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 아르카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 아르카나는 15세기 이탈리아에서 기원한 타로 카드의 주요 구성 요소로, 22장의 트럼프 카드로 이루어져 있다. 18세기부터 오컬트적 의미가 부여되기 시작하여, 다양한 신비주의적 해석과 점술적 활용이 이루어졌다.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의 라이더-웨이트 타로를 기준으로 각 카드마다 고유한 의미와 상징이 부여되어 있으며, 서양 점성술, 히브리 문자, 생명나무 등과 연관되어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드점 - 소 아르카나
    소 아르카나는 타로 카드의 일부로 56장으로 구성되어 일상적인 문제나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지팡이, 컵, 검, 펜타클의 4개 슈트로 나뉘어 숫자 카드 10장과 인물 카드로 구성되고, 플레잉 카드와 연관되거나 카발라와 연결되어 해석된다.
  • 타로 카드 - 검의 슈트
    검의 슈트는 타로 카드의 4가지 슈트 중 하나로, 결정적인 능력, 의심, 슬픔, 배신 등 다양한 상황과 감정을 상징하며, 숫자 카드와 코트 카드로 구성된다.
  • 타로 카드 - 동전의 슈트
    동전의 슈트는 타로 카드 덱의 구성 요소로 흙의 원소를 상징하며, 펜타클 또는 디스크 슈트로 불리며, 핍 카드와 코트 카드로 나뉘어 물질적인 문제와 관련된 상황을 묘사한다.
  • 대 아르카나 - 매달린 사람
    매달린 사람은 타로 카드의 한 종류로, 거꾸로 매달린 남자의 모습으로 수행, 인내, 희생 등을 상징하며, 긍정적, 부정적 의미로 다양하게 해석된다.
  • 대 아르카나 - 여교황
    여교황은 타로 카드의 주요 카드 중 하나로, 라 파페스 또는 대사제녀라고도 불리며, 역사적 해석과 전설, 그리고 다양한 상징을 지니고 있으며, 라이더-웨이트 타로와 마르세이유 타로에서 각기 다른 이미지와 의미로 표현된다.
대 아르카나
개요
바보 카드
웨이트-스미스 타로 덱의 바보 카드
다른 이름메이저 아르카나
카드 수22
기원15세기 이탈리아 북부
용도
심리 치료
명상
오컬트
구성
카드 목록0. 바보
1. 마법사
2. 여사제
3. 여황제
4. 황제
5. 교황
6. 연인
7. 전차
8. 힘 또는 정의
9. 은둔자
10. 운명의 수레바퀴
11. 정의 또는 힘
12. 매달린 남자
13. 죽음
14. 절제
15. 악마
16. 탑
17. 별
18. 달
19. 태양
20. 심판
21. 세계

2. 역사

'아르카나'(Arcana)는 라틴어 '''arcanum'''(아르카눔)의 복수형으로, '책상의 서랍'이라는 의미에서 파생되어 '숨겨진 것', 나아가 '비밀', '신비'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이 용어는 타로를 신비로운 대상으로 여기기 시작한 19세기 무렵부터 사용되었으며, 게임 도구로서의 타로에서는 단순히 '비장의 카드'(atout|아투프랑스어 등)라고 불린다. 다만, 바보 카드를 비장의 카드에 포함할지 여부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어, 프랑스에서는 비장의 카드와 독립된 카드로 취급하지만 오스트리아 등 중앙 유럽에서는 22번째 비장의 카드로 간주한다.[17]

17세기 이전까지 타로 카드는 오직 게임용으로만 사용되었다. 바보 카드와 21장의 트럼프 카드는 15세기 이탈리아 궁정의 엘리트 이데올로기에서 비롯된 우화적이거나 난해한 의미를 지녔는데, 이 시기에 타로 카드가 발명된 것으로 여겨진다.[1] 오컬트적 의미는 18세기에 들어서면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스위스 성직자이자 프리메이슨이었던 앙투안 쿠르 드 제벨린이 그의 미완성 백과사전 ''Le Monde Primitif''(원시 세계)에 타로에 관한 두 편의 에세이를 실으면서 이러한 변화가 시작되었다.[2] 첫 번째 에세이인 "''Du Jeu des Tarots''(타로 게임에 대하여)"에서 쿠르 드 제벨린은 타로 트럼프 카드에 이집트, 카발라, 그리고 신성한 의미를 부여했다.

이후 에테일라는 타로를 이용한 점술 방법을 만들었다. 멜레 백작은 고대 이집트인들이 타로를 점술에 사용했고 이것이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된 방법이라고 주장하며 타로의 이집트 기원설을 내세웠다. 에테일라는 각 카드에 정방향과 역방향의 점술적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설명하는 책 ''La Cartonomancie française''를 출판했으며, 카드 점술만을 위한 최초의 타로 덱을 만들었다. 그의 방법은 처음에는 32장으로 구성된 피케 카드 팩에 맞춰 설계되었으나, 1783년부터는 표준 마르세유 타로 덱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그는 타로 카드 점술 협회(Société littéraire des associés libres des interprètes du livre de Thot)를 설립하고, 각 카드의 가능한 모든 의미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Dictionnaire synonimique du livre de Thot''를 출판하기도 했다.[16]

엘리파스 레비는 점술 타로에서 이집트적 요소를 배제하고 마르세유 타로로 돌아가고자 했으며, 복잡한 카발라적 연관성을 만들고 메이저 아르카나가 삶의 여러 단계를 나타낸다고 제안했다. 마르키 드 귀아타는 메이저 아르카나를 영적 승천과 진화의 길을 보여주는 입문 과정으로 확립했다.[1] 에테일라 이후 마리-안 아델라이드 레노르망과 같은 인물들이 타로 카드 점술을 더욱 발전시켰다.[1] 레노르망은 유명한 카드 점술가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고, 그녀의 사후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그랑 주 드 마드무아젤 레노르망''이라는 특별한 덱이 출시될 정도로 프랑스에서 타로 점술의 대중화에 기여했다.[1]

1980년, 분석 심리학자인 샐리 니콜스는 타로가 깊은 심리적, 원형적 의미를 지니며, 의 개성화 과정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메이저 아르카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은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에도 타로 실천가들이 메이저 아르카나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영어권 국가에서 점술이나 카드 점술과 연관되어 널리 알려진 타로는 본래 신비주의나 마법적 도구가 아닌, 영구적인 트럼프 슈트를 가진 카드 게임용으로 발명되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1]

3. 대 아르카나 목록

'아르카나'는 라틴어 'arcanum'(아르카눔)의 복수형으로, 본래 '서랍 속 숨겨진 것'에서 유래하여 '비밀', '신비'를 뜻하게 되었다. 19세기 신비주의자들이 타로를 해석하기 시작하면서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전 게임 도구로서는 단순히 '비장의 카드(atout)' 등으로 불렸다.

대 아르카나는 총 22장의 카드로 구성된다. 이 22장의 카드는 신비주의자들에 의해 히브리 문자 22자나 생명나무의 22개 경로와 연관 지어 해석되기도 하지만[27], 구체적인 대응 방식에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초기 이탈리아식 타로 덱에서는 대 아르카나 카드에 이름이나 번호가 없는 경우가 많았고, 카드의 순서도 표준화되지 않았다. 각 카드는 주로 한 명 이상의 인물과 상징적인 요소들이 담긴 장면을 묘사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타로 덱이 등장했으며, 덱마다 카드 이름이나 순서, 번호 부여 방식(특히 '힘'/'정의' 카드의 순서나 '바보' 카드의 번호 및 위치)에 차이를 보인다[31]. 아래는 여러 주요 타로 덱의 대 아르카나 카드 목록을 비교한 표이다.

번호타로 드 마르세유[3]코르 드 제벨린[1][4]라이더-웨이트 타로[5][6]에테일라[7]폴 크리스찬오스왈드 비르트[8]황금 여명회토트의 서 (크롤리)[9]
0바보바보바보어리석음악어바보바보바보
I바텔뢰르마술사 ("돌팔이", "소매치기")마술사질병, 질병마술사마술사마술사마법사
II여교황여사제여사제에테일라, 여성 질문자성소의 문 (비밀 성소)여사제여사제여사제
III여제여제 ("여왕")여제밤, 낮이시스-우라니아여제여제여제
IV황제황제 ("왕")황제지원, 보호입방체 돌황제황제황제
V교황교황 ("대사제")교황결혼, 결합신비의 대가 (비밀)교황교황교황
VI연인결혼연인(없음)두 갈래 길연인연인연인
VII전차오시리스의 개선전차분열오시리스의 전차전차전차전차
VIII정의정의정의, 법률가테미스 ("저울과 칼")정의조정
IX은자현자 ("현인", "진실과 정의를 찾는 자")은자배신자가려진 램프은자은자은자
X운명의 바퀴운명의 바퀴운명의 바퀴행운, 증가스핑크스운명의 바퀴운명의 바퀴운명
XI용기 ("힘")정의힘, 주권자재갈이 물린 사자 ("길들여진 사자")정의욕망
XII매달린 남자신중함매달린 남자신중함, 사람들희생매달린 남자매달린 남자매달린 남자
XIII(이름 없음)죽음죽음사망, 무(無)해골 수확자 ("수확자", "낫")죽음죽음죽음
XIV절제절제절제절제, 사제두 개의 단지 ("태양의 천재")절제절제기예
XV악마티폰악마강력한 힘티폰악마악마악마
XVI신의 집플루토의 성 ("신-집")불행, 감옥머리가 잘린 탑 ("번개 맞은 탑")불타버린 탑
XVII오시리스, 개별 ("시리우스")황폐, 공기마법사의 별
XVIII논평, 물황혼
XIX태양태양태양깨달음, 불타오르는 빛태양태양태양
XX심판창조 ("최후의 심판")심판심판죽은 자의 각성 (죽은 자의 천재)심판심판영겁
XXI세계세계 ("시간")세계여행, 지구마법사의 왕관세계우주우주


3. 1. 카드 목록 및 의미 해석 (라이더-웨이트 타로 기준)

대 아르카나 카드의 배열 순서에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이 표는 라이더-웨이트 타로 덱을 기준으로 한 예시이다.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는 황금 여명회의 점성술 대응 이론에 맞춰 8번 '힘'과 11번 '정의' 카드의 위치를 기존 방식과 다르게 배열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28]. 비록 웨이트가 이 변경을 최초로 한 것은 아니지만, 웨이트판 타로가 대중적으로 성공하면서 이 배열 방식은 '웨이트식'으로 인식되었고, 이후 영미권에서 많은 타로 카드가 이를 따르게 되었다. 이로 인해 세계 타로 카드에는 전통적인 마르세유판 타로 계열과 웨이트식 계열이라는 두 가지 주요 흐름이 생겨났다[29].

'바보' 카드의 경우, 전통적으로 번호가 없거나 22번 등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웨이트는 이를 0번으로 지정했다. (일설에 따르면 0번을 처음 사용한 것은 안토와느 쿨 드 제이브랑이다[31]). 현재 타로 덱에서는 바보 카드를 0번, 21번, 22번 또는 번호 없이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바보 카드의 위치 또한 덱에 따라 맨 앞(1번 전), 맨 뒤(21번 뒤), 또는 20번과 21번 사이에 배치되기도 한다[31].

아래 표에 제시된 각 카드의 의미는 웨이트의 저서 타로 도해에 근거한 것이며[32], 점성술 대응은 황금 여명회의 설을 일례로 나타낸 것이다. 점성술 대응 방식은 18세기 엣티라 이후 수많은 설이 존재하므로[33], 이 표의 내용은 하나의 참고 사례로 이해해야 한다. (◎표는 '황금 여명회'의 독자설, ●표는 그 이전부터 존재한 설을 따른 것)

번호타이틀의미점성술 (일례)
0 (22, 21, 무번호)바보 (집시, 도화사, 물질주의자)몽상·우행·극단·열광◎ 바람의 원소[34]
1마술사 (이교도, 기술사, 신발가게, 현자, 곱사등이, 도사, 향구사)의지·수완·외교수성
2여교황 (이브, 여사제, 감춰진 이시스, 쥬노, 2개의 기둥)비밀·신비·영지
3여제 (나타난 이시스, 황후, 대지, 베누스)결실·행동·세월의 길이·미지금성
4황제 (오시리스, 원수, 집시의 왕, 입방체의 돌)통치·견고·방어·동맹백양궁
5교황 (사제장, 집시 왕자, 석가 여래, 법의 심판)신조·사회성·은혜와 유덕금우궁
6연인 (헤르메스, 에로스, 결혼, 두 개의 길, 우유부단, 연애)매력·사랑·아름다움쌍아궁
7전차 (개선, 승리의 왕, 정복자)원군·섭리·승리·복수거해궁
8 (11) (여자 역사, 강의, 설득, 헤라클레스, 용기)힘·용기·관대·명예사자자리
9은자 (현자, 반역자, 노인)심려·충고를 받음·붕괴처녀궁
10운명의 바퀴 (운명의 차, 혁명, 행운신, 시대, 보답해 고리)행운·전환기·향상목성
11 (8)정의 (재판의 여신, 주석판사, 정의의 여신, 계약, 균형)평등·옳음·행정·정당한 판결천칭궁
12매달린 남자 (사형수, 사도, 순교자, 처형대, 지혜, 매달린 사람)영지·신중·시련·직관◎ 물의 원소[35]
13죽음 (시간, 불사성, 영혼) ※무기명인 경우 있음정지·손실·죽음과 재생천갈궁
14절제 (대모, 대천사, 천계의 여왕, 번쩍임)조정·중용·검약·관리◎ 인마궁
15악마 (흑마술사, 사탄, 정욕, 타천사, 바포멧)폭력·격렬·숙명·흑마술마갈궁
16 (번개, 신의 집, 천벌, 바벨탑, 무름, 낙뢰의 탑)비탄·재난·불명예·전락화성
17 (희망, 현인 별, 시리우스, 시간)희망과 길조(밝은 전망)·명상·영감·방기보병궁
18 (황혼, 헤카테, 마왕, 꿈, 영계)숨은 적·환상·기만·실패쌍어궁
19태양 (영감, 갓난아기, 영원의 청춘, 쌍둥이)물질적인 행복·운 좋은 결혼·만족태양
20심판 (분노의 날, 영원, 관, 마지막 심판, 석관, 부활)부활·위치의 변화·경신·결과◎ 불의 원소[36]
21 (22)세계 (우주, 귀환, 진실, 대지, 지구, 도사, 소피아)완성·약속된 성공·여행토성, ◎ 땅의 원소[37]


4. 신비주의적 해석

'아르카나'는 라틴어 'arcanum'(아르카눔)의 복수형으로, 본래 '책상의 서랍'을 뜻했으나 점차 '숨겨진 것', '비밀', '신비'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 용어는 타로를 신비로운 대상으로 여기기 시작한 19세기 무렵부터 사용되었으며, 그 이전 게임 도구로 쓰일 때는 단순히 '비장의 카드'(atout프랑스어) 등으로 불렸다. 바보 카드를 비장의 카드에 포함할지는 지역마다 달라, 프랑스에서는 별개로 보지만 오스트리아 등 중앙 유럽에서는 22번째 비장의 카드로 간주하기도 한다.

17세기까지 타로 카드는 주로 게임에 사용되었고, 바보 카드와 21장의 트럼프 카드는 15세기 이탈리아 궁정 문화에서 유래한 우화적 의미를 지녔다.[1] 타로에 오컬트적 의미가 부여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부터이다. 스위스의 성직자이자 프리메이슨인 앙투안 쿠르 드 제벨린은 그의 저서 ''Le Monde Primitif''(원시 세계)에서 타로 트럼프 카드가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했으며 카발라적이고 신성한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했다.[2] 그는 타로가 모든 창조의 중요한 진실을 담은 "성경 중의 성경"이라고까지 주장하며, 신비주의적 해석의 문을 열었다.[1] 그의 동시대 인물인 루이-라파엘-뤼크레스 드 파욜, 멜레 백작은 타로가 로마니 민족과 관련 있으며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책이라는 주장을 덧붙였으나, 이는 오류로 지적받기도 했다.

에테일라는 쿠르 드 제벨린의 영향을 받아 타로를 이용한 점술 체계를 만들고, 타로가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세계 창조의 기록이자 의학 서적이라고 주장하며 오컬트 타로 전파에 기여했다. 이후 엘리파스 레비는 타로 해석에서 이집트적 요소를 줄이고 마르세유 타로 스타일에 주목하면서, 카발라와의 연관성을 더욱 강조하고 타로를 "마법 지식의 주요 요소"로 격상시켰다. 그는 메이저 아르카나가 인생의 단계를 상징한다고 보았으며, 그의 저술은 서양 마법 전통이 현대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통로가 되었다. 마르키 드 귀아타는 메이저 아르카나를 영적 성장과 진화를 위한 입문 과정으로 해석하는 틀을 마련했다.[1]

19세기 중반 이후, 타로는 입문(入門)의 도구로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폴 크리스티앙(장-밥티스트 피투아)은 ''마법, 초자연적 세계, 그리고 시대와 민족을 초월한 숙명의 역사''라는 책에서 타로의 메이저 카드가 고대 이집트 입문 "시험"의 "주요 장면"이라고 주장했다.[1] 그는 피라미드 내부에서 78개의 가로대가 있는 사다리를 내려가 22개의 상징적인 그림(아르카나)을 마주하고 그 비밀 의미를 배우는 입문 과정을 묘사했다. 크리스티앙은 이 설명의 출처를 고대 철학자 이암블리코스에게 돌렸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 그럼에도 크리스티앙의 주장은 파푸스, 프랑수아-샤를 바를레 등 후대 오컬티스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1888년 스타니슬라스 드 과이타가 카발라 장미십자회를 창설하는 등 비밀 결사와 밀교 단체들이 활발히 활동하면서, 타로는 이들 단체의 입문 과정과 사상 체계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1] 이들은 타로를 통해 자신들의 활동에 신성하고 고대적인 권위를 부여하고자 했다.

20세기에 들어서도 타로와 헤르메스주의, 카발라, 마법적 신비주의의 연결은 계속되었다. P. D. 우스펜스키는 타로가 단순한 교리나 방법론을 넘어,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자연 그 자체를 상징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설명했다.[12] 그는 "타로는 우리 의식에서 발견될 수 있는 어떤 교리든 포함하고 표현하며... 자연과 마찬가지로 그것 안에는 하나의 의미가 아니라 모든 잠재적 의미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 의미들은 유동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타로는 특별히 이것 또는 저것일 수 없으며, 끊임없이 움직이면서도 항상 같다"고 말했다.[12] 분석 심리학 분야에서는 샐리 니콜스가 타로 카드가 깊은 심리적, 원형적 의미를 지니며 의 개성화 과정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현대에도 타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어, 세메츠키는 타로가 인간과 신성 사이의 중재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고,[13] 크리스티나 니콜슨은 페미니스트 신학의 지혜를 설명하는 데 타로를 활용했으며,[14] 산타르칸젤리는 바보 카드의 지혜를 탐구했다.[15]

이처럼 메이저 아르카나에 대한 신비주의적, 심리학적, 철학적 해석은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에도 타로 실천가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 아르카나의 22매라는 숫자 때문에 히브리 문자 22문자나 생명나무의 22개 경로와 관련지어 해석되기도 하지만, 구체적인 대응 방식에는 여러 설이 있다.[27]

4. 1. 히브리 문자와의 관계

대 아르카나 카드의 매수가 22매인 점에서, 신비주의자들은 이를 히브리 문자의 22문자나 세피로트(생명의 나무)의 22개 경로와 관련지어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27][18] 그러나 22장의 카드와 히브리 문자 사이의 구체적인 대응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27][18]

참조

[1] 서적 Dummett 1980
[2] 서적 Le Monde primitif, analysé et comparé avec le monde moderne considéré dans son génie allégorique et dans les allégories auxquelles conduisit se génie Chez l'auteur 1773-1782
[3] 간행물 Pattern Sheet 001 https://i-p-c-s.org/[...] 2022-08-11
[4] 웹사이트 Antoine Court de Gébelin | Tarot | Monde primitif http://www.sablefeat[...] 2019-10-09
[5] 서적 The Pictorial Key to the Tarot Dover Publications Inc. 2005
[6] 웹사이트 Rider Waite Deck https://www.tarot.co[...] 2022-08-11
[7] 웹사이트 The Influence of Etteilla & His School on Mathers & Waite, Appendix B: Comparing the Trumps of Etteilla's Tarot with Those of the Tarot de Marseille http://www.villareva[...] 2019-10-09
[8] 서적 The Tarot of the Magicians https://archive.org/[...] Samuel Weiser, Inc. 1990
[9] 서적 Tarot: Mirror of the Soul Samuel Weiser, Inc. 1988
[10] 서적 The Crowley Tarot: The Handbook to the Cards U.S. Games Systems, Inc. 1995
[11] 간행물 The (Printer's) Devil Is in the Details 2009-Autumn
[12] 서적 The Symbolism of the Tarot: Philosophy of occultism in pictures and numbers Dover Publications 1976
[13] 서적 Re-symbolization of the Self: Human Development and Tarot Hermeneutic Sense Publishers 2011
[14] 논문 How to Believe Six Impossible Things Before Breakfast: Irigaray, Alicer, and Neo-Pagan Negotiation of the Otherworld 2003
[15] 논문 The Jester and the Madman, Heralds of Liberty and Truth 1979
[16] 문서 A scanned version of the original text is available http://visualiseur.b[...]
[17] 문서 この部分の出典は『トランプとタロット』(平凡社カラー新書1978林宏太郎)で同書には「アリエ」とあるがおそらく誤植で"aether"のカタカナ表記だったと思われる。
[18] 문서 セフィロトの経路とカードの関係についてもその組み合わせは多くの説がある。
[19] 문서 入れ替えた理由は、占星術との関係からみてカードが12星座の順に並ぶように考慮したためであるが、アレイスター・クロウリーはその件について「良くないことだ」として非難している。
[20] 문서 誤った表現が散見されるが、8番と11番が入れ替わったものが全て「黄金の夜明け団」の系統というわけではなく、逆に「黄金の夜明け団」と関係したものでもマルセイユ版と同様の伝統的な順番になっているものもある。小アルカナの数札に付与された絵柄についても然り。これらの特徴は「黄金の夜明け団」の影響ではなく、「ウェイト版」の影響というのが実態に即して適切である。
[21] 문서 エッティラは愚者のカードを大アルカナでも小アルカナでもない第三のカテゴリーと考えたか、あるいは大アルカナと小アルカナの区別を認めなかったのか、いずれかであるが、このような考えは以後のオカルチストらには踏襲されず、以下のほとんどの研究家たちは愚者のカードを大アルカナに含めている。
[22] 문서 「愚者」を「審判」と「世界」の間に置く並べ順は、各カードに対応させたヘブライ文字のアルファベット順に合わせたものである。
[23] 문서 ウェイトは0番(愚者)を初めて20番と21番の間に置いたとの説があるがこれは誤りで、ウェイトは0番(愚者)を大アルカナの最初に置いた。初めて20番と21番の間に置いたのはパピュスである。
[24] 문서 マルセイユ版などに基づく伝統的な解釈とは大きく食い違っている部分があるので注意が必要である。
[25] 문서 大雑把には7系統、細かい違いも数えれば22もの説がある。パピュスの説は[[カバラ]]文献の『[[形成の書]]』に基づくとの説があるが誤りで、エッティラの説を微修正したものである。また「[[黄金の夜明け団]]」の説の説では7惑星12星座が19枚の大アルカナに配当され、残る3枚が水火風の3元素に対応しているが、この3枚の元素カードに天海冥の3惑星を当てたのは[[ポール・フォスター・ケース]]である。ほとんどが欧米人であるが日本では[[辛島宜夫]]と[[アレクサンドリア木星王]]の2大タロット師が有名である。辛島の説は[[メアリー・ベックウィズ・コーエン]]の説を独自に修正したもの、木星王は[[C・C・ザイン]]の説を微修正して採用していた。日本では他に[[アビーネ藍]]、[[エトワール舟黎]]、[[弦エニシ]]もそれぞれ独自説だが、ともに辛島の説を微修正したものである。アビーネ藍は二つの説を紹介しておりもう一つは[[スニー・イデルス]]の説を微修正したものである。
[26] 문서 ウェイト版の場合。[[マルセイユ版タロット|マルセイユ版]]では番号が逆になる。
[27] 문서 세피로트의 경로와 카드의 관계에 대해서도 그 편성은 많은 설이 있다。
[28] 문서 바꿔 넣은 이유는 점성술과의 관계에서 봐 카드가 12별자리의 순서에 줄서도록 고려했기 때문이지만, 어레이스타 크로우리는 그 건에 대해 좋지 않은 것이라 비난 하고 있다.
[29] 문서 잘못된 표현이 산견되지만, 8번과 11번이 바뀐 것이 모두 '황금 여명회'의 계통이라는 것은 아니고, 반대로 '황금 여명회'와 관계한 것이라도 마르세유판과 같은 전통적인 차례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소 아르카나의 수찰에 부여된 도안에 대해서도 연리. 이러한 특징은 '황금 여명회'의 영향이 아니고, '웨이트판'의 영향이라는 것이 실태에 입각해서 적절하다.
[30] 문서 '바보'를 '심판'과'세계'의 사이에 두는 늘어놓는 순서는 각 카드로 대응시킨 히브리 문자의 알파벳 순서에 맞춘 것이다.
[31] 문서 웨이트는 0번(바보)을 시작해 20번과 21번의 사이에 두었다는 설이 있지만 이것은 잘못으로, 웨이트는 0번(바보)을 대 아르카나의 최초로 두었다. 처음 20번과 21번의 사이에 둔 것은 파퓨스이다.
[32] 문서 마르세유판 등에 기초를 두는 전통적인 해석과는 크게 어긋나 있는 부분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33] 문서 대략적으로는 7계통, 세세한 차이도 세면 22의 설이 있다. 파퓨스의 설은 [[카바라]] 문헌의 '[[형성의 책]]'에 근거한다는 설이 있지만 잘못으로, 엣티라의 설을 미수정한 것이다. 또 겉(표)의 예는 '황금 여명회'의 설이지만, 이 설의 수화풍의 3원소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로 천해명의 3행성을 맞힌 것은 [[폴 포스터 케이스]]이다. 대부분이 구미인이며 일본에서는 [[카라시마 요시오]]와 [[알렉산드리어 목성왕]]의 2대 타로사가 유명하다. 카라시마의 설은 [[메어리 베크위즈 코엔]]의 설을 독자적으로 수정한 것, 목성왕은 [[C. C. 자인]]의 설을 미수정해 채용하고 있었다. 일본에서는 그 밖에 [[아비네쪽]], [[에트워르 주려]], [[현인연]]도 각각 독자설이지만, 함께 카라시마의 설을 미수정한 것이다. 아비네쪽은 두 개의 설을 소개하고 있어 하나 더는 [[스니이 이데르스]]의 설을 미수정한 것이다.
[34] 문서 [[폴 포스터 케이스]]의 수정설에서는 [[천왕성]]
[35] 문서 폴 포스터 케이스의 수정설에서는 [[해왕성]]
[36] 문서 폴 포스터 케이스의 수정설에서는 명왕성
[37] 문서 폴 포스터 케이스의 수정설에서는 토성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