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만청치시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 청치 시기는 1683년부터 1895년까지 청나라가 대만을 통치한 시기를 의미한다. 1683년 펑후 해전에서 퉁닝 왕국이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시작되었으며, 강희제는 대만 병합을 결정하고 푸젠성에 타이완부를 설치했다. 초기에는 한족의 이주를 제한하고 원주민을 '숙번'과 '생번'으로 구분하여 통치했으나, 19세기 이후 서구 열강과 일본의 압력으로 인해 통치 방식에 변화가 생겼다. 청나라는 무단 사건을 계기로 대만 방어 강화를 위해 원주민 영토 개방과 정착을 장려하고, 류밍촨을 순무로 임명하여 근대적 사회 기반 시설을 정비하는 등 개발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1895년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며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대만을 일본에 할양했고, 대만 민주국이 수립되었으나 일본의 침공으로 붕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청치시기 - 복건대만성
    복건대만성은 1885년 청나라가 대만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여 설치한 성으로, 타이베이부, 타이완부, 타이난부, 타이둥 직례주로 구성되었으며, 1895년 일본에 할양되며 폐지되었다.
  • 대만청치시기 - 대만부
    대만부는 청나라가 동녕 왕국을 평정한 후 대만 섬 전체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타이베이부와 타이난부가 분리된 후 대만 중부만을 관할하다가 일본의 타이완 점령으로 폐지되었다.
  • 옛 군주국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는 17세기 후반 남슬라브인 왕국 건설을 목표로 시작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 공산주의 정권 수립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화하였으나,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거쳐 구성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붕괴되었다.
  • 옛 군주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 왕국을 중심으로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등을 통합하여 건국되었으나 민족 갈등, 독재,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붕괴된 국가이다.
  • 동아시아의 옛 나라 - 몽골 제국
    몽골 제국은 1206년 칭기즈 칸에 의해 건국되어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하고 동서 교류를 촉진했으나, 몽케 칸 사후 분열되어 쇠퇴하여 멸망한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차지했던 제국이다.
  • 동아시아의 옛 나라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은 1931년 중국 공산당이 장시성에 수립한 국가로, 마오쩌둥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하다가 국공 합작으로 중화민국에 흡수되었으며, 중국 공산당은 이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의 토대로 평가한다.
대만청치시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1820년 복건성에 있는 대만부의 위치
1820년 복건성에 있는 대만부의 위치
일반 명칭대만 청치 시기
지위1683년–1885년: 부 (府)
1885년–1895년: 성 (省)
국가청나라
오늘날중화민국
역사
시작사건: 펑후 해전에서 청나라가 동녕왕국을 정복
시작일1683년
사건 1복건성에 대만부 설치
사건 1 날짜1684년
사건 2대만이 복건성에서 분리, 독자적인 성으로 전환
사건 2 날짜1887년
사건 3시모노세키 조약으로 대만이 일본에 할양됨
사건 3 날짜1895년 4월 17일
사건 4대만 민주국 건국
사건 4 날짜1895년 5월 23일
종료사건: 일본이 대만 민주국을 정복
종료일1895년 10월 21일
이전동녕국
이후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
이후 2대만 민주국
정치
정치 체제절대 군주제
수도타이완푸 (1683년–1885년)
토아툰 (1885년–1887년)
타이페이푸 (1887년–1895년)
통치자
황제강희제 (1683년–1722년)
옹정제 (1722년–1735년)
건륭제 (1735년–1795년)
가경제 (1796년–1820년)
도광제 (1820년–1850년)
함풍제 (1850년–1861년)
동치제 (1861년–1875년)
광서제 (1875년–1895년)
언어 및 통화
공용어대만어
객가어
관화
대만 원주민어
통화
상징
청나라 국기 (1889년–1895년)
국기 (1889년–1895년)
복건대만성 총독 인장
복건대만성 총독 인장

2. 청나라의 대만 통치 (1683년 ~ 1895년)

1683년, 청나라는 펑후 해전에서 승리하여 대만을 통치하게 되었다. 청나라는 건국 초기부터 반청 세력 척결을 목표로 삼았고, "반청복명(反清復明)"을 내세운 대만의 정씨 정권을 공격하여 1683년에 제압하고 멸망시켰다.[28]

그러나 청나라는 처음에는 대만섬 영유에 소극적이었다. 조정 내 협의를 거쳐 군사적 관점에서 영유를 결정하고, 대만에 1부(臺灣府) 3현(臺南, 高雄, 嘉義)을 설치하여 푸젠성에 편입시켰다.[28] 청나라는 대만을 "화외의 지"로 여겨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고, 오랫동안 소극적으로 통치했다.[28] 대만 원주민과 한족의 생활 구역을 나누고,[28] 원주민을 '''화외의 야만인'''으로 방치했다.[29] 한족은 원주민의 토지를 빌려 개척을 계속했고, 원주민 생활 구역은 점차 압박을 받았다. 청나라의 통치 범위는 섬 전체에 미치지 못했다.[28] 현재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은 청나라가 대만뿐만 아니라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에도 주권이 미쳤다고 주장한다.

1786년 11월, 장화현에서 천지회 회원 체포를 발단으로 임상문 반란이 발생하여 이듬해 진압되었지만, 이 사건으로 대만 주변에 조직적인 해적이 횡행하게 되었다.[30]

이 시기에는 해금책으로 대만 도항은 남성에 한정되었지만, 밀항이 많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1759년 한 해 동안 나포된 밀항은 25건, 체포된 사람은 990여 명이었다. 인구는 계속 증가하여 1811년에는 195만 명에 달했다.[31]

1894년 당시의 푸젠-타이완 성의 행정 구획


청나라에 편입된 후, 중국 대륙의 푸젠 성, 광둥 성에서 많은 한족이 이주하여 개발지를 확대했다. 본성계 한족의 언어 문화는 이들 지방과 매우 유사하다. 한족의 대량 이주로 타이난 부근에서 시작된 개발은 약 2세기를 거쳐 북상하여 19세기에 타이베이 부근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19세기 전반에는 '일부이록삼만화(一府二鹿三艋舺)'라고 불릴 정도로 타이난부, 장화 항구, 만화의 3대 항구를 중심으로 번영했으며, 린번위안 등이 토착 상인 자본의 대표였다. 1885년 푸젠-타이완 성이 설치되고 3부 1직례주 6청 11현으로 정비되었다. 아편 전쟁 등을 계기로 무역항으로 지정된 지룽 항과 다거우 항[32]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이 기간 동안 타이완은 주로 농업과 중국 대륙과의 무역으로 발전했지만, 청나라 통치력이 약한 타이완으로의 이민자들 중에는 거친 해적이나 빈민이 많았고, 말라리아, 뎅기열 등의 열대병과 타이완 원주민과의 갈등, 태풍 등의 수해가 심해 내란이 빈번했다. 1805년 푸젠 성 해적 차이첸이 단수이를 습격하고 '진해위무왕(鎮海威武王)'을 칭했으며, 1806년에는 匪賊과 호응하여 타이완 부성을 포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0]

청나라는 타이완에 자국민 정착을 억제하기 위해 여성 도항을 금지하여 한족 여성 수가 적었다. 한족과 평지에 사는 원주민과의 혼혈이 진행되어 '타이완인'이라는 한족 하위 집단이 형성되었다. 원주민 중에서도 평포족이라는 한족에게 문화적으로 동화되는 집단이 생겨났다.

19세기 중반 유럽 열강 세력이 중국까지 진출하면서 타이완에도 영향이 미쳤다. 1858년 애로 전쟁에서 패배한 청나라가 톈진 조약을 체결하여 타이완에서도 안핑 항과 지룽 항이 개항되었다. 1874년 일본의 타이완 출병 (무단 사건), 1884~85년 청불 전쟁 당시 프랑스 함대의 타이완 북부 공격 시도가 있었다. 이에 청나라는 일본과 유럽 열강 진출에 대한 국방상 관점에서 타이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885년 타이완을 푸젠 성에서 분리하여 푸젠-타이완 성을 신설했다.

푸젠-타이완 성 설치 후 청나라는 소극적인 통치를 바꿔 본격적인 통치를 실시했다. 류밍촨 순무는 지세 개정을 의미하는 청부 사업에 착수하고, 타이베이의 근대 도시화도 추진했다. 전기, 전등, 전신, 1887년 지룽-타이베이 간 철도 등 근대적 사회 기반 시설을 정비하고, 본토 상인 자본을 유치하여 흥시공사를 설립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1892년 생산량은 인구 700만 명을 먹여 살릴 수 있었고, 1894년 설탕 생산고는 5만 3000톤에 달했으며, 대량의 아편이 수입되었지만 등 수출 덕분에 항상 대폭적인 흑자를 기록했고, 인구도 1893년에는 255만 명에 달했다.[33]

그러나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여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타이완은 일본 제국에 할양되었고, 푸젠-타이완 성은 약 10년 만에 폐지되었다. 이후 1945년까지 50년 동안 타이완은 일본 제국의 외지로서 타이완 총독부 통치 하에 놓였다.

2. 1. 청나라의 초기 통치 정책 (1683년 ~ 1795년)

펑후 해전에서 1683년 퉁닝 왕국이 패배한 후, 13세의 통치자 정극상청나라에 항복했다.[1] 청나라 군대를 이끌고 정씨 세력을 해전에서 물리친 시랑 제독은 1683년 10월 7일 "해평후"라는 세습 작위를 받았다.[2]

시랑은 타이완의 경제적 잠재력과 군사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타이완 병합을 주장했다. 요계생 역시 타이완 병합을 강력히 지지했다.[3] 반면, 중앙 정부의 일부 관리들은 타이완을 포기할 것을 주장했다. 당시 타이완은 강희제에 의해 "문명의 경계 밖에 있는 진흙 덩어리"로 여겨졌다.[4]

시랑은 타이완을 포기하면 범죄자, 모험가, 네덜란드인과 같은 다른 적들에게 문을 열어주는 것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타이완 방어가 비용이 많이 들지 않으며 남중국 해안의 주둔군은 줄일 수 있다고 확신했다.[3] 결국 시랑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1684년 3월 6일, 강희제는 펑후와 타이완에 영구적인 군사 시설을 설치하라는 시랑의 제안을 수용했다. 푸젠성에 타이완부가 설치되었고, 타이완, 좡루오, 펑산의 3개 현이 설치되었다.[5]

청나라는 초기에 본토인들의 대만 이주를 금지하고, 대만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푸젠성 사람들을 본토로 돌려보냈다.[6] 허가 시스템을 통해 대만의 인구 압력을 줄이려 했으며, 이주민이 가족을 대만으로 데려오는 것을 금지하여 정착민들이 대만에 정착하지 못하게 했다.[7] 1737년에는 원주민 여성과의 결혼이 원주민 생활을 방해하고 정착민들이 원주민 토지를 주장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이유로 금지되었다.[8]

1786년 천지회와 관련된 린쐉원의 반란이 일어났다.[9] 건륭제는 반군에 저항한 공로로 주뤄 현에 오늘날의 이름인 ''자이(嘉義)'' (칭찬할 만한 의로움)를 하사했다.[10]

이 시기에는 해금책이 시행되어, 대만으로의 도항은 남성에 한정되었지만, 대량의 밀항이 이루어졌다고 여겨진다. 인구는 계속 증가하여 1811년에는 195만 명에 달했다.[11]

연도규정
1684대만 입국 허가 필요. 가족 이주 금지.
1712대만 입국 허가 필요. 관리들은 허가를 무책임하게 발급하지 않도록 명령받았고, "훌륭한 백성"은 대만 거주를 신청할 수 있었다.
1729불법 횡단은 단속되고, 태만한 관리는 처벌받는다.
1730가족이 없는 대만 정착민은 추방되고, 가족과 재산이 있지만 난폭한 행위를 하는 자는 법에 따라 처벌받는다.
1732아내와 자녀가 이주민과 함께 대만으로 갈 수 있다.
1734불법으로 승객을 태우는 보트 소유자/운영자는 처벌받는다.
1736불법 횡단은 단속되고, 태만한 관리는 처벌받는다.
1737허가 시스템을 강화하고 대만으로 가는 보트와 그 선원에 대한 세부 사항을 기록해야 한다. 대만의 지방 관리는 현지 주민의 세부 사항을 기록해야 한다.
1740불법 승객을 태운 보트 소유자/운영자는 상륙 지점에서 처벌받는다.
1745이주민은 아내와 자녀만 대만으로 데려갈 수 있다.
1747가족을 대만으로 데려가는 절차가 규정되어 있고, 관리는 허가를 무책임하게 발급하면 처벌받는다.
1761대만 입국 허가가 필요하며, 유일한 출발 항구는 샤먼이었다. 불법 횡단은 단속된다. 태만한 관리는 처벌받고, 근면한 관리는 보상을 받는다. 가족 재결합 이주는 금지된다.
1770불법 횡단은 단속된다. 태만한 관리는 처벌받고, 근면한 관리는 보상을 받는다. 보트 소유자와 승객은 위반 시 처벌받는다.
1772불법 횡단 사업에 관련된 주최자, 보트 승무원, 승객을 포함한 다양한 사람들을 처벌한다.
1784대만 정착민은 허가 없이 본토 중국의 출생지로 돌아갈 수 있다. 그들은 루어먼에서만 출발할 수 있었다. 다른 항구는 도착 및 출발에 대해 엄격하게 단속되었다.
1788불법 횡단을 줄이기 위해 대만에 다른 항구를 개방한다.
1789불법 횡단을 줄이기 위해 관리는 대만으로 가려는 신청자에게 갈취하지 않도록 한다.
1800불법 횡단은 단속된다. 태만한 관리는 처벌받고, 근면한 관리는 보상을 받는다. 대만 정착민은 가족과 재산이 있는 경우 거주를 신청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출생지로 추방된다.
1801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는 처벌받는다.
1875이주 제한 폐지.


2. 2. 행정 구역 개편과 정착민 확장 (1684년 ~ 1874년)

강희제(재위 1661–1722), 옹정제(재위 1722–1735), 건륭제(재위 1735–1796) 시기 동안 청나라는 대만의 영토 확장과 행정 구역 확대를 의도적으로 제한했다.[4] 대만 정씨 세력을 공격한 목적은 명나라 잔존 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었고, 대만 병합은 안보상의 이유가 컸다. 대만에는 주요 항구에 8,000명의 군인이 주둔했고, 민간 행정은 이전 정씨 정권과 거의 동일하게 최소한으로 유지되었다. 타이완섬 서부 평원 전체를 관할하는 3개의 현(타이난, 가오슝, 자이)이 설치되었지만, 실제 행정 구역은 더 작았다.[4] 다자강 북쪽으로 이동하려면 정부 허가가 필요했다. 1715년, 푸젠성-저장성 총독은 대만에서의 토지 개간을 건의했지만, 강희제는 불안정과 갈등을 우려하여 반대했다.[4]

옹정제 시기에 청나라는 서부 평원 전체에 대한 통제력을 확대했지만, 이는 정착민 통제와 안보 유지를 위한 목적이었다. 격리 정책은 유지되었다. 1723년, 주뤄현이 분할되어 창화현이 신설되었고, 1731년에는 북부에 담수청이 설치되어 정부 통제력이 남서부에서 북부로 확장되었다. 이는 적극적인 식민 정책이 아니라 북부 지역의 불법 왕래와 토지 개간을 반영한 결과였다. 1717년, 주뤄현 관리는 해당 지역이 너무 넓어 통제가 어렵고 무질서와 불법 행위가 발생하여 분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1721년 주이귀 봉기 이후 1723년에 주뤄현을 분할했다. 봉기 진압군을 이끈 람정진의 고문 람정원은 중국인 정착민에 대한 통제 강화를 위해 확장과 토지 개간을 옹호했다. 그는 원주민을 한족 문화로 개종시키고 청나라 신하로 만들고자 했다.[4]

건륭제 시기 대만의 행정 구조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 1744년, 관리들은 정착민들의 토지 개간 허용을 건의했지만, 건륭제는 이를 기각했다. 1786년 임상문 봉기 이후 건륭제는 비옥한 토지를 원주민에게 남겨두는 것이 불법 정착민을 유인한다는 점에 동의하며 입장을 바꿨다. 그는 대만이 "중요한 해안 변경 지역"이자 "다섯 [해안] 성의 중요한 울타리 선"이라고 믿게 되었다.[4]

청나라는 원주민 통치에 거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고, 정복하거나 문화적 변화를 강요하지 않았다. 원주민은 크게 "숙번"(동화된 원주민)과 "생번"(비동화된 원주민)으로 분류되었다. "숙"(熟)은 익은 음식, 경작된 토지, 익은 과일, 숙련 노동 등을 의미하는 반면, "생"(生)은 반대 의미를 지닌다. 청나라에게 "숙번"은 세금을 납부하고 부역을 수행하며 한족 문화를 일부 채택한 원주민이었다. 청나라 병합 당시 정부 통제를 받는 원주민 마을은 풍산에 12개, 주라에 34개로 총 46개였다. 이들은 정씨 정권으로부터 물려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옹정 시대에 108개의 원주민 마을이 대만 지역 사령관 린량의 격려와 유인으로 항복했다. 세금을 납부하지만 부역을 수행하지 않고 한족 문화를 따르지 않는 "생번"은 "귀화생번"(귀순 비동화 원주민)이라 불렸다.[4]

건륭 행정부는 갈등을 우려하여 원주민을 유인해 항복시키는 것을 금지했다. 건륭 초기에는 299개의 원주민 마을이 있었고, 기록에 따르면 93개의 "숙번" 마을과 61개의 "귀화생번" 마을이 있었다. "숙번" 마을 수는 건륭 시대 내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1766년, 원주민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두 명의 원주민 담당관이 임명되었다. 한 명은 북부, 다른 한 명은 남부를 담당했으며, 둘 다 평원 원주민에 집중했다. 정착 지역과 산악 원주민을 분리하기 위해 경계선이 설치되었다. 정착민 경계를 표시하고 원주민 영토와 분리하는 정책은 1722년 주이귀 봉기에 대한 대응으로 공식화되었다. 54개의 비석이 정착민-원주민 경계의 주요 지점을 표시했다. 한족 정착민은 원주민 영토로 넘어가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정착민 침범은 계속되었고 경계선은 1750년, 1760년, 1784년, 1790년에 재건되었다. 정착민이 토지를 얻는 방법 중 하나였기 때문에 정착민과 원주민 간의 결혼은 금지되었다. 정착민들이 식민화와 동화를 추진했지만, 청나라의 격리 정책은 원주민, 특히 산악 원주민에게 미치는 영향을 줄였다.[4]

대만 이주에 대한 청나라 규정[4]
연도규정
1684대만 입국 허가 필요. 가족 이주 금지.
1712대만 입국 허가 필요. 관리들은 허가를 신중하게 발급해야 했고, "훌륭한 백성"만 대만 거주를 신청할 수 있었다.
1729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 처벌.
1730가족이 없는 대만 정착민 추방, 가족과 재산이 있지만 난폭한 행위를 하는 자는 처벌.
1732이주민의 아내와 자녀 동반 허용.
1734불법 승객을 태운 선박 소유자/운영자 처벌.
1736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 처벌.
1737허가 시스템 강화, 대만행 선박과 선원 정보 기록. 대만 지방 관리는 현지 주민 정보 기록.
1740불법 승객을 태운 선박 소유자/운영자 상륙 지점에서 처벌.
1745이주민은 아내와 자녀만 대만으로 동반 가능.
1747가족 동반 절차 규정, 허가를 무책임하게 발급한 관리 처벌.
1761대만 입국 허가 필요, 출발 항구는 샤먼으로 제한. 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 처벌, 근면한 관리 보상. 가족 재결합 이주 금지.
1770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 처벌, 근면한 관리 보상. 선박 소유자와 승객 위반 시 처벌.
1772불법 횡단 사업 관련자(주최자, 선원, 승객 등) 처벌.
1784대만 정착민은 허가 없이 본토 출생지로 귀환 가능. 루어먼에서만 출발 가능. 다른 항구는 도착 및 출발 엄격 단속.
1788불법 횡단을 줄이기 위해 대만에 다른 항구 개방.
1789불법 횡단을 줄이기 위해 관리는 대만행 신청자에게 갈취 금지.
1800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 처벌, 근면한 관리 보상. 대만 정착민은 가족과 재산이 있으면 거주 신청 가능, 그렇지 않으면 출생지로 추방.
1801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 처벌.
1875이주 제한 폐지.


2. 3. 19세기 이후의 변화와 개방 (1875년 ~ 1895년)

19세기 초, 청나라의 검역 정책은 유지되었지만, 원주민 영토에 대한 태도는 변하기 시작했다. 지방 관리들은 원주민 영토의 식민화를 반복적으로 옹호했다. 특히 가마란 (현재의 이란 현)과 수이살리안의 경우가 대표적이었다. 1806년, 해적 채첸이 가마란 근처에 있다는 보고가 있었고, 대만 지사 양은 가마란을 개방할 것을 건의했다. 1809년, 황제는 가마란의 편입을 명령했고, 이듬해 가마란 부지사가 임명되었다.

반면, 수이살리안에 대한 논쟁은 그 지역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결과를 낳았다. 수이살리안은 대만 중부의 탁수이강과 우강 상류 지역을 지칭한다. 1814년, 일부 정착민들이 원주민의 토지 임대 요청을 조작하여 개간 허가를 받았으나, 1816년 정부는 군대를 보내 정착민을 몰아냈다. 1823년, 북부 원주민 사무 부지사 덩추안안은 내륙 수이살리안을 개방할 것을 건의했지만, 가마란 부지사 야오잉은 행정 비용이 너무 높다며 반대했다. 1841년 도광제는 해상 방어를 위한 수익을 늘리기 위해 대만에서 토지를 개간하도록 지시했지만, 비용 문제로 보류되었다. 1871년 단수이 부지사 관보는 공개적으로 "산을 개방하고 원주민을 정복"할 것을 요구했다.

제1차 아편 전쟁 중이던 1841년, 영국군은 지룽 항구 주변의 고지를 세 번이나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같은 해 9월, 영국 수송선 ''Nerbudda''호가 지룽 항구 근처에서 난파되었고, 대부분의 선원이 현지인에게 구조되어 청나라 관리에게 넘겨졌다. 1842년 3월에는 브리그 ''Ann''호도 난파되어 54명의 생존자가 붙잡혔다. 대만의 청나라 지휘관은 허위 보고를 올렸고, ''Nerbudda''호와 ''Ann''호의 생존자 대부분은 타이난에서 처형되었다.

1867년 대만 원정


1867년, 미국 상선 ''로버''호가 대만 남단 해안에서 난파되었다. 파이완족 코알루츠 부족은 선원들을 살해했고, 미국 아시아 함대의 벨 제독은 보복 상륙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미국 영사 르 장드르는 청나라에 책임을 물으며 군대 파견을 요구했고, 원주민 추장 탕케토크(토케토크)와 협상을 통해 난파된 사람들을 보호하고 중국인에게 넘겨주기로 합의했다. 르 장드르는 청나라를 비문명국으로 비난하며, 이후 일본 정부의 외교 고문으로 "동아시아 초승달" 개념을 개발하는 데 참여했다.

1871년, 류큐인 선박이 대만 남동쪽에서 난파되어 54명의 선원이 원주민에게 살해되었다.(무단 사건) 이 사건은 1874년에 국제적인 관심사가 되었고, 일본은 청나라에 항의하며 대만 침공을 준비했다.

1887년에 제작된 그림, 프랑스군의 지룽 철수


청불 전쟁 동안 프랑스는 1884년 지룽 전투에서 타이완을 침공했다. 중국은 프랑스의 공격 계획을 알고 류밍촨을 보내 방어를 강화했다. 프랑스는 지룽을 점령했지만, 단수이 점령에는 실패했다. 프랑스는 타이완에 봉쇄령을 내렸지만, 완전히 효과적이지는 않았다. 1885년 4월, 협정이 체결되면서 프랑스군은 지룽에서 철수했다.

대만성 행정청


1885년, 청나라는 푸젠-타이완 성을 설치하고, 류밍촨을 순무로 임명하여 본격적인 통치를 시작했다. 류밍촨은 청부 사업을 통해 지세를 개정하고, 타이베이의 근대 도시화를 추진했다. 전기, 전등, 전신, 1887년에는 지룽-타이베이 간 철도 등 근대적인 사회 기반 시설을 정비했다. 1892년 생산량은 인구 700만 명을 먹여 살릴 수 있을 정도였고, 1894년 설탕 생산고는 5만 3000톤에 달했다.

그러나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타이완은 일본에 할양되었고, 푸젠-타이완 성은 폐지되었다.

3. 청나라 통치 시기의 사회와 경제

청나라 초기에는 본토인의 대만 이주를 금지하고, 대만에 거주하는 푸젠성 사람들을 본토로 돌려보내기도 했다.[5] 그러나 인력 부족으로 인해 지방 관리들은 중앙 정부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본토에서 이주민을 모집해야 했다. 1711년까지 푸젠성과 광둥성에서 온 불법 이주민은 연간 수만 명에 달했으며,[5] 1760년 이후에는 규제가 완화되어 1811년에는 대만에 200만 명이 넘는 한족 정착민이 거주하게 되었다.

이주민들은 주로 푸젠 성과 광둥 성 출신이었으며, 이들의 언어와 문화는 현재 대만 본성계 한족의 언어와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당시 대만으로의 이주는 남성으로 제한되었고, 여성의 도항은 금지되었기 때문에 한족 남성과 현지 원주민 여성 간의 혼인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상황은 "당산 아버지는 있고, 당산 어머니는 없다"(有唐山公,無唐山媽)는 속담을 낳았다.[6][7]

청나라 편입 후, 타이완은 주로 농업과 중국 대륙과의 무역을 통해 발전했다. 설탕 등이 주요 생산품이었으며, 타이난 부근에서 시작된 개발은 점차 북상하여 19세기에는 타이베이 부근까지 확대되었다. 19세기 전반에는 '일부이록삼만화(一府二鹿三艋舺)'라고 불릴 정도로 타이난부, 장화의 항구, 만화의 3대 항구를 중심으로 번영했다. 1885년에는 푸젠-타이완 성이 설치되면서 행정 구역이 정비되었다.

그러나 청나라의 통치력이 약했던 대만에는 성격이 거친 해적이나 빈민이 많았고, 말라리아, 뎅기열 등의 열대병과 타이완 원주민과의 갈등, 태풍 등의 수해가 심해 내란이 빈번했다. 또한, 한족 남성과 원주민 여성 간의 혼혈이 진행되면서 '타이완인'이라는 한족 하위 집단이 형성되었고, 원주민 중에서도 평포족과 같이 한족 문화에 동화되는 집단이 나타났다.

다음은 청나라 시대 대만 이주에 대한 규정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규정
1684대만 입국 허가 필요. 가족 이주 금지.
1712대만 입국 허가 필요. 관리들은 허가를 무책임하게 발급하지 않도록 명령받았고, "훌륭한 백성"은 대만 거주를 신청할 수 있었다.
1729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는 처벌.
1730가족이 없는 대만 정착민은 추방, 가족과 재산이 있지만 난폭한 행위를 하는 자는 법에 따라 처벌.
1732아내와 자녀가 이주민과 함께 대만으로 갈 수 있음.
1734불법으로 승객을 태우는 보트 소유자/운영자는 처벌.
1736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는 처벌.
1737허가 시스템 강화, 대만행 보트와 선원에 대한 세부 사항 기록. 대만 지방 관리는 현지 주민의 세부 사항 기록.
1740불법 승객을 태운 보트 소유자/운영자는 상륙 지점에서 처벌.
1745이주민은 아내와 자녀만 대만으로 데려갈 수 있음.
1747가족을 대만으로 데려가는 절차 규정, 관리는 허가를 무책임하게 발급하면 처벌.
1761대만 입국 허가 필요, 유일한 출발 항구는 샤먼. 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는 처벌, 근면한 관리는 보상. 가족 재결합 이주 금지.
1770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는 처벌, 근면한 관리는 보상. 보트 소유자와 승객은 위반 시 처벌.
1772불법 횡단 사업에 관련된 주최자, 보트 승무원, 승객을 포함한 다양한 사람들을 처벌.
1784대만 정착민은 허가 없이 본토 중국의 출생지로 돌아갈 수 있음. 루어먼에서만 출발 가능. 다른 항구는 도착 및 출발에 대해 엄격하게 단속.
1788불법 횡단을 줄이기 위해 대만에 다른 항구 개방.
1789불법 횡단을 줄이기 위해 관리는 대만으로 가려는 신청자에게 갈취하지 않도록 함.
1800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는 처벌, 근면한 관리는 보상. 대만 정착민은 가족과 재산이 있는 경우 거주 신청 가능, 그렇지 않으면 출생지로 추방.
1801불법 횡단 단속. 태만한 관리는 처벌.
1875이주 제한 폐지.


3. 1. 원주민과의 관계

청나라는 원주민을 "번인(番人)"이라 칭하고, "숙번(熟番)"과 "생번(生番)"으로 구분하여 통치하였다. 숙번은 청나라 통치에 순응하여 세금을 납부하고 부역을 수행하며, 어느 정도 한족 문화를 수용한 원주민을 의미했다. 반면 생번은 청나라 통치 밖에 있으며, 중국 문명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은 원주민을 지칭했다.[29] 중간 단계는 화번(化番)이라고 불렀다.

1722년 (강희제 61년), 청나라는 원주민과 한족 정착민 간의 갈등을 막기 위해 "번계(토우, 토우구)"라고 불리는 경계선을 설치했다.[28] 이 경계선은 한족의 원주민 영토 침범을 금지하는 역할을 했지만, 실제로는 잘 지켜지지 않았다.[34] 한족 정착민들은 계속해서 원주민 토지를 빌리거나 빼앗아 개간했고, 이로 인해 번계는 점차 동쪽으로 이동해야 했다.

번계 서쪽의 숙번은 한족과 섞여 살면서, 혼인을 통해 점차 한족 문화에 동화되었다. 한편, "번속근고설"에 따르면, 번계 동쪽의 생번 중에서도 세금을 납부하는 "귀화생번"과 그렇지 않은 "미귀화생번(야번)"의 구분이 있었다. 귀화생번은 직접 청나라에 세금을 납부하는 대신, 사정(社丁)이라는 상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세금을 납부했다. 사정은 원주민과의 교역을 통해 얻은 이익의 일부를 세금으로 납부했는데, 이를 번향(番餉)이라고 불렀다.

미귀화생번은 공식적으로 한족과의 교역이 금지되었지만, 실제로는 번할(番割)이라는 상인을 통해 소금, 총기 등을 거래했다.[34] 번할의 교역은 불법이었기 때문에, 청나라 관리의 통제를 받지 않았다.

원주민 가옥, ''대만 야만 마을 삽화'', 1745


타이완 원주민의 사슴 사냥, 1746

4. 청일전쟁과 일본으로의 할양 (1895년)

1895년, 청일전쟁에서 패배한 청나라는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대만을 일본에 할양했다.[24] 이 사건은 중국 민족주의 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다. 친청 관료와 지역 유지들은 대만 민주국을 선포하여 일본의 합병에 저항했으나 실패했다.

1895년 당시 대만의 인구는 약 300만 명의 한족(98%는 민남인(82%)과 객가(16%))과 약 20만 명의 원주민으로 구성되었다.[24] 일본은 20년 동안 대만에서 반란에 맞서 싸우는 동시에 일본인 식민주의자들의 이주를 장려했지만, 기반 시설 부족과 질병 때문에 초기에는 소수만이 이주했다. 일본의 침략으로 20만~30만 명이 대만을 탈출했으며, 1895년부터 1897년까지 약 6,400명이 재산을 팔고 대만을 떠났다. 대만 주민들은 1897년 5월까지 재산을 팔고 떠나거나 일본 시민이 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1898년부터 1902년까지, 초기 저항 전쟁에서 사망한 6,000~14,000명 외에 약 12,000명의 "도적 반란군"이 사망했다. 이 분쟁 과정에서 5,300명의 일본군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고, 27,000명이 입원했다.

4. 1. 일본 통치에 대한 저항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청일전쟁에서 승리하여 1895년 4월 17일 대만과 펑후 제도를 할양받았다.[24] 대만 상실은 이후 중국 민족주의 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다. 친청 관료와 지역 지주 세력은 1895년 독립된 대만 민주국을 선포하여 일본의 합병을 막으려 했지만, 국제적인 승인을 얻지 못했다.

일본 통치 초기, 식민 당국은 대만 대부분 지역에서 폭력적인 반대에 직면했다. 1895년 대만 침공 이후 5개월 동안 지속적인 전쟁이 벌어졌고, 1902년까지 유격대 공격이 계속되었다. 1895년 3월 일본이 펑후를 점령한 후 대만에서는 혼란과 공황이 만연했다. 5월 20일, 청나라 관리들에게 직무를 떠나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그 후 몇 달 동안 대혼란과 파괴가 뒤따랐다.

일본군은 5월 29일 지룽 해안에 상륙했고, 단수이 항구는 폭격을 받았다. 잔존 청나라 부대와 광둥 의용군은 북부에서 일본군과 잠시 전투를 벌였다. 6월 7일 타이페이가 함락된 후, 지역 민병대와 유격대는 저항을 계속했다. 남부에서는 흑기군의 소규모 부대가 류융푸의 지휘 아래 일본군의 상륙을 지연시켰다. 총독 탕징송은 타이완 민주국으로서 반일 저항 노력을 수행하려 했지만, 여전히 청나라에 충성을 맹세했다. 탕징송에 따르면 공화국 선포는 일본을 지연시켜 영국이나 프랑스와 같은 서방 열강이 대만을 방어하도록 강요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계획은 녹영군광시 출신의 위에 군인들이 대만을 약탈하면서 빠르게 혼란에 빠졌다. 도적에 의한 혼란과 일본에 대한 항복 사이에서 선택의 기로에 놓인 타이페이의 지식인 엘리트는 구셴룽을 지룽으로 보내 진격하는 일본군에게 타이페이로 진입하여 질서를 회복해 줄 것을 요청했다. 5월 25일에 수립된 공화국은 지도자들이 본토로 떠나면서 12일 만에 사라졌다. 류융푸는 타이난에 임시 정부를 구성했지만, 일본군이 다가오자 본토로 탈출했다.

타이난 항복 이후, 객가 마을 사람들의 무장 저항이 남부에서 일어났다. "지역 도적" 또는 "반란군"이 주도한 일련의 장기적인 유격대 공격은 다음 7년 동안 지속되었다. 1897년 이후, 중국 민족주의자들의 봉기가 흔하게 발생했다. 중국 국민당의 전신인 중국동맹회의 일원인 羅福星|뤄푸싱중국어은 1913년 그의 동료 200명과 함께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일본의 보복은 종종 반란군이 벌인 게릴라 공격보다 더 잔혹했다. 1896년 6월, 윈린 학살에서 6,000명의 대만인이 학살당했다.

반란은 종종 지역 엘리트에 대한 불평등한 식민 정책과 지역 대만인 및 평원 원주민의 기존 천년왕국 신념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했다. 저항 이데올로기는 다이쇼 데모크라시, 중국 민족주의, 그리고 초기 대만 자결과 같은 다양한 이상에 의존했다. 주요 무장 저항은 1902년까지 대부분 진압되었지만, 1907년 객가와 사이시야트족의 베이푸 봉기, 1913년 뤄푸싱, 1915년의 타파니 사건과 같은 소규모 반란이 다시 발생하기 시작했다.

  • 베이푸 봉기: 1907년 11월 14일, 객가 반군들이 일본군 장교 57명과 그 가족을 살해하면서 발생했다. 그 후 보복으로, 네이다핑 마을에서 100명의 객가 남성과 소년들이 살해당했다.
  • 뤄푸싱 사건: 뤄푸싱은 중국동맹회와 관련된 해외 대만 객가인이었다. 그는 500명의 전투원을 동원하여 일본에 대항하는 반란을 계획했고, 그 결과 1,000명 이상의 대만인이 일본 경찰에 의해 처형당했다. 뤄푸싱은 1914년 3월 3일에 사망했다.
  • 타파니 사건: 1915년, 위칭팡은 일본 당국에 공개적으로 도전하는 종교 단체를 조직했다. 타파니 사건으로 알려진 사건에서, 위칭팡의 종교 단체 소속 1,413명이 체포되었다. 위칭팡과 그의 추종자 200명이 처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aiwan in Time: The admiral's secret plan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18-09-23
[2] 서적 National Museum of Taiwan History 2018-02
[3] 웹사이트 清代臺灣行政區劃沿革 http://thcts.ascc.ne[...]
[4] 웹사이트 清代臺灣行政區劃沿革 http://thcts.ascc.ne[...]
[5] 간행물 Statecraft and Political Economy on the Taiwan Frontier 1600–1800 1994-09
[6] 문서 '{{holodict|60161}}'
[7] 서적 The Concise History of Taiwan Taiwan Historica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sociology.nt[...]
[9] 문서 A jia is equal to 0.97 hectares
[10] 서적 China and the Taiwan Issue https://archive.org/[...] Praeger Publishers
[11] 서적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Perceptions, Power, and Prim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Last Samurai: The Life and Battles of Saigo Takamori Wiley
[13] 문서 Smits, Gregory (1999). "Visions of Ryūkyū: Identity and Ideology in Early-Modern Thought and Politics."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4] 웹사이트 清代臺灣行政區劃沿革 http://thcts.ascc.ne[...]
[15] 웹사이트 Taiwan in Time: The fall of the northern Atayal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1-05-02
[16] 웹사이트 Has Taiwan Always Been Part of China?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17] 서적 The Indigenous Dynamic in Taiwan's Postwar Development: The Religious and Historical Roots of Entrepreneurship M.E. Sharpe
[18] 웹사이트 http://nrch.culture.[...] Taiwan Ministry of Culture
[19] 웹사이트 Taiwan in Time: Rebels of heaven and earth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16-04-17
[20] 웹사이트 Taiwan in Time: A blood-soaked 16 days in Yilan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1] 서적 Maritime Taiwan: Historical Encounters with the East and the We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
[22] 서적 Confrontation Over Taiwan: Nineteenth-Century China and the Power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3] 웹사이트 "| of Civilization and Savages: The Mimetic Imperialism of Japan's 1874 Expedition to Taiwan |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107.2 | the History Cooperative" http://www.historyco[...]
[24] 웹사이트 The Anthropology of Taiwanese Society: Chapter 11. Subethnic Rivalry in the Ch'ing Period https://faculty.wash[...] Stanford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The turtle woman's voices: Multilingual strategies of resistance and assimilation in Taiwa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http://scholarworks.[...] 2015
[26] 서적 Lesser Dragons: Minority Peoples of China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8-05-15
[27] 서적 Place and Spirit in Taiwan: Tudi Gong in the Stories, Strategies and Memories of Everyday Lif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8-29
[28] 문서 康熙61年(1722年)に初めて画定,漢族の進入・開墾を法的に禁止。
[29] 문서 初出は[[牡丹社事件]]の清国の官吏である
[30] 서적 '海賊からみた清朝:十八〜十九世紀の南シナ海' 藤原書店
[31] 문서 人口調査については問題が多く、{{Harv|黄|1970}} によれば19世紀初頭まで信頼できる統計はない。
[32] 문서 '[[日本統治時代の台湾|日本領有後]]に[[高雄港]]と改称。'
[33] 문서 日本が領有した1895年の推計によれば、平地人(漢人と平埔族)が290万人で高山族が10万人である。1924年の台湾総督府『台湾事情』によれば、1905年の人口は平地人が2,979,018人、高山族が76,443人。{{Harv|許|1974}}
[34] 문서 '{{Harv|林|2004}} によれば、番割とは生番から山林産物を仕入れ、それを漢人商人の「割店」に卸す者に対して使わ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