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다큐 오다와라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다큐 오다와라선은 신주쿠역에서 오다와라역까지 82.5km를 잇는 노선이다. 1927년 개통 이후 복선화, 복복선화 사업을 거쳐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JR 조반선 등과 직결 운행한다. 특급 로망스카를 포함해 쾌속급행, 급행, 각역정차 등 다양한 열차 종별이 운행되며, 여성 전용 차량도 운영된다. 주요 운행 구간은 신주쿠역 - 신유리가오카역이며, 이 외 구간은 연선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2022년 기준, 세타가야다이타 - 시모키타자와 구간의 혼잡률은 128%이며, 복복선화 사업을 통해 혼잡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다큐 전철의 철도 노선 -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게이오 이노카시라선은 게이오 전철의 노선으로 도쿄도 시부야역과 무사시노시 기치조지역을 연결하며 17개 역으로 구성, 급행 및 각역정차 열차가 운행된다.
  • 오다큐 전철의 철도 노선 - 오다큐 에노시마선
    오다큐 에노시마선은 사가미오노역과 가타세에노시마역을 연결하는 오다큐 전철 노선으로, 사가미하라시, 야마토시, 후지사와시를 잇고, 특급 로망스카를 포함한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며 에노시마로 가는 주요 교통 수단이다.
  • 192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난부선
    난부선은 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가 운영하는 총 연장 45.0km의 철도 노선으로, 가와사키역에서 다치카와역을 잇는 본선과 싯테역에서 하마카와사키역을 잇는 지선으로 구성되며, 1,067mm 협궤에 28개의 역이 있고, 1927년 개통되어 현재 E233계, E127계, 205계 전동차가 운행된다.
  • 192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쿄 지하철 (기업)
    도쿄 지하철 주식회사(東京地下鉄株式会社)는 일본 정부와 도쿄 도청이 공동 소유한 주식회사로, 도쿄 메트로를 운영하며 9개의 노선과 180개의 역을 보유하고 2024년 주식 상장을 통해 공개 회사로 전환되었다.
  • 가나가와현의 철도 -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덴엔토시선은 도쿄 시부야에서 가나가와 주오린칸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여러 확장을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및 도부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가나가와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오다큐 오다와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노선 이름오다큐 오다와라 선
노선 색상'#00bfff'
로고
로고 크기50
노선 종류통근 철도
위치도쿄도, 가나가와현
기점신주쿠역
종점오다와라역
역 수47
일일 승객 수1,493,451 (2010년 기준)
개통일1927년 4월 1일
소유자오다큐 전철
운영자오다큐 전철
노선 길이82.5 km
궤간1067mm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신호 방식자동 폐색식
열차 보호 장치D-ATS-P
최고 속도110 km/h
웹사이트오다큐 전철 공식 웹사이트
노선 정보
노선 기호OH
노선 거리82.5 km
선로 수복복선 (요요기우에하라 - 노보리토 구간)
삼선 (노보리토 - 무카이가오카유엔 구간, 잠정)
복선 (상기 이외 구간)
차량 정보
차량 기지오다큐 전철의 차량 검수 시설 참조
사용 차량오다큐 전철#차량 참조
기타 정보
오다큐 70000 시리즈
오다큐 70000 시리즈 "로망스카 GSE" 특급 열차
오다큐 3000형과 4000형 전동차
왼쪽: 3000형, 오른쪽: 4000형 (2020년 8월 21일 후미즈 역 부근)
참고 자료오다큐 선 게이오 역에서 인신 사고, 신주쿠 - 세이조가쿠엔마에 구간에서 일시 운전 중단
선택의 과제 시 복합 시설 계획 정체감 해소를 위해 요구되는 수완 아쓰기 시장 선거 2023
하야시야 타이헤이가 오다큐 선에서 슬쩍 도중 하차 여행

2. 노선 정보

3. 역사

1927년 4월 1일, 오다와라 급행철도에 의해 신주쿠 - 오다와라 간 전 구간이 한 번에 개통되었다.[18][14] 개통 당일, 신호 체계 문제로 열차 운행 시간표가 크게 혼란스러웠다. 당시 역은 38개였고, 소요 시간은 2시간 20분이었다.[15] 같은 해 10월 15일에는 이나다노보토케(현재의 무코가오카유엔) - 오다와라 간이 복선화되어 전 구간 복선화가 완료되었고,[18] 급행 운행이 시작되었다.

1942년 5월 1일, 도쿄 급행 전철에 합병되어 '오다와라선'이라는 명칭이 생겼다.(다이토큐의 일부)[18]

1948년 6월 1일, 도쿄 급행 전철에서 분리(다이토큐 해체)되면서 오다큐 전철이 발족하여 오다와라선을 이관받았다.[18]

1950년 8월 1일, 하코네 등산 철도(현재: 오다큐하코네) 철도선 하코네유모토 역까지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다.[18]

1955년 10월 1일, 신마쓰다 - 마쓰다 간의 연락선이 완성되어 국철(현재: JR 도카이) 고텐바 선으로의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다.[18]

1978년 3월 31일, 영단 지하철(현재: 도쿄 지하철) 지요다 선과 상호 직통 운행을 개시했다.(당초에는 평일 아침 저녁만)[18]

2002년 3월 23일, 쇼난 급행과 다마 급행이 신설되었다. 오다와라선과 다마선과의 직통 운전이 대폭 확대되었다.[22]

2004년 12월 11일, 쇼난 급행이 폐지되고, 쾌속 급행과 구간 준급이 신설되었다.[23]

2016년 3월 26일, E233계 전동차 운행을 개시하고 구간준급을 폐지했다.

2018년 3월 3일, 요요기우에하라 - 우메가오카 간이 복복선화되어, 요요기우에하라 - 노보토케 간의 복복선화가 완료되었다.[83]

4. 운행 형태

오다큐 오다와라선은 이용객 수로 세계에서 손꼽히는 신주쿠역과 가나가와 현 서쪽의 관광 지역인 오다와라 사이를 잇는 82.5km 구간의 사철 노선으로, 오다큐 전철의 중심 노선이다. 오다와라역에서는 하코네 등산철도와 직접 연결되며, 추가 요금이 필요한 유료 특급인 오다큐 로망스카가 자주 운행된다. 지선인 에노시마 선, 다마 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열차도 많고, 요요기우에하라역을 통해 지요다 선, JR 조반 선과 상호 직통 운행을 하며, 일부 특급 열차는 JR 고텐바 선으로도 직통 운행한다.

통근·통학 노선과 관광 노선의 두 가지 성격을 띠고 있으며, 신주쿠역에 가까운 쪽으로는 복복선화도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다른 전철에 비해 정시 출발률이 비교적 나쁜 편이며, 2~3분 정도의 열차 지연은 거의 매일 발생한다. 이는 교통사고와 승객에 의한 문제 등 사고가 많고, 시간대에 따라서는 한 시간에 3번 이상 지나가는 특급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있으며 시간표에 여유 간격이 부족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요요기우에하라역에서는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을 거쳐 JR 동일본 조반 완행선 토리데역까지 직통 운행하는 열차도 러시아워 시간대를 중심으로 많이 운행된다. 또한, 일부 특급 로망스카는 JR 도카이 고텐바선 고텐바역까지 직통 운행한다.

과거에는 특급 로망스카 외에도 오다큐 하코네(구: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 하코네유모토역까지 직통 운행하는 열차가 많았지만, 2024년 3월 개정 시점에서는 특급 외에 평일 아침에 하코네유모토 발 각역정차 신마츠다행이 1편 운행될 뿐이다.

하행선 토호쿠자와 - 세이조가쿠엔마에 - 소시가야오쿠라 - 케이도 - 토도 간, 상행선 무카이가오유엔 - 케이도 - 소시가야오쿠라 - 세이조가쿠엔마에 - 토호쿠자와 간의 급행선·완행선은 원칙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 급행선: 특급 로망스카·쾌속급행·통근급행·급행이 사용한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의 무카이가오유엔역 발 지요다선 직통 각역정차와 무카이가오유엔역 발 준급은 원칙적으로 무카이가오유엔역 - 토도역 간에 한해 급행선을 사용한다.
  • 완행선: 준급·각역정차가 사용한다. 통근준급도 상기 이외의 구간에서 사용한다.
  • 단, 지요다선 직통 상행 급행은 케이도역 이토에서 완행선을 사용한다.
  • 또한, 다마선에서 온 급행 신주쿠행은 무카이가오유엔역 - 토도역 간에서 완행선을 사용한다.

4. 1. 열차 종별

(2024년 3월 16일 개정 시점)종별\역명신주쿠…요요기우에하라…무카이가오유엔…신유리가오카…마치다…사가미오오노…혼아츠기…이세하라…하타노…신마츠다…오다와라…하코네유모토비고운행 편수특급평일 2편
토·일·공휴일 2-3편일부,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직통토·일·공휴일 0-1편colspan="12" |0-1편colspan="5" |시부자와 - 신마츠다 간 분기 연락선 경유 JR 고텐바역 직통쾌속급행3편3편colspan="2" |신마츠다역 - 오다와라역 간은 급행으로 운전3편colspan="12" |에노시마선 후지사와역까지 직통급행colspan="3" |3편colspan="21"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직통colspan="12" |1-3편3편3편colspan="2" |신마츠다역 - 오다와라역 간은 각역정차로 6량 편성으로 운전3편colspan="18" |다마선 카라키다역까지 직통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다마선 내 각역정차로 운전토·일·공휴일 0-3편(상행선만)colspan="14" |상행선만(토·일·공휴일 마치다발 9시대 - 11시대만 운전)각역정차6편colspan="10" |0-2편colspan="8" |0-2편colspan="6" |colspan="12" |0-2편colspan="12" |에노시마선 후지사와역까지 직통(주로 토·일·공휴일에 운전)colspan="25" |3편



요요기우에하라역에서는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을 거쳐 JR 동일본 조반 완행선 토리데역까지 직통 운행하는 열차도 러시아워 시간대를 중심으로 많이 운행된다. 또한, 일부 특급 로망스카는 JR 도카이 고텐바선 고텐바역까지 직통 운행한다.

과거에는 특급 로망스카 외에도 오다큐 하코네(구: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 하코네유모토역까지 직통 운행하는 열차가 많았지만, 2024년 3월 개정 시점에서는 특급 외에 평일 아침에 하코네유모토 발 각역정차 신마츠다행이 1편 운행될 뿐이다.

4. 2. 여성 전용 차량

다음 시간대 및 구간에는 여성 전용 차량이 실시되고 있다.[1]

5. 연선 풍경

오다큐 오다와라선은 오다큐 전철의 주요 노선으로, 신주쿠역(新宿駅)에서 마치다시(町田市), 아쓰기시(厚木市) 등을 거쳐 오다와라역(小田原駅)을 잇는다. 요요기우에하라역(代々木上原駅)에서는 도쿄 메트로 치요다선 등과 상호 직통 운행을 하며, 일부 특급 열차는 신마쓰다역(新松田駅)에서 JR 도카이 고텐바선(御殿場線)과 직통 운행한다. 통근·통학 노선이자 하코네(箱根), 쇼난(湘南) 등 관광 노선 역할도 하며, 요요기우에하라역 - 노보토역(登戸駅) 구간은 복복선이다.

노선은 무사시노 대지(武蔵野台地)에서 다마가와(多摩川)를 건너 다마구릉(多摩丘陵)을 지나 사가미노 대지(相模野台地)로 이어진다. 사가미가와(相模川)를 건너 다나자와 산지(丹沢山地) 기슭을 지나 하시노 분지(秦野盆地)에 들어선 후, 사카와가와(酒匂川) 지류 연안 계곡을 따라 아시가라 평야(足柄平野)를 달려 오다와라역에 도착한다. 혼아쓰기역(本厚木駅)에서 신마쓰다역까지는 국도 246호선(国道246号)이 병행한다.[1]

5. 1. 신주쿠 - 신유리가오카

오다큐 전철의 기간 노선인 오다와라선은 신주쿠역(新宿駅)에서 출발하여 마치다시(町田市), 아츠기시(厚木市) 등을 거쳐 오다와라역(小田原駅)까지 이어진다.

신주쿠역을 출발한 열차는 곧바로 지상선과 지하선이 합류하여 시부야구에 진입한다. 합류 지점에는 도쿄도도 414호 시부야쿠스누즈선 건널목이 있으며, 이 구간 상공에는 신주쿠 사잔테라스가 조성되어 있다. 건널목을 지나면 미나미신주쿠역에 도착한다. 산구바시역을 지나면 직선 구간을 달려 요요기하치만역에 도착하는데, 이 역은 급커브 위에 있어 시속 45km로 서행하며 서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도쿄 메트로 치요다선이 합류하고, 27‰의 급경사로 고가로 올라가 2면 4선의 요요기우에하라역에 도착한다.

요요기우에하라역 이후는 복복선 구간이 시작된다. 도호쿠자와역까지는 바깥쪽 2선이 급행선, 안쪽 2선이 완행선 형태이지만, 급행선은 역의 오다와라 쪽부터 내리막 경사가 되어 완행선 바로 아래를 주행하는 2층식 형태가 된다. 시모키타자와역에서는 지하 1층 승강장이 완행선, 지하 2층 승강장이 급행선으로 승강장이 나뉜다.

시모키타자와역을 출발한 완행선은 세타가야다이다역에 이르지만, 급행선은 역 바로 아래를 통과한다. 이후 지상으로 나와 우메가오카역에 도착한다. 우메가오카 - 노보토 간의 복복선은 안쪽 2선이 급행선, 바깥쪽 2선이 완행선이다. 고토쿠지역에는 오다와라선 개업 당시 차고가 있었다. 치토세후나바시역을 지나 소시가야오오쿠라자와역에 이른다. 그 후 센가와를 건너 지하로 들어가 2면 4선의 세이죠가쿠엔마에역에 도착한다.

세이죠가쿠엔마에역을 출발하면 다시 지상으로 돌아와 키타미역에 도착한다. 여기서 도쿄 23구를 빠져나와 고마에시에 진입하여 고마에역, 이즈미타마가와역을 지나 다마가와를 건넌다. 다리를 건너면 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다마구)에 진입하여 JR남부선과 교차하여 2면 4선의 노보토역에 도착한다. 노보토역을 출발하면 곧바로 하행 완행선이 하행 급행선에 합류하여 3선이 된다.

노보토역을 출발하여 무카이가오카유엔역에 도착한다. 조반선 각역정차·치요다선으로부터의 직통 전철의 대부분은 이 역에서 출발하거나 도착한다. 노보토 - 무카이가오카유엔 간의 역간 거리는 오다큐 전선에서 가장 짧은 0.6km이다. 여기서 3선 구간도 끝나고, 이 서쪽은 종점인 오다와라역까지 복선 구간이 된다.

무카이가오카유엔역을 출발하면 다마구릉의 골짜기를 따라 달리게 된다. 이쿠타역, 요미우리랜드마에역을 지나 유리가오카역 직전까지 도쿄도도·가나가와현도 3호 세타가야마치다선(츠쿠이도)와 보도 하나를 사이에 두고 완전히 병행한다. 그 후 왼쪽으로 급커브하여 남서쪽을 향하여 가와사키시 아사오구에 진입하여 유리가오카역에 도착하고, 그 앞에서 S자 커브를 그리면서 경사를 내려가 인상선 2선을 상하 본선으로 감싸면서 3면 6선의 신유리가오카역에 도착한다.

5. 2. 신유리가오카 - 사가미오노

신유리가오카역(新百合ヶ丘駅)에서 다마선이 분기된 후, 경사면을 내려가면서 오른쪽에 오다큐 전철의 보선 시설을 보게 된다. 왼쪽으로 커브하여 남쪽으로 방향을 틀면, 지하로 건설 중인 중앙 신칸센(제1수도권 터널)과 교차한다. 밭이 조금 남아 있는 주택가를 지나면 카키누마역(柿生駅)이다. 거기서 다시 도쿄도(東京都) 마치다시(町田市)로 들어서면, 한동안 마치다시와 가와사키시(川崎市) 아사오구(麻生区)(피지)의 경계를 직선으로 지나 2면 3선의 츠루카와역(鶴川駅)에 도착한다. 여기서 츠쿠이도(津久井道)를 나누고, 조금 더 가면 왼쪽에서 주택이 사라지고 숲이 되어 완전히 마치다시 관내로 들어선다. 와코대학(和光大学)이 보이면 도쿄도 내에서는 유일하게(지하 구간 제외) 교즈카 터널(境塚トンネル)(231.4 m)을 통과한다. 터널을 나오면 다마가와가쿠엔(玉川学園)에 둘러싸인 채 왼쪽으로 커브를 돌아 다마가와가쿠엔마에역(玉川学園前駅)에 도착한다. 거기서 한동안 주택가를 지나, 조금 더 가면 일단 시가지가 끊기고 온다가와(恩田川)를 건너 제방 위를 달리면서 커브를 돌아 도쿄도도 47호 하치오지마치다선(東京都道47号八王子町田線)(마치다카이도(町田街道))와 교차하여 시가지로 들어간다. 절개지를 통과하면 오다큐 백화점 마치다점 중3층에 있는, 오다큐 제2 규모의 2면 4선 마치다역(町田駅)에 도착한다.

마치다역(町田駅)을 출발하면 요코하마선(横浜線)과 교차하고, 커브를 그리며 사카이가와(境川)를 건넌다. 여기서 다시 가나가와현(神奈川県) 사가미하라시(相模原市) 미나미구(南区)로 들어서 절개지를 통과한다. 절개지를 통과하면 아름다운 장식이 된 콘크리트 벽을 보면서 통과선을 포함한 2면 6선의 사가미오오노역(相模大野駅)에 이른다.

5. 3. 사가미오노 - 혼아쓰기

사가미오노역을 출발하면 에노시마선이 분기되고, 왼쪽으로 오오노 종합 차량소가 잠시 보인다. 그 후 주택가를 직선으로 통과하여 오다큐 사가미하라역에 도착한다. 다음 건널목에서 자마시에 진입하여 경사를 내려간 후, 다시 경사를 올라가 2면 4선의 소부다이마에역에 도착한다. 과거에는 오노 종합 차량소로 이전하기 전까지 공장이 있었고, 역 구내 동쪽에 펼쳐진 유치선은 그 흔적이다. 잠시 직선 구간을 지나 자마야토야마 공원이 보이고 숲이 우거진 곳에서 왼쪽으로 커브하여 남쪽으로 향하면, 오른쪽으로 가나가와현도 51호 마치다 아츠기선의 바이패스가 보인다. 왼쪽에서 숲이 사라지고 시가지가 보이면 곧 자마역에 도착한다. 주택가를 직선으로 통과하여 에비나시에 진입하고, 국도 246호선(야마토 아츠기 바이패스)과 교차한 후 남서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소테쓰 아츠기선(화물선)과 교차하며, 왼쪽에서 소테쓰 본선이 가까워져 병행하며 에비나 검차구가 병설된 2면 4선의 에비나역에 도착한다.

에비나역을 출발하여 가나가와현도 40호 요코하마 아츠기선의 육교 아래를 지나면 고가 오르막이 시작된다. 잠시 직선으로 진행하다 오른쪽으로 커브하여 JR 사가미선과 교차하고 아츠기역에 도착한다. 이후 관동 자동차도를 지나 사가미가와를 건너 아츠기시에 진입한다. 교량을 건너면 고가로 시가지에 진입하여 왼쪽으로 커브하면서 2면 4선의 혼아쓰기역에 도착한다.[1]

아츠기 - 혼아쓰기 간 사가미가와 교량을 건너는 1000형(2007년 3월 2일)

5. 4. 혼아쓰기 - 오다와라

혼아쓰기역(本厚木駅)에서 신마쓰다역(新松田駅)까지는 국도 246호선(国道246号)(오야마가도·야구라자와 오우칸(矢倉沢往還))이 병행한다.

혼아쓰기역을 출발하면 바로 시가지를 통과한다. 고가를 내려와 오른쪽의 국도 246호선과 나란히 달리는 구간이 되면 논이 섞여 있지만, 곧 주택가가 되고 경사를 오르면 아이코이시다역에 도착한다. 역 구내에 아쓰기시(厚木市)와 이세하라시의 시 경계가 있다.

아이코이시다역을 출발하면 나란히 달리던 국도 246호선과 헤어진다. 한동안 주택지를 달리지만, 고가 구간에 들어서면 논밭 지대에 들어서고, 오른쪽에는 오야마가, 왼쪽에는 히라쓰카시 시가지나 쇼난다이라까지 내다보일 정도로 시야가 트인다. 신토메이 고속도로를 지나 이세하라 대지(伊勢原台地)를 향해 오르막 경사가 되면 주택가에 들어서고, 정상에 이른 곳이 2면 4선의 이세하라역(伊勢原駅)이 된다. 이 역은 오야마의 관문으로 오야마 케이블카로 연결되는 노선 버스가 발착한다. 조반선(常磐線) 각역정차, 치요다선으로부터의 직통 전철은 가장 멀리 이세하라역까지 운행된다.

이세하라역을 출발하면 한동안은 주택지이지만, 오른쪽에 보이는 공업단지를 지나면 논이 한가득 펼쳐지고, 선로 주변에는 집이 거의 없어진다. 젠파가와(善波川) 교량을 통과하면 하타노시에 들어서고, 다시 주택가가 보이면 쓰루마키온센역(鶴巻温泉駅)에 도착한다.

쓰루마키온센역을 출발하면 밭이 섞인 주택가를 지나 도카이다이가쿠마에역(東海大学前駅)에 도착한다. 양 역 사이는 1.1km로 사철의 역간 거리로서는 표준적이지만, 이세하라역 - 쓰루마키온센역, 도카이다이가쿠마에역 - 하타노역(秦野駅) 간의 역간 거리가 약 4~5km이기 때문에 특히 짧게 느껴진다.

도카이다이가쿠마에역을 출발하면 오른쪽에 고보 산을 보면서 달린다. 한동안 주택지이지만, 약 2km 정도 진행한 곳에 있는 하타노 터널(351m)을 빠져나가면 하타노 분지에 들어선다. 급경사와 급커브로 분지 중심부로 향해 나아간다. 밭과 잡목림 풍경 사이로 오른쪽에는 단자와 산지와 하타노 시가지가 보인다.

2면 4선의 하타노역을 출발하면 오른쪽에서 미즈나시가와가 갈라지고, 밭이 섞인 주택지를 상당히 가파른 오르막 경사로 오다큐 오다와라선 역 중에서 가장 고도가 높은 시부사와역(渋沢駅)까지 올라간다. 여기서부터 아이코이시다역 부근부터 산을 사이에 두고 북쪽을 달리던 국도 246호선과 다시 나란히 달리게 된다.

시부사와역을 출발하면 시모키타자와역(下北沢駅) 전후의 지하 구간을 제외하고 오다큐에서 가장 긴 다이쇼부 터널(492.9m)을 빠져나가, 구불구불 흐르는 시주하치세가와(사카와가와 수계)의 계곡을 따라 선로도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25‰의 급경사와 반경 400m의 급커브가 계속되어 분지를 빠져나간다. 더 짧은 다이니쇼부 터널(60.3m)을 빠져나가 계곡을 지난다. 이 부근에도 주변에는 집이 없지만, 하타노시와 마쓰다마치의 시정 경계 부근에는 섬과 같은 형태로 유노사와 단지(湯の沢団地)가 존재한다. 도메이 고속도로·국도 255호선을 차례로 지나면, 나란히 달리던 국도 246호선과 헤어지고, 왼쪽의 가나가와 현립 아시가라카미 병원(神奈川県立足柄上病院)을 지나 오른쪽 방향으로 특급 후지산의 운행이나 신차 반입 등에 사용되는 연락선이 JR 고텐바선을 향해 분기한다. 고텐바선을 지나면 2면 4선의 신마쓰다역(新松田駅)에 도착한다. 시부사와역 - 신마쓰다역 간의 역간 거리는 오다큐 전선에서 가장 긴 6.2km이다.

신마쓰다역 - 오다와라역(小田原駅) 간은 논이 펼쳐지는 아시가라 평야를 통과하기 때문에 이용객이 비교적 적고, 가야마·토미즈·호타루다·아시가라의 4개 역은 홈 유효장이 최대 6량분으로 짧게 설정되어 있으며, 낮에는 6량 편성의 구간 열차(각역정차)가 왕복하고 있다. 카이세이역에서 호타루다역까지는 아시가라 평야의 논밭 지대를 빠져나가지만, 선형도 좋고 고속 운전에 적합하여 우등 열차는 최고 속도로 달리는 경우가 많다.

신마쓰다역을 출발하면 사카와가와를 건너 사카와가와 교량(오다큐 오다와라선)을 건너자 크게 왼쪽으로 커브하여 카이세이마치에 들어선다. 마을 유일의 역인 카이세이역은 2면 2선의 급행 정차역으로, 주변은 아파트가 늘어서는 등 주택지로서의 개발이 현저하다. 역의 동쪽(진행 왼쪽)에는 차량기지와 역 앞에 보존되어 있는 3100형 NSE차의 선두차도 보인다. 카이세이역에서 약 400m 남쪽으로 내려가면 오다와라시에 들어선다. 가야마역, 도미즈역, 호타루다역은 모두 역 주변에 상점과 주택이 컴팩트하게 모여 있지만, 역을 떠나면 곧 논밭 지대가 된다. 이 부근은 예전에 사카와가와가 홍수를 자주 일으켰기 때문에 원래부터 인구가 적다. 아시가라 평야 일대에서는 오다와라선 연선보다 고텐바선이나 이즈하코네 철도다이유잔선 연선 쪽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신마쓰다역 - 카이세이역 간 사카와가와 교량을 건너는 30000형 「EXE」(2007년 3월 9일)


호타루다역을 지나면 오다와라 시 중심부로 향하기 위해 오른쪽으로 커브하여 오다와라 아쓰기 도로를 지난 후 카리가와를 건넌다. 이즈하코네 철도 다이유잔선을 겹쳐 지나고, 굴착을 지나 2면 3선의 아시가라역(가나가와현)이 된다. 부근에는 예전에 JT 오다와라 공장이 있었고, 아시가라역에서 전매공사 오다와라 공장 전용선이 뻗어 오다와라역을 경유하여 화물 수송이 이루어졌던 흔적으로 오른쪽 야드 안쪽에는 차량기지가 있다. 도카이도 신칸센을 지나 JR 도카이도 본선에 오른쪽 커브로 합류하면 2면 3선의 오다와라역에 도착한다. 여기서부터는 오다큐 하코네오다큐 하코네 철도선(하코네 등산 전차)이 뻗어 「하코네」 등의 특급 로망스카가 동선의 하코네유모토역(하코네마치)까지 직통한다.

6. 연속 입체 교차로, 복복선화 사업

오다큐 전철은 출퇴근 시간 단축과 혼잡 완화를 위해 요요기우에하라 - 무코가오카유엔 구간에서 복복선화 사업을, 도쿄도는 연속 입체 교차로 건설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우메가오카 - 이즈미타마가와 구간이 완성되었다.[35]

7. 차량

8. 역 목록


9. 과거의 열차 종별

1964년 2월 17일, 신주쿠역의 대규모 개량 공사가 완료되면서 지상 3개 노선, 지하 2개 노선의 입체식 터미널이 되었다.[18][19] 1977년 7월 1일에는 신주쿠역에서 혼아쓰기 역 구간에 급행 10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18] 1982년 3월 31일에는 신주쿠역의 2차 개량 공사가 완료되어 지상 및 지하 5개 노선에 10량, 210m 길이의 승강장을 갖추게 되었다.[18]

2002년 3월 23일에는 쇼난 급행과 다마 급행이 신설되었다.[22] 2004년 12월 11일에는 쇼난 급행이 폐지되고 쾌속급행과 구간준급이 신설되었다.[23] 2016년 3월 26일에는 E233계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고 구간준급이 폐지되었다.[28]

2018년 3월 17일 시각표 개정으로 통근급행과 통근준급이 신설되었다.[38][39] 통근준급은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상행 방향으로만 운행되며, 모든 열차가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직통이다. 정차역은 이세하라 역~노보리토 역 간 각 역과, 세이조가쿠엔마에 역, 교도 역, 시모키타자와 역, 요요기우에하라 역부터 각 역이다.

10. 임시 열차

신주쿠역에서 출발하는 특급 열차는 "로망스카(Romancecar)" 서비스를 이용하며, 특급 열차 이용 시 추가 요금이 필요하다. 낮 시간대 운행 열차는 오다와라, 하코네유모토, 가타세에노시마, 고텐바 등으로 운행된다.

추가 요금이 없는 열차로는 쾌속급행(RE)이 있으며, 오다와라후지사와행 열차를 운행한다. 모든 쾌속급행 열차는 신마쓰다에서 종착하고 급행으로 변경된다. 급행(E)은 가라키다행 열차와 마치다오다와라 간 3회/시간 운행 열차가 있다.

매년 12월 31일 심야부터 이듬해 1월 1일 새벽까지 종야 운전으로 임시 열차인 「뉴이어 익스프레스」(약칭: NYE, 구 명칭: 초묘에 고)가 신주쿠역 - 카타세에노시마역 간 등에서 운행된다.

10. 1. 특급 로망스카

별도의 추가 요금이 필요한 고급 특급 열차로, '''로망스카'''라는 애칭이 있으며, 신주쿠역에서 다음 각 방면으로 운행된다. 간단히 "특급"이라고 표현되기도 하지만, "특급 로망스카"가 공식적인 종별명이다.

신주쿠역 출발 17시 이후의 하행 열차는 목적지에 관계없이(에노시마선 직통 포함) 모두 '''「홈웨이」'''가 된다.[32] 또한, 9시 30분까지 신주쿠역 및 도쿄 메트로 치요다선 오테마치역에 도착하는 상행 열차는 모두 '''「모닝웨이」'''가 된다.

매년 12월 31일 심야부터 이듬해 1월 1일 새벽에 걸쳐, 종야 운전으로 임시 열차인 「뉴이어 익스프레스」(약칭: NYE, 구 명칭: 초묘에 고)가 신주쿠역 - 카타세에노시마역 간 등에서 운행된다.

2008년 3월 15일부터 도쿄 메트로 치요다선 기타센주역·오테마치역에 직통하는 열차를 60000형 "MSE"로 운행하고 있다. 열차의 애칭은 머리에 "메트로"가 붙는다. 또한, 2011년 9월까지 일부 토요일·휴일에 임시로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선 신키바역에도 직통하는 「베이리조트」도 운행되었다.

정차역은 열차에 따라 다르므로, 각 열차의 항목을 참조한다.

10. 2. 통근 차량

10. 3.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직통

요요기우에하라역에서 도쿄 메트로 치요다선과 JR 동일본 조반 완행선으로 상호 직통 운행을 실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열차는 向ヶ丘遊園일본어행이지만, 모든 열차는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을 경유하며, 일부 열차는 JR 조반선까지 운행된다.[18]

2016년 3월 26일부터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직통용 4000형이 JR 동일본 조반 완행선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조반 완행선 E233계 2000번대도 오다큐로 운행을 시작했다.(209계 1000번대는 오다큐에 들어오지 않는다.)[28]

2018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으로, 지요다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 구간을 이세하라역까지 연장했다. 평일 아침 통근 시간대에는 통근급행과 통근준급을 새로 만들었다.[38][39]

11. 이용 상황

오다큐 오다와라선은 오다큐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신주쿠역(新宿駅)에서 마치다시(町田市), 아츠기시(厚木市) 등을 거쳐 오다와라역(小田原駅)을 잇는다. 하코네(箱根), 쇼난(湘南), 에노시마(江の島) 등으로 가는 관광 노선이자 도쿄 도심으로의 통근·통학 노선 역할을 하며, 요요기우에하라역(代々木上原駅)에서 노보토역(登戸駅) 구간은 복복선화되어 있다.

신주쿠역 - 오다와라역 구간은 JR 동일본 쇼난 신주쿠 라인(湘南新宿ライン)과 경쟁 관계에 있는데, 오다와라선은 더 저렴한 운임과 쾌속급행(快速急行) 운행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1927년 4월 1일, 오다와라 급행 철도에 의해 신주쿠-오다와라 간 전 노선이 한 번에 개통되었다.[18][14] 개통 당시에는 신호 체계 문제로 운행에 차질이 발생하기도 했다.[15] 1950년 8월 1일에는 하코네유모토역(箱根湯本駅)까지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18] 1978년 3월 31일에는 도쿄 메트로 치요다선(東京メトロ千代田線)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18]

2002년 3월 23일에는 쇼난 급행과 다마 급행이 신설되어 오다와라선과 다마선 간 직통 운전이 확대되었다.[22] 2004년 12월 11일에는 쇼난 급행이 폐지되고 쾌속 급행과 구간 준급이 신설되었다.[23] 2018년 3월 3일에는 요요기우에하라-우메가오카 간 복복선화가 완료되어 요요기우에하라-노보토케 간 복복선화가 완료되었다.[83]

12. 폐지된 역

1946년 6월 1일: 영업이 중지되었던 야마야 역이 폐지되었다.[18]

참조

[1] 웹사이트 Odakyu ridership in 2010 http://www.train-med[...] Train Media (sourced from Odakyu) 2012-05-28
[2] 웹사이트 Odakyu Railway Stations https://www.odakyu.j[...]
[3] 웹사이트 会社小史・略年表 https://www.odakyu.j[...] 2022-07-16
[4] 웹사이트 Examples of FILP-target Projects: Construction Projects of Private Rail Lines (Japan Railway Construction, Transport and Technology Agency (Construction Account)) https://www.mof.go.j[...] 2014-02-25
[5] 웹사이트 About JRTT: Urban Railways http://www.jrtt.go.j[...] 2022-07-16
[6] 뉴스 小田急、代々木上原駅~梅ヶ丘駅間の複々線化で工事期間を2018年度まで延長 http://response.jp/a[...] 2013-03-14
[7] 서적 山手線 ウグイス色の電車今昔50年 JTBパブリッシング 2013
[8] 웹사이트 小田急線・経堂駅で人身事故、新宿―成城学園前間で一時運転見合わせ https://www.yomiuri.[...] 2023-01-31
[9] 웹사이트 選択の課題 市複合施設計画 停滞感打破へ問われる手腕 厚木市長選2023 https://www.kanaloco[...]
[10] 웹사이트 林家たい平が小田急線でぶらり途中下車の旅 https://www.ntv.co.j[...] 日本テレビ放送網
[11] 기타 Odakyu Hakone
[12] 기타
[13]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1922-06-01
[14] 기타
[15] 뉴스 新宿-小田原間開通、二時間二十分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27-04-01
[16] 간행물 地方鉄道、軌道事業の現況並に異動 日本電気協会 1937-02
[17] 간행물 地方鉄道・軌道異動並に現況表 日本電気協会 1941-03
[18] 웹사이트 会社小史・略年表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19] 웹사이트 小田急80年史 > 多角化と鉄道の近代化(1961 - 1976)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 뉴스 下り線から使用開始 小田急千歳船橋-祖師ヶ谷大蔵間の高架化 交通協力会 1971-05-01
[21] 뉴스 千歳船橋-祖師ヶ谷大蔵間 高架化が完成 交通協力会 1971-07-15
[22] 보도자료 平成14年3月23日(土)に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江ノ島線沿線から新宿への「湘南急行」、多摩線沿線から千代田線直通の「多摩急行」が登場 http://www.d-cue.com[...] 小田急電鉄 2002-02-14
[23] 보도자료 12月11日(土)、小田急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 -複々線化区間の延伸、新種別の導入で所要時間が短縮します- http://www.d-cue.com[...] 小田急電鉄 2004-10-06
[24] 보도자료 2008年3月15日(土)から ロマンスカー・MSEによる東京メトロ線への直通運転を開始します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東京地下鉄 2007-12-20
[25] 기타
[26] 보도자료 9月12日(月)から、小田急線は通常ダイヤに戻ります。-早朝時間帯の増発、特急ロマンスカーを含む平日日中の一部運休等を終了します-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1-09-05
[27] 보도자료 2012年3月17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メトロはこね」を毎日運転、朝方と夕夜間のロマンスカーを増発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1-12-16
[28] 보도자료 2016年3月26日(土) 小田急線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ロマンスカー停車駅の新設および東京メトロ千代田線直通列車の増発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5-12-18
[29] 보도자료 2019年3月16日(土)小田急線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輸送力をさらにアップさせ、一層快適な輸送サービスを目指します〜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8-12-14
[30] 웹사이트 小田急電鉄 神奈川 伊勢原に小田原線の新駅建設を検討 https://web.archive.[...] NHK NEWSWEB 2023-02-24
[31] 웹사이트 台風10号 小田急線、一部運休続く 線路盛り土流出で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4-08-31
[32] 기타
[33] 웹사이트 小田急電鉄 新宿駅 時刻表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34] 웹사이트 小田急電鉄 唐木田駅 時刻表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35] 웹사이트 神奈川県鉄道輸送力増強促進会議/平成26年度の要望及び鉄道事業者からの回答/小田急電鉄 http://www.pref.kana[...]
[36] 서적 マイライン東京時刻表2023 交通新聞社 2023-03-20
[37] 웹사이트 小田急時刻表2018 http://shop.kotsu.co[...] 交通新聞社 2018-03-13
[38] 보도자료 代々木上原〜登戸間の「複々線化」により小田急の通勤が変わる! 2018年3月、新ダイヤでの運行開始 〜ラッシュピーク混雑率150%、町田〜新宿間の最大12分短縮を実現〜 〜快速急行の登戸停車や列車種別の新設で、都心へのアクセス向上〜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7-11-01
[39] 보도자료 代々木上原~登戸間の「複々線化」により小田急が変わります! 新ダイヤでの運行開始日を決定!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7-12-15
[40] 일반
[41] 보도자료 2025年3月15日(土)小田急線はダイヤ改正します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4-12-13
[42] 웹사이트 小田急、小田原線系統に8両編成の急行が登場 https://railf.jp/new[...] 2018-03-25
[43] 서적 マイライン東京時刻表 交通新聞社 2023-03-20
[44] 웹사이트 小田急電鉄 経堂駅 時刻表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45] 웹사이트 小田急電鉄 成城学園前駅 時刻表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46] 웹사이트 小田急電鉄 海老名駅 時刻表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47] 학술지 沿線に住んで20年 江ノ島線の変化を振り返る 電気車研究会 2010-01-10
[48] 일반
[49] 보도자료 2022年3月12日(土) 小田急線のダイヤを変更します 〜ご利用動向を踏まえ、平日朝の都心への増発、日中・夜間を中心とした運転本数の見直しを実施〜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1-12-17
[50] 일반
[51] 웹사이트 小田急電鉄 登戸駅 時刻表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52] 일반
[53] 일반
[54] 일반
[55] 일반
[56] 일반
[57] 일반
[58] 일반
[59] 보도자료 5月3日(木・祝)、4日(金・祝)、5日(土・祝)は早起きして箱根へ 特急ロマンスカー・GSE(70000形)臨時列車を運転します 〜ロマンスカー「あしがら号」の愛称で限定復活!!〜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8-04-02
[60] 보도자료 GSE(70000形)で一夜限りの復活! 特急ロマンスカー「明星号」限定運転について 〜「箱根強羅夏まつり大文字焼き」後のお帰りに便利〜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8-07-02
[61] 학술지 鉄道友の会 2003-10-01
[62]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4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7-14
[63] 웹사이트 相模大野駅→下北沢駅間における朝方ラッシュ時間帯の混雑状況について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株式会社 2020-03-27
[64] 일반
[65] 웹사이트 神奈川県交通関係資料集 http://www.pref.kana[...]
[66] 웹사이트 地域の復権―東京一極集中を越えて(昭和62年9月) http://www.pref.kana[...] 神奈川県 1987-09
[67] 웹사이트 首都圏私鉄 乗客数伸びず…「魅力ある沿線」作戦 https://web.archive.[...] 2005-10-31
[68] 웹사이트 平成29年度の要望及び鉄道事業者からの回答 http://www.pref.kana[...] 神奈川県
[69] 웹사이트 小田急環境ルームのご案内 https://www.odakyu.j[...]
[70] 웹사이트 小田急と都、世田谷区と対立 地下化の跡地巡り 下北沢周辺 https://www.nikkei.c[...] 2012-08-14
[71] 뉴스 反対派の声生かし「シモキタ」感を表現 下北沢駅周辺で「線路街」が完成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2-05-25
[72] 뉴스 隣は地下式 怒る住民/小田急高架訴訟 18日に控訴審判決 朝日新聞社 2003-12-14
[73] 뉴스 小田急線高架訴訟/住民側が逆転敗訴/東京高裁「事業認可は適法」 日本経済新聞社 2003-12-18
[74] 판례 最高裁判所大法廷判決平成17年12月7日。民集59巻10号2645頁。 https://www.courts.g[...] 2014-08-30
[75] 판례 最高裁判所第一小法廷判決平成18年11月2日。民集60巻9号3249頁。 https://www.courts.g[...] 2014-08-30
[76] 뉴스 騒音訴訟 小田急と住民側和解 日本経済新聞社 2004-08-03
[77] 뉴스 小田急・喜多見 - 和泉多摩川間 26日から複線高架に 交通新聞社 1995-03-15
[78] 간행물 鉄道記録帳 鉄道友の会
[79] 간행물 鉄道記録帳 鉄道友の会
[80] 간행물 鉄道記録帳2002年12月 鉄道友の会 2003-03-01
[81] 간행물 鉄道記録帳 鉄道友の会
[82] PDF 2013年3月23日初電から東北沢、下北沢、世田谷代田3駅を地下化します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3-01-31
[83] PDF 複々線での運転を開始します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7-12-15
[84] PDF 混雑緩和・所要時間短縮により通勤・通学が快適に!複々線完成による効果について http://www.odakyu.jp[...] 小田急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4-28
[85] 웹사이트 小田急電鉄小田原線(代々木上原駅 - 梅ヶ丘駅間)連続立体交差事業および複々線化事業 https://www.kensetsu[...] 東京都建設局 2020-05-07
[86] 웹사이트 新ダイヤ運行開始後のご案内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1-04-17
[87] 보도자료 小田急線・箱根登山線・箱根ロープウェイ・箱根海賊船にて 2014年1月から駅ナンバリングを順次導入します! 新宿駅から箱根・芦ノ湖まで通しのナンバリングにより、わかりやすくご利用いただけます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箱根登山鉄道 2013-12-24
[88] 기타
[89] 기타
[90] 웹사이트 駅・ホームが変わります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8-03-17
[91] 서적 小田急の駅 今昔・昭和の面影 JTBパブリッシン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