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검은 날과 자루로 구성된 칼날 무기를 통칭하며, 석기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청동기 시대에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철기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형태의 검이 제작되었다. 검은 형태, 용도, 시대, 지역 등에 따라 분류되며, 전투, 의식, 결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유럽에서는 레이피어, 스몰 소드 등이 사용되었고, 일본에서는 사무라이가 사용한 카타나, 타치 등이 유명하다. 검은 문화적 상징으로도 사용되며, 문학, 영화, 게임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소재로 활용된다.
석기시대에 이미 돌로 만든 칼이 사용되었으나,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 구리와 주석 합금으로 만든 검이 본격적으로 무기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검은 칼이나 단검보다 긴 날을 가지고 있으며, 초기에는 비소를 섞은 구리 합금으로 만들었다. 기원전 1700년경 미노아 문명에서는 길이가 100cm가 넘는 검이 제작되기도 했다.
검은 크게 칼날과 자루로 구성된다. 사용하지 않을 때 검날을 덮는 덮개는 ''칼집''이라고 한다.
2. 역사
유럽에서는 기원전 13세기경 북부 이탈리아의 테라마레 문화에서 처음 등장한 나우에 II형 검(그립쭝엔슈베르트)이 철기 시대까지 7세기 동안 널리 사용되었다. 이 검은 유럽에서 에게해 지역으로 수출되었고, 기원전 1200년경 청동기 시대의 붕괴 시기에는 우가리트까지 전해졌다.
중국에서는 상나라 때부터 청동검을 생산했으며, 전국 시대와 진나라 시대에 청동검 제작 기술이 절정에 달했다. 이 시기 중국에서는 높은 주석 함량의 청동을 사용하거나 칼날에 독특한 무늬를 새기는 등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자적인 기술을 발전시켰다. 인도에서는 인더스 문명 유적지에서 구리로 만든 검이 발견되었으며, 갠지스 강 유역에서도 청동검 유물이 발견되었다.
2. 1. 고대
1965년 중국 후베이성에서 발굴된 2,500년 전 월나라 왕 구천의 검은 대표적인 청동검 유물이다.[16] 한국의 고조선 시기에도 많은 청동검이 제작되었다. 철기 시대가 시작되면서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의 철검이 등장하였다.
인도에서는 고탄소강, 즉 다마스쿠스 강 검이 기원전 1천 년경부터 사용되었다.[20] 고대 그리스에서는 시포스, 로마 제국에서는 글라디우스와 스파타가 대표적인 검이었다.[22][23][24] 페르시아에서는 아키나케스가 사용되었으며,[28] 셀주크 왕조 시대에는 굽은 칼인 샴쉬르가 도입되었다. 중국에서는 서주 시대부터 철검이 등장했으며,[30]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 철검이 널리 사용되었다.[30]
2. 2. 중세
유럽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철기 시대까지 나우에 II형 검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철은 기원전 13세기부터 점점 더 흔해졌고, 이전에는 검의 사용이 덜 빈번했다. 철은 종종 충분한 탄소를 함유하고 있었음에도 담금질되지 않았지만, 망치질을 통해 청동처럼 경화되었다. 이는 강도와 경도 면에서 청동 검과 비교할 만하거나 약간 더 나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더 쉬운 생산과 원자재의 가용성은 처음으로 전체 군대를 금속 무기로 무장시키는 것을 허용했다.[18]
아랍에서는 사이프, 페르시아에서는 샴쉬르, 튀르크에서는 킬리치와 같은 굽은 칼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굽은 칼(스미터)의 초기 증거는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페르시아의 호라산 지역 군인들 사이에서 사용되었다.[48]
일본에서는 일본도가 발전했으며, 사무라이 계급의 상징적인 무기가 되었다. 일본은 13세기 초에 사무라이를 위해 제작한 칼로 유명했다. 서양 역사가들은 일본의 카타나가 세계 군사 역사상 가장 훌륭한 절삭 무기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55][56][57] 사무라이가 사용한 검의 종류에는 오다치(매우 긴 야전 검), 타치(긴 기병 검), 카타나(장검), 와키자시(카타나의 짧은 보조 검)가 있었다.[58]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환두대도가 사용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환도가 대표적인 검이었다. 중국의 ''검(劍)'' 또는 ''도(刀)''에서 파생된 대한민국의 ''환두대도''는 초기 중세 삼국 시대부터 알려져 있다.[54]
2. 3. 근대
레이피어는 16세기 후반 스페인의 ''에스파다 로페라'' 또는 이탈리아 귀족의 검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로 민간용 검이었다는 점에서 이전의 대부분의 검과 달랐다.[80][81] 레이피어와 이탈리아의 스키아보나는 손 보호를 위해 가드를 바스켓 모양의 가드로 발전시켰다.[110]
17세기와 18세기 동안 짧은 스몰 소드는 유럽 국가들과 신세계에서 필수적인 패션 액세서리가 되었지만, 스코틀랜드 고지대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바스켓 모양 가드를 가진 브로드소드와 같은 큰 검을 선호했으며, 대부분의 부유한 남성과 군 장교들은 허리띠에 하나씩 차고 다녔다. 스몰 소드와 레이피어는 18세기까지도 인기 있는 결투 검으로 남아 있었다.[82]
검을 착용하는 것이 유행에서 벗어나면서 지팡이가 신사의 옷장에 그 자리를 대신했다. 소드스틱으로 알려진 지팡이의 일부 예시에는 숨겨진 칼날이 포함되어 있기도 했다.
권총 결투가 등장하면서 결투 검은 결투 관습 자체가 사라지기 훨씬 전에 유행에서 벗어났다. 1770년경에 이르러 영국의 결투가들은 열정적으로 권총을 채택했고, 검 결투는 줄어들었다.[83] 그러나 에페를 사용한 결투 관습은 프랑스에서 20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현대 결투는 죽음을 목표로 싸우지 않았고, 결투가들의 목표는 상대방의 검을 든 팔에서 피를 흘리게 하는 것이었다.[84]
검은 전 세계 많은 군대 및 해군에서 장교들이 흔히 의례용품으로 착용한다. 검을 착용하는 경우는 사병들이 무기를 휴대하는 정복 착용 행사( 사열, 열병식, 군사재판, 타투, 지휘권 교체 등)가 있다. 또한 장교의 결혼식, 정복을 입고 교회에 갈 때도 흔히 착용하지만, 교회 안에서는 실제로 착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미국 해병대에서는 모든 장교가 검을 소지해야 하며, 정복을 착용하고 사병들이 무장하는 공식 사열 및 기타 의식에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보직에 따라 해병대 부사관(E-4 이상)도 검을 휴대해야 할 수 있으며, 검의 자루는 미국 해군 장교의 검과 유사한 패턴이지만, 실제로는 사브르이다. 미 해병대 모델 1859 NCO 검은 미국 재고에서 가장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지급된 날이 있는 무기이다.
3. 구성
한국의 검은 한쪽 면에 칼날이 있어 주된 공격 방법은 적을 베는 것이었다. 조선 정조 시대에 만들어진 무예 교본인 무예도보통지에는 여러 가지 검술이 기록되어 있다. 각 부분별 명칭은 왼쪽 그림과 같이 손잡이, 칼등, 칼날, 칼끝으로 불린다.
3. 1. 칼날
칼날은 적을 베거나 찌르는 데 사용되는 부분이다. 칼날의 형태는 시대와 지역,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풀러는 칼날의 무게를 줄이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홈이다.[101]
초기 철제 칼날은 당시의 제한적인 금속 기술로 인해 둥근 끝을 가지고 있었다. 이 칼날은 가볍게 갑옷을 입은 상대를 찌르는 데 여전히 효과적이었다. 갑옷이 발전함에 따라, 칼날은 좁고, 뻣뻣하며, 날카롭게 뾰족해져서 찌르기로 갑옷을 무력화하도록 제작되었다.
전용 베기 칼날은 넓고 얇으며, 종종 풀러라고 알려진 홈을 가지고 있어 칼날의 강성을 다소 희생하면서 칼날을 가볍게 만든다. 베기 검의 날은 거의 평행하다. 찌르기에 맞춰진 칼날은 더 두꺼운 칼날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강성을 높이기 위해 뚜렷한 중앙 늑골이 있고, 강한 테이퍼와 예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베기 검 칼날의 기하학적 구조는 예각의 날 각도를 허용한다. 더 예각의 날은 더 둔각의 날보다 전투 상황에서 더 빨리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예각의 날 각도는 칼날의 날카로움의 주요 요인이 아니다.[101]
타격점 (CoP)과 끝 부분 사이의 칼날 부분은 칼날의 ''포블'' (약점)이라고 불리며, 균형점 (CoB)과 자루 사이의 부분은 ''포르테'' (강점)이다. CoP와 CoB 사이의 부분은 ''가운데''라고 불린다.
''리카소'' 또는 ''어깨''는 가드 바로 아래에 있는, 완전히 날카롭게 처리되지 않은 짧은 칼날 부분을 식별한다. 많은 검에는 리카소가 없다. 독일의 ''츠바이핸더''와 같은 일부 대형 무기에서는, 리카소를 금속 덮개가 감싸고 있었으며, 검객은 근접 전투에서 무기를 더 쉽게 휘두르기 위해 한 손으로 잡을 수 있었다.[44] 리카소에는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의 마크가 새겨져 있다.
생크는 자루가 부착되는 칼날의 연장 부분이다.
일본도에서는, 제작자의 마크가 손잡이 아래의 생크에 나타난다.[102]3. 2. 자루
검자루는 칼날을 다루고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여기에는 손잡이, 폼멜, 그리고 간단하거나 정교한 가드가 포함된다. 바이킹 시대 이후의 검에서는 단순히 십자형 검파드 (십자형 검자루 또는 퀼론)로 구성될 수 있다. 폼멜은 원래 검이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11세기경부터 칼날의 균형을 잡아 더 유연한 스타일의 전투를 가능하게 했다.[103] 또한 근거리에서 둔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게는 타격점에 영향을 미친다. 이후 시대에는 때때로 ''검 매듭'' 또는 ''태슬''이 추가되었다.
17세기에는 총기 사용이 증가하고 갑옷 사용이 감소하면서 많은 레이피어와 결투용 검이 정교한 바스켓 힐트를 개발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을 보호하고 장갑을 쓸모없게 만들었다.[104] 반대로, 근세 일본의 검은 관례적으로 작은 원반형 가드, 즉 를 사용했다.
중세 후기 및 르네상스 시대 유럽 검에서는 ''채프'' 또는 ''레인 가드''라고 불리는 가죽 조각이 검의 십자형 검파드 밑부분에 부착되어 칼집 입구를 보호하고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았다.[105]3. 3. 칼집
칼집은 칼날을 보호하는 덮개이다. 칼집은 가죽, 나무,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106] 칼날이 가죽 또는 금속 칼집에 들어가는 금속 부속품을 목이라고 부르며, 휴대용 고리나 스터드가 있는 더 큰 칼집 마운트 또는 로켓의 일부인 경우가 많다. 가죽 칼집의 칼날 끝은 채프라고 하는 금속 팁으로 보호되며, 가죽과 금속 칼집 모두에서 드래그 또는 슈라고 하는 확장을 통해 마모로부터 추가적인 보호를 받는 경우가 많다.[106]
4. 종류
도검은 날의 형태, 자루의 형태, 용도, 시대, 지역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검은 칼이나 단검에서 발전했다. 청동기 시대(기원전 3000년경)에 구리와 청동 무기가 긴 잎 모양의 칼날과 칼날이 손잡이 형태로 연장된 손잡이로 제작되면서 검은 단검과 구별되기 시작했다. 칼은 칼날이 하나만 있는 반면, 단검은 두 개의 칼날이 있다는 점에서 단검과 다르다.[6] 영률(강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60cm보다 긴 칼날은 청동기 시대 후기까지는 희귀하고 실용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칼날이 길수록 쉽게 휘어졌다.[8] 단검에서 검으로의 발전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의심할 여지 없이 검으로 분류될 수 있는 최초의 무기는 기원전 1700년경으로 추정되는 미노아 크레타에서 발견된 것으로, 총 길이가 100cm 이상이다. 이들은 에게해 청동기 시대의 "A형" 검이다.[9][10]
유럽 청동기 시대의 가장 중요하고 오래 지속된 검 유형 중 하나는 ''나우에 II''형(이 검을 처음 설명한 율리우스 나우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으로, ''그립쭝엔슈베르트''(독: "손잡이 검")라고도 불린다. 이 유형은 기원전 13세기경 테라마레 문화 북부 이탈리아 (또는 일반적인 우른필드 문화 배경)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철기 시대까지 잘 살아남아 약 7세기 동안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금속 공학은 청동에서 철로 바뀌었지만 기본 디자인은 바뀌지 않았다.[11] 나우에 II 검은 유럽에서 에게해로 수출되었고, 기원전 1200년경, 즉 청동기 시대의 붕괴에서 궁궐 문화가 최종적으로 붕괴되기 몇십 년 전에 우가리트까지 수출되었다.[12] 나우에 II 검은 길이가 85cm에 달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표본은 60~70cm 범위에 속한다. 로버트 드루스는 남부 유럽에서 지중해로 확산된 나우에 II형 검을 청동기 시대의 붕괴와 연결시켰다.[13]
철은 기원전 13세기부터 점점 더 흔해졌다. 그 이전에는 검의 사용이 덜 빈번했다. 철은 망치질을 통해 청동처럼 경화되었으며, 강도와 경도 면에서 청동 검과 비교할 만하거나 약간 더 나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더 쉬운 생산과 원자재의 더 나은 가용성은 처음으로 전체 군대를 금속 무기로 무장시키는 것을 허용했다.[18]
중국 검 생산은 청동기 시대 상나라부터 증명되었다.[16] 청동 검 기술은 전국 시대와 진나라 시대에 절정에 달했다. 철검이 청동과 함께 만들어졌지만 철이 청동을 완전히 대체한 것은 한나라 초기에 이르러서였다.[30] 인도 아대륙에서 구리로 된 최초의 청동기 검은 남아시아 북서부 지역의 인더스 문명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검은 인도 아대륙의 갠지스 강 - 자무나 강 두아브 지역 전역의 고고학적 발견물에서 회수되었으며, 주로 청동으로 구성되었지만, 더 흔하게는 구리로 구성되었다.[17]
검은 자기 방어의 무기로서의 역할이 커졌으며, 검의 군사적 중요성은 근대에 들어서면서 꾸준히 감소했다. 개인용 휴대 무기로서도 검은 19세기 초 신뢰성 있는 권총의 개발과 함께 그 지위를 잃기 시작했다.[85]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시 참전한 모든 군대의 보병 장교들은 여전히 야전 장비의 일부로 검을 휴대했다. 그러나 검의 높은 가시성과 제한적인 실용성으로 인해 몇 주 안에 검이 버려졌지만, 대부분의 기병대는 전쟁 기간 내내 사브르를 계속 휴대했다. 검은 보병, 포병 및 기타 병과의 최소한 고위 장교들에게 계급과 지위의 상징으로 유지되었지만, 부대가 최전선에 도달하면 대개 불필요한 짐과 함께 남겨졌다.[90]
검과 기타 근접 무기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많은 국가에서 가끔 사용되었지만, 기존의 화기에 비해 성능이 떨어져 일반적으로 보조 무기로 사용되었다.[91][92][93] 주목할 만한 예외는 일본 제국 육군으로, 문화적인 이유로 모든 장교와 준사관은 1934년부터 1945년까지 신군도("신 군사 검")를 전투에 휴대했다.[94]
역사적인 검의 복제품 제작은 19세기 역사주의에서 시작되었다.[97] 현대의 복제품은 저렴한 공장 생산 모조품부터 역사적 생산 방식을 근사하게 재현한 개별 유물까지 다양하다. 일부 종류의 검은 오늘날에도 무기로 흔히 사용되며, 종종 군 보병의 보조 무기로 사용된다. 카타나, 와키자시, 단도는 일본 및 아시아 일부 지역의 보병 및 장교가 소지하고 있으며, 쿠크리는 네팔의 공식 근접 무기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다른 검으로는 사브르, 시미터, 단검, 마체테가 있다.[98]
대검은 일반적으로 휘두르기 위해 두 손이 필요한 모든 검, 또는 좀 더 구체적으로 16세기의 매우 큰 검을 의미한다.[103] 한손 반 검(통칭 "배스터드 소드")은 손잡이와 폼멜이 길게 늘어나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검이었다. 이러한 검은 완벽한 양손 그립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반대쪽 손으로 방패나 패링 대거를 잡거나, 더 강력한 일격을 위해 양손 검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39]
4. 1. 형태에 따른 분류
도검은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단도 등에 존재하는 양날칼은 양쪽에 날이 있지만, 좌우 대칭이 아니고 칼날(칼등) 부분에서 위로 휜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고가라스마루의 칼날양날칼도 칼날부위만큼 양쪽에 날이 있지만, 그 이후에는 외날이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정의로는 검에 속하게 되지만, 양쪽 모두 칼로 만들어진 것이며, 위의 정의에는 맞지 않지만 칼로 분류된다.[112]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에서 칼(劍, 지앤(劍), 검(검), 켄/쓰루기(剣))은 양날의 곧은 칼날 무기이며, 칼 또는 검(다오(刀), 도(도), 토/가타나(刀))은 외날의 물건을 가리킨다.[111]
4. 2. 용도에 따른 분류
전투에 사용되는 검으로는 글라디우스, 롱소드 등이 있다.[22][23][24][25] 의례나 행사에서 사용되는 검에는 칠지도 등이 있다. 결투에 사용되는 검에는 레이피어가 있다.[80][81]4. 3. 지역/시대에 따른 분류
일본도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검을 말한다. 13세기 초 사무라이라는 무사 계급을 위해 칼을 제작했는데, 서양 역사가들은 일본의 카타나가 세계 군사 역사상 가장 훌륭한 절삭 무기 중 하나였다고 평가했다.[55][56][57] 사무라이들이 사용했던 검의 종류로는 오다치(매우 긴 야전 검), 타치(긴 기병 검), 카타나(장검), 와키자시(카타나의 짧은 보조 검) 등이 있었다. 사무라이 계급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쓰루기(곧은 양날 검)와 초쿠토(곧은 외날 검)가 사용되었다.[58] 일본 검 제작은 카타나가 만들어진 15~16세기에 절정에 달했다.[59] 11세기 이전부터 고품질 일본 검이 주변 아시아 국가로 수출되었으며, 15세기에서 16세기까지 20만 개 이상의 검이 수출되어 양적으로 정점에 달했지만, 이 검들은 대량 생산된 단순한 검으로, 수출 및 징집된 농민(아시가루)에게 대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60][61][62]환도는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검으로, 중국의 ''도(刀)''에서 파생되었다. 초기 중세 삼국 시대부터 환두대도가 알려져 있다.
레이피어는 근세 유럽에서 유행한 결투용 검이다.
5. 한국의 검
6. 유명한 검
역사 속에 등장하는 유명한 검은 다음과 같다.
- 구천의 검: 오월동주, 와신상담 등의 고사로 유명한 월나라 왕 구천의 검이다.
- 줄피카르: 무함마드의 사촌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가 사용하던 검으로 이슬람에서 용맹성을 상징한다.
- 칠지도: 백제의 왕이 일본에 하사한 검이다.[115]
- 티조나: 에스파냐의 전설적인 영웅 엘 시드의 검이다.
- 주와이외즈: 프랑크 왕국의 왕 샤를마뉴의 검으로, 칼자루 안에 롱기누스의 창 창끝이 들어있다 한다.
- 엑스칼리버: 영국 전설의 아서 왕의 검이다.
- 흐룬팅: 영국 서사시 베오울프의 검이다.
- 쿠사나기: 일본 니혼쇼키에 등장하는 스사노오의 검이다.
6. 1. 역사 속의 검
- 구천의 검: 오월동주, 와신상담 등의 고사로 유명한 월나라 왕 구천의 검으로 1965년 중국에서 발굴되었다.[16]
- 줄피카르: 무함마드의 사촌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가 사용하던 검으로 이슬람에서 용맹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이미지로 사용된다.
- 칠지도: 백제의 왕이 일본에 하사한 검이다.[115]
- 티조나: 에스파냐의 전설적인 영웅 엘 시드의 검이다.
- 주와이외즈: 프랑크 왕국의 왕 샤를마뉴의 검으로, 칼자루 안에 예수의 옆구리를 찌른 롱기누스의 창의 창끝이 들어있다 한다.
6. 2. 전설과 문학 속의 검
영국 전설에서 아서 왕의 검으로 알려진 엑스칼리버가 있다.[114] 영국 서사시에 등장하는 베오울프의 검으로는 흐룬팅이 있다.[114] 일본의 니혼쇼키에는 스사노오의 검인 쿠사나기가 등장한다.[114]판타지에서는 신화와 전설을 바탕으로 마법검이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검의 SF적 대응물은 에너지 검(때로는 "빔 소드" 또는 "레이저 소드"라고도 함)으로 알려져 있는데, 칼날이 집중된 에너지로 구성되거나 강화된 검이다. 이러한 유형의 검의 잘 알려진 예로는 ''스타 워즈'' 프랜차이즈에 등장하는 광선검이 있다.[114]
7. 검과 관련된 문화
검은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는 상징적인 물건이며,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현대에도 검은 의례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전 세계 많은 군대와 해군에서 장교들은 사열이나 타투, 지휘권 교체, 결혼식 등의 행사에서 의례용품으로 검을 착용한다.
미국 해병대에서는 1825년 제1차 바르바리 전쟁 중 데르나 점령에 해병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을 기념하여 맘루크 검을 채택하였고, 1855년부터 1875년까지의 중단 기간을 제외하고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95] 모델 1859 NCO 검은 미국에서 가장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지급된 날이 있는 무기이다.
7. 1. 상징
검은 권력, 정의, 용기, 명예 등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이슬람 문화에서 줄피카르는 용맹성을 상징한다.시크교에서는 칼을 매우 존경받는 대상으로 여긴다.[111] 한쪽 날을 가진 칼은 ''키르판''(kirpan)이라 부르며, 양날 칼은 ''칸다''(khanda) 또는 ''테가''(tegha)라고 부른다.[111]
7. 2. 예술
검은 문학, 영화, 게임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소재로 사용된다. 아서 왕 전설의 엑스칼리버, 베오울프의 흐룬팅, 일본 니혼쇼키에 등장하는 스사노오의 쿠사나기 등 많은 이야기에서 검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114]판타지에서는 신화와 전설에 근거하여 마법검이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검의 SF적 대응물은 에너지 검(때로는 "빔 소드" 또는 "레이저 소드"라고도 함)으로 알려져 있는데, 칼날이 집중된 에너지로 구성되거나 강화된 검이다. 이러한 유형의 검의 잘 알려진 예로는 ''스타 워즈'' 프랜차이즈에 등장하는 광선검이 있다.[114]
7. 3. 현대 문화
검은 전 세계 많은 군대 및 해군에서 장교들이 의례용품으로 착용한다. 사병들이 무기를 휴대하는 정복 착용 행사(예: 사열, 열병식, 군사재판, 타투, 지휘권 교체 등)에서 검을 착용한다. 또한 장교의 결혼식, 정복을 입고 교회에 갈 때도 흔히 착용하지만, 교회 안에서 실제로 착용하는 경우는 드물다.영국군에서는 궁정에 나타날 때도 검을 착용한다. 미국에서는 중령 이상의 모든 해군 장교가 검을 소지해야 하며, 공식 야외 의례 행사에서 착용할 수 있다. 보통 지휘권 교체 및 사열에 착용한다. 일부 해군 사열에서는 커틀러스가 부사관과 선임 부사관에게 지급된다.
미국 해병대에서는 모든 장교가 검을 소지해야 하며, 정복을 착용하고 사병들이 무장하는 공식 사열 및 기타 의식에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보직에 따라 해병대 부사관(E-4 이상)도 검을 휴대해야 할 수 있으며, 검의 자루는 미국 해군 장교의 검과 유사한 패턴이지만, 실제로는 사브르이다. 미 해병대 모델 1859 NCO 검은 미국 재고에서 가장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지급된 날이 있는 무기이다.
해병대 장교 검은 맘루크 패턴으로, 이는 제1차 바르바리 전쟁 중 트리폴리 도시 데르나 점령에 해병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을 인정하여 1825년에 채택되었다.[95] 1855년부터 1875년까지 약 20년 동안 지급이 중단되었다가 해병대 창설 100주년에 복원되어 이후 계속 지급되고 있다.
판타지에서는 신화와 전설에 근거하여 마법검이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검의 SF적 대응물은 에너지 검(때로는 "빔 소드" 또는 "레이저 소드"라고도 함)으로 알려져 있는데, 칼날이 집중된 에너지로 구성되거나 강화된 검이다. 이러한 유형의 검의 잘 알려진 예로는 ''스타 워즈'' 프랜차이즈에 등장하는 광선검이 있다.[114]
8. 같이 보기
참조
[1]
웹인용
https://web.archive.[...]
2017-03-13
[2]
웹사이트
The Myth of Thrusting versus Cutting Swords
https://www.thearma.[...]
[3]
웹사이트
Focus on the M1917/M1941 Cutlass
https://www.angelfir[...]
[4]
간행물
"The collapse of the 4th millennium centralised system at Arslantepe and the far-reaching changes in 3rd millennium societies"
[5]
서적
The Domestication of Metals: The Rise of Complex Metal Industries in Anatolia
https://books.google[...]
BRILL
2024-01-15
[6]
웹사이트
sword
https://www.britanni[...]
2022-05-01
[7]
서적
Tools of War: History of Weapons in Ancient Times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6-05-12
[8]
서적
"Breverton's Encyclopedia of Inventions: A Compendium of Technological Leaps, Groundbreaking Discoveries and Scientific Breakthroughs that Changed the World"
https://books.google[...]
Quercus
2012-04-26
[9]
서적
Tools of War: History of Weapons in Ancient Times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6-05-12
[10]
논문
The First Aegean Swords and Their Ancestry
https://www.jstor.or[...]
1961
[11]
서적
Sword: Tell about sword in human history
https://books.google[...]
Putra Ayu
2021-03-30
[12]
간행물
A sword of Naue II type from Ugarit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alian type Weaponry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13]
서적
The end of the Bronze Age: changes in warfare and the catastrophe ca. 1200 B.C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논문
Tales of Hoards and Swordfighters in Early Bronze Age Scandinavia: The Brand New and the Broken
[15]
논문
Crafting Swords. The emergence and production of full-hilted swords in the Early Nordic Bronze Age
2016-12
[16]
서적
Studies of Shang Archaeology
Yale University Press
[17]
문서
Allchin
[18]
문서
Burton
[19]
서적
How Ancient Europeans Saw the World : Vision, Patterns, and the Shaping of the Mind in Prehistoric Times
Princeton UP
2017
[20]
논문
High-carbon steel and ancient sword-making as observed in a double-edged sword from an Iron Age megalithic burial in Tamil Nadu, India
[21]
문서
Prasad
[22]
서적
Hoplites: the classical Greek battle experi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Publishing
2010-11-18
[23]
서적
The Roman army at war: 100 BC–AD 20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11-18
[24]
서적
The Roman Army of the Principate 27 BCE–CE 117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0-11-18
[25]
서적
Medieval Latin: an introduction and bibliographical guide
https://books.google[...]
CUA Press
2010-11-18
[26]
서적
Tools of War: History of Weapons in Ancient Times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6-05-12
[27]
문서
Naish
[28]
서적
Armies of the Thracians and Dacians, 500 BC to AD 150: History, Organization and Equipment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Military
2021-06-30
[29]
서적
Tools of War: History of Weapons in Ancient Times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6-05-12
[30]
웹사이트
A Study of Chinese Weapons Cast During Pre-Qin and Han Periods in the Central Plains of China
http://www.arscives.[...]
2010-11-03
[31]
서적
The archaeology of Celtic Britain and Ireland, c. CE 400–12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Writing society and culture in early Rus, c. 950–130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11-14
[33]
논문
Pattern-Welding and Damascening of Sword-Blades: Part 1 Pattern-Welding
1960-02
[34]
서적
Medieval Germany: an encyclopedia
Routledge
[35]
문서
Gravett
[36]
서적
A Dictionary of Symbols
Courier Dover Publications
[37]
서적
The Scandinavian Baltic Crusades 1100–1500
Osprey Publishing
[38]
서적
The Complete Encyclopedia of Arms & Weapons: The Most Comprehensive Reference Work Ever Published on Arms and Armour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ent – with Over 1,200 Illustrations
Simon & Schuster
[39]
문서
McLean, p. 178.
[40]
웹사이트
Transkription von cgm582
http://www.pragmatis[...]
Pragmatische Schriftlichkeit
2010-11-10
[41]
웹사이트
15th Century English Combat Manuscripts
http://www.mymartial[...]
The English Martial Arts Academy
2010-11-10
[42]
문서
Miller, Douglas; John Richards. ''Landsknechte 1486–1560''.
[43]
웹사이트
Greate Pier fan Wûnseradiel
http://www.wunseradi[...]
Gemeente Wûnseradiel
2008-01-04
[44]
서적
The Landsknechts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45]
문서
The term ''cut & thrust'' is a non-historical classification first used within The [[Association for Renaissance Martial Arts]] to differentiate cutting swords with compound hilts from true rapiers.
[46]
웹사이트
Practical Side Sword
http://shop.fencing.[...]
Fencing.net
2010-11-22
[47]
서적
Sultan, Shah, and Great Mughal: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Islamic world
National Museum
[48]
서적
Daily life in the medieval Islamic world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49]
웹사이트
Takouba - Swords of the Saharan Tuareg
http://www.vikingswo[...]
1998-03-15
[50]
웹사이트
What is a takouba?
http://takouba.org/
Takouba Research Society
[51]
서적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https://books.google[...]
Mitchell
[52]
서적
Odwira and the Gospel: A Study of the Asante Odwira Festival and Its Significance for Christianity in Ghana
https://books.google[...]
OCMS
[53]
웹사이트
I. The history, significance and usage of Asante royal regalia continued
https://britishmuseu[...]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2019-04-10
[54]
서적
Samurai, warfare and the state in early medieval Japan
Routledge publishing
[55]
서적
Katana: The Samurai Sword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56]
서적
Weapon: A Visual History of Arms and Armor
https://books.google[...]
DK Publishing
[57]
문서
Bryant, Anthony J.; Angus McBride. ''Samurai 1550–1600'', p. 49.
[58]
서적
The connoisseur's book of Japanese swords
Kodansha International publishing
[59]
서적
The connoisseur's book of Japanese swords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2010-11-18
[60]
뉴스
日本の技術の精巧さは...
https://web.archive.[...]
Mainichi Shimbun
2016-03-27
[61]
서적
Wokou
Kodansha
[62]
간행물
歴史人
2020-09
[63]
문서
Murty, M. L. K. (2003), p. 91.
[64]
서적
Sikhism
Black Rabbit Books
[65]
웹사이트
Wind-Powered Furnaces
http://www.archaeolo[...]
archaeology.org
2010-11-06
[66]
문서
Stone and LaRocca, p. 229.
[67]
문서
Evangelista, p. 575.
[68]
논문
Ancient and Awesome Indo-Pakistani Weapons
1980-03
[69]
논문
Valorous Sports Metro Plus Madurai
http://www.hindu.com[...]
[70]
웹사이트
Kampilan
http://old.blades.fr[...]
old.blades.free.fr
2007-03-13
[71]
웹사이트
Traditional Filipino Weapons
http://www.marcialti[...]
Philippine Martial Arts Institute
2012-05-04
[72]
웹사이트
A History and Style Guide of Kali
http://martialarts.a[...]
About.com
2012-05-04
[73]
웹사이트
"Säbel, 'Dusägge', Deutsch Ende 16. Jahrhundert"
http://www.waffensam[...]
[74]
서적
"The Early Basket Hilt in Britain" in: ''Scottish Weapons and Fortifications''
[75]
서적
Imperial Armies of the Thirty Years' War (2): Cavalry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76]
웹사이트
Pappenheimer Sword
http://www.myarmoury[...]
2016-12-30
[77]
웹사이트
Collections Explorer – Object Detail (HEN.M.219-1933, id:1)
http://www.fitzmuseu[...]
2012-01-01
[78]
웹사이트
Walloon Swords
http://www.myarmoury[...]
2016-12-30
[79]
웹사이트
Statens försvarshistoriska museer
http://www.sfhm.se/
2016-12-30
[80]
문서
Kirkland p. 17
[81]
문서
Green pp. 583–84
[82]
서적
The rapier and small-sword, 1460–1820
Arms and Armour Press
[83]
웹사이트
pbs.org
https://www.pbs.org/[...]
[84]
간행물
People: Apr. 28, 1967
http://www.time.com/[...]
1967-04-28
[85]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Sword"
http://www.britannic[...]
2010-11-10
[86]
서적
Imperialism and war: essays on colonial wars in Asia and Africa
Brill
[87]
서적
Great powers and little wars: the limits of power
Greenwood Publishing Group
[88]
서적
British Military Swords from 1800 to the Present Day
Hutchinson & Co.
[89]
서적
The Guns of August
Constable and Co. Ltd.
[90]
서적
The Belgian Army in the Great War. Portable Service Weapons
Verlag Militaria GmbH
[91]
서적
German Swords of World War II – A Photographic Reference Vol.3: DLV, Diplomats, Customs, Police and Fire, Justice, Mining, Railway, etc.
Schiffer Pub Ltd
[92]
서적
Japanese Army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0-11-18
[93]
서적
Battles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ABDO Publishing
2010-11-18
[94]
서적
The Japanese Army 1931-45 (1)
https://archive.org/[...]
Bloomsbury USA
[95]
서적
United States Marine Corps
Osprey Publishing
[96]
서적
The Complete Golden Dawn System of Magic vol. Four
New Falcon Publications (Falcon Press)
1990
[97]
서적
Philosophy of Technology and Engineering Sciences
Elsevier Publishing
[98]
서적
The Gurkhas
Osprey Publishing
[99]
웹사이트
All About Knife Tangs
https://knife-depot.[...]
2018-12-02
[100]
웹사이트
Tang Types of a Sword
http://www.gungfu.co[...]
gungfu.com
2010-11-07
[101]
웹사이트
Concerning the Sharpness of Blades
http://www.hroarr.co[...]
HROARR
2014-05-18
[102]
서적
The Samurai sword: a handbook
Tuttle Publishing
[103]
서적
Swords and Swordsmen
Pen & Sword Books
[104]
서적
Swords and daggers: an illustrated handbook
Courier Dover Publications
[105]
문서
Burton, p. 124
[106]
서적
Swords of the British Army: the regulation patterns, 1788–1914
Arms and Armour Press
[107]
문서
[108]
보고서
Uniform dress and appearance regulations for the Royal Air Force
https://rmhistorical[...]
Ministry of Defence
[109]
보고서
Royal Navy Book of Reference
https://www.royalnav[...]
2018-10
[110]
Q
[111]
서적
The turban and the sword of the Sikhs: Essence of Sikhism
Amritsar
[112]
서적
European Weapons and Armour
Lutterworth Press
[113]
서적
Medieval Military Technolog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14]
뉴스
Lightsabre wins the battle of movie weapons
https://www.telegrap[...]
2008-01-26
[115]
문서
일본에서 하사한 것이란 설도 있으나 한국에서 하사한 검이라는 견해가 올바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