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다역은 일본 도쿄도 마치다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JR 동일본 요코하마선과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선이 지나간다. 1908년 하라마치다역으로 개업하여 1980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JR선과 오다큐선이 환승 가능한 역이다. 2019년 기준 JR선은 하루 평균 약 11만 명, 오다큐선은 약 29만 명이 이용하며, 역 주변에는 상업 시설과 공공 시설이 밀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치다시의 철도역 - 스즈카케다이역 스즈카케다이역은 가나가와현 마치다시에 있는 도쿄 급행 전철 덴엔토시선의 역으로, 1972년 개업 당시 종착역이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고, 역명은 인근 도쿄 과학 대학 스즈카케다이 캠퍼스에서 유래되었으며 하루 평균 10,351명이 승하차한다.
마치다시의 철도역 - 쓰쿠시노역 쓰쿠시노역은 1968년 개업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2019년 스크린도어 설치 및 준급 열차 정차를 시작했고, 주변은 도큐 그룹이 주택지로 개발했으며, 하루 평균 11,544명이 이용한다.
요코하마선 - 나가쓰타역 나가쓰타역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 요코하마 선, 도큐 덴엔토시 선, 고도모노쿠니 선의 환승역으로, JR 동일본, 도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가 운영하며, 요코하마 선의 특정 도구 시내 제도상 "요코하마 시내"의 서쪽 끝 지점에 해당하고, 인근에 나가쓰타 검차구가 있다.
요코하마선 - 나카야마역 (가나가와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미도리구에 있는 나카야마역은 JR 동일본 요코하마 선과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그린라인의 환승역으로, 요코하마 선은 하치오지 및 요코하마 방면을, 그린라인은 히요시역 방면을 운행하며 1908년 개업 후 환승역으로서 지역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오다큐 오다와라선 - 신주쿠역 신주쿠역은 1885년 개업하여 JR 동일본, 게이오 전철 등 5개 회사의 노선이 운행되는 도쿄도 신주쿠구의 주요 철도역으로, 하루 평균 347만 명이 이용하는 세계적인 터미널역이다.
오다큐 오다와라선 - 가키오역 가키오역은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아사오구에 위치한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선의 역으로, 1927년 개업하여 아사오구에서 가장 오래된 역 중 하나이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976년4월 11일, 오다큐선 신하라마치다역이 '''마치다역'''으로 이름을 변경했고, 같은 해 9월 23일에는 현재의 역 건물과 오다큐 백화점이 문을 열었다. 1980년4월 1일, JR 하라마치다역이 오다큐선 마치다역 쪽으로 이전하면서 '''마치다역'''으로 개칭되었고, 두 역 간 환승 거리가 700m에서 300m로 단축되었다.[2][3]
2014년1월 오다큐선에 역 번호가 도입되면서 마치다역은 OH27을 부여받았고,[4][5]2016년에는 요코하마선 플랫폼에 역 번호 JH23이 부여되었다.[6][7]
2. 1. JR 동일본
1908년9월 23일, 요코하마 철도 히가시카나가와역 - 하치오지역 구간 개통과 함께 '''하라마치다역'''(はらまちだえき)으로 처음 개업했다.[2]1980년4월 1일, 오다큐선 마치다역 (구 신하라마치다역) 쪽으로 이전하면서 '''마치다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7][13]
오다큐 오다와라 선은 신주쿠에서 오다와라까지 운행하며 이 역을 지난다. 오다큐선 역은 1927년 4월 1일 '''신하라마치다역(新原町田駅)'''으로 개업했으며, 1976년 4월 11일 마치다역으로 개칭되었다. 현재의 역 건물과 오다큐 백화점은 1976년 9월 23일에 문을 열었다.[2] 2014년 1월 오다큐선에 역 번호가 도입되면서 마치다역은 OH27번을 부여받았다.[4][5]
마치다역은 오다큐 전철과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의 역으로, 두 역 모두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오다큐 마치다역은 고가 승강장이며, JR 마치다역은 교상 역사이다.
JR 마치다역 플랫폼은 1980년 역사를 이전할 때 이전되었으며, 유효장은 10량 편성분 (220m)이다.[43] 2021년 현재 모든 열차가 8량 편성으로 운행되어 요코하마 쪽 2량분에는 전락 방지책이 설치되어 있다. 2020년 12월 25일부터 1번선과 4번선에 개량형 "스마트 스크린도어"가 도입되었다.[29]
개찰구는 중앙 개찰구와 터미널 개찰구 (구 하라마치다역 부근) 2곳이며, 각각 2층에 있다. 중앙 개찰구는 북쪽(오다큐 마치다역 서쪽 출구, 버스 센터 쪽)이 중앙구 북쪽 출구, 남쪽(요도바시 쪽)이 중앙구 남쪽 출구이다. 보행자 데크 지붕 설치로 북쪽 출구 역명 표시는 이전보다 보기 어렵고, 남쪽 출구 역명 표시는 2013년 철거 후 재설치되지 않았다. 터미널 개찰구는 2014년2월 9일 역 원격 조작 시스템(현 고객 지원 콜 시스템) 도입으로 원격 대응을 위해 개찰 직원이 종일 부재 중이다.[46][47]
2005년부터 배리어 프리 대응 개수 공사가 종료되어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전용 통로가 설치되었고, 신설된 콘코스 옆에는 NewDays, BECK'S COFFEE SHOP 등이 개업했다. 화장실 개수와 냉난방 설치 공사도 완료되었다.
3. 1. JR 동일본
JR 마치다역 남쪽 출구 (2005년 11월)
JR 동일본 마치다역은 1908년9월 23일에 개업했다.[2]1980년 국철 하라마치다역이 이곳으로 이전하면서 마치다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18] 역 건물은 승강장 위에 수직으로 위치해 있으며, 직원이 있는 티켓 오피스인 "미도리노 마도구치"가 있다.[1]
바깥쪽 2선(1번선과 4번선)이 주 본선, 안쪽 2선(2번선과 3번선)이 부본선(대피선)으로 되어 있다.
운전 번선
영업 번선
히가시카나가와 방면 착발
하시모토・하치오지 방면 착발
비고
1
8량분
출발 가능
도착 가능
상행 주본선
2
8량분
도착・출발 가능
도착・출발 가능
상행 부본선
3
8량분
도착・출발 가능
출발 가능
하행 부본선
4
8량분
도착 가능
출발 가능
하행 주본선
안쪽 선로(대피선) 중 2번선은 상하행 모두 발착 가능하며, 3번선은 상행 방면으로부터의 도착 및 상하행 출발이 가능하다.
1번선에서는 야간 체박이 이루어진다. 하치오지발 당역 종착 막차가 1번선에 도착하여 다음날 아침 히가시카나가와행(평일), 이소고행(토휴일)으로 운용된다. 따라서 1번선에 열차가 정차 중인 이른 아침 시간대는 모든 상행 열차가 2번선에서 출발한다.
플랫폼은 1980년 역사를 이전할 때 이전되었으며, 유효장은 10량 편성분 (220m)이 확보되어 있다.[43] 2021년 현재 모든 열차가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기 때문에 요코하마 쪽 2량분에는 전락 방지책이 설치되어 있다. 2020년 12월 25일부터 1번선과 4번선에 개량형 "스마트 스크린도어"를 도입했다.[29]
개찰구는 중앙 개찰구와 터미널 개찰구 (구 하라마치다역 부근)의 2곳으로, 각각 2층에 있다. 중앙 개찰구는 북쪽 (오다큐 마치다역 서쪽 출구, 버스 센터 쪽)이 중앙구 북쪽 출구, 남쪽 (요도바시 쪽)이 중앙구 남쪽 출구가 되고 있다. 보행자 데크상의 지붕 설치에 따라 북쪽 출구의 역명 표시는 이전보다 보기 어려워졌다. 남쪽 출구의 역명 표시는 2013년에 철거된 이후 재설치되지 않았다. 터미널 개찰구는 2014년2월 9일 역 원격 조작 시스템 (현 고객 지원 콜 시스템)의 도입에 따라, 원격 대응을 위해 개찰 직원은 종일 부재 중이다.[46][47] 중앙 개찰구 부근에 미도리의 창구와 지정석 발권기가 설치되어 있다.
2005년부터 이어지던 배리어 프리 대응 개수 공사는 종료되어,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전용 통로가 설치되었으며, 신설된 콘코스 옆에는 NewDays, BECK'S COFFEE SHOP등이 개업했다. 동시에 화장실의 개수와 냉난방 설치 공사도 완료되었다.
요코하마선은 모든 정기 여객 열차가 정차한다.
3. 2. 오다큐 전철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선 열차가 정차하며, 4개의 선로를 갖춘 2개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역 건물은 슈퍼마켓과 백화점을 포함하고 있다.
1927년 4월 1일, 쓰루카와와 마치다 주민들의 요청으로 '''신하라마치다역'''으로 처음 개업했다.[13] 개업 초기부터 다양한 열차 등급이 정차했으며, 1929년 오다큐 에노시마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1944년 전쟁으로 급행 운행이 중지되기도 했으나, 전후 준급, 급행, 통근급행 등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정차했으며, 1971년에는 특급 "아사기리"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1976년 4월 11일, 역 이름을 '''마치다역'''으로 변경하고 역 건물이 완공되었다. 1980년에는 국철 하라마치다역이 이곳으로 이전하면서 현재의 마치다역이 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시설 개선이 이루어져, 2001년 엘리베이터 설치, 2002년 쇼난 급행 정차, 2004년 쾌속 급행 및 구간 준급 정차, 2005년 특급 로망스카 정차 등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2010년대에는 역 시설 현대화가 진행되어, 2011년 오다큐 마르셰 마치다가 개관하고, 2016년에는 풀 컬러 LED식 행선 안내 표시 장치가 설치되었다. 2018년에는 통근 준급이 신설되었고, 2022년부터는 스크린도어 설치가 시작되어 2024년에 완료되었다.
'하라마치다'에 새로 설치된 역이라는 의미로 '신하라마치다'로 개설되었다. 이후, 마치다시의 현관으로 역 주변이 발전함에 따라 역의 대규모 개량 공사 완공을 반년 앞둔 1976년 4월에 '마치다'로 개칭되었다.
플랫폼은 1980년 역사를 이전할 때 이전되었으며, 유효장은 10량 편성분 (220m)이 확보되어 있다.[43] 하지만 2021년 현재 모든 열차가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기 때문에 요코하마 쪽 2량분에는 전락 방지책이 설치되어 있다. 4번선에 JR 동일본 메카트로닉스가 개발한 "스마트 스크린도어"를 시범 도입하기로 결정하여, 2016년 12월 17일 시발부터 차장 측 1량분에 시범 도입되었다.[25] 이후 기기 개량을 거쳐, 2017년 7월 29일 시발부터 하치오지 쪽 2개의 문을 제외한 1개 편성분[26], 2017년 9월 23일 시발부터 하치오지 쪽 최전부 2개의 문으로 확대되었다.[27] 2020년 1월 12일에 4번선에 도입된 "스마트 스크린도어"는 일단 철거되었고, 2020년 12월 25일부터 1번선과 4번선에 개량형이 도입되었다.[29]
개찰구는 중앙 개찰구와 터미널 개찰구 (구 하라마치다역 부근)의 2곳으로, 각각 2층에 있다. 중앙 개찰구는 북쪽 (오다큐 마치다역 서쪽 출구, 버스 센터 쪽)이 중앙구 북쪽 출구, 남쪽 (요도바시 쪽)이 중앙구 남쪽 출구가 되고 있다. 남쪽 출구의 요도바시 카메라 쪽 (하치오지 쪽)의 상행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는 개업에 맞춰 자비로 설치한 것으로, 현지에는 기증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현재는 사가미하라시가 유지 관리를 하고 있다.[44][45] 보행자 데크상의 지붕 설치에 따라 북쪽 출구의 역명 표시는 이전보다 보기 어려워졌다. 또한 남쪽 출구의 역명 표시는 2013년에 철거된 이후 재설치되지 않았다. 터미널 개찰구는 Suica 도입 후에도 유인 개찰구였으나, 2006년경에 자동 개찰기를 설치함에 따라 대응했다. 2014년2월 9일 역 원격 조작 시스템 (현: 고객 지원 콜 시스템)의 도입에 따라, 터미널 개찰구는 원격 대응을 위해 개찰 직원이 종일 부재 중이다.[46][47] 중앙 개찰구 부근에 미도리의 창구와 지정석 발권기가 설치되어 있다.
2005년부터 배리어 프리 대응 개수 공사가 종료되어,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전용 통로가 설치되었으며, 신설된 콘코스 옆에는 NewDays, BECK'S COFFEE SHOP, 주서 (JEFB)가 개업했다. 동시에 화장실 개수와 냉난방 설치 공사도 완료되었다. 개수 전 설치되었던 하치오지 쪽 엘리베이터는 홈과 역 사무실을 연결하는 휠체어 사용자 전용[19]이었으며, 에스컬레이터는 상행만 있었다. 개수 전 에스컬레이터 부분은 현재 계단이 되었다.
요코하마선은 모든 정기 여객 열차가 정차한다.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 운전되었던 임시 열차 "하마카이지"는 설정 당시부터 정차역이었다.
4. 이용 현황
2019 회계 연도에 JR역은 하루 평균 110,899명이 이용(승차 승객만)하였고,[8] 같은 기간 동안 오다큐역은 하루 289,419명이 이용했다.[9] 2023년 기준, JR 동일본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98,307명'''으로,[177]요코하마선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다. 오다큐 전철의 1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254,478명'''으로,[59]신주쿠역, 요요기우에하라역에 이어 3위이다.
JR 요코하마선과 오다큐 오다와라선을 갈아탈 때 연락 승차권·정기권 등을 구매할 수 없었으나, 2008년 3월 15일부터 마치다역 경유 연락 정기권 구매가 가능해졌다.[53][54] 그러나 연락 정기권 외의 연락 승차권은 여전히 구매할 수 없어, IC 카드·IC 정기권 소지자 외에는 불편함이 남아있다. 이는 요코하마선과 오다큐선이 개업 시부터 별도 역으로 취급되었기 때문이다.
2023년 3월 18일부터 일부를 제외한 JR선과 연락 회사선의 연락 승차권 발매가 종료되었다.
2개 회사를 합산한 2020년도의 1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35만 명으로, 마치다시뿐만 아니라 다마 지역 철도 노선 전체 역에서 가장 많다.
역 남부는 가나가와현사가미하라시이다. 역세권에는 사카이 천, 마치다 시립 국제 판화 미술관, 마치다 시민 홀, 마치다 시립 병원 등이 있다.
5. 1. 개요
마치다역은 JR 요코하마선과 오다큐 오다와라선이 교차하는 마치다시의 중심역으로, 다마 지역의 주요 역 중 하나이다. JR 요코하마선은 모든 영업 열차가, 오다큐 오다와라선은 일부 특급 로망스카를 제외한 모든 영업 열차가 정차한다. 오다큐선에서는 3번째[10], 요코하마선에서는 1번째 승하차 인원을 자랑하며, 두 회사를 합산한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45만 명으로 다마 지역에서 가장 많다. 오다큐와 JR 역은 도보로 5분 정도 떨어져 있으며, 두 역을 연결하는 보행자 데크는 환승객과 쇼핑객으로 유동 인구가 매우 많다.
미나미타마 지역의 거점역으로 기능하며, 역 주변은 백화점과 전문점, 음식점 등이 밀집한 수도권 굴지의 번화가로 발전하여[11], 시내뿐만 아니라 가나가와현현앙 지역에서도 많은 쇼핑객을 모으고 있다. 오다큐 역사는 오다큐 백화점 마치다점과 직결되어 있다. 노선 버스의 거점이기도 하며, 많은 가나츄 버스가 이 역을 출발하거나 종착한다. 가나가와현사가미하라시와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JR선 남쪽 출구 역 앞 일부 주소는 사가미하라시미나미구 가미쓰루마혼초가 된다. 또한 두 철도 노선 모두 가나가와현을 경유해야 도쿄도의 다른 자치체로 갈 수 있다.
5. 2. 주요 시설
사카이 천[178]
마치다 시립 국제 판화 미술관
마치다 시민 홀
마치다 시립 병원
5. 2. 1. 상업 시설
오다큐 백화점, 루미네, 마루이 등 대형 상업 시설과 음식점 등이 오다큐와 JR 역을 중심으로 다수 밀집해 있다. 역 주변은 다마 지역 유수의 상업 지구로, 미나미타마 지역뿐만 아니라 가나가와현 중앙이나 요코하마시 북서부(부소 지역)의 거점으로서도 번성한다.
JR 마치다역 역 빌딩 - 루미네
오다큐 마치다역 역 빌딩 - 오다큐 백화점
현재의 역 주변은 가마쿠라 시대부터 가마쿠라 가도의 숙소로 번성한 마치다 촌의 일부 주민이 1580년대에 개척하여 하라마치다 촌이 생긴 곳이다. 그 후 에도 시대 말기 쇄국 해제 직후부터 비단의 길(생사)의 중계지, 집산지로서 번성하여, 현재의 하라마치다 2초메 부근에는 많은 상점이 들어섰다.
메이지 시대 이후 요코하마선이나 오다큐선이 개업하면서 역 인근의 발전이 급속하게 시작되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주택 공급 공사나 일본 주택 공단에 의해 시내에 다수의 대규모 집합 주택이 건설되면서, 여러 백화점, 슈퍼마켓이 잇따라 역 앞으로 진출하여 상업 지구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 오늘날에는 오다큐 백화점이나 마치다 도큐 트윈즈를 비롯하여 루미네, 마루이, MODI, 세이유, 요도바시 카메라, 빅카메라, 돈키호테, 조르나, BOOK・OFF 등의 대형 점포가 늘어서 있으며, 옛날부터 서민적인 상점가나 젊은 층을 위한 가게도 다수 밀집해 있다. 도민뿐만 아니라 가나가와 현민도 많이 방문하는 일본에서도 손꼽히는 상업 지구로서, 오다큐선 연선으로는 신주쿠 다음으로 2번째, 요코하마선 연선에서는 최대 규모이다. 이처럼 당역 주변은 많은 젊은 층을 위한 상업 시설이 집중되어 있어, "'''서쪽의 시부야'''"라고 불리기도 한다.[179][180]
2007년 4월에는 마치다역 남 교차점 부근에서 폭력단 조직원에 의한 총격 사건 (마치다시 농성 사건)이 발생해, 범인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경찰관과 경시청의 특수 수사반이 출동하고 인근 지역이 통제되는 등 큰 소동이 일어났다. 총격 사건 발생 후에는 역 주변 각지에 경찰관이 배치되어 치안이 강화되고 있다.
미나미타마 지역의 거점역으로 기능하며, 역 주변은 백화점과 전문점, 음식점 등이 밀집한 수도권 굴지의 번화가로 발전했기 때문에[11], 시내뿐만 아니라 가나가와현현앙 지역에서도 많은 쇼핑객을 모으고 있다.
JR 동일본과 오다큐 전철 간에는 연락 운수 협정이 맺어지지 않아, JR 요코하마선과 오다큐 오다와라선을 갈아타는 경우 연락 승차권·정기권 등을 구매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각 승차권 (회수 승차권 및 자기·Suica·PASMO 각 정기권 포함)은 별도로 구매해야 했다. 이 때문에 양사에서 Suica나 패스넷이 도입되기 전에는 환승객의 승차권 구매 대기줄로 인해 자동 발권기 주변이 매우 혼잡해져 자유 통로를 통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2014년 현재에도 연락 정기권 외의 연락 승차권 종류는 구매할 수 없으므로, IC 카드·IC 정기권 소지자 외의 불편한 상황은 변함이 없다.
정기권 외의 연락 운수가 설치되지 않은 것은 요코하마선과 오다큐선이 개업 시부터 현재까지 별도 역 취급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비슷한 예로 신코시가야역과 미나미코시가야역, 아키쓰역과 신아키쓰역 등이 있다.
2023년3월 18일부터 일부를 제외한 JR선과 연락 회사선의 연락 승차권 발매를 종료했다.
도쿄도마치다시와 가나가와현사가미하라시 (옛 무사시국과 사가미국)의 경계인 사카이가와는 한때 격하게 굴곡져 있었으며, 하천 개수로 유로가 직선화된 후에도 양 시 사이에서는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도현 경계가 매우 복잡하게 남아 있다.
역에서 조금 걸어가면 녹지와 공원이 많이 존재해 녹음이 풍부한 거리로서의 일면도 있다. 역 주변에 있는 세리가야 공원에는 마치다 시립 국제 판화 미술관이 있으며, 고금 동서의 많은 판화가 상설 전시되어 있다. 한편, 역 주변 상공은 아쓰기 해군 비행장으로의 항공로가 되어 있어, 폭음을 듣고 하늘을 올려다보면 군용기의 하부를 볼 수 있다. 1964년에는 당시 번화가 (현재의 터미널 부근)에서 군용기 추락 사고 (마치다 미군기 추락 사고)가 발생해, 사고 현장 주변에 있던 4명이 사망하는 참사도 있었다.
JR 요코하마 선 마치다역 북쪽 출구 - 마치다 마루이 측 보행자 데크 아래의 파칭코점 라쿠엔 앞에 있다.
JR 요코하마 선 마치다역 남쪽 출구 - 남쪽 출구 동쪽 계단 아래에 있다. 마치다시보다 사가미하라시나 국도 16호선 연선 방면으로 가는 데 편리하다.
JR 요코하마 선 마치다역 터미널 출구 - 보행자 데크 북서쪽 계단 아래의 훼미리마트 마치다역 앞 큰 길점 앞에 있다.
이 외에도 심야 시간에는 오다큐 선 마치다역 북쪽 출구의 리소나 은행 앞에 택시가 대기하고 있어, 이곳에서도 승차가 가능하다.
7. 인접역
마치다역은 JR 동일본 요코하마선과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각 노선별로 역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데, JR 동일본 요코하마선은 '''JH 23'''이고,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선은 '''OH 27'''이다.
JR 동일본 요코하마선 쾌속 열차는 나가쓰타역 (JH 21)에서 '''마치다역''' (JH 23)을 거쳐 사가미하라역 (JH 27)으로 가고, 각역정차 열차는 나루세역 (JH 22)에서 '''마치다역''' (JH 23)을 거쳐 고부치역 (JH 24)으로 간다.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선의 특급 로망스카 중 하코네, 사가미, 모닝웨이, 메트로 하코네 일부 열차가 정차하고, 홈웨이, 메트로 모닝웨이, 메트로 홈웨이 전 열차가 정차한다. 쾌속급행・급행 열차는 신유리가오카역 (OH 23)에서 '''마치다역''' (OH 27)을 거쳐 사가미오노역 (OH 28)으로 간다. 통근준급・준급・각역정차 열차는 다마가와가쿠엔마에역 (OH 26)에서 '''마치다역''' (OH 27)을 거쳐 사가미오노역 (OH 28)으로 간다. (통근준급은 평일 아침 상행만, 준급은 평일 밤 하행만 운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