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호 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호 처리는 정보를 담고 있는 함수 또는 데이터의 흐름인 신호를 조작하고 분석하는 기술이다. 17세기 수치 해석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1940~50년대 디지털 제어 시스템을 거쳐 발전했다. 1948년 클로드 섀넌의 논문을 통해 통신 시스템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1960~70년대에 성숙하여 1980년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칩과 함께 널리 사용되었다. 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연속 시간, 이산 시간, 비선형 신호 등으로 분류되며, 통신, 멀티미디어, 의료, 지구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주요 기술 요소로는 필터, 변환, 표본화 및 양자화, 압축 등이 있으며, 미분 방정식, 선형 대수학, 확률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이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통신 이론 - 대역폭 (신호 처리)
    대역폭은 주파수 영역에서 함수의 퍼짐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통신 분야에서는 변조된 반송파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범위, 다른 분야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유지하거나 저하가 발생하는 주파수 범위를 의미하며, 다양한 측정 방식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전기통신 이론 - 채널 (통신)
    채널은 정보원에서 수신자로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 물리적 분리나 다중화를 통해 구현된 단일 경로를 포함하며, 유선, 무선, 디지털, 아날로그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 미디어 기술 - 정보기술
    정보기술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축적, 획득, 조작, 전달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분야이며, 다양한 산업에 응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프로젝트 관리의 어려움과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미디어 기술 - 디지털 미디어
    디지털 미디어는 기계적 코드 구상에서 시작하여 휴대전화, 인터넷 등으로 발전하며 디지털 혁명을 이끌었고, 콘텐츠 제작 참여를 증대시켰지만, 저작권 침해, 디지털 격차 등 윤리적, 사회적 문제도 야기한다.
  • 신호 처리 - 대역폭 (신호 처리)
    대역폭은 주파수 영역에서 함수의 퍼짐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통신 분야에서는 변조된 반송파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범위, 다른 분야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유지하거나 저하가 발생하는 주파수 범위를 의미하며, 다양한 측정 방식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신호 처리 - 선형 시불변 시스템
    선형 시불변 시스템은 선형성과 시불변성을 만족하는 시스템으로, 임펄스 응답으로 특성화되며, 컨볼루션, 주파수 영역 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고, 통신, 신호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신호 처리
개요
정의전기 공학의 한 분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의 분석, 합성, 변환 및 해석을 다룬다.
주요 목표
목표원하는 정보 추출
불필요한 정보 제거
응용 분야음성 처리
이미지 처리
통신
의료 영상
지진학
레이더
소나
금융 공학
인공지능
신호의 종류
연속 신호모든 시간 값에서 정의되는 신호
이산 신호특정 시간 값에서만 정의되는 신호
신호 처리 방법
시간 영역 분석시간 축에서 신호를 분석하는 방법
주파수 영역 분석주파수 축에서 신호를 분석하는 방법
스펙트럼 밀도 추정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파악하는 방법
주요 기술
필터링신호에서 특정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거나 강조하는 기술
변조 및 복조신호를 전송에 적합하게 변환하거나 원래 신호로 되돌리는 기술
압축신호의 크기를 줄여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쉽게 만드는 기술
특징 추출신호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
수학적 기초
기초선형 대수학, 미적분학, 확률 및 통계학
관련 분야
관련 분야정보 이론
제어 이론
통계 신호 처리
추가 정보
노이즈가 섞인 코사인 신호
노이즈가 섞인 코사인 신호
스펙트럼 밀도 추정
스펙트럼 밀도 추정 결과 (주파수 성분 분석)

2. 역사

앨런 V. 오펜하임과 로널드 W. 셰이퍼는 신호 처리의 원리가 17세기 고전적인 수치 해석 기법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러한 기법이 디지털 형태로 정교해진 것은 1940년대와 1950년대의 디지털 제어 시스템에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3]

1948년, 클로드 섀넌은 ''벨 시스템 기술 저널''에 "통신의 수학적 이론"이라는 영향력 있는 논문을 발표했다.[4] 이 논문은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개발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의 기반을 마련했다.[5]

신호 처리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성숙하고 발전했으며, 1980년대에는 특수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칩과 함께 디지털 신호 처리가 널리 사용되었다.[5]

3. 신호의 정의 및 분류

신호는 정보를 담고 있는 함수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의미한다. 신호는 함수 x(t)로 표현되며,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한다.[6]


  • 결정적 신호
  • 확률 과정 (X_t)_{t \in T}의 실현값인 경로 (x_t)_{t \in T}


신호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연속 시간 신호와 이산 시간 신호,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필터의 특성에 따라 선형 필터와 비선형 필터, 인과적 필터와 비인과적 필터, 시불변 필터와 시변 필터, 안정적 필터와 불안정적 필터, FIR 필터와 IIR 필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1.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아날로그 신호 처리는 20세기 대부분의 라디오, 전화 및 텔레비전 시스템에서와 같이 디지털화되지 않은 신호에 대한 처리이다. 이는 선형 전자 회로뿐만 아니라 비선형 회로도 포함한다. 선형 회로의 예로는 패시브 필터, 액티브 필터, 가산 믹서, 적분기, 지연선 등이 있다. 비선형 회로에는 컴팬더, 승산기(주파수 믹서, 전압 제어 증폭기), 전압 제어 필터, 전압 제어 발진기, 위상 고정 루프 등이 포함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는 디지털화된 이산 시간 표본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다.[1] 처리 과정은 범용 컴퓨터 또는 ASIC, FPGA,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디지털 회로를 통해 이루어진다.[1] 일반적인 산술 연산에는 고정 소수점과 부동 소수점, 실수 및 복소수의 곱셈과 덧셈이 포함된다.[1] 하드웨어에서 지원하는 다른 일반적인 연산으로는 원형 버퍼와 룩업 테이블이 있다.[1] 알고리즘의 예로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 유한 임펄스 응답(FIR) 필터, 무한 임펄스 응답(IIR) 필터, 비너 및 칼만 필터와 같은 적응 필터가 있다.[1]

3. 2. 연속 시간 및 이산 시간 신호

연속 시간 신호 처리는 연속적인 영역(일부 중단된 점은 고려하지 않음)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신호에 대한 것이다.

이산 시간 신호 처리는 시간상의 이산적인 점에서만 정의되는 표본화된 신호를 대상으로 하며, 따라서 시간적으로는 양자화되지만 크기는 양자화되지 않는다.

아날로그 이산 시간 신호 처리는 샘플 홀드 회로, 아날로그 시분할 멀티플렉서, 아날로그 지연선, 아날로그 피드백 시프트 레지스터와 같은 전자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디지털 신호 처리의 전신이며, 여전히 기가헤르츠 신호의 고급 처리에 사용된다.[7]

이산 시간 신호 처리의 개념은 양자화 오차를 고려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에 대한 수학적 기반을 확립하는 이론적 학문을 가리키기도 한다.

3. 3. 기타 분류

비선형 신호 처리는 비선형 시스템에서 생성된 신호의 분석 및 처리를 포함하며, 시간, 주파수, 또는 시공간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8][9] 비선형 시스템은 분기, 카오스, 고조파, 저조파를 포함한 매우 복잡한 동작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선형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하거나 분석할 수 없다.

다항식 신호 처리는 비선형 신호 처리의 한 유형으로, 다항식 시스템은 선형 시스템을 비선형 사례로 개념적으로 간단하게 확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10]

시간 영역과 공간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처리 기법은 필터링을 통한 입력 신호의 강화이다. 필터링은 일반적으로 특정 (입력 또는 출력) 샘플에 대해 그 주변 샘플을 변환하여 구성된다. 필터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특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선형 필터와 비선형 필터: "선형" 필터는 입력 샘플열에 선형 변환을 적용한다. 그 외의 필터는 "비선형"이다. 선형 필터는 중첩의 원리를 만족한다. 즉, 입력에 여러 신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을 때, 선형 필터를 통과한 출력에도 동일한 여러 신호가 동일한 선형 비율로 포함된다.
  • 인과적 필터와 비인과적 필터: "인과적" 필터는 시계열상 과거 샘플만을 사용하여 처리한다. "비인과적" 필터는 시계열상 미래 샘플도 사용하여 처리한다. 비인과적 필터는 지연을 추가하여 인과적 필터로 변환할 수 있다.
  • 시불변 필터와 시변 필터: "시불변" 필터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일정한 특성을 가진다. 그 외 적응 필터 등은 시간에 따라 변한다.
  • 안정적 필터와 불안정적 필터: "안정적" 필터와 "불안정적" 필터가 있다. 안정적 필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출력을 생성하거나 특정 범위의 값을 생성한다. 불안정적 필터는 발산하는 출력을 생성한다.
  • FIR 필터와 IIR 필터: "유한 임펄스 응답"(FIR) 필터는 입력 신호만을 사용하는 반면, "무한 임펄스 응답"(IIR) 필터는 입력 신호와 더불어 이전의 출력 신호도 사용한다. FIR 필터는 항상 안정적이지만, IIR 필터는 불안정한 경우가 있다.


많은 필터는 Z 영역(주파수 영역의 상위 개념)의 전달 함수로 기술될 수 있다. 필터는 점화식으로도 기술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FIR 필터의 출력은 입력 신호와 임펄스 응답의 컨벌루션으로 계산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필터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면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해당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4. 신호 처리 분야

신호 처리는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세분화된다.


  • 통계학적 신호 처리: 신호를 확률 과정으로 취급하여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다.
  • 오디오 신호 처리: 음성, 음악 등 소리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처리한다.[12]
  • 회화 신호 처리: 그림이나 사진 등의 정지 영상 신호를 처리한다.
  • 영상 처리: 디지털 카메라, 컴퓨터 등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12]
  • 배열 처리: 여러 센서로 구성된 배열을 이용한다.
  • 시간-주파수 신호 처리: 시간에 따라 주파수 특성이 변하는 신호를 분석한다.
  • 필터링: 입력 신호의 특정 부분을 강화한다.
  • 진동성 신호 처리: 진동성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처리한다.
  • 데이터 마이닝: 통계학적 신호 처리를 이용하여 대규모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한다.


섬세한 신호 처리


이 외에도 비디오 처리, 무선 통신, 제어 시스템, 공정 제어, 지진학, 특징 추출, 품질 개선, 소스 코딩, 게놈 신호 처리[13], 지구물리학에서의 신호 처리[14][15] 등이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처리는 OSI 모델의 물리 계층(변조, 등화, 다중화 등), 데이터 링크 계층(오류 정정 부호화), 표현 계층(소스 코딩,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데이터 압축 포함)에서 발생할 수 있다.

4. 1. 통계적 신호 처리

'''통계적 신호 처리'''는 신호를 확률 과정으로 취급하고, 그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신호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다.[11] 통계적 기법은 신호 처리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촬영 시 발생하는 잡음의 확률 분포를 모델링하고,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기법을 구성하여 결과 이미지의 잡음을 줄일 수 있다.

4. 2. 오디오 신호 처리

음성이나 음악 등 소리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12] 음향 기술 분야에서는 디지털 녹음 및 편집, 음악 CD 제작, MP3 등 음성 파일 압축, 스마트폰용 음성 인식 등에 사용된다. 세부적으로는 음성 합성, 음성 인식, 음성 부호화 등이 포함된다.

4. 3. 회화 신호 처리

정지 영상 , 즉 그림이나 사진 등의 신호를 처리한다.

4. 4. 영상 처리

디지털 카메라, 컴퓨터 및 다양한 이미징 시스템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개선, 분석, 인식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12] 영상 향상 및 잡음 감소 등의 품질 개선과 영상 압축 등이 포함된다.[12] JPEG 등의 영상 파일 압축과 영상 편집, 영상 인식, 디지털 비디오 등에 사용된다.

의료 기술에서는 X선 CT 및 MRI 등의 단층 촬영, 초음파 검사 등에 활용된다.

4. 5. 배열 처리

배열 처리는 여러 개의 센서로 구성된 배열을 이용하여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4. 6. 시간-주파수 신호 처리

시간-주파수 신호 처리는 시간에 따라 주파수 특성이 변하는 신호를 분석한다. 시간-주파수 분석은 비정상 신호 분석에 유용하다.

4. 7. 필터링 (신호 처리)

필터링은 입력 신호의 특정 부분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샘플 주변의 샘플 값을 변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다음과 같은 특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선형 필터와 비선형 필터: 선형 필터는 입력 샘플에 선형 변환을 적용한다. 선형 필터는 중첩 원리를 만족하여, 입력에 여러 신호가 섞여 있을 때 출력에도 같은 신호들이 같은 비율로 나타난다. 비선형 필터는 이와 달리 중첩 원리를 따르지 않는다.
  • 인과적 필터와 비인과적 필터: 인과적 필터는 과거의 샘플만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반면, 비인과적 필터는 미래의 샘플도 사용한다. 비인과적 필터에 지연을 추가하면 인과적 필터로 만들 수 있다.
  • 시불변 필터와 적응 필터: 시불변 필터는 시간에 따라 특성이 변하지 않지만, 적응 필터는 시간에 따라 특성이 변한다.
  • 안정적 필터와 불안정적 필터: 안정적 필터는 시간이 지나면서 특정 값으로 수렴하거나 특정 범위 내의 값을 출력하는 반면, 불안정적 필터는 발산하는 출력을 생성한다.
  • 유한 임펄스 응답(FIR) 필터와 무한 임펄스 응답(IIR) 필터: FIR 필터는 입력 신호만 사용하는 반면, IIR 필터는 입력 신호와 이전 출력 신호를 모두 사용한다. FIR 필터는 항상 안정적이지만, IIR 필터는 불안정할 수 있다.


많은 필터는 주파수 영역의 상위 개념인 Z 영역에서 전달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필터는 점화식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FIR 필터의 출력은 입력 신호와 임펄스 응답의 컨벌루션으로 계산할 수 있다. 필터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면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해당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4. 8. 진동성 신호 처리

진동성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처리한다.

4. 9.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 마이닝은 통계학적 신호 처리를 이용하여 대규모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5. 신호 처리 응용

신호 처리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5. 1. 통신

무선 통신에서 파형 생성, 변조, 복조, 필터링, 등화 등에 사용된다.[12]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처리는 다음과 같은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5. 2.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는 오디오, 비디오 압축, 영상 처리, 음성 인식 등 멀티미디어 기술 전반에 활용된다.

5. 3. 의료

의료 기술에는 X선 CT, MRI 등의 단층 촬영, 초음파 검사, 뇌파, 뇌자도 분석 등이 있다.

5. 4. 지구과학



지구물리학에서 신호 처리는 지구물리 데이터의 시계열 측정에서 잡음에 대한 신호를 증폭하는 데 사용된다. 처리는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수행되거나, 둘 다에서 수행되기도 한다.[14][15] 지진 데이터 처리 등에 활용된다.

5. 5. 기타 응용 분야

6. 신호 처리 방법

신호 처리는 미분 방정식[16], 점화식[17], 변환 이론, 시간-주파수 분석[18], 스펙트럼 추정[19], 통계적 신호 처리, 선형 시불변 시스템 이론, 다항식 신호 처리, 시스템 식별[8], 미적분학, 부호, 복소 분석[20], 벡터 공간 및 선형 대수학[21], 함수 해석[22], 확률확률 과정, 탐지 이론, 추정 이론, 최적화[23], 수치 해석, 시계열, 데이터 마이닝 등 다양한 수학적, 공학적 방법을 통해 수행된다.

비선형 신호 처리(비선형 시스템)는 비선형 시스템에서 생성된 신호의 분석 및 처리를 포함하며, 시간, 주파수, 또는 시공간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8][9] 비선형 시스템은 분기, 카오스, 고조파, 저조파를 포함한 매우 복잡한 동작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선형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하거나 분석할 수 없다. 다항식 신호 처리는 비선형 신호 처리의 한 유형으로, 다항식 시스템은 선형 시스템을 비선형 사례로 개념적으로 간단하게 확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10]

'''통계적 신호 처리'''는 신호를 확률 과정으로 취급하고, 그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신호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다.[11] 통계적 기법은 신호 처리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촬영 시 발생하는 잡음의 확률 분포를 모델링하고,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기법을 구성하여 결과 이미지의 잡음을 줄일 수 있다.

6. 1. 시간 영역 처리

시간 영역에서의 신호 처리는 신호의 시간적 변화를 직접 분석하고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영역에서는 필터링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입력 신호를 강화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필터링은 특정 샘플 주변의 샘플 값을 변환하여 수행된다. 필터는 다음과 같은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선형 필터와 비선형 필터: 선형 필터는 입력 샘플에 선형 변환을 적용하며, 중첩의 원리를 만족한다. 즉, 입력에 여러 신호가 섞여 있을 때, 출력에도 같은 비율로 여러 신호가 나타난다. 비선형 필터는 이러한 선형 관계를 따르지 않는다.
  • 인과적 필터와 비인과적 필터: 인과적 필터는 과거의 샘플만을 사용하여 처리한다. 반면, 비인과적 필터는 미래의 샘플도 사용한다. 비인과적 필터는 지연을 추가하여 인과적 필터로 만들 수 있다.
  • 시불변 필터와 적응 필터: 시불변 필터는 시간에 따라 특성이 변하지 않는다. 적응 필터는 시간에 따라 특성이 변한다.
  • 안정적 필터와 불안정적 필터: 안정적 필터는 시간이 지나면서 특정 값으로 수렴하거나 특정 범위 내의 값을 출력한다. 불안정적 필터는 발산하는 출력을 낼 수 있다.
  • 유한 임펄스 응답(FIR) 필터와 무한 임펄스 응답(IIR) 필터: FIR 필터는 입력 신호만을 사용하는 반면, IIR 필터는 입력 신호와 이전 출력 신호를 함께 사용한다. FIR 필터는 항상 안정적이지만, IIR 필터는 불안정할 수 있다.


필터는 Z 영역의 전달 함수나 점화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R 필터의 출력은 입력 신호와 임펄스 응답의 컨벌루션으로 계산 가능하다. 필터는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여 하드웨어 구현에 활용할 수도 있다.

6. 2. 주파수 영역 처리

푸리에 변환을 통해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푸리에 변환은 신호 정보를 각 주파수의 크기와 위상으로 변환한다. 푸리에 변환 결과에 대해 각 주파수의 크기 성분을 제곱하여 파워 스펙트럼으로 변환하는 경우가 많다.[1]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는 목적은 신호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기술자는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신호에 존재하는 주파수 성분과 부족한 주파수 성분을 알 수 있다.[1]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 변환 기법에는 켑스트럼 분석 등이 있다. 켑스트럼은 입력 신호를 푸리에 변환으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그 로그를 취한 후 다시 역푸리에 변환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매우 약한 주파수 성분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상관 함수에서 푸리에 변환을 통해 파워 스펙트럼 밀도 또는 그 역이 성립한다(Wiener-Khintchine 정리).[1]

6. 3. 시간-주파수 영역 처리

주파수 해석은 신호를 주파수 성분의 선형 결합으로 변환하여 분석하는 기법이다. 시간-주파수 영역 처리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비정상 신호)의 주파수 성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짧은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변환하고 분석하는 기법이다.

  • 기법
  • '''푸리에 변환 관련'''
  • 단시간 푸리에 변환/가보르 변환: 신호를 일정 구간으로 나누고, 구간별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주파수 성분의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 비정상 가보르 변환
  • '''웨이블릿 변환'''
  • Constant-Q 변환(정Q 변환): 주파수 성분의 간격이 Constant-Q(~로그)인 시각-주파수 분석
  • 이산 코사인 변환
  • 희소 모델링
  • 표현
  • 스펙트로그램: 가로축을 시간, 세로축을 주파수로 하여 성분의 강도(magnitude)를 밝기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 Rainbowgram: 스펙트로그램에 위상 정보를 추가한 그래프이다.
  • 요소 기술·기초 이론
  • 창 함수: 신호에서 특정 시간·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함수이다.
  • 프레임(Frame): 기저의 일반화 개념을 다루는 선형대수학의 기초 이론이다.

6. 4. 기타 처리 방법

비선형 신호 처리(비선형 시스템)는 비선형 시스템에서 생성된 신호의 분석 및 처리를 포함하며, 시간, 주파수, 또는 시공간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8][9] 비선형 시스템은 분기, 카오스, 고조파, 저조파를 포함한 매우 복잡한 동작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선형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하거나 분석할 수 없다.

다항 신호 처리는 비선형 신호 처리의 한 유형으로, 다항식 시스템은 선형 시스템을 비선형 사례로 개념적으로 간단하게 확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10]

'''통계적 신호 처리'''는 신호를 확률 과정으로 취급하고, 그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신호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다.[11] 통계적 기법은 신호 처리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촬영 시 발생하는 잡음의 확률 분포를 모델링하고,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기법을 구성하여 결과 이미지의 잡음을 줄일 수 있다.

7. 주요 기술 요소

신호 처리는 필터, 변환, 표본화 및 양자화, 압축 등 다양한 기술 요소를 활용한다.


  • 필터: 특정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차단한다. FIR, IIR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선형/비선형, 인과성/비인과성, 시변성/시불변성, 안정성/불안정성 등으로 분류된다.[1]
  • 변환: 신호를 다른 영역으로 옮겨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푸리에 변환, 켑스트럼, 단시간 푸리에 변환, 웨이블릿 변환, Constant-Q 변환, 스펙트로그램 등이 시각-주파수 분석에 사용된다.[1]
  • 표본화 및 양자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신호를 이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표본화는 연속적인 시간 신호를, 양자화는 연속적인 크기 신호를 이산적으로 변환한다.[1]
  • 압축: 데이터 중복성을 제거하여 크기를 줄인다. 오디오 압축(MP3MP3|엠피쓰리영어), 영상 압축(JPEGJPEG|제이펙영어, MPEGMPEG|엠펙영어) 등이 있다.[1]

7. 1. 필터 (신호 처리)

필터는 특정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FIR, IIR 등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있다.[1]

시간 영역과 공간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처리 기법은 필터링을 통한 입력 신호의 강화이다. 필터링은 일반적으로 특정 (입력 또는 출력) 샘플에 대해 그 주변 샘플을 변환하여 구성된다. 필터는 다양한 특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1]

  • 선형 및 비선형: "선형" 필터는 입력 샘플열에 선형 변환을 적용한다. 그 외의 필터는 "비선형"이다. 선형 필터는 중첩 원리를 만족한다. 즉, 입력에 여러 신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을 때, 선형 필터를 통과한 출력에도 동일한 여러 신호가 동일한 선형 비율로 포함된다.[1]
  • 인과성: "인과적" 필터는 시계열상 과거 샘플만을 사용하여 처리한다. "비인과적" 필터는 시계열상 미래 샘플도 사용하여 처리한다. 비인과적 필터는 지연을 추가하여 인과적 필터로 변환할 수 있다.[1]
  • 시변성: "시불변" 필터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일정한 특성을 가진다. 그 외 적응 필터 등은 시간에 따라 변한다.[1]
  • 안정성: "안정적" 필터와 "불안정적" 필터가 있다. 안정적 필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출력을 생성하거나 특정 범위의 값을 생성한다. 불안정적 필터는 발산하는 출력을 생성한다.[1]
  • FIR 및 IIR: "유한 임펄스 응답"(FIR) 필터는 입력 신호만을 사용하는 반면, "무한 임펄스 응답"(IIR) 필터는 입력 신호와 더불어 이전 출력 신호도 사용한다. FIR 필터는 항상 안정적이지만, IIR 필터는 불안정한 경우가 있다.[1]


많은 필터는 Z 영역(주파수 영역의 상위 개념)의 전달 함수로 기술될 수 있다. 필터는 점화식으로도 기술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FIR 필터의 출력은 입력 신호와 임펄스 응답의 컨벌루션으로 계산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필터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면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해당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1]

7. 2. 변환

신호 처리는 다양한 변환 이론을 사용하여 신호를 분석하고 처리한다. 이러한 변환은 신호를 다른 영역으로 옮겨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 '''푸리에 변환''':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정현파의 선형 결합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할 수 있다.
  • '''켑스트럼''': 신호에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후, 그 로그를 취하고 다시 역푸리에 변환을 적용한다. 이는 매우 약한 주파수 성분을 강조하는 데 유용하다.
  • '''시각-주파수 분석''':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비정상 신호)의 주파수 성분 변화를 분석한다.
  • '''단시간 푸리에 변환/가보르 변환''': 신호를 일정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별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다.
  • '''웨이블릿 변환'''
  • '''Constant-Q 변환(정Q 변환)''': 주파수 성분의 간격이 로그 스케일인 시각-주파수 분석 기법이다.
  • '''스펙트로그램''': 가로축을 시간, 세로축을 주파수로 하여 신호 성분의 강도를 밝기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필터를 통해 신호에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면 시간 영역 또는 공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푸리에 변환은 신호 정보를 각 주파수의 크기와 위상으로 변환하며, 각 주파수의 크기 성분을 제곱하여 파워 스펙트럼으로 변환하기도 한다.

자기 상관 함수는 푸리에 변환을 통해 파워 스펙트럼 밀도와 관련된다(Wiener-Khintchine 정리).

7. 3. 표본화 및 양자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신호 취득 및 재구성을 위해 사용되며, 여기에는 물리적 신호를 측정하고 디지털 신호로 저장하거나 전송하고, 나중에 원래 신호 또는 그 근사치를 재구성하는 과정이 포함된다.[1]

표본화는 연속적인 시간 신호를 이산적인 시간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고, 양자화는 연속적인 크기 신호를 이산적인 크기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1]

7. 4. 압축

신호 압축은 데이터의 중복성을 제거하여 크기를 줄이는 기술이다.[1] 오디오 압축(MP3MP3|엠피쓰리영어), 영상 압축(JPEGJPEG|제이펙영어, MPEGMPEG|엠펙영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1]

참조

[1] 논문 Lung sound classification using cepstral-based statistical features 2016-08-01
[2] 서적 Discrete-Time Signal Processing Prentice Hall
[3] 서적 Digital Signal Processing Prentice Hall
[4] 웹사이트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 CHM Revolution https://www.computer[...] 2019-05-13
[5] 서적 Fifty Years of Signal Processing: The IEEE Signal Processing Society and its Technologies, 1948–1998 https://signalproces[...] The IEEE Signal Processing Society
[6] 서적 Discrete Communication System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Microwave & Millimeter-wave Circuits and Systems https://microwavelab[...] 2024-10-20
[8] 서적 Nonlinear System Identification: NARMAX Methods in the Time, Frequency, and Spatio-Temporal Domains Wiley
[9] 논문 A New Approach to Signal Processing of Spatiotemporal Data IEEE Xplore
[10] 서적 Polynomial Signal Processing Wiley 2000-05-01
[11] 서적 Statistical signal processing: detection, estimation, and time series analysis Addison–Wesley
[12] 논문 Optimization of data-driven filterbank for automatic speaker verification 2020-09-01
[13] 논문 Genomic signal processing IEEE
[14] 서적 Applied geo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An Introduction to Applied and Environmental Geophysics Wiley-Blackwell
[16] 서적 Foundations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Theory, Algorithms and Hardware Design https://books.google[...] IET
[17] 서적 Digital Signal Processing: An Experimental Approach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1-08
[18] 서적 Time frequency signal analysis and processing a comprehensive reference Elsevier
[19] 서적 Spectral Analysis of Signals http://user.it.uu.se[...] Prentice Hall
[20] 서적 Statistical Signal Processing of Complex-Valued Data: The Theory of Improper and Noncircular Signa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2-04
[21] 서적 Machine Learning for Signal Processing: Data Science, Algorithms, and Computational Statistic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9-08-13
[22] 서적 The Mathematics of Signal Process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Convex Optimization in Signal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간행물 信号理論とは,それら信号の特徴を解析,処理するための基礎理論であり,[[情報通信]],システム制御,信号処理などにおける基盤となるものである. http://www.ieice-hbk[...] 電子情報通信学会 知識の森 1群5編 信号理論 全体概要
[25] 웹사이트 https://app.journal.[...]
[26] 웹사이트 http://www.ieice-hbk[...]
[27] 서적 Digital Signal Processing Prentice Ha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