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지역별 개표 결과는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45.3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21.76%로 2위,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14.97%로 3위를 기록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12.60%로 4위,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4.72%로 5위를 차지했다. 홍준표 후보는 대구광역시 모든 지역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유승민 후보는 대구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개표 결과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70%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김영삼 후보가 2위를 차지했다. - 대구광역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구광역시에서는 이회창 후보가 68.4%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고, 김대중 후보는 11.2%로 민주화 이후 대구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2017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광역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59.89%의 압도적인 지지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최순실 게이트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광주시민들의 개혁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전광역시
2017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전광역시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43.4%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총 투표율은 74.6%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 심상정
심상정은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하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결성에 참여했으며,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여 진보신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정의당 창당을 주도하고 고양시 덕양구 갑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대선에 두 번 출마하고 재벌개혁, 경제민주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의 진보적 의제를 제기해 온 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 |
---|---|
선거 정보 | |
선거명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대통령 |
이전 선거 |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
이전 선거 연도 | 2012년 |
선거일 | 2017년 5월 9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
차기 선거 연도 | 2022년 |
직책 | 대통령 |
선거 전 | 황교안 (권한대행) |
선거 전 정당 | 무소속 |
선거 후 | 문재인 |
선거 후 정당 | 더불어민주당 |
후보별 득표 결과 | |
![]() | |
후보 | 홍준표 |
정당 | 자유한국당 |
득표수 | 714,205 |
득표율 | 45.36% |
![]() | |
후보 | 문재인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득표수 | 342,620 |
득표율 | 21.76% |
![]() | |
후보 | 안철수 |
정당 | 국민의당 |
득표수 | 235,757 |
득표율 | 14.97% |
![]() | |
후보 | 유승민 |
정당 | 바른정당 |
득표수 | 198,459 |
득표율 | 12.60% |
2. 대구광역시 지역별 개표 결과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대구광역시 지역별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 | 홍준표 (자유한국당)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 안철수 (국민의당) | 유승민 (바른정당) | 심상정 (정의당) | 기타 후보 | 합계 |
---|---|---|---|---|---|---|---|
중구 | 47.54% | 22.09% | 13.80% | 11.41% | 4.56% | 0.60% | 51,948 |
동구 | 44.41% | 20.99% | 13.90% | 15.88% | 4.21% | 0.46% | 225,504 |
서구 | 54.15% | 17.32% | 14.02% | 9.65% | 4.23% | 0.49% | 127,010 |
남구 | 50.51% | 19.94% | 14.03% | 10.40% | 4.50% | 0.48% | 99,587 |
북구 | 44.05% | 22.69% | 15.37% | 12.31% | 5.02% | 0.46% | 275,492 |
수성구 | 43.26% | 22.82% | 15.36% | 13.57% | 4.49% | 0.40% | 284,457 |
달서구 | 44.43% | 22.17% | 15.53% | 12.21% | 5.04% | 0.52% | 373,113 |
달성군 | 43.73% | 23.13% | 15.60% | 11.63% | 5.30% | 0.41% | 137,265 |
2. 1. 중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24,698 | 47.54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11,477 | 22.09 |
안철수 | 국민의당 | 7,170 | 13.80 |
유승민 | 바른정당 | 5,931 | 11.41 |
심상정 | 정의당 | 2,369 | 4.56 |
조원진 | 새누리당 | 157 | 0.30 |
윤홍식 | 홍익당 | 42 | 0.08 |
김민찬 | 무소속 | 37 | 0.07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22 | 0.04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21 | 0.04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10 | 0.01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9 | 0.01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5 | 0.00 |
합계 | 51,948 | 100.00 |
2. 2. 동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100,166 | 44.41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47,350 | 20.99 |
유승민 | 바른정당 | 35,819 | 15.88 |
안철수 | 국민의당 | 31,351 | 13.90 |
심상정 | 정의당 | 9,509 | 4.21 |
조원진 | 새누리당 | 609 | 0.27 |
김민찬 | 무소속 | 185 | 0.08 |
윤홍식 | 홍익당 | 157 | 0.06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132 | 0.05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84 | 0.03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61 | 0.02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41 | 0.01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40 | 0.01 |
합계 | 225,504 | 100 |
2. 3. 서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68,782 | 54.15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22,004 | 17.32 |
안철수 | 국민의당 | 17,808 | 14.02 |
유승민 | 바른정당 | 12,259 | 9.65 |
심상정 | 정의당 | 5,373 | 4.23 |
조원진 | 새누리당 | 266 | 0.20 |
김민찬 | 무소속 | 164 | 0.12 |
윤홍식 | 홍익당 | 111 | 0.08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78 | 0.06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69 | 0.05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44 | 0.03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27 | 0.02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25 | 0.01 |
합계 | 127,010 | 100.00 |
2. 4. 남구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남구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50,304 | 50.51%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19,862 | 19.94% |
안철수 | 국민의당 | 13,978 | 14.03% |
유승민 | 바른정당 | 10,365 | 10.40% |
심상정 | 정의당 | 4,486 | 4.50% |
조원진 | 새누리당 | 284 | 0.28% |
김민찬 | 무소속 | 88 | 0.08% |
윤홍식 | 홍익당 | 78 | 0.07%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43 | 0.04%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36 | 0.03%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26 | 0.02%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22 | 0.02%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15 | 0.01% |
합계 | 99,587 |
2. 5. 북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121,368 | 44.05%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62,526 | 22.69% |
안철수 | 국민의당 | 42,369 | 15.37% |
유승민 | 바른정당 | 33,915 | 12.31% |
심상정 | 정의당 | 13,833 | 5.02% |
조원진 | 새누리당 | 626 | 0.22% |
김민찬 | 무소속 | 293 | 0.10% |
윤홍식 | 홍익당 | 165 | 0.05%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128 | 0.04%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85 | 0.03%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81 | 0.02%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55 | 0.01%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48 | 0.01% |
합계 | 275,492 | 100% |
2. 6. 수성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123,074 | 43.26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64,922 | 22.82 |
안철수 | 국민의당 | 43,698 | 15.36 |
유승민 | 바른정당 | 38,613 | 13.57 |
심상정 | 정의당 | 12,778 | 4.49 |
조원진 | 새누리당 | 718 | 0.25 |
김민찬 | 무소속 | 194 | 0.06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127 | 0.04 |
윤홍식 | 홍익당 | 121 | 0.04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81 | 0.02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58 | 0.02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43 | 0.01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30 | 0.01 |
합계 | 284,457 | 100.00 |
2. 7. 달서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165,781 | 44.43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82,726 | 22.17 |
안철수 | 국민의당 | 57,956 | 15.53 |
유승민 | 바른정당 | 45,593 | 12.21 |
심상정 | 정의당 | 18,805 | 5.04 |
조원진 | 새누리당 | 1,155 | 0.30 |
김민찬 | 무소속 | 346 | 0.09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195 | 0.05 |
윤홍식 | 홍익당 | 194 | 0.05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138 | 0.03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90 | 0.02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72 | 0.01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62 | 0.01 |
합계 | 373,113 | 100 |
2. 8. 달성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60,032 | 43.73%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31,753 | 23.13% |
안철수 | 국민의당 | 21,427 | 15.60% |
유승민 | 바른정당 | 15,964 | 11.63% |
심상정 | 정의당 | 7,287 | 5.30% |
조원진 | 새누리당 | 242 | 0.17% |
김민찬 | 무소속 | 194 | 0.14% |
윤홍식 | 홍익당 | 118 | 0.08%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80 | 0.05%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48 | 0.03%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46 | 0.03%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40 | 0.02%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34 | 0.02% |
합계 | 137,265 | 100%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구광역시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전체 결과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홍준표 자유한국당 714,205 45.36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342,620 21.76 안철수 국민의당 235,757 14.97 유승민 바른정당 198,459 12.60 심상정 정의당 74,440 4.72 조원진 새누리당 4,057 0.25 김민찬 무소속 1,501 0.09 윤홍식 홍익당 986 0.06 김선동 민중연합당 804 0.05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563 0.03 이경희 한국국민당 401 0.02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324 0.02 오영국 경제애국당 259 0.01 합계 1,574,376 100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45.36%의 득표율로 대구광역시에서 승리했으나,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과반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한 보수 정당 후보가 되었다. 이는 대구광역시가 전통적으로 보수 정당에 높은 지지를 보내왔던 것에 비하면 다소 부진한 결과였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21.76%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하며, 지난 대선에 비해 소폭 상승한 득표율을 기록하며 20%를 돌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14.97%의 득표율로 3위,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12.60%의 득표율로 4위를 차지했다. 유승민 후보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구광역시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4.72%의 득표율로 5위에 머물렀다.
3. 1. 주요 후보 결과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구광역시의 주요 후보별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
중구 | 11,477 (22.09%) | 24,698 (47.54%) | 7,170 (13.80%) | 5,931 (11.41%) | 2,369 (4.56%) |
동구 | 47,350 (20.99%) | 100,166 (44.41%) | 31,351 (13.90%) | 35,819 (15.88%) | 9,509 (4.21%) |
서구 | 22,004 (17.32%) | 68,782 (54.15%) | 17,808 (14.02%) | 12,259 (9.65%) | 5,373 (4.23%) |
남구 | 19,862 (19.94%) | 50,304 (50.51%) | 13,978 (14.03%) | 10,365 (10.40%) | 4,486 (4.50%) |
북구 | 62,526 (22.69%) | 121,368 (44.05%) | 42,369 (15.37%) | 33,915 (12.31%) | 13,833 (5.02%) |
수성구 | 64,922 (22.82%) | 123,074 (43.26%) | 43,698 (15.36%) | 38,613 (13.57%) | 12,778 (4.49%) |
달서구 | 82,726 (22.17%) | 165,781 (44.43%) | 57,956 (15.53%) | 45,593 (12.21%) | 18,805 (5.04%) |
달성군 | 31,753 (23.13%) | 60,032 (43.73%) | 21,427 (15.60%) | 15,964 (11.63%) | 7,287 (5.30%) |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대구광역시 모든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서구와 남구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50%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과거 보수정당에 대한 높은 지지세는 다소 약화된 모습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지역에서 2위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20%p 이상의 큰 격차로 따돌리며 압승을 거두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으며, 서구와 남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2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동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3위를 차지했다. 중구, 서구 등 원도심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득표율을 보이며 부진했으나, 나머지 지역에서는 15%대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두 자릿수대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자신의 국회의원 지역구인 동구에서는 15.88%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안철수 후보를 제치고 3위를 차지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4~5%대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4. 분석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대구광역시에서 45.3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는 대구광역시가 전통적으로 보수정당에 높은 지지를 보였던 것에 비하면 과반 이하의 득표율로, 다소 부진한 결과였다.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대구광역시에서 과반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한 보수정당 후보가 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21.76%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 지난 대선에 비해 득표율이 소폭 상승했으며, 20%를 돌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14.97%의 득표율로 3위에 머물렀다. 15%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12.60%의 득표율로 4위를 기록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구광역시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는 성과를 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4.72%의 득표율로 5위에 그쳤다.
지역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
중구 | 22.09% | 47.54% | 13.80% | 11.41% | 4.56% |
동구 | 20.99% | 44.41% | 13.90% | 15.88% | 4.21% |
서구 | 17.32% | 54.15% | 14.02% | 9.65% | 4.23% |
남구 | 19.94% | 50.51% | 14.03% | 10.40% | 4.50% |
북구 | 22.69% | 44.05% | 15.37% | 12.31% | 5.02% |
수성구 | 22.82% | 43.26% | 15.36% | 13.57% | 4.49% |
달서구 | 22.17% | 44.43% | 15.53% | 12.21% | 5.04% |
달성군 | 23.13% | 43.73% | 15.60% | 11.63% | 5.30% |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대구광역시 내 모든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50% 이상 득표율을 기록한 지역은 서구와 남구뿐이었다. 전통적으로 보수정당에 높은 득표율을 몰아주던 경향은 이번 선거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지역에서 2위를 차지한 문재인 후보와 20%p 이상의 격차를 벌리며 압승을 거두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서구와 남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20% 이상 득표율을 기록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동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3위를 차지했다. 원도심권인 중구, 서구 등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부진했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15%의 득표율을 달성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국회의원 지역구인 동구에서는 15.8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최고 득표율을 기록, 안철수 후보를 제치고 3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4~5%대 득표율에 머물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