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해 해상 작전 (제2차 세계 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극해 해상 작전 (제2차 세계 대전)은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극해에서 일어난 해상 전투를 의미한다. 이 기간 동안 독일 해군은 소련으로 향하는 연합군 수송선단을 공격했으며, 영국 해군과 소련 해군은 이에 맞서 호송선단을 보호하고 독일 해군 기지를 공격했다. 주요 작전으로는 노르웨이 침공, PQ 호송선단, JW 호송선단 등이 있으며, 독일의 티르피츠 격침 작전도 중요한 사건으로 꼽힌다. 전쟁 말기에는 소련군의 펫사모-키르케네스 공세가 있었으며, 연합군의 승리로 종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이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크림 공세
- 소련이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소련의 탈린 철수
소련의 탈린 철수는 독소 전쟁 중 독일군의 공세에 맞서 소련군이 탈린에서 레닌그라드로 병력과 장비를 대피시키는 해상 작전이었으나, 독일 해군과 공군의 공격으로 큰 손실을 입었다. - 핀란드가 참전한 전쟁 - 겨울 전쟁
겨울 전쟁은 1939년 11월부터 1940년 3월까지 소련이 레닌그라드 안보 확보와 영토 확장을 위해 핀란드를 침공했으나, 핀란드의 저항에 부딪혀 결국 핀란드가 영토를 할양하고 끝난 전쟁이다. - 핀란드가 참전한 전쟁 - 핀란드 내전
핀란드 내전은 1918년 1월부터 5월까지 핀란드에서 좌파인 적군과 우파인 백군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로, 러시아 제국 붕괴, 계급 갈등, 독일 제국 개입이 원인이었으며 양측의 테러로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았으나 사회적 타협과 화해를 통해 핀란드는 안정을 찾았다.
북극해 해상 작전 (제2차 세계 대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명칭 |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극해 해상 작전 |
일부 | 유럽 전구 및 대서양 전투의 일부 |
기간 | 1939년 9월 6일 – 1945년 4월 29일 |
장소 | 북극권 |
결과 | 연합군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독일 핀란드 (1944년 모스크바 휴전까지) |
교전국 2 | 영국 소련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폴란드 덴마크 |
지휘관 | |
독일 지휘관 | 아돌프 히틀러 헤르만 괴링 에리히 레더 카를 되니츠 에두아르트 디틀 로타르 렌듈리크 프란츠 뵈메 |
연합군 지휘관 | 윈스턴 처칠 윌리엄 보일 두들리 파운드 앤드루 커닝햄 존 토비 브루스 프레이저 프랭클린 루스벨트 해리 트루먼 어니스트 킹 이오시프 스탈린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키릴 메레츠코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세묜 티모셴코 아르세니 골로프코 발레리안 프로로프 호콘 7세 크리스티안 로케 크리스티안 10세 빌럼 베인 프리어 |
전력 | |
독일군 | 전쟁해군 독일 국방군 루프트바페 |
연합군 | 폴란드 서부군 |
관련 전투 목록 |
2. 1939년 – 초기 분쟁과 겨울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초기인 1939년 9월, 독일 상선들이 영국 해군의 추격을 피해 소련의 무르만스크 항구로 피신하는 일이 있었다.[10] 이후 같은 해 11월 말 겨울 전쟁이 발발하면서 소련 해군이 핀란드의 펫사모 지역 공격을 지원하는 등 북극해에서의 군사 활동이 시작되었다.[11]
2. 1. 1939년 초기 상황
1939년 9월 6일, 독일 상선 ''브레멘'' 호는 대서양에서 영국 해군 순찰대를 피해 소련의 무르만스크 항구로 피신했다. 이는 당시 무르만스크로 피항한 총 18척의 독일 상선 중 첫 번째 사례였다.[10] 같은 해 11월 30일에는 소련이 핀란드를 침공하며 시작된 겨울 전쟁의 일환으로 펫사모(현재의 페첸가) 지역에 대한 공격이 이루어졌다. 이 공격에는 소련 해군 북방함대 소속 구축함 ''쿠이비셰프'', ''카를 리프크네흐트'', ''그로즈니''가 동원되어 화력 지원을 제공했다.[11]2. 2. 겨울 전쟁과 소련
1939년 11월 30일, 겨울 전쟁이 시작되면서 소련 북방 함대 소속 구축함인 쿠이비셰프, 카를 리프크네흐트, 그로즈니가 핀란드의 펫사모 지역 공격을 지원했다.[11]3. 1940년 – 노르웨이 침공
1940년 4월, 나치 독일은 노르웨이를 침공하는 베저위붕 작전을 개시하여 나르비크 등 주요 항구를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나르비크 해전 등 격렬한 해상 전투가 벌어졌으며,[12] 양측 모두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폴란드 구축함 ''그롬''[13]과 영국 순양함 ''에핑엄''[14] 등이 침몰했으며, 연합군은 6월 초 알파벳 작전을 통해 병력을 철수시켰다.[15] 철수 과정에서 ''샤른호르스트''와 ''그나이제나우''가 영국 항공모함 HMS ''글로리어스''와 호위 구축함들을 격침시키는 큰 손실도 발생했다.[16]
노르웨이 전역 이후에도 북극해에서의 작전은 계속되었다. 1940년 7월, 독일 보조 순양함 ''코메트''는 소련 쇄빙선의 도움을 받아 북극 항로를 통해 태평양으로 이동하는 데 성공했으며,[17][18] 순양함 ''아드미랄 히퍼''는 북극해 순찰 임무를 수행했다.[19] 이에 맞서 연합군도 8월에는 영국 및 호주 순양함이 베어 섬까지 순찰 활동을 벌였고,[21] 10월에는 영국 항공모함 HMS ''퓨리어스''가 트롬소의 독일군 시설을 공습했다.[22] 한편, 8월에는 육군 수송선 이 북유럽의 미국 시민과 스웨덴의 마르타 공주 일가를 태우고 페차모를 출발하여 뉴욕시로 향하기도 했다.[20]
3. 1. 베저위붕 작전과 나르비크 해전


1940년 4월, 나치 독일의 베저위붕 작전의 일환으로 크릭스마리네 소속 구축함 10척이 병력을 싣고 노르웨이의 나르비크를 침공했다. 작전 초기, 독일 전함 ''샤른호르스트''와 ''그나이제나우''는 영국 해군의 순양전함 HMS ''리나운''과 잠시 교전을 벌였다.
이후 벌어진 나르비크 해전에서는 노르웨이의 연안 방어함인 ''에이즈볼드''와 ''노르게''가 독일군에 의해 격침되었다. 이 해전에는 독일 유보트와 영국 해군 함정들도 참여했으며,[12] 특히 영국 전함 HMS ''워스파이트''는 나르비크에서 연합군을 지원하며 독일군에게 타격을 입히는 데 기여했다.
3. 2. 노르웨이에서의 연합군 작전

1940년 4월, 나치 독일의 베저위붕 작전의 일환으로 10척의 ''크릭스마리네'' 구축함이 병력을 싣고 나르비크를 침공했다. 이 과정에서 ''샤른호르스트''와 ''그나이제나우''가 잠시 영국 HMS ''리나운''과 교전했다. 이후 벌어진 나르비크 해전에서는 노르웨이의 연안 방어함인 ''에이즈볼드''와 ''노르게'', 유보트, 그리고 영국 해군 부대가 참여했다.[12]
이어진 전투 속에서 연합군 측의 피해도 발생했다. 1940년 5월 4일, 폴란드 구축함 ''그롬''이 나르비크 근해에서 독일 KG 100 폭격기의 공격을 받아 격침되었다.[13] 같은 해 5월 21일에는 영국 순양함 HMS ''에핑엄''이 나르비크 근해의 얕은 암초에 좌초되어 결국 자침 처리되었다.[14]
연합군은 병력 철수를 결정하고 1940년 6월 4일부터 알파벳 작전을 개시했다. 이 작전에는 ''버뮤다 군주'', ''바토리'', ''MS 소비에스키'', ''프란코니아'', ''랭커스터'', ''조르직'', ''오론세이'', ''오몬데'', ''아란도라 스타'', ''로열 얼스터맨'', ''얼스터 프린스'', ''얼스터 군주'', 그리고 ''요크 공작 부인'' 등 다수의 수송선이 동원되어 나르비크에서 24,600명의 연합군 병력을 철수시키기 시작했다.[15]
그러나 철수 과정에서도 큰 손실이 있었다. 1940년 6월 8일, 독일의 작전 주노 기간 중 ''샤른호르스트''와 ''그나이제나우''가 영국 항공모함 HMS ''글로리어스''와 호위 구축함 HMS ''아카스타'', HMS ''아덴트''를 격침시키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먼 거리에서 이루어진 해군 포격 기록 중 하나로 남았다.[16]
이후에도 연합군은 노르웨이 해역에서 작전을 지속했다. 1940년 8월 25일, 영국 HMS ''노퍽''과 호주 HMAS ''오스트레일리아''가 베어 섬까지 5일간의 순찰 임무를 수행했다.[21] 10월 16일에는 영국 HMS ''퓨리어스''가 트롬소에 위치한 독일 수상 비행기 기지를 공습했다.[22]
1941년 들어서도 연합군의 공세는 이어졌다. 3월 4일, 영국 순양함 HMS ''에든버러''와 HMS ''나이지리아''는 로포텐 지역에 대한 작전 클레이모어 습격을 지원했다.[23] 4월 11일에는 노르웨이 구축함 HNoMS ''맨스필드''가 옥스피오르의 어유 공장을 파괴했다.[24]
또한, 연합군은 독일군의 암호 체계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였다. 1941년 5월 7일, 영국 구축함 HMS ''소말리'', HMS ''베두인'', HMS ''에스키모''와 호주 구축함 HMAS ''네스토르''는 순양함 HMS ''에든버러'', ''맨체스터'', ''버밍엄''의 지원을 받아 얀마옌 근처에서 활동하던 독일 기상선 ''뮌헨''을 나포하고 암호 관련 문서를 획득하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6월 28일에는 HMS ''나이지리아''가 또 다른 기상선인 ''라우엔부르크''를 나포했다.[25]
4. 1941년 – 소련 침공
독일의 소련 침공 작전인 바르바로사 작전이 1941년 6월 22일 개시되면서, 북극해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새로운 주요 전장이 되었다. 독소전쟁 발발 직후인 6월 25일부터 소련은 북방함대를 동원하여 무르만스크 지역 방어를 위한 병력 수송을 시작했다.[26]
7월에 들어서면서 독일 해군(크릭스마리네)의 활동도 본격화되었다. 7월 1일에는 최초의 U-보트(U-451, U-652)가 북극해에 배치되었고,[27] 독일 구축함들은 소련 선박과 호송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28][30] 이에 맞서 소련 해군도 구축함을 동원하여 독일군의 지상 진격을 저지하려 했으나,[28] 독일 공군의 공습으로 구축함 ''스트레미텔니''를 잃는 등 피해를 입기도 했다.[29] 독일 U-보트 역시 활동을 개시하여 소련 순찰선과[29] 상선을 격침시켰다.[35]
영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군도 즉각 개입에 나섰다. 7월 말부터 영국 항공모함(HMS ''퓨리어스'', HMS ''빅토리어스'')과 함대는 독일군이 점령한 노르웨이의 항구와 시설에 대한 공습을 감행하고,[30] 독일 기상 관측소를 파괴하는 등[31] 독일 해군의 작전을 견제하기 시작했다. 8월에는 영국 잠수함(HMS ''티그리스'', HMS ''트라이던트'')이 무르만스크에 파견되었고,[32] 스피츠베르겐의 자원을 파괴하고 주민을 철수시키는 작전 건틀렛이 실행되었다.[33] 이 작전 중 영국 함대는 독일 호송대를 공격하여 호위함 ''브렘세''를 격침시키기도 했다.[34]
특히 1941년 8월 31일, 첫 연합군 보급선단인 데르비쉬 호송대가 아르한겔스크에 도착하면서 소련에 대한 본격적인 무기대여 지원이 북극 항로를 통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호송대는 영국 해군의 호위를 받았으며, 호위 함대는 이동 중 노르웨이 트롬쇠를 공습하기도 했다.[33] 이후에도 연합군은 지속적으로 북극해에서 독일군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으며(예: 10월 HMS ''빅토리어스''의 베스트피오르덴 공습[38]), 고위급 외교 사절단(맥스 아이트켄, 비버브룩 경, W. 애버럴 해리먼)을 파견하여[37] 소련과의 협력을 강화했다. 소련 해군 역시 잠수함 등을 동원하여 독일 선박을 공격하며[36] 북극해에서의 항전 의지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1941년 하반기 북극해에서는 독일의 공세와 이에 맞선 소련의 방어, 그리고 연합군의 적극적인 개입이 교차하며 치열한 해상 작전이 전개되었다.
4. 1. 북극해에서의 독일 해군 활동
1941년 7월 1일, U-451과 U-652가 북극해에 처음으로 배치된 U-보트가 되었다.[27] 7월 12일에는 독일 해군 구축함 리하르트 베이첸, 헤르만 셰만, 한스 로디, 프리드리히 에콜트, 칼 갈스터가 테리베르스키 곶 근처에서 소규모 소련 호송선단을 공격했다.[28] 7월 23일, 구축함 리하르트 베이첸, 헤르만 셰만, 프리드리히 에콜트, 칼 갈스터는 테리베르카 근해에서 소련 측량선 ''메리디안''을 격침시켰다.[30] 7월 30일, 영국 항공모함 HMS ''퓨리어스''와 HMS 빅토리어스가 페차모와 키르케네스를 공습하자, 이 지역을 순찰 중이던 독일 구축함들이 철수했다.[30] 8월 10일, 독일 구축함 리하르트 베이첸, 한스 로디, 프리드리히 에콜트는 콜라 만 근처에서 소련 순찰선 투만을 격침했다.[30] 같은 날, U-451은 백해 입구에서 소련 순찰선 ''젬추크''를 격침시켰다.[29] 8월 26일, U-571은 3870ton급 소련 선박 ''마리야 울야노바''를 격침했다.[35] 9월 6일에는 포르상에르피오르덴에서 영국 함대와 조우한 독일군 수송 호송대의 호위함 브렘세가 격침되는 손실을 입기도 했다.[34]4. 2. 연합군의 대응
1941년 7월 30일, 영국 항공모함 HMS ''퓨리어스''와 HMS ''빅토리어스''는 나치 독일이 점령한 노르웨이의 페차모와 키르케네스에 공습을 감행했다. ''빅토리어스''는 다음 날인 7월 31일에는 트롬쇠를 공습하여 이 지역에서 활동하던 독일 해군 구축함의 순찰을 방해했다.[30] 같은 날, 영국 해군의 순양함 HMS ''나이지리아'', HMS ''오로라''와 구축함 HMS ''펀자비'', HMS ''타타르''는 베어 섬에 위치한 독일 기상 관측소를 성공적으로 파괴했다.[31] 이는 북극 항로를 이용하는 연합군 선박에 중요한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방해하고, 독일군의 작전 능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조치였다.1941년 8월에는 영국 잠수함 HMS ''티그리스''와 HMS ''트라이던트''가 소련의 무르만스크 항구로 이동하여, 향후 북극해에서의 연합군 작전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32] 8월 19일에는 작전 건틀렛(Operation Gauntlet)이 개시되었다. 수송선 ''엠프레스 오브 캐나다''는 순양함 HMS ''오로라'', HMS ''나이지리아''와 구축함 HMS ''이카루스'', HMS ''안텔로프'', HMS ''앤서니''의 강력한 호위를 받으며 스코틀랜드의 스카파 플로우 해군 기지에서 출항했다. 이 작전의 목표는 스피츠베르겐의 탄광 시설을 파괴하여 독일군이 이용하지 못하게 하고, 그곳에 거주하던 소련 및 노르웨이 민간인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키는 것이었다.[33] 작전 수행 중이던 9월 6일, 이들 영국 함대는 포르상에르피오르덴에서 독일군 수송 호송대와 조우하여 독일 해군의 훈련함 ''브렘세''를 격침시키는 전과를 올렸다.[34]
같은 해 8월 31일, 연합군의 첫 번째 북극 호송대인 데르비쉬 호송대가 소련의 아르한겔스크 항에 무사히 도착했다. 이는 독소전쟁 발발 이후 연합국이 소련에 전쟁 물자를 지원하기 위해 북극 항로를 본격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 역사적인 첫 호송대는 순양함 HMS ''데번셔'', HMS ''서포크''와 항공모함 HMS ''빅토리어스''의 호위를 받았다. ''빅토리어스''는 호송 임무 중에도 트롬쇠에 다시 공습을 가하여 독일군을 지속적으로 압박했다.[33]
연합군의 해상 작전은 잠수함을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1941년 9월 12일, 소련 해군의 잠수함 ''쉬-422''는 노르웨이 북부 타나피오르드 근해에서 1,459톤급 독일 상선 ''오타르 야를''을 어뢰로 격침시켰다.[36] 이러한 연합군의 노력은 외교적으로도 이어졌다. 9월 27일, 영국의 맥스 아이트켄, 비버브룩 경과 미국의 W. 애버럴 해리먼이 이끄는 고위급 사절단이 영국 순양함 HMS ''런던''을 타고 아르한겔스크에 도착하여 소련과의 군사 및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37]
연합군의 공세는 계속되었다. 1941년 10월 7일, 항공모함 HMS ''빅토리어스''는 노르웨이의 베스트피오르덴에 또다시 공습을 감행하여 이 지역에서의 독일 해군 활동을 위축시켰다.[38] 이러한 연합군의 지속적인 군사적, 외교적 노력은 북극 항로를 확보하고 소련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3. 소련의 북극해 방어
1941년 6월 25일, 소련 수송선 ''모소베트''는 티토프카에 증원 병력을 수송하며 방어 준비를 시작했다. 이어 6월 30일에는 소련 구축함 ''쿠이비셰프''와 ''우리츠키''가 추가 증원 병력을 상륙시켰다.[26]7월 1일, 독일 U보트 U-451과 U-652가 북극해에 처음으로 주둔하면서 독일의 위협이 가시화되었다.[27] 7월 12일에는 독일 구축함 ''리하르트 베이첸'', ''헤르만 셰만'', ''한스 로디'', ''프리드리히 에콜트'', ''칼 갈스터''가 테리베르스키 곶 근처에서 작은 규모의 소련 호송대를 공격했다.[28] 이에 대응하여 7월 14일, 소련 구축함 ''그롬키'', ''그레미야쉬치'', ''스트레미텔니'', 그리고 ''쿠이비셰프''는 자파드나야 리차 강 근처에서 독일군의 진격을 성공적으로 지연시키는 등 적극적인 방어 작전을 펼쳤다.[28] 하지만 7월 20일, 소련 구축함 ''스트레미텔니''는 콜라 만에서 독일 공군 제1교도항공단(독: Lehrgeschwader 1, LG 1) 소속 융커스 Ju 87의 공격으로 격침되는 손실을 입었다.[29] 독일군의 공세는 계속되어 7월 23일, 독일 구축함 ''리하르트 베이첸'', ''헤르만 셰만'', ''프리드리히 에콜트'', ''칼 갈스터''가 테리베르카 근처에서 소련 측량선 ''메리디안''을 격침시켰다.[30] 7월 30일에는 영국 항공모함 ''퓨리어스''와 ''빅토리어스''가 핀란드의 페차모(당시 핀란드 영토)와 노르웨이의 키르케네스에 공습을 가했으며, ''빅토리어스''는 7월 31일에 트롬쇠에도 공습을 가했다. 이 공습으로 독일 구축함의 순찰 활동이 위축되었다.[30] 7월 31일, 영국 순양함 ''나이지리아'', ''오로라''와 구축함 ''펀자비'', ''타르타르''는 베어 섬에 있는 독일 기상 관측소를 파괴했다.[31]
8월에 들어서면서 영국 잠수함 ''티그리스''와 ''트라이던트''가 무르만스크로 이동하여 소련군 지원에 나섰다.[32] 그러나 독일군의 공세는 멈추지 않아 8월 10일, 독일 구축함 ''리하르트 베이첸'', ''한스 로디'', ''프리드리히 에콜트''가 콜라 만 근처에서 소련 순찰선 ''투만''을 격침시켰고,[30] 같은 날 U-451은 백해 입구에서 소련 순찰선 ''젬추크''를 격침시켰다.[29] 8월 19일, 수송선 ''엠프레스 오브 캐나다''는 ''오로라'', ''나이지리아'', ''이카루스'', ''안텔로프'', ''앤서니''의 호위를 받으며 스코파 플로우를 출발했다. 이들은 작전 건틀렛의 일환으로 스피츠베르겐의 탄광을 파괴하고 소련 및 노르웨이 거주민들을 대피시키는 임무를 수행했다.[33] 이 함대는 9월 6일 포르상에르피오르덴에서 독일군 수송 호송대와 조우하여 호위함 ''브렘세''를 격침시켰다.[34] 8월 26일에는 U-571이 3,870톤급 소련 선박 ''마리야 울야노바''를 격침시켰다.[35]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8월 31일, 첫 연합군 호송대인 데르비쉬 호송대가 아르한겔스크에 도착하여 서방 연합국의 전쟁 물자가 소련으로 본격적으로 수송되기 시작했다. 호송대는 ''데번셔'', ''서포크'', ''빅토리어스''의 호위를 받았고, 이 중 ''빅토리어스''는 트롬쇠에 공습을 가하기도 했다.[33]
9월 12일에는 소련 잠수함 ''쉬-422''가 타나피오르드 외곽에서 1,459톤급 노르웨이 선박 ''오타르 야를''을 격침시키며 반격에 나서기도 했다.[36] 9월 27일에는 영국의 비버브룩 경과 미국의 W. 아베렐 해리먼이 영국 순양함 ''런던''을 타고 아르한겔스크에 도착하여 연합국 간의 협력을 강화했다.[37] 10월 7일, ''빅토리어스''는 베스트피오르덴에 다시 공습을 가했다.[38]
4. 4. 데르비쉬 호송대
1941년 8월 31일, 최초의 연합군 대소련 지원 선단인 데르비쉬 호송대가 아르한겔스크에 도착했다. 이는 연합군이 전쟁 물자를 노르웨이를 거쳐 소련으로 수송하는 본격적인 지원의 시작을 알렸다. 호송대는 HMS 데번셔, HMS 서퍽, HMS 빅토리어스의 호위를 받았으며, HMS 빅토리어스는 트롬소에 대한 공습을 병행했다.[33]5. 1942년 – PQ 호송선단
1942년은 북극해 항로를 통한 연합군의 소련 지원 작전, 즉 PQ 선단 운영에 있어 가장 치열하고 희생이 컸던 해였다. 독일 해군(크릭스마리네)과 루프트바페는 U-보트와 항공 전력을 증강시켜 호송선단에 대한 공격을 대폭 강화했다. 특히 노르웨이 북부 해안에 배치된 독일 융커스 Ju 88, 하인켈 He 111, 포케불프 Fw 200 등 장거리 폭격기와 정찰기는 호송선단에 큰 위협이 되었다.[60][61][62][69][72][77]
또한, 강력한 독일 수상함대의 존재는 연합군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티르피츠''를 필두로 ''아드미랄 셰어'', ''뤼초'' 등 대형 함정들이 트론헤임과 나르비크 등 노르웨이 거점 항구에 배치되어 호송선단을 직접 위협했다.[53][57][65][69] 1942년 3월에는 ''티르피츠''가 직접 선단 PQ 12를 요격하기 위해 작전 슈포르트팔라스트를 실행하며 출격하기도 했으나, 영국 홈 함대와의 직접적인 교전은 피하고 귀환했다.[58]
이러한 독일군의 총력적인 저지 노력으로 인해 1942년 PQ 호송선단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1월 선단 PQ 8의 호위함 HMS ''마타블레'' 격침을 시작으로,[52] 3월 선단 PQ 13은 악천후와 독일군의 협공으로 큰 손실을 보았고, 호위 순양함 HMS ''트리니다드''가 손상을 입고 이후 격침되었다.[60][66] 4월 말에는 선단 QP 11의 호위 순양함 HMS ''에든버러''가 U-보트와 독일 구축함의 공격으로 치명적인 손상을 입고 결국 자침 처리되었다.[62] 5월의 선단 PQ 15와 선단 PQ 16 역시 독일 항공기와 U-보트의 공격으로 상당한 손실을 기록했다.[62][69]
특히 1942년 7월의 선단 PQ 17은 북극해 호송 작전 사상 최악의 비극으로 기록된다. 독일 대형 수상함대의 출격 위협 정보로 인해 호송선단 분산 명령이 내려졌고, 보호받지 못한 채 흩어진 상선들은 독일 항공기와 U-보트의 집중 공격 대상이 되어 35척 중 24척이 격침되는 참사를 겪었다.[72] 이 사건은 연합군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후 한동안 대규모 호송선단 운영이 중단되고 작전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PQ 17의 재앙 이후 재개된 9월의 선단 PQ 18은 항공모함까지 포함된 강력한 호위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의 격렬한 항공 및 잠수함 공격으로 40척의 상선 중 13척을 잃었다.[77] 귀환 선단인 QP 14 역시 U-보트의 공격으로 호위함과 상선 여러 척을 잃었다.[78] 10월 말에는 호송선단 없이 개별 항해하는 선박들을 노린 작전 FB가 실행되어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했다.[79] 11월의 귀환 선단 QP 15 역시 악천후와 U-보트 공격으로 손실을 입으며 1942년의 어려운 호송 작전을 마무리지었다.[81][82] 한편, 이러한 북극해 항로의 위험성 증대와 손실 누적으로 인해 1942년 6월부터는 태평양 전쟁에서 소련의 중립을 이용한 베링 해협 경유 북극해 항로 수송이 병행되기 시작했다.[8]
5. 1. PQ 호송선단의 운영
PQ 호송선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이 소련에 군수 물자를 지원하기 위해 운영한 북극 항로의 선단이다. 1941년 후반부터 운영되었으며, 독일군의 공격으로 인해 많은 손실을 겪었다.1941년 10월 11일, 첫 번째 호송선단인 선단 PQ 1이 HMS 서폭의 호위를 받으며 아르한겔스크에 도착했다.[39] 이후 PQ 선단은 꾸준히 소련으로 향했으며, 귀환하는 선단은 QP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선단 PQ 2는 10월 30일에 도착했고, 귀환 선단 QP 2는 11월 2일에 출항했다.[41] 11월 28일에는 선단 PQ 3와 선단 PQ 4가, 12월 12일에는 선단 PQ 5가 아르한겔스크에 도착했다.[43][42] 12월 23일에는 선단 PQ 6이 무르만스크에 도착했다.[47]
이 시기 독일군과 소련군의 교전도 이어졌다. 10월 17일 소련 잠수함 ''슈치-402''가 노르웨이 근해에서 독일 상선 ''베스테랄렌''을 격침시켰고,[40] 10월 18일에는 독일 잠수함 U-132가 백해 입구에서 소련 상선 ''아르군''을 격침시켰다.[39] 11월 24일에는 영국 해군 함정 HMS 케냐, 베두인, HMS 인트레피드와 소련 구축함 ''그롬키'', ''그레미아시치''가 바르되를 포격했으며,[42] 12월 3일에는 소련 잠수함 ''K-3''가 독일 잠수함 추격정들과 교전하여 UJ 1708을 격침시켰다.[44] 12월 7일에는 앤서니 이든 영국 외무장관이 HMS 켄트를 타고 무르만스크에 도착했다.[45] 12월 21일에는 소련 잠수함 ''M-174''가 독일 상선 ''엠스호른''을 격침시켰다.[46] 12월 26일에는 HMS 아레투사가 로포텐 제도를 습격하는 작전 앵클릿을 지원했다.[49]
1941년 말, 독일군은 PQ 호송선단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12월 25일, U-보트 U-134, U-454, U-584가 베어섬 남쪽에서 '울란(Ulan)' 그룹을 형성하여 PQ 선단 순찰에 나섰다.[48]
1942년 초, 호송선단 운영은 계속되었지만 독일군의 공격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1월 11일, 선단 PQ 7은 U-134에 의해 상선 ''와지리스탄''이 격침된 후 무르만스크에 도착했다.[50] 1월 14일에는 소련 잠수함 ''S-102''가 노르웨이 근해에서 독일 상선 ''투르크하임''을 격침시켰다.[51] 1월 17일, 선단 PQ 8은 U-454의 공격을 받아 호위함 HMS 마타블레가 격침되고 상선 ''하마트리스''가 손상된 채 콜라만에 도착했다.[52] 이 무렵 독일 전함 ''티르피츠''가 트론헤임에 배치되어 연합군 홈 함대에 큰 부담을 주었다.[53] 2월 5일에는 소련 잠수함 ''슈치-421''이 노르웨이 근해에서 독일 상선 ''콘술 슐테''를 격침시켰다.[54] 2월 10일에는 HMS 나이지리아, HMS 폴크너, HMS 인트레피드의 호위를 받은 선단 PQ 9/10이 무사히 도착했고, 호위대는 2월 12일 귀환 선단 QP 7과 함께 출항했다.[55] 2월 15일에는 소련 잠수함 ''S-101''이 타나피오르 외곽에서 독일 상선 ''미모나''를 격침시켰다.[56] 2월 23일에는 선단 PQ 11이 무르만스크에 도착했다. 같은 날, 독일 순양함 ''아드미랄 셰어''가 트론헤임에 배치되어 ''티르피츠''와 합류했다.[57]
3월에는 독일 수상함대가 직접 호송선단 공격에 나섰다. 3월 5일, 포케불프 Fw 200 정찰기가 얀마옌 남쪽에서 선단 PQ 12를 발견하자, 작전 슈포르트팔라스트의 일환으로 ''티르피츠''가 구축함 ''헤르만 쇼만'', ''프리드리히 인'', ''Z25''와 함께 출격했다. HMS 요크 공작, 레노운, HMS 케냐, 폴크너, 에스키모, 펀자비, 퓨리, 에코, 이클립스로 구성된 영국 함대는 ''티르피츠''를 찾지 못했지만, 독일 구축함 ''프리드리히 인''은 귀환 선단 QP 8에서 이탈한 상선 ''이조라''를 격침시켰다. 3월 9일, HMS 빅토리어스 항공모함의 공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자 ''티르피츠''는 나르비크로 후퇴했다.[58] 3월 24일, 귀환 선단 QP 9의 호위함 HMS 샤프슈터는 U-655를 격침시켰다.[59] 3월 27일에는 악천후로 흩어진 선단 PQ 13이 독일 항공기와 구축함의 공격을 받았다. 융커스 Ju 88 폭격기가 상선 ''레이스랜드''와 엠파이어 레인저를 격침시켰고, 독일 구축함 Z24, ''Z25'', Z26이 출격했다. ''Z26''은 상선 ''바토''를 격침시킨 후 영국 순양함 HMS 트리니다드에 의해 격침되었다. 이 교전으로 ''트리니다드''와 호위 구축함 HMS 이클립스도 손상을 입었다. 또한 U-보트 U-376과 U-435가 각각 상선 ''인두나''와 ''에핑엄''을 격침시켰다.[60]
4월과 5월에도 호송선단에 대한 공격은 계속되었다. 4월 1일, 소련 잠수함 ''슈치-404''가 타나피오르 외곽에서 독일 상선 ''마이클''을 격침시켰다.[59] 4월 10일 출항한 선단 QP 10은 HMS 리버풀, 오리비, 펀자비, 마른, 퓨리, 이클립스의 호위를 받았으나, KG 30 소속 Ju 88 폭격기의 공격으로 엠파이어 카우퍼와 ''하팔리온''을 잃었고, U-435에 의해 ''옥시덴테''와 ''키예프''가 격침되었다.[61] 4월 19일 도착한 선단 PQ 14는 U-403에 의해 엠파이어 하워드를 잃었다.[61] 4월 24일에는 소련 잠수함 ''슈치-401''이 독일 상선 ''스텐사스''를 격침시킨 후 실종되었다.[61] 4월 28일 출항한 선단 QP 11은 HMS 에든버러, 포사이트, 포레스터, 불독, 아마존, 비글, 베벌리의 호위를 받았다. U-456의 어뢰 공격으로 호위 순양함 HMS ''에든버러''가 큰 피해를 입었고, 독일 구축함 ''헤르만 쇼만'', ''Z24'', ''Z25''와의 교전에서 소련 상선 ''치올코프스키''가 격침되고 영국 구축함 ''아마존''이 손상되었다. 독일 구축함 ''쇼만''은 ''에든버러''에 의해 격침되었지만, 독일군은 ''에든버러''를 추가로 공격하여 항행 불능 상태로 만들고 영국 구축함 ''포레스터''와 ''포사이트''에도 피해를 입혔다.[62] 4월 29일에는 소련 잠수함 ''M-171''이 바랑에르피오르 외곽에서 독일 상선 ''큐리티바''를 격침시켰다.[63] 5월 5일 도착한 선단 PQ 15는 KG 26 소속 하인켈 He 111 폭격기의 공격으로 상선 ''보타본''과 ''케이프 코르소''를 잃었고, 손상된 ''유틀란트''는 이후 U-251에 의해 격침되었다. 이 선단의 호위대 소속 HMS 세인트 알반스는 실수로 폴란드 잠수함 ORP 야스트젭을 격침시키는 사고도 있었다.[62] 또한 엄호 부대의 전함 HMS 킹 조지 5세가 구축함 펀자비와 충돌하여 ''펀자비''가 침몰하고 전함도 손상을 입었다.[64] 5월 10일, ''셰어''는 트론헤임에서 나르비크로 이동했다.[65] 5월 14일에는 앞서 손상되었던 순양함 HMS 트리니다드가 KG 30 소속 Ju 88 급강하 폭격기의 공격을 받고 결국 침몰했다.[66] 5월 15일, 제11 잠수함 기지대가 설립되어 북극해 순찰을 위해 베르겐에 주둔했다.[67] 슈투르츠캄프게슈바더 5 (StG 5) 소속 융커스 Ju 87은 무르만스크를 공격하여 상선 ''야카''와 소련 잠수함 ''슈치-403''을 손상시켰다.[68] 5월 25일에는 ''뤼초''가 나르비크에서 ''아드미랄 셰어''에 합류했다. 같은 날 공격받기 시작한 선단 PQ 16은 KG 26과 KG 30 항공기, 그리고 U-703의 공격으로 상선 ''칼튼''(손상), ''시로스'', ''알라마'', ''모르마크술'', 엠파이어 로렌스, 엠파이어 퍼셀, ''로더 캐슬'', ''시티 오브 졸리엣'' 등 총 7척의 상선을 잃고 스타리 볼셰비크, ''오션 보이스'', 엠파이어 배핀, HMS 갈랜드가 손상된 채 5월 31일 무르만스크에 도착했다.[69]
1942년 여름, PQ 호송선단은 최악의 시기를 맞이했다. 6월 1일, StG 5 소속 Ju 87은 무르만스크에서 엠파이어 스타라이트를 격침시키고 소련 잠수함 ''슈치-404''를 손상시켰다.[70] 6월 24일에는 StG 5 소속 Ju 87이 콜라만에서 HMS 고사머를 격침시켰다.[71] 1942년 6월부터는 태평양 전쟁에서 소련의 중립을 이용하여 베링 해협을 통해 북극해 항로로 물자를 운송하는 방식도 병행되었다.[8] 특히 7월 초에 출발한 선단 PQ 17은 독일 대형 함대의 출격 가능성 때문에 호송선단 분산 명령이 내려졌고, 흩어진 상선들은 독일 항공기와 U-보트의 집중 공격 대상이 되었다. 7월 4일 하인켈 He 115 수상기와 KG 26 소속 He 111 폭격기가 각각 리버티선 ''크리스토퍼 뉴포트''와 상선 ''나바리노''를 격침시키고 리버티선 ''윌리엄 후퍼''와 상선 ''아제르바이잔''을 손상시킨 것을 시작으로, 선단 분산 이후 총 22척의 상선이 추가로 격침되는 참사를 겪었다.[72] 7월 30일, 소련 태평양 함대 소속 구축함 라줌니, 라자랴니 및 바쿠가 베링 해협을 통해 서쪽으로 이동하여 10월 14일 소련 북부 함대에 합류했다.[73] 8월 1일, U-601은 코스틴 해협 외곽에서 소련 상선 ''크레스티아닌''을 격침시켰다.[74] 8월 16일, ''셰어''는 작전 분더란트를 위해 나르비크를 떠나 카라해를 2주 동안 순찰했다.[75] 8월 25일, HMS 마른, HMS 마틴, HMS 온슬로는 베어섬 동쪽에서 독일 기뢰 부설함 ''울름''을 격침시켰다.[76]
PQ 17의 재앙 이후 호송선단 운영 방식에 변화가 생겼다. 9월에 운용된 선단 PQ 18은 강력한 호위를 받았지만, 여전히 독일군의 격렬한 공격에 노출되었다. 호위함 HMS 폴크너가 베어섬 근처에서 U-88을 격침시키는 등 반격도 있었지만, U-보트(U-405, U-589, U-457)와 독일 항공기(KG 26, KG 30)의 공격으로 리버티선 ''올리버 엘스워스'', ''스탈린그라드'', ''와코스타'', ''오레고니안'', ''맥베스'', ''아프리카인더'', 엠파이어 스티븐슨, 엠파이어 보몬트, ''수호나'', ''아텔템플러'', ''켄터키'' 등 총 10척의 상선이 격침되고 ''트루바도르''가 손상되었다. 영국 해군은 HMS 온슬로와 HMS 임펄시브가 각각 ''U-589''와 ''U-457''을 격침시키는 전과를 올렸다.[77] 귀환 선단 QP 14 역시 9월 13일 아르한겔스크를 출항했으나, 9월 20일부터 U-보트(U-435,
5. 2. 독일군의 공격과 피해
1941년 말부터 독일 해군(크릭스마리네)과 루프트바페는 북극해를 통해 소련으로 향하는 연합군의 보급선을 차단하기 위해 공세를 강화했다. 주요 공격 수단은 U-보트와 항공기였으며, 때로는 수상함대까지 동원되었다.- 1941년 10월 18일: U-132가 백해 입구에서 3,487톤급 소련 선박 ''아르군''을 격침시켰다.[39]
- 1941년 12월 25일: U-134, U-454, U-584로 구성된 U-보트 그룹 '울란(Ulan)'이 베어섬 남쪽에서 PQ 선단 공격을 위해 배치되었다.[48]
- 1942년 1월 11일: 선단 PQ 7이 무르만스크에 도착했으나, 이 과정에서 U-134가 5,135톤급 영국 상선 ''와지리스탄''을 격침시켰다.[50]
- 1942년 1월 17일: 선단 PQ 8을 공격한 U-454는 5,395톤급 상선 ''하마트리스''를 손상시키고 영국 구축함 HMS ''마타블레''를 격침시켰다.[52] 같은 시기, 노르웨이 트론헤임에 배치된 독일 전함 ''티르피츠''의 존재는 영국 홈 함대가 강력한 전력을 북극해에 묶어두게 만드는 전략적 부담을 안겼다.[53]
- 1942년 3월 5일: 포케불프 Fw 200 정찰기가 선단 PQ 12를 발견하자, ''티르피츠''가 구축함 ''헤르만 쇼만'', ''프리드리히 인'', Z25와 함께 작전 슈포르트팔라스트를 개시하며 출격했다. 영국 함대의 반격 시도는 실패했고, ''프리드리히 인''은 귀환 선단 QP 8에서 이탈한 2,815톤급 소련 선박 ''이조라''를 격침시켰다. 3월 9일 영국 항공모함 HMS 빅토리어스의 공습 시도 후 ''티르피츠''는 나르비크로 후퇴했다.[58]
- 1942년 3월 24일: 선단 QP 9 호위 임무 중이던 영국 기뢰제거함 HMS ''샤프슈터''가 U-655를 격침시켰다.[59]
- 1942년 3월 27일: 악천후로 흩어진 선단 PQ 13이 독일 항공기와 구축함, U-보트의 협공을 받았다. 융커스 Ju 88 폭격기가 4,815톤급 미국 상선 ''레이스랜드''와 7,007톤급 영국 상선 ''엠파이어 레인저''를 격침시켰다. 독일 구축함 Z24, Z25, Z26이 추가 공격에 나서 Z26이 4,687톤급 상선 ''바토''를 격침시켰으나, 이후 영국 순양함 HMS ''트리니다드''와의 교전에서 격침되었다. 이 교전으로 ''트리니다드''와 구축함 HMS ''이클립스''도 손상을 입었다. U-376은 5,086톤급 상선 ''인두나''를, U-435는 6,421톤급 상선 ''에핑엄''을 각각 격침시켰다.[60]
- 1942년 4월 10일: 선단 QP 10이 출항 직후 공격을 받았다. Ju 88 폭격기가 7,164톤급 영국 상선 ''엠파이어 카우퍼''와 5,486톤급 상선 ''하팔리온''을 격침시켰다. U-435는 6,008톤급 파나마 상선 ''옥시덴테''와 5,823톤급 소련 상선 ''키예프''를 추가로 격침시켰다.[61]
- 1942년 4월 19일: 선단 PQ 14는 U-403의 공격으로 6,985톤급 영국 상선 ''엠파이어 하워드''를 잃었다.[61]
- 1942년 4월 28일: 선단 QP 11 호위 임무 중이던 영국 순양함 HMS 에든버러가 U-456의 어뢰 공격을 받아 큰 손상을 입고 결국 자침 처리되었다. 독일 구축함 ''헤르만 쇼만'', Z24, Z25는 2,847톤급 소련 상선 ''치올코프스키''를 격침시키고 영국 구축함 HMS ''아마존''을 손상시켰다. 교전 중 ''쇼만''은 ''에든버러''의 반격으로 격침되었고, 독일 구축함들은 ''에든버러''를 완전히 무력화시키고 영국 구축함 HMS ''포레스터''와 HMS ''포사이트''에 손상을 입혔다.[62]
- 1942년 5월 5일: 선단 PQ 15는 하인켈 He 111 폭격기의 공격으로 5,848톤급 상선 ''보타본''과 3,807톤급 상선 ''케이프 코르소''를 잃었고, 손상된 6,153톤급 상선 ''유틀란트''는 U-251에 의해 최종 격침되었다. 선단 호위대의 HMS ''세인트 알반스''는 오인 사격으로 폴란드 잠수함 ORP ''야스트젭''을 격침시키는 사고가 발생했다.[62] 엄호 부대에서는 HMS ''킹 조지 5세''가 구축함 ''푼자비''와 충돌했고, 침몰하는 구축함의 폭뢰가 폭발하면서 전함에 손상을 입혔다.[64]
- 1942년 5월 14일: 이전에 손상되었던 순양함 HMS ''트리니다드''가 수리를 위해 이동 중 Ju 88 급강하 폭격기의 공격을 받아 결국 침몰했다.[66]
- 1942년 5월 25일: 선단 PQ 16이 독일 항공기와 U-보트의 집중 공격을 받았다. KG 26과 KG 30 항공대는 5,127톤급 상선 ''칼튼''을 손상시켰고, U-703은 6,191톤급 상선 ''시로스''를 격침시켰다. 계속된 공습으로 상선 ''알라마'', ''모르마크술'', ''엠파이어 로렌스'', ''엠파이어 퍼셀'', ''로더 캐슬'', ''시티 오브 졸리엣'' 등 6척이 추가로 격침되었다. 상선 MV ''스타리 볼셰비크'', ''오션 보이스'', ''엠파이어 배핀''과 호위 구축함 HMS ''갈랜드''도 손상을 입었다.[69]
- 1942년 6월 1일: 무르만스크 항에 정박 중이던 7,850톤급 영국 상선 ''엠파이어 스타라이트''가 StG 5 소속 Ju 87 급강하 폭격기의 공격으로 격침되었다.[70]
- 1942년 6월 24일: 콜라만에서 StG 5 소속 Ju 87이 영국 기뢰제거함 HMS ''고사머''를 격침시켰다.[71]
- 선단 PQ 17의 비극: 1942년 7월, PQ 17 호송선단은 북극해 항로 역사상 최악의 피해를 겪었다.
- 7월 4일: 하인켈 He 115 뇌격기가 리버티선 ''크리스토퍼 뉴포트''를 격침시켰고, KG 26 소속 He 111 폭격기는 4,841톤급 상선 ''나바리노''를 격침시키고 리버티선 ''윌리엄 후퍼''와 6,114톤급 소련 유조선 ''아제르바이잔''을 손상시켰다.
- 7월 5일: 독일 수상함대(''티르피츠'', ''아드미랄 히퍼'' 등)의 출격 위협 정보로 인해 영국 해군성은 호송선단 분산 명령을 내렸다. 이는 치명적인 결정으로, 흩어진 상선들은 독일 항공기와 U-보트의 손쉬운 표적이 되었다. 분산 명령 이후 총 22척의 상선이 추가로 격침되는 비극을 맞았다. PQ 17은 총 35척의 상선 중 24척을 잃었다.[72]
- 1942년 8월 1일: U-601이 코스틴 해협 외곽에서 2,513톤급 소련 상선 ''크레스티아닌''을 격침시켰다.[74]
- 1942년 8월 25일: 영국 구축함 HMS ''마른'', HMS ''마틴'', HMS ''온슬로''가 베어섬 동쪽에서 독일 기뢰 부설함 ''울름''을 격침시켰다.[76]
- 1942년 9월 12일: 선단 PQ 18 역시 격렬한 공격에 직면했다. 호위함 HMS ''폴크너''가 U-88을 격침시켰다. U-405와 U-589가 9월 13일 리버티선 ''올리버 엘스워스''와 3,559톤급 소련 상선 ''스탈린그라드''를 격침시켰고, KG 26 및 KG 30 항공기는 5,432톤급 미국 상선 ''와코스타'', 4,826톤급 미국 상선 ''오레고니안'', 6,131톤급 파나마 상선 ''맥베스'', 5,441톤급 영국 상선 ''아프리카인더'', 6,209톤급 영국 상선 ''엠파이어 스티븐슨'', 7,044톤급 영국 상선 ''엠파이어 보몬트'', 3,124톤급 소련 상선 ''수호나'' 등 7척을 격침시켰다. U-457은 9월 14일에 8,992톤급 유조선 ''아텔템플러''를 격침시켰다. 이후 HMS ''온슬로''가 U-589를 격침시켰고, HMS ''임펄시브''가 9월 16일에 U-457을 격침시켰다. 5,446톤급 미국 상선 ''켄터키''는 격침되었고 6,458톤급 상선 ''트루바도르''는 선단이 무르만스크에 도달하기 전에 손상되었다.[77]
- 1942년 9월 13일: 귀환 선단 QP 14가 아르한겔스크에서 출항했으나 역시 공격을 받았다. 9월 20일에 U-435가 기뢰제거함 HMS ''레다''를 격침시켰고, U-255는 4,937톤급 영국 상선 ''실버 소드''를 격침시켰으며, U-703은 구축함 HMS ''소말리''를 격침시켰다. U-435는 9월 22일에 5,345톤급 미국 상선 ''벨링엄'', 7,174톤급 영국 상선 ''오션 보이스'' 및 3,313톤급 영국 유조선 ''그레이 레인저''를 추가로 격침시켰다.[78]
- 1942년 10월 29일: 호송선단 없이 개별적으로 항해하는 상선들을 노린 작전 FB가 시작되었다. U-586은 11월 2일 6,640톤급 영국 상선 ''엠파이어 길버트''를 격침시켰다. KG 30 소속 Ju 88 폭격기는 7,363톤급 소련 상선 ''데카브리스트''를 격침시키고 리버티선 ''윌리엄 클라크''와 5,445톤급 영국 상선 ''출믈레이''를 손상시켰는데, 이 두 척은 각각 U-354와 U-625에 의해 최종 격침되었다. U-625는 또한 7,455톤급 영국 상선 ''엠파이어 스카이''를 격침시켰고, 독일 구축함 Z27은 11월 7일에 7,925톤급 소련 유조선 ''돈바스''를 격침시켰다.[79]
- 1942년 11월 5일: 미 해군 VP-84 소속 컨설리데이티드 PBY 카탈리나 비행정 'H'가 아이슬란드 북쪽에서 U-408을 격침시켰다.[80]
- 1942년 11월 17일: 귀환 선단 QP 15가 콜라만을 출항했으나 폭풍으로 흩어졌다. 이 과정에서 호위하던 소련 구축함 ''소크루시텔니''가 악천후로 침몰했다.[81] U-625는 5,851톤급 영국 상선 ''굴리스탄''을, U-601은 3,974톤급 소련 상선 ''쿠즈네츠 레소프''를 각각 격침시켰다.[82]
5. 3. 소련의 호송선 지원
1942년 6월부터 미국 등 연합국은 태평양 전쟁에서 소련의 중립적 지위를 활용하여 북아메리카에서 베링 해협과 북극해 항로를 통해 소련으로 전략 물자를 수송하기 시작했다. 이는 기존의 PQ 선단을 통한 보급을 보충하고 랜드리스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었다.[8]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1942년 7월 30일에는 소련 태평양 함대 소속 구축함인 ''라줌니''와 ''라자랴니'', 그리고 ''바쿠''가 베링 해협을 통과하여 서쪽으로 항해를 시작했다. 이 구축함들은 어려운 북극 항로를 거쳐 같은 해 10월 14일 소련 북부 함대에 성공적으로 합류하여 북극해에서의 소련 해군력을 증강시키는 데 기여했다.[73]
6. 1943년 – JW 호송선단
1942년 말 호송선 JW 51B에 대한 공격으로 시작된 바렌츠 해 해전의 여파 속에서 1943년의 북극해 호송 작전이 시작되었다. 비록 바렌츠 해 해전에서 독일 수상함대가 전술적 패배를 겪었지만, U보트와 독일 공군의 위협은 여전히 심각했다. 연초부터 호송선 JW 53과 호송선 RA 53 등이 독일 잠수함과 항공기의 공격으로 피해를 입었으며, 소련 잠수함 역시 독일측 선박에 대한 공격을 이어갔다.[84][85][86][87][88][89][90][93][94]
1943년 3월, 티르피츠, 샤른호르스트, 뤼초 등 독일 해군의 강력한 수상함들이 노르웨이 북부 나르비크에 집결하자, 연합군은 호송선단의 안전을 위해 여름철 동안 운항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87] 이 기간 동안 독일 U보트는 카라 해 등지에서 소련 선박을 공격하는 작전을 수행했다.[97]
호송이 중단된 기간 동안 연합군은 독일 해군력, 특히 전함 ''티르피츠''를 무력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 9월에는 영국군의 특수 잠수정을 이용한 작전 소스 공격으로 ''티르피츠''가 심각한 손상을 입고 장기간 작전 불능 상태에 빠졌다.[99]
연말 호송 작전이 재개되면서 독일 해군은 다시 한번 호송선단을 노렸다. 12월 26일, 호송선 JW 55B와 호송선 RA 55A를 공격하려던 전함 ''샤른호르스트''는 영국 홈 함대와의 노르드케이프 해전에서 격침되었다.[101] 이 전투는 북극해에서 독일 대형 수상함의 위협을 사실상 종식시키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1943년은 이처럼 JW 호송선단을 둘러싼 치열한 공방 속에서 연합군이 큰 희생을 치르면서도 결국 독일 해군의 위협을 점차 약화시켜 나간 해였다.
6. 1. 호송선단의 재개와 독일군의 대응

1942년 말부터 연합군은 소련에 대한 물자 지원을 위해 북극 항로 호송선단 운항을 재개했지만, 독일 해군과 공군의 위협은 계속되었다.
- 1942년 12월 31일: 독일 중순양함 아드미랄 히퍼, 뤼초, 구축함 리하르트 바이트첸, 테오도르 리델, 프리드리히 에콜트, Z29, Z30, Z31으로 구성된 함대가 호송선 JW 51B를 공격하면서 바렌츠 해 해전이 발발했다. 독일 함대는 영국 구축함 오퓨레이트, 오비디언트, 온슬로에 피해를 입혔고, 구축함 아카테스와 기뢰제거함 브램블을 격침시켰다. 그러나 영국 호위 함대의 저항과 증원 함대의 도착으로 전세가 역전되어, 독일 순양함 ''히퍼''가 손상을 입고 구축함 ''프리드리히 에콜트''가 격침되었다.[83]
- 1943년 1월 1일: 소련 잠수함 L-20이 콩스피오르덴 근처에서 5,472톤급 독일 수송선 ''무안사''를 격침시켰다. 독일 잠수함 U-354는 2,418톤급 소련 수송선 ''크라스니 파르티잔''을 격침시켰다.[84]
- 1943년 1월 29일: 소련 잠수함 ''L-20''은 노르드킨 곶 근처에서 7,007톤급 독일 수송선 ''오트마르셴''을 격침시켰고, 소련 잠수함 M-171은 콩스피오르덴 근처에서 3,243톤급 독일 수송선 ''일로나 시머스''를 격침시켰다. 독일 잠수함 U-255는 소련 쇄빙선 ''말리긴''과 1,892톤급 수송선 ''우파''를 격침시켰다. 이후 ''U-255''는 2월 3일 호송선 RA 52 소속의 7,460톤급 미국 리버티 선 ''그레이록''을 추가로 격침시켰다.[85]
- 1943년 2월 12일: 소련 잠수함 K-3는 8,116톤급 독일 수송선 ''페헤네임''을 격침시켰다.[86]
- 1943년 2월 26일: 호송선 JW 53이 콜라 만에 도착했으나, 독일 공군 제30폭격비행단(KG 30) 소속 Ju 88 폭격기의 공격으로 1척이 피해를 입었다. 제5급강하폭격비행단(StG 5) 소속 Ju 87 급강하폭격기는 2월 27일과 28일에 추가로 3척의 선박에 피해를 입혔고, 3월 6일과 13일의 공습으로 또 다른 선박이 피해를 입었으며 7,173톤급 영국 상선 ''오션 프리덤''이 격침되었다.[87]
- 1943년 3월 5일: 독일 잠수함 ''U-255''는 호송선 RA 53 소속의 리버티 선 ''리처드 블랜드''와 4,978톤급 파나마 상선 ''이그제큐티브''를 격침시켰다. U-586은 3월 9일에 6,076톤급 미국 상선 ''푸에르토 리칸''을 격침시켰다.[88]
- 1943년 3월 11일: 그린란드 사빈 섬 북부 해안에 설치된 독일 기상 관측소 ''Holzauge''가 덴마크 시리우스 썰매 순찰대에 의해 발견되었다. 발각 사실을 인지한 독일군은 추격전을 벌였고, 순찰대는 장비를 버리고 에스키모나에스로 후퇴해야 했다.
- 1943년 3월 12일: 독일 전함 티르피츠, 샤른호르스트, 중순양함 ''뤼초''가 나르비크에 집결하자, 연합군은 여름 동안 호송선단 운항을 중단했다.[87]
- 1943년 3월 16일: 소련 잠수함 M-122는 바랑게르피오르 근처에서 4,533톤급 독일 수송선 ''요한니스베르거''를 격침시켰다.[89]
- 1943년 3월 29일: 소련 잠수함 S-55는 2,297톤급 독일 수송선 ''아약스''를 격침시켰다.[90] S-101 역시 이 배를 격침시켰다고 주장했다.[91]
- 1943년 4월 7일: 영국 잠수함 튜나는 얀마옌 섬 근처에서 독일 잠수함 U-644를 격침시켰다.[92]
- 1943년 4월 29일: 소련 잠수함 ''S-55''는 노르드킨 근처에서 708톤급 독일 수송선 ''슈투르츠제''를 격침시켰다.[93]
- 1943년 5월 17일: 소련 잠수함 S-56은 콩스피오르 근처에서 1,118톤급 독일 유조선 ''유로스타트''를 격침시켰다. 같은 어뢰 공격에서 불발탄에 맞은 3,676톤급 ''바르텔란트''는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94]
- 1943년 6월: 제13 U보트 함대가 트론헤임에 창설되었다. 이는 프랑스 대서양 연안의 U보트 기지들이 연합군 폭격에 취약해짐에 따라 손실을 줄이기 위한 조치였다.[95]
- 1943년 7월 8일: 영국 홈 함대 소속 전함 듀크 오브 요크, 앤슨, 말라야, 항공모함 퓨리어스가 미 해군 전함 사우스다코타, 앨라배마, 순양함 오거스타, 터스컬루사와 함께 노르웨이 해상에서 기만 훈련을 실시했다. 이는 허스키 작전(시칠리아 침공)으로부터 독일군의 주의를 돌리기 위한 목적이었다.[96]
- 1943년 7월 17일: 소련 잠수함 ''S-56''은 독일 기뢰 제거함 ''M-346''을 격침시켰다.[94]
- 1943년 7월~9월: 독일 U보트들은 카라 해에서 소련 선박을 상대로 작전을 펼쳤다. ''U-255''는 노바야 제믈랴 근처에서 BV 138 정찰기에 대한 급유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 BV 138 정찰기는 카라 해의 소련 호송선을 탐색했고, 발견된 호송선은 ''비킹'' 그룹 소속의 중순양함 ''뤼초''와 잠수함 U-302, ''U-354'', U-711에 의해 공격받았다. 이 작전 기간 동안 U보트들은 3,771톤급 ''페트로프스키''에 어뢰 공격을 가했고, 2,900톤급 ''딕슨'', 7,169톤급 ''트빌리시'', 2,480톤급 ''아르한겔스크'', 4,169톤급 ''세르게이 키로프''를 포함한 다수의 선박과 3척의 기뢰 제거함 및 3척의 보조 선박을 격침시켰다. 그러나 U-639는 소련 잠수함 ''S-101''의 어뢰 공격을 받고 격침되었다.[97]
- 1943년 9월 8일: 독일 전함 ''샤른호르스트'', ''티르피츠''와 10척의 구축함이 작전 치트로넬라를 실행하여 스피츠베르겐 섬을 포격했다.[98]
- 1943년 9월 23일: 영국군의 작전 소스(특수 잠수정을 이용한 공격)로 인해 전함 ''티르피츠''가 카피오르드에서 기동 불능 상태가 되었다.[99]

- 1943년 10월 4일: 미 해군 항공모함 레인저가 작전 리더의 일환으로 노르웨이 보되 지역에 공습을 가했다.[100]
- 1943년 10월 12일: 소련 잠수함 ''S-55''는 포르상게르피오르 근처에서 5,381톤급 독일 수송선 ''암메르란트''를 격침시켰다.[93]
- 1943년 12월 26일: 독일 전함 ''샤른호르스트''가 호송선 JW 55B와 호송선 RA 55A를 공격하려다 노르드케이프 해전에서 영국 함대에 의해 격침되었다.[101]
- 1944년 1월 26일: 독일 '이제그림' U보트 그룹이 베어 섬 근처에서 호송선 호송선 JW 56A를 공격하여 영국 구축함 오퓨레이트에 피해를 입히고, 리버티 선 ''페넬로페 바커'', ''앤드루 G. 커틴'', ''포트 벨링햄''을 격침시켰다. 1월 30일에는 U-278이 G7es 어뢰로 영국 구축함 하디를 격침시켰고, 호송선 호위대는 U-314를 격침시켰다.[102]
- 1944년 1월 28일: 소련 잠수함 ''S-56''은 5,056톤급 독일 수송선 ''헨리에타 슐테''를 격침시켰다.[103]
- 1944년 2월 24일: 호송선 JW 57 호송 임무 중 영국 항공모함 ''퓨리어스''가 노르웨이 해안을 상대로 '베이리프 작전' 공습을 실시했다. 호송선 호위함 케펠은 U-713을 격침시켰다.[104] U-956은 2월 25일에 G7es 어뢰로 영국 구축함 마라타를 격침시켰다.[105]
- 1944년 3월 2일: 영국 잠수함 셉터는 폴다 피오르에서 8,340톤급 독일 상선을 격침시켰다.[106]
- 1944년 3월 4일: U-703은 호송선 RA 57 소속의 7,062톤급 영국 상선 ''엠파이어 투리스트''를 격침시켰다. 호위 항공모함 체이서에서 발진한 제816 해군 항공 비행대 소속 페어리 스워드피쉬 뇌격기는 U-472, U-366, U-973을 격침시켰다.[104]
- 1944년 3월 28일: 영국 잠수함 시르티스가 보되 앞바다에서 기뢰에 의해 격침되었다.[106]

- 1944년 4월 2일: 영국 구축함 ''케펠''은 U-360을 격침시켰고, 다른 호송선 JW 58 호위대는 U-288을 격침시켰다.[107]
- 1944년 4월 3일: 영국 항공모함 함재기들이 작전 텅스텐 중 독일 전함 ''티르피츠''에 피해를 입혔다.[107]
- 1944년 4월 30일: U-711은 호송선 RA 59 소속의 리버티 선 ''윌리엄 S. 세이어''를 격침시켰다. 호송선 호위대는 U-277, U-959, U-674를 격침시켰다. 또한 호송선 호위대는 보되 근처의 독일 호송선단을 공습하여 3척의 배를 격침시켰다.[108]
- 1944년 5월 26일: 소련 항공기가 키르케네스 근처에서 3,402톤급 노르웨이 선박 ''솔비켄''을 격침하고, 3,672톤급 독일 선박 ''헤르타 엥겔리네 프리첸''에 피해를 입혔다.[109]
- 1944년 5월 31일: 영국 구축함 밀른은 베어 섬 남서쪽에서 U-289를 격침시켰다.[110]
6. 2. 독일군의 기상 관측소 운영과 연합군의 저지
1943년 3월 11일, 그린란드 사빈 섬 북부 해안에 설치된 독일군 기상 관측소 ''Holzauge''가 덴마크의 시리우스 썰매 순찰대에 의해 발견되었다. 독일군은 발각 사실을 깨닫고 순찰대를 추격했으며, 이 과정에서 순찰대는 장비를 버리고 에스키모나에스로 후퇴해야 했다.7. 1944년과 1945년 – 마지막 작전들
1944년에 접어들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의 북극해 전역은 마지막 단계로 향하고 있었다. 연합군은 나치 독일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으며, 특히 소련군은 북부 전선에서 독일군을 몰아내기 시작했다. 이 시기 북극해에서는 여전히 치열한 해상 전투와 U보트의 활동이 이어졌지만, 전반적인 전황은 연합군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북극해 항로에 큰 위협이었던 티르피츠는 연합군의 지속적인 공격 목표였다. 1944년 여러 차례의 공습 시도 끝에, 마침내 11월 12일 영국 공군의 아브로 랭커스터 폭격기들이 카테키즘 작전을 통해 티르피츠를 격침시키는 데 성공했다.[125] 이는 북극해에서 연합군 보급로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성과였다.
한편, 소련군은 1944년 10월 페차모-키르케네스 공세를 통해 핀란드 북부와 노르웨이 북부에서 독일군을 격퇴하고 키르케네스를 해방시키는 등[123] 북극 전선에서 중요한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 이 과정에서 소련 해군 북방함대는 상륙 작전 지원과 독일 함선 공격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120][121][122]
전쟁 말기까지 독일 U보트는 북극해에서 연합군 호송선단을 계속 위협했다. 특히 연합군이 프랑스 서부 해안의 U보트 기지들을 점령하자, 독일은 나르비크에 새로운 제14잠수함대를 창설하여[128] 북극해에서의 작전을 이어가려 했다. U보트들은 콜라만 입구 등 주요 길목에서 활동하며 일부 전과를 올리기도 했으나[115][119][124][126][127][129][130][131][132][133][134], 강화된 연합군의 대잠 전력과 제공권 장악으로 인해 점차 큰 손실을 입었다.[115][119][126][131][135] 카라 해에서의 U보트 작전[116]이나 그린란드 해역에서의 독일 기상 관측선 활동[117] 등도 있었으나 전세를 뒤집지는 못했다.
1945년 5월 나치 독일이 항복하면서 북극해에서의 전투도 종결되었다. 전쟁 막바지에는 미국의 렌드리스 물자가 북극해 항로를 통해 소련의 극동 지역으로 운송되기도 했는데, 이는 소련의 대일 참전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8]
7. 1. 티르피츠 격침 작전
1944년 7월 17일, 영국 항공모함 함재기들이 티르피츠를 공격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Operation Mascot).[112] 티르피츠는 이전 전투에서 입은 피해를 7월 31일까지 알타피오르드에서 수리 완료했다.[113]8월 22일부터 29일까지 영국 항공모함 함재기들은 굿우드 작전(Operation Goodwood)을 통해 티르피츠를 다시 여러 차례 공격했지만, 경미한 피해를 입히는 데 그쳤다.[115] 이 작전 중 독일 잠수함 U-354는 영국 호위함 HMS 비커튼을 격침시키고 호위항공모함 HMS 나보브를 손상시켰으나, 8월 24일 영국 호위함들에 의해 격침되었다.[115]
마침내 1944년 11월 12일, 영국 공군 소속 아브로 랭커스터 폭격기들이 카테키즘 작전(Operation Catechism)을 실행하여 티르피츠를 공격했고, 명중탄을 맞은 티르피츠는 결국 전복되어 침몰했다.[125] 이는 북극해에서 연합군 해상 보급로에 큰 위협이 되었던 티르피츠를 제거하는 결정적인 작전이었다.
7. 2. 북극해에서의 마지막 전투
1944년 6월 17일, 소련 항공기가 함메르페스트 근처의 독일 호송선단을 공격하여 1,610톤급 선박 ''딕시''를 격침시키고, 1,112톤급 ''마르가 코르즈''와 7,419톤급 ''플로리아노폴리스''에 손상을 입혔다.[111] 7월 17일에는 Operation Mascot 중 영국 항공모함이 티르피츠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112] 7월 31일, 티르피츠는 알타피오르드에서 전투 피해 수리를 완료했다.[113]8월 17일, 소련 항공기가 키르케네스 근처에서 독일 상선 2척을 격침시켰다.[114] 8월 19일에는 소련 어뢰정이 페르스피오르드 근처에서 독일 호송선단 소속의 3,946톤급 ''콜마르''를 격침했다.[114] 8월 21일, U-344가 호송선단 JW 59를 호위하던 영국 해군 호위함 카이트(Kite)를 격침시켰으나, 이후 영국 항공모함 빅토리어스(Victorious)에서 발진한 스워드피시 공격기에 의해 격침되었다.[115] 8월 22일부터 29일까지 영국 항공모함 항공기들이 굿우드 작전(Operation Goodwood) 동안 티르피츠를 여러 차례 공격했지만 경미한 피해만 입혔다. 이 과정에서 U-354는 8월 24일 영국 함대의 영국 해군 호위함 비커턴(Bickerton)을 격침시키고 영국 해군 호위항공모함 나보브(Nabob)에 손상을 입힌 후, 영국 호위함들에 의해 격침되었다.[115]

1944년 8월부터 9월 사이, 독일 U보트의 카라해 U보트 작전으로 인해 렌드리스 계획에 따라 소련으로 이관된 미국의 어드미러블급 소해정 3척(T-118, T-114, T-120)과 소련 초계함 ''브릴리언트''가 손실되었다. 하지만 상선 피해는 7540 GRT급 ''마리나 라스코바'' 1척과 측량선 1척에 그쳤다. 반면 독일은 소련 소해정 T-116(역시 미국에서 이관된 어드미러블급 소해정)의 폭뢰 공격으로 U-362를 잃었다.[116]
1944년 9월 1일, 독일 기상관측선 케딩겐이 그린란드 해역에서 미국 해안경비대 커터 노스랜드(Northland)에 발각되자 자침했다.[117] 9월 2일, 호송선단 RA 59의 호위함들이 U-394를 격침시켰다.[115] 9월 16일, 소련 항공기가 키르케네스에서 3668톤급 ''볼섬''을 격침시켰고, 9월 20일에는 노르드케이프 해역에서 또 다른 공격으로 5434톤급 ''프리젠란트''에 손상을 입혔다.[118] 9월 29일, U-310이 호송선단 RA 60 소속의 7219톤급 ''삼수바''와 리버티선 ''에드워드 H. 크로켓''을 격침시켰다. 9월 30일에는 영국 항공모함 캄파니아(Campania) 소속 제813 해군 항공대의 스워드피시 'F'기가 U-921을 격침했다.[119]
1944년 10월 11일, 소련 어뢰정이 키베르그 해역에서 독일 소해정 ''M-303''을 격침시켰다.[120] 10월 12일, 소련 잠수함 S-104가 타나피오르드 동쪽에서 1730톤급 ''룸메''를 격침했다.[121] 10월 16일, 미국 해안경비대 쇄빙선 이스트윈드(Eastwind)가 그린란드 해역에서 독일 기상관측선 엑스테른슈타이네를 나포했다.[117] 10월 21일, 소련 어뢰정이 호닝스보그 해역에서 독일 소해정 ''M-31''을 격침시켰다.[122]

1944년 10월 26일, 소련 해군 보병 부대가 소련 해군 북방함대 소속 구축함과 소형 군함들의 지원을 받아 키르케네스를 점령했다.[123] 11월 2일, U-295가 호송선단 RA 61을 호위하던 영국 해군 호위함 마운지(Mounsey)를 G7se 어뢰로 손상시켰다. 11월 11일에는 영국 해군 잠수함 벤처러(Venturer)가 로포텐 해역에서 U-771을 격침시켰다.[124] 11월 12일, 카테키즘 작전(Operation Catechism) 중 영국 공군의 아브로 랭커스터 폭격기들이 티르피츠를 공격하여 결국 전복시켰다.[125]
1944년 12월 2일, U-363이 핀란드 해역에서 1123톤급 ''프로레타리''를 격침시켰다.[126] 12월 9일, 호송선단 RA 62의 호위함들이 콜라만 입구에서 U-387을 격침시켰다. 12월 11일, U-365가 영국 해군 구축함 카산드라(Cassandra)를 어뢰로 공격했으나, 12월 13일 영국 항공모함 캄파니아(Campania) 소속 제813 해군 항공대의 스워드피시 공격기에 의해 격침되었다.[126] 12월 30일, U-956이 콜라만 해역에서 7176톤급 ''트빌리시''를 어뢰로 공격했다.[127] 같은 해 12월, 연합군이 프랑스 해안 기지를 점령함에 따라 이동한 U보트들을 수용하기 위해 나르비크에 제14잠수함대가 창설되었다.[128]
1945년 1월 16일, U-997이 콜라만 입구에서 G7se 어뢰로 데야텔니(Deyatelny)를 격침시켰다.[129] 2월 13일,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프랑스에서 철수한 제26폭격비행단(KG 26) 소속 Ju 88 및 융커스 Ju 188 뇌격기들이 호송선단 JW 64 공격에 실패했다. 한편, U-992는 콜라만 입구에서 호송선단 호위함인 영국 해군 코르벳 덴비 캐슬(Denbigh Castle)을 격침시켰다.[130] 2월 14일, U보트들이 콜라만 외곽에서 호송선단 BK 3 소속의 8129톤급 ''노르피엘''과 리버티선 ''호레이스 그레이''를 격침했다.[131] 2월 17일, 호송선단 RA 64의 출항을 위해 콜라만 해역을 소해하던 호위함들이 U-425를 격침시켰다.[131] 같은 날, U-711은 영국 해군 코르벳 블루벨(Bluebell)을 격침시켰고, U-968은 리버티선 ''토마스 스콧''과 영국 해군 슬루프 라크(Lark)를 G7se 어뢰로 공격하여 손상을 입혔다.[132] 2월 23일, 제26폭격비행단 항공기가 리버티선 ''헨리 베이컨''을 격침시켰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항공기에 의해 격침된 마지막 연합군 선박이었다.[131]
1945년 3월 20일, U-968이 호송선단 JW 65 소속의 리버티선 ''호레이스 부쉬넬''과 ''토마스 도날드슨''을 어뢰로 공격했고, 호송선단 호위함인 영국 해군 슬루프 랩윙(Lapwing)도 G7se 어뢰로 공격했다.[133] 4월 22일, U-997이 호송선단 PK 9 소속의 1603톤급 ''오네가''를 격침시키고 4287톤급 ''이데피오르드''를 어뢰로 공격했다.[134] 4월 29일, 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상선 호송 전투에서 U-286이 콜라만 입구에서 영국 해군 호위함 구달(Goodall)을 격침시켰고, 호송선단 JW 66의 호위함들은 U-307과 U-286을 격침시켰다.[135]
1945년 5월 8일, 미국에서 출발한 보급선들이 북극해 항로를 따라 베링 해협을 통해 서쪽으로 계속 이동했는데, 이는 1945년 8월 9일 소련이 일본에 선전 포고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8]
7. 3. 소련의 펫사모-키르케네스 공세
1944년 10월, 소련군은 독일군을 상대로 페차모-키르케네스 공세를 개시하며 북극해 전선에서 공세를 강화했다. 이 공세 과정에서 소련 해군은 여러 차례 독일 함선에 타격을 입혔다. 10월 11일에는 소련 어뢰정이 키베르그 해역에서 독일 소해정 ''M-303''을 격침시켰고[120], 다음 날인 10월 12일에는 소련 잠수함 ''S-104''가 타나피오르드 동쪽에서 1730ton급 독일 상선 ''룸메''를 격침했다.[121] 10월 21일에는 소련 어뢰정이 호닝스보그 해역에서 독일 소해정 ''M-31''을 추가로 격침시키는 전과를 올렸다.[122]이러한 해상에서의 성공적인 작전과 함께 지상 공세가 이어졌고, 마침내 1944년 10월 26일, 소련 해군 보병 부대는 소련 북방함대 소속 구축함 및 소형 군함들의 지원 하에 키르케네스를 점령했다.[123]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극해 전선에서 소련이 거둔 중요한 군사적 성과로 평가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Midnight Sun or Polar Day?
https://www.timeandd[...]
2020-04-18
[2]
서적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3]
서적
Commercial Shipping on the Northern Sea Route
[4]
웹사이트
White Death
https://www.national[...]
The National WWII Museum
2020-04-18
[5]
문서
Wartime navigation over the waters within the Arctic Circle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e [[Arctic Ocean]] as it may have subsequently been defined to exclude areas within the Arctic Circle.
[6]
서적
[7]
간행물
Soviet Subs in Scandinavia: 1930 to 1945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8]
서적
[9]
웹사이트
Arming the Soviets
http://columbia.wash[...]
Columbia Magazine
2012-07-13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웹사이트
Patrols by U-571
http://www.uboat.net[...]
Guðmundur Helgason
2012-07-04
[36]
웹사이트
ShCh-422
http://uboat.net/all[...]
2014-10-10
[37]
서적
Rohwer & Hummelchen p. 87
[38]
서적
Rohwer & Hummelchen p. 90
[39]
서적
Rohwer & Hummelchen p. 89
[40]
웹사이트
ShCh-402
http://uboat.net/all[...]
2014-10-10
[41]
서적
Rohwer & Hummelchen pp. 93&96
[42]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01
[43]
서적
Rohwer & Hummelchen pp. 97&101
[44]
웹사이트
K-3
http://uboat.net/all[...]
2014-10-10
[45]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03
[46]
웹사이트
M-174
http://uboat.net/all[...]
2014-10-10
[47]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06
[48]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11
[49]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10
[50]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14
[51]
웹사이트
S-102
http://uboat.net/all[...]
2014-10-10
[52]
서적
Brown p. 56
[53]
서적
Irving pp. 4–6
[54]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17
[55]
서적
Rohwer & Hummelchen pp. 120&123
[56]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23
[57]
서적
Rohwer & Hummelchen pp. 121&125
[58]
서적
Grove pp. 117–121
[59]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31
[60]
서적
Kemp p. 237
[61]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34
[62]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37
[63]
웹사이트
M-171
http://uboat.net/all[...]
2014-10-10
[64]
서적
Brown p. 61
[65]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39
[66]
서적
Morison p. 166
[67]
웹사이트
11th Flotilla
http://www.uboat.net[...]
Guðmundur Helgason
2012-06-24
[68]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40
[69]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41
[70]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43
[71]
서적
Brown p. 65
[72]
문서
Irving
[73]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51
[74]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52
[75]
서적
Ruge p. 275
[76]
서적
Brown p. 68
[77]
서적
Macintyre pp. 292–312
[78]
서적
Macintyre pp. 312–317
[79]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73
[80]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74
[81]
서적
Brown p. 75
[82]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78
[83]
서적
Stephen pp. 179–197
[84]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85
[85]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89
[86]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91
[87]
서적
Rohwer & Hummelchen p. 195
[88]
서적
Cressman p. 152
[89]
웹사이트
M-122
http://uboat.net/all[...]
2014-10-10
[90]
서적
Rohwer & Hummelchen p. 201
[91]
웹사이트
S-101
http://uboat.net/all[...]
2014-10-10
[92]
서적
Rohwer & Hummelchen p. 205
[93]
웹사이트
S-55
http://uboat.net/all[...]
2014-10-10
[94]
웹사이트
S-56
http://uboat.net/all[...]
2014-10-10
[95]
웹사이트
13th Flotilla
http://www.uboat.net[...]
Guðmundur Helgason
2012-06-24
[96]
서적
Rohwer & Hummelchen p. 221
[97]
서적
Rohwer & Hummelchen p. 225
[98]
서적
Stephen p. 198
[99]
서적
Grove pp. 123–131
[100]
서적
Cressman p. 185
[101]
서적
Stephen pp. 198–218
[102]
서적
Rohwer & Hummelchen p. 256
[103]
서적
Rohwer & Hummelchen p. 257
[104]
서적
Rohwer & Hummelchen p. 262
[105]
서적
Brown p. 105
[106]
서적
Rohwer & Hummelchen
[107]
서적
Grove
[108]
서적
Rohwer & Hummelchen
[109]
서적
Rohwer & Hummelchen
[110]
서적
Rohwer & Hummelchen
[111]
서적
Rohwer & Hummelchen
[112]
서적
Brown (1977)
[113]
서적
Grove
[114]
서적
Rohwer & Hummelchen
[115]
서적
Rohwer & Hummelchen
[116]
서적
Brown
[117]
서적
Ruge
[118]
서적
Rohwer & Hummelchen
[119]
서적
Taylor
[120]
서적
Brown
[121]
웹사이트
S-104
http://uboat.net/all[...]
2014-10-10
[122]
서적
Brown
[123]
서적
Rohwer & Hummelchen
[124]
서적
Rohwer & Hummelchen
[125]
서적
Grove
[126]
서적
Rohwer & Hummelchen
[127]
서적
Rohwer & Hummelchen
[128]
웹사이트
14th Flotilla
http://www.uboat.net[...]
Guðmundur Helgason
2012-06-24
[129]
서적
Brown
[130]
서적
Brown
[131]
서적
Rohwer & Hummelchen
[132]
서적
Brown
[133]
서적
Macintyre
[134]
서적
Rohwer & Hummelchen
[135]
서적
Rohwer & Hummelchen
[136]
간행물
Commercial Shipping on the Northern Sea Route
[137]
문서
Wartime navigation over the ocean within the Arctic Circle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e [[Arctic Ocean]] as it may have subsequently been defined to exclude areas within the Arctic Circle.
[138]
서적
Wood & Gunston
[139]
서적
Vail Motter
[140]
웹인용
Arming the Soviets
https://archive.toda[...]
Columbia Magazine
2012-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