 가신들이 동요하고 시마즈씨가 항복을 권고했다. (지쿠시 히로몬은 이미 시마즈씨 포로였다.) 시마즈씨는 성병의 목숨을 보존하겠다고 약속했다. 가신들은 "마사마스 부부를 다치바나성으로 무사히 보낼 것"을 추가 조건으로 항복에 동의했다. 그러나 마사마스가 성을 나서자 시마즈 병사들이 약속을 어기고 부부를 포로로 잡았고, 호만산성은 함락되었다.[22][23][24]
같은 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이후, 형과 함께 도요토미씨 직신이 되어 1587년 6월 25일 지쿠고국 미이케군 에우라에 1만 8천 석 영지를 받았다.[25][26] 사사 나리마사 영지에서 히고 국인 일키가 일어나자 형을 따라 기마 철포대를 이끌고 출진, 활약했다.[27][28][29][30]
1588년 4월 14일, 히데요시가 주라쿠다이에서 고요제이 천황 행행을 맞이할 때 공봉을 맡았다. 1589년 종5위하 민부소부에 서임되었다.
분로쿠의 역이 시작될 무렵, 오토모씨 당주 요시쓰네가 적남 오토모 요시노리에게 가독을 물려주자 형이 무네토라로 개명했고, 이때 마사마스도 "무네카즈"로 개명했다. 이듬해 오토모씨가 개역된 후 "시게타네"로 다시 개명했다.
2. 2. 시마즈 가문과의 전투
덴쇼 14년(1586년) 시마즈씨가 오토모씨(大友氏)의 영지인 지쿠젠국을 침공했을 때, 아버지 다치바나 쇼운(立花紹運)은 이와야성을, 나오쓰구는 호만산성을 각각 지켰다.[18][19] 그러나 쇼운은 이와야성 전투에서 자결했고,[20] 호만산성에서는 지쿠시 히로몬(筑紫広門)이 이미 시마즈씨의 포로가 된 상황에서 농성하던 지쿠시씨 가신들이 동요하였다. 또한 시마즈씨로부터 성병의 목숨을 보존한다는 항복 권고가 있었다. 가신들의 제안에 따라 "나오쓰구 부부를 다치바나성(立花城)으로 무사히 보내는 것"이라는 추가 조건으로 항복을 승낙했다. 그러나 나오쓰구가 성을 나서자 약속을 어긴 시마즈 병사들에 의해 아내와 함께 포로가 되고, 호만산성은 함락되었다.[21][22][23][24]
게이초 4년(1599년) 시마즈 요시히로의 영지에서 쇼나이의 난이 일어나자, 8월 28일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출진 명령을 받고 이지인 다다마사가 농성하던 휴가국 미야코노조에 출진했다.
2. 3.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1586년 시마즈씨가 대우씨의 영지인 지쿠젠국을 침공했을 때, 아버지 다치바나 시네타네는 이와야성을, 나오쓰구는 호만산성을 각각 지켰다.[18][19] 그러나 이와야성 전투에서 아버지 시네타네는 자결했고,[20] 호만산성에서도 지쿠시씨 가신들의 동요와 시마즈씨의 항복 권고가 있었다. 가신들의 제안에 따라 나오쓰구 부부를 다치바나성으로 무사히 보내는 조건으로 항복했으나, 성을 나서자 시마즈 병사들에게 아내와 함께 포로가 되고 호만산성은 함락되었다.[21][22][23][24]
같은 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이후, 형 다치바나 마사토라와 함께 도요토미씨의 직신(直臣)이 되어, 1587년 6월 25일 지쿠고국 미이케군 에우라에 1만 8천 석의 영지를 받았다.[25][26] 사사 나리마사의 영지에서 히고 국인 일치가 일어났을 때는 형을 따라 기마 철포대를 이끌고 출진하여 활약했다.[27][28][29][30]
2. 4.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참전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이어진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나오쓰구는 형 무네토라와 함께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분로쿠의 역이 시작될 무렵, 나오쓰구는 형이 무네토라로 개명했을 때 "무네카즈"로 개명했고, 이듬해 오토모씨의 개역 후에 "시게타네"로 다시 개명했다.
나오쓰구는 조선에 출병하여 제1차와 제2차 긴잔 전투, 벽제관 전투, 제2차 진주성 전투, 가토쿠지마 전투, 노량 해전 등에서 활약했다. 특히 노량 해전은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로, 여기서 나오쓰구는 형 무네시게와 함께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과 맞서 싸웠다. 휴전 기간 중에는 일본으로 돌아와 거성을 에우라성에서 우치야마성으로 옮겼다.[31][32][33][34][35][36]
2. 4. 1. 주요 전투
덴쇼 14년(1586년), 시마즈씨가 대우령인 치쿠젠국을 침공했을 때, 아버지 다치바나 쇼운은 이와야성을, 나오쓰구는 호만산성을 각각 지켰다.[18][19] 그러나 쇼운은 이와야성 전투에서 자결했고,[20] 호만산성에서도 농성 중이던 치쿠시씨 가신들의 동요와 시마즈씨의 항복 권고에 따라 항복했다. 그러나 나오쓰구는 성을 나서자마자 시마즈 병사들에게 포로로 잡혔다.[21][22][23][24]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이후, 형 다치바나 마사토라와 함께 도요토미씨의 직신이 되었다. 사사 나리마사의 영지에서 히고 국인 일치가 일어났을 때는 형을 따라 기마 철포대를 이끌고 출진하여 활약했다.[27][28][29][30]
분로쿠의 역에서는 두 전역에 출전하여 긴잔 전투(1, 2차),[31] 벽제관 전투,[32][33][34] 제2차 진주성 전투,[35][36] 가토쿠지마 전투, 노량해전 등에서 공을 세웠다.
게이쵸 4년(1599년), 시마즈 요시히로의 영지에서 쇼나이의 난이 일어나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출진 명령을 받고 이지인 다다마사가 농성하고 있던 히우가국 미야코노조에 출진했다.
게이쵸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형과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에 가담하여 후시미성 전투, 오쓰성 전투 등에 출진했다. 전후 영지를 잃었으나, 오사카 전투에 출진하여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위기를 구하는 전공을 세웠다.
2. 4. 2. 개명
1572년(겐키 3년) 오토모 요시쓰네에게 편휘를 받아 처음 이름을 '마사마스'라 하였다. 다치바나 도세쓰의 양자가 된 형 마사토라 대신 지쿠고 다카하시씨의 적남이 되었다.
1587년 (덴쇼 15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이후, 형과 함께 도요토미씨의 직신이 되었다. 1588년(덴쇼 16년) 4월 14일, 주라쿠다이에서 히데요시가 고요제이 천황의 행행을 맞이했을 때 공봉을 맡았고, 1589년에는 종5위하 민부소부에 서임되었다.
분로쿠의 역이 시작될 무렵, 요시노리에게 가독을 양위한 것을 계기로 형이 무네토라로 개명했을 때 '무네카즈'로 개명했다. 이듬해 오토모씨의 개역 후에 '시게타네'로 다시 개명했다.
1614년(게이초 19년) 10월 9일, 히타치국 쓰쿠바군 내 가키오카 5천 석을 받아 기본이 되었을 때, 가문을 다카하시에서 다치바나로 고치고, 이름을 '나오쓰구'로 하였다.
2. 5. 세키가하라 전투와 이후
게이쵸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형 무네시게와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에 가담하여 후시미성 전투, 오쓰성 전투 등에 출진하였다.[31] 이 때문에 전투 후 영지를 잃고 개역되었다. 낭인이 된 나오쓰구는 소보쿠도하쿠라고 호를 지었다. 그러나 형과 마찬가지로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불려갔으며, 게이쵸 18년(1613년) 1월 28일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알현을 허락받았다. 게이쵸 19년(1614년) 10월 9일, 히타치국 쓰쿠바군 내의 가키오카 5천 석을 받아 기본이 되었다. 이때 가호를 다카하시에서 다치바나로 고치고, 실명을 "나오쓰구"로 하였다. 같은 해 11월부터 시작된 오사카 전투에도 출진하여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위기를 구하는 전공을 세웠다.[32]
2. 6. 오사카 전투와 죽음
1599년, 시마즈 요시히로의 영지에서 쇼나이의 난이 일어나자, 8월 28일에 오대로 수장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출진 명령을 받고 이지인 다다마사가 농성하고 있던 휴가국 미야코노조에 출진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형과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에 가담하여 후시미성 전투, 오쓰성 전투 등에 출진했기 때문에, 전후 개역되어 영지를 잃었다.[31] 낭인이 되어 소보쿠도하쿠라고 호를 지었다. 그러나 형과 마찬가지로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불려갔다. 1613년 1월 28일에 이에야스에게 알현을 허락받았다. 1614년 10월 9일에 히타치국 츠쿠바군 내의 카키오카 5천 석을 받아 기본이 되었다. 이때 가호를 다카하시에서 다치바나로 고치고, 실명을 "나오쓰구"로 하였다. 11월부터 시작된 오사카 전투에도 출진하여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위기를 구하는 전공을 세웠다.
3. 가계
4. 사후
1617년(겐나 3년)에 사망하여 하타가야 광덕사에 안장되었다. 법명은 대통원전옥봉도백대거사이다.
1789년(간세이 원년) 12월, 손자인 미이케번 6대 번주 다테바나 타네스케가 영내의 보리사인 쇼운사에 번조 '''다테바나 나오쓰구'''의 현창비를 세웠다.
4. 1. 미이케 번 성립
아들 타네쓰구는 1621년(원화 7년)에 5,000석이 증가하여 총 1만 석이 되었고, 지쿠고국 미이케군으로 이봉되어 미이케번이 성립되었다.4. 2. 신사 건립
7대 번주 다네요시는 분카 2년(1805년) 오슈 이다테군 시모와타리무라(후쿠시마현 이다테시)로 이봉되었고, 덴포 6년(1835년) 다네요시의 장남이자 시모와타리번 2대 번주 다네아쓰 대에 쇼운의 의렬을 현창하고자 7월 5일 쇼운에게 성해영신, 나오쓰구에게 옥봉영신의 신호를 증신하여 신기백에 청하여 미카사 신사를 창건하였다. 메이지 유신에 의해 미이케로 복봉되었고 메이지 3년(1870년) 천좌되었으며, 메이지 4년(1871년) 현사에 열렸으나 메이지 16년(1883년) 화재로 인해 메이지 29년 8월 현재지로 천좌되었다. 이후 미카사 신사는 고향의 발전과 함께 무용의 신을 모시는 신사로서 널리 존숭되고 있다.[37]5. 인물됨과 평가
나오쓰구는 무용이 뛰어나 분로쿠·게이초의 역에서 명나라 군대에 포위된 형을 구출하기 위해 혈로를 열었다. 형은 "세상에 주젠(나오쓰구)만큼 대강한 자는 없다"라고 평가했다.[38] 또한, 야규 무네노리의 문하생이 되어 '신음치원류'를 개조했다.
아버지 쇼운으로부터 인왕사부로 기요쓰나의 칼을 물려받았다.[39]
6. 후손
다치바나 나오쓰구의 9대손에는 일궁번(一宮藩)의 마지막 번주인 가노 히사요시(미이케번(三池藩) 번주 타치바나 타네주쿠의 손자)가 있으며, 그의 막내딸 나츠코(夏子)는 아사 그룹(麻生グループ) 창업주이자 탄광왕인 아사오 타이키치의 아들인 아사오 타로의 아내였다.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 타가키치와 요시다 시게루의 셋째 딸 와코(和子)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아소 다로(제92대 내각총리대신, 제23대 자유민주당 총재)이다.
여계로 12대 후손은 제79대 내각총리대신 호소카와 모리히로에 해당한다.[40]
참조
[1]
웹사이트
『立花家譜』
https://clioapi.hi.u[...]
2023-03-06 #추정 날짜. 원본 텍스트에는 년도가 없음.
[2]
웹사이트
立花直次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3]
서적
立花宗茂
吉川弘文館
2001
[4]
문서
續群書類従卷第六百四十七 高橋記
[5]
문서
寛政重修諸家譜
[6]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https://clioapi.hi.u[...]
[7]
논문
1927
[8]
문서
薦野増時
[9]
웹사이트
『立花遺香』
https://dl.ndl.go.jp[...]
[10]
문서
大友・松野・吉弘氏関係略系図
[11]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https://clioapi.hi.u[...]
[12]
문서
立花鑑貞
[13]
서적
筑前戦国史
葦書房
1977
[14]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15]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内実系譜
https://clioapi.hi.u[...]
[16]
논문
1927
[17]
서적
柳川の歴史4・近世大名立花家
[18]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19]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20]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21]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22]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23]
서적
筑前戦国史
[24]
웹사이트
『橘山遺事』
https://kokusho.nijl[...]
[25]
서적
柳川の歴史4・近世大名立花家
[26]
서적
立花宗茂
[27]
문서
立花記(正・続), 武神 立花宗茂, 清和源氏隈部家代々物語
[28]
서적
長編歴史物語戦国武将シリーズ(1)立花宗茂
[29]
서적
柳河戦死者名誉録
[30]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31]
서적
柳川の歴史4・近世大名立花家
[32]
서적
柳川藩叢書
[33]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34]
서적
柳川藩叢書
[35]
서적
西日本人物誌[13]・立花宗茂
[36]
서적
日本戦史・朝鮮役 (本編・附記)
NDLDC
[37]
웹사이트
三笠神社
https://kumano-mikas[...]
[38]
서적
浅川聞書
NDLDC
[39]
서적
立花遺香
https://dl.ndl.go.jp[...]
[40]
문서
계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