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1528년 설립된 멕시코 치아파스 주의 도시로, 여러 차례 이름이 변경되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치아파스 북부 지역의 중심지였으며, 1824년 멕시코의 일부가 되었다. 1960년대에는 사무엘 루이스 주교의 해방 신학 운동이 시작되었고, 1994년에는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EZLN)의 무장 봉기가 일어났다. 현재는 관광 도시로, 식민지 시대 건축물과 토착 문화를 보존하고 있으며, 사파티스타 운동 관련 관광도 이루어진다. 하지만 삼림 벌채, 물 부족, 탄산음료 과소비로 인한 건강 문제 등 사회적 문제도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아파스주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은 멕시코 치아파스 주에서 활동하는 원주민 무장단체로, 1994년 무장봉기를 통해 멕시코 정부의 불평등에 저항하며 토지 개혁과 자치권을 요구하고, 대안세계화 운동과 연계하여 비폭력적 저항과 정치적 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 치아파스주 - 팔렝케
팔렝케는 멕시코 치아파스주에 위치한 고대 마야 도시 유적으로, Kʼukʼ Bahlam I이 팔렝케 왕조를 창시했으며, 파칼 대왕의 무덤이 있는 곳으로, 1987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 멕시코의 도시 - 시우다드후아레스
시우다드후아레스는 멕시코 치와와주에 위치하며 미국 엘파소와 국경을 접하고, 1659년 건설되어 1888년 시우다드후아레스로 개칭되었으며, 마킬라도라 산업 성장으로 인구가 증가했으나 마약 카르텔 폭력으로 치안이 악화되었고, 수출 중심의 산업과 냉대 사막 기후를 보인다. - 멕시코의 도시 - 베라크루스
베라크루스는 멕시코 동부 해안의 항구 도시이자 주로, 에르난 코르테스의 상륙을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식민지 시대 주요 항구로서 번성했으나 여러 외세 침략과 역사적 사건을 겪었고, 풍부한 역사와 문화, 활기찬 항구,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 도시이다.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 |
다른 이름 | 호벨 우에이사카틀란 |
위치 | 멕시코 치아파스주 |
설립 | 1528년 |
명칭 유래 | 성 크리스토포로와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
시장 | 카를로스 알베르토 모랄레스 바스케스 |
면적 (municipality) | 394.2 km² |
시가지 면적 | 35.6 km² |
인구 (2020년) | 215,874명 |
시가지 인구 (2020년) | 183,509명 |
시간대 | 중부 (미국 중부) |
UTC 오프셋 | -6 |
하계 시간 | 중부 |
UTC 오프셋 (하계 시간) | -5 |
좌표 | 16°44′12″N 92°38′18″W |
고도 (시가지 기준) | 2200 m |
우편 번호 (시가지 기준) | 29200 |
웹사이트 |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 시 공식 웹사이트 (스페인어) |
상징 | |
![]() | |
![]() | |
![]() |
2. 역사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1528년 디에고 데 마자리에고스가 군사 요새로 설립했으며, 여러 차례 이름이 변경되었다. 현지인들은 이 도시를 전통적으로 '''호벨'''(초칠어: Jobeltzo[31])이라고 불렀다.
19세기 말, 치아파스의 정치적 수도가 투스틀라로 옮겨졌지만, 산크리스토발은 "문화 수도"로 여겨진다.[6] 20세기에는 도시 외곽에 광산이 들어서면서 환경 문제와 식수 공급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11]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
이 지역에는 수천 년 전부터 마야족의 일파인 초칠족과 첼탈족(Tzeltal people) 사람들이 거주했다.[9] 이 지역은 '호벨'(Jovel, 초칠어로 '구름 속의 장소'라는 뜻)이라고 불렸다.[9] Jobeltzo[31]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28년 스페인 정복자 디에고 데 마사리에고스가 '우에이자카틀란'(Hueyzacatlán, 나와틀어nah로 '목초지'라는 뜻) 계곡에 '비야 레알 데 치아파 데 로스 에스파뇰레스'라는 이름으로 도시를 건설했다. 이후 이 도시는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었다. 1529년에는 '비야 비시오사', 1531년에는 '비야 데 산 크리스토발 데 로스 야노스'로 개명되었다. 1535년에는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5세로부터 문장을 하사받았고, 1536년에는 '시우다드 레알 데 치아파'로 개명하고 공식적으로 도시로 선포되었다. 1577년에는 치아파스 북부 지역에 대한 권한을 갖는 알카디아 마요르(Alcadía Mayor)의 지위를 얻었다. 1786년에는 산크리스토발, 투스틀라, 소코누스코 지역을 통합하여 치아파스 의회가 설립되었고, 산크리스토발에 정부가 설치되었다.2. 3. 독립 이후
1821년, 이 도시는 코미탄 데 도밍게스의 선언에 따라 스페인과 과테말라 일반사령부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2] 1824년 치아파스 지역 전체가 멕시코의 일부가 되면서, 주도(州都)가 이곳에 설치되었다.[2]1829년, 시우다드레알은 산크리스토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 19세기에는 주 정부가 보수 세력이 지배하는 고지대의 산크리스토발과 자유주의 세력이 지배하는 투스틀라 사이를 오갔다. 1848년에는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를 기리기 위해 "데 라스 카사스"가 추가되었다.[2]
1853년에는 얄무스 계획이 발표되어 당시 멕시코 헌법이 무효라고 선언되면서 독립 경향이 다시 나타났다.[2] 1857년에는 보수 세력이 이 도시를 공격했지만, 곧 자유주의자 앙헬 알비노 코르소에 의해 쫓겨났다.[2] 프랑스군은 1864년 이 도시에서 마지막으로 철수했다. 1892년 자유주의 정부에 의해 주 정부가 산크리스토발에서 투스틀라로 영구적으로 이전되었다.[2] 1911년 산크리스토발과 인근 산 후안 차물라의 보수 세력은 수도 복귀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0]
1915년, 주는 자치구 시스템으로 전환되었고 산크리스토발은 자치구가 되었다.[2]
1934년, '시우다드 라스 카사스'로 개명되었으나,[2] 1943년,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로 환원되었다.[2]
2. 4. 20세기 이후
1974년,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국가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11]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이 도시는 사무엘 루이스 주교의 해방 신학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루이스 주교는 마리스트 사제와 수녀를 지지하고 해방 신학 이념에 따라 활동했다. 1974년에는 Tzeltal족, Tzotzil족, Tojolabal족, Chʼol족의 대표들과 마오이스트 인민 연합이 참여하는 주 전체의 원주민 의회를 조직하여 토착민들의 정치적 통합을 꾀했다.[14] 이러한 노력은 멕시코 외부 좌익 단체의 지원을 받아 에히도 조직 연합을 형성했고, 이는 훗날 EZLN 조직의 기반이 되었다.[14]1994년 1월 1일, 북미 자유 무역 협정(NAFTA) 발효일에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EZLN)이 봉기하여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를 점령했다. EZLN은 반란 선언문을 발표하고, 군사 기지를 포위하여 무기를 탈취하고 죄수를 석방했다.[16] 사무엘 루이스 주교는 EZLN과 당국 사이의 협상을 중재하여 산 안드레스 협정 체결을 이끌어냈고, 반란은 평화롭게 종식되었다.[12][13]
2003년에는 마법의 마을(Pueblos Mágicos)로 지정되었고,[6] 2010년에는 펠리페 칼데론 대통령에 의해 "가장 마법 같은 푸에블로스 마히코스"로 추가 인정받았다.[6]
3. 지리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치아파스 고원(중앙 고원) 지역에 위치하며, 면적은 484km2이다. 자치구의 3분의 2는 산악 지형이고 나머지는 계곡 평지이다.[2]
자치구는 차물라, 테네하파, 위스트안, 테오피스카, 토톨라파, 치아피야, 산 루카스, 시나칸탄 자치구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2]
자치구 내에는 라 칸델라리아, 산 안토니오 델 몬테, 미치톤, 산 호세 야시티닌, 엘 피나르, 부에나비스타, 페데르날, 코라존 데 마리아, 사쿠알파 에카테펙 등 83개의 농촌 지역 사회가 있다.[2]
3. 1. 위치 및 지형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치아파스 고원(중앙 고원)이라고 불리는 지역의 해발 2,200m 지점에 있는 작은 계곡에 자리 잡고 있다.[4][7] 도시는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주요 언덕으로는 Huitepec, 산 호세 보콤테넬테, 세로 산 펠리페, 세로 엘 엑스트란헤로, 세로 크루스 카레타, 엘 Arcotete, Tzontehuitz가 있다.[18]열대 지역에 속하지만, 고도가 높아 기후는 온화하다. 겨울철에는 구름이 많아 기온을 낮게 유지하고 추운 밤을 만들 수 있어 습하다.[7] 12월에서 4월 사이의 평균 기온은 18°C이다. 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가장 많은 비가 내린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구름이 없는 경우가 많아, 낮 기온은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35°C까지 올라갈 수 있다.[7][9]
3. 2. 기후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고도가 기후를 조절하는 온화한 아열대 고산 기후(쾨펜 기후 구분 ''Cwb'')를 보인다.[24] 11월부터 4월까지의 건기는 시원하며 1월 평균 기온은 12.3°C이다.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고도와 건기의 상대적인 건조함으로 인해 일교차가 상당히 크고 밤에는 기온이 쌀쌀하다. 서리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는 드물며, 12월에서 2월 사이에 연간 2~3일 정도만 발생한다. 습도는 겨울철에도 높으며 (약 78%) 건조한 달에는 안개나 박무가 상당히 흔하게 발생하며 13~17일 동안 나타난다. 보통 이 안개는 낮 동안 걷힌다. 5월부터 10월까지의 우기는 더 따뜻하며 6월 평균 기온은 17°C이고, 이 기간 동안 강수량이 훨씬 많다. 이 시기에는 안개가 덜 흔하게 발생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1084.7mm이며, 대부분이 우기에 집중된다. 기록상 가장 강수량이 많았던 달은 1998년 9월로, 525.8mm의 강수량이 기록되었고, 가장 강수량이 많았던 날은 2005년 10월 4일로, 105mm가 기록되었다. 최고 최저 기온은 -8.5°C 에서 35.8°C의 범위를 보인다.
시 안팎에는 몇몇 습지가 있으며, 이 지역 고유의 "포포요테"라는 물고기가 서식하지만, 하천의 오염이 심각하다는 것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주변 산들은 채석이 심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계획성 없는 개발과 숲으로의 이주로 인해 시내로의 홍수가 우려되고 있다.
3. 3. 수자원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에는 아마리요 강과 포고티코 강이 주요 강으로 흐르며, 차물라, 페헤 데 오로, 오호 데 아과와 같은 여러 개울도 있다. 차풀테펙과 코치라는 두 개의 호수도 존재한다.[2]이 도시에는 원래 25개의 자연 담수 샘이 있었으나, 삼림 벌채로 인해 7개가 고갈되었고 12개는 우기에만 물이 흐른다. 나머지 6개의 샘은 연중 도시의 물 공급원으로 기능하며, 2008년에 이 샘들과 표면 호수는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11]
도시 주변에는 습지도 존재한다. 우메달레스 데 몬타냐 라 키스트(Humedales de Montaña La Kisst)는 역사 지구 남서쪽에 위치한 도시 습지로, 2008년 생태 보존 구역 및 람사르 협약에 따른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지정되었다.[19][20] 우메달레스 데 몬타냐 마리아 에우헤니아(Humedales de Montaña María Eugenia)는 도시 남동쪽에 위치하며, 역시 2008년 생태 보존 구역, 2012년 람사르 협약 습지로 지정되었다.[21][22] 이 습지들은 도시의 중요한 수원이며, 수생 생물의 서식지 역할과 함께 홍수 위험 감소 및 대수층 재충전에 기여한다. 그러나 지하수 과다 펌핑 및 도시 개발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시 안팎의 습지에는 이 지역 고유 어종인 "포포요테"가 서식하지만, 하천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3. 4. 환경 문제
이 지역의 자연 식생은 중앙아메리카 소나무-참나무 숲이다.[2] 그러나 주변 언덕의 대부분은 원래 나무를 잃었으며, 1980년 이후로만 15,000헥타르가 손실되면서 삼림 벌채율은 80%에 달한다.[4][18] 삼림 벌채의 주요 원인은 장작 채취, 도시 개발, 열악한 자원 관리, 화재 및 농업 등이다.[4][18] 삼림 벌채는 강과 하천을 막고 이 지역의 담수 샘의 지하수 재충전에 영향을 미치는 침식 문제를 야기했다. 또한 이곳에서 겨울을 나는 금목 숲새(*Setophaga chrysoparia*)와 같은 멸종 위기 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8]주요 강으로는 Amarillo 강과 Fogótico 강이 있으며, Chamula, Peje de Oro, Ojo de Agua와 같은 여러 개울도 있다.[2] 이 도시에는 25개의 자연 담수 샘이 있었지만, 삼림 벌채로 인해 7개가 말라버렸고 12개는 우기에만 흐르며, 6개는 연중 도시를 위해 남아 있다. 이 샘들과 나머지 표면 호수는 2008년에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11]
20세기에는 도시 외곽에 자갈과 모래를 채취하기 위한 노천 광산이 들어섰다. 산 디에고와 라 플로레실라 지역의 언덕, 역사 지구 근처에 살시푸에데스라는 광산도 열렸으나, 환경 단체와 지역 사회 단체의 항의로 2000년대에 폐쇄되었다. 이들은 광산이 폐쇄 유역인 계곡의 식수 공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11]
시 안팎에는 몇몇 습지가 있으며, 이 지역 고유의 "포포요테"라는 물고기가 서식하지만, 하천 오염이 심각하다. 주변 산들은 채석이 심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계획성 없는 개발과 숲으로의 이주로 인해 시내로의 홍수가 우려되고 있다.
멕시코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단 음료 소비 국가이며, 산크리스토발 데 라스 카사스 시내와 그 주변 고지대 주민들은 하루 평균 2리터 이상의 탄산음료를 소비한다. 치아파스 주에서의 당뇨병 사망률은 2013년부터 2016년 사이에 30% 증가했으며, 당뇨병은 심장병에 이어 이 지역의 사망 원인 2위로 매년 3천 명 이상이 사망한다. 이 지역은 물 부족이 심각하여 수도가 나오는 것은 주에 몇 번뿐이며, 염소 농도가 너무 높아 마실 수 없다. 많은 주민들은 현지 병입 공장에서 생산되며, 병에 든 물보다 구하기 쉽고 가격도 거의 비슷한 코카콜라를 마시는 습관이 있다.
산크리스토발 주민들은 당뇨병 유행과 만성적인 물 부족이라는 이중 위기의 원인이 마을 외곽에 있는 코카콜라 공장이라고 지적한다. 이 공장은 연방 정부와의 수십 년에 걸친 협정으로 하루 300000gal 이상의 물을 취수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2017년 4월, 복면을 쓴 항의 활동 참가자들이 "코카콜라는 우리를 죽인다"라고 적힌 십자가를 들고 공장으로 행진하며 정부에 공장 폐쇄를 요구했다.
이 공장은 멕시코 및 기타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코카콜라를 병입하여 판매할 권리를 소유한 식품·음료 대기업 펨사(Femsa)가 소유하고 있다. 펨사는 멕시코에서 가장 유력한 기업 중 하나이며, 멕시코 코카콜라 사의 전 최고 경영 책임자 비센테 폭스 케사다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다. 북미 자유 무역 협정(NAFTA)은 펨사에게 유리하며, 펨사는 수억 달러의 해외 투자를 받고 있다. 현지 활동가이자, 이 회사에 대한 보이콧과 항의 활동을 조직하는 데 기여한 마르틴 로페스 로페스는 "코카콜라는 학대적이고 조작적이다. 그들은 우리의 깨끗한 물을 빼앗아 그것을 착색하고, 그것이 생명의 빛이라고 텔레비전에서 속인다. 게다가 그들은 돈을 가져간다"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산크리스토발 주의 중요한 경제력이며, 약 400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주에 약 2억달러의 경제 효과를 주고 있다. 그러나 미시간 주 케터링 대학교의 사회 과학자 로라 메바트는 코카콜라가 물 특권에 대해 지불하는 금액은 불균형적으로 낮으며, 260갤런당 약 10센트라고 말했다.
4. 생태 보호 구역
자치구에는 세로 우이테펙(Cerro Huitepec) 사립 보호 구역과 란초 누에보(Rancho Nuevo) 생태 보존 구역이 있다.[2] 엘 아르코테테(El Arcotete) 숲은 도시에서 북동쪽으로 15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낡아 없어진 고대 동굴의 일부였던 자연 다리가 있다.[2]
그루타 데 산 크리스토발(Gruta de San Cristóbal)은 도시 주변 산에 있는 여러 동굴 중 하나로, 1947년 비센테 크람스키(Vicente Kramsky)가 발견했다. 이 동굴은 측면 방이 있는 입구가 하나뿐이며, 총 길이는 10.2km, 깊이는 550m이다.[2] 란초 누에보 동굴에는 내부로 750m 뻗어 있는 길이 있으며 다양한 색상으로 조명이 켜져 있다. 동굴 주변에는 캠프장과 승마 시설이 있다.[6]
게르트루데 두비 생물 보존 구역(Gertrude Duby Biotic Reserve)은 도시 동쪽에 있는 산에 있는 64ha 규모의 보호 구역이다. 1994년에 지정되었으며, 저널리스트, 인류학자, 환경 운동가이자 산크리스토발 주민인 거트루드 더비 블롬(Gertrude Duby Blom)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3]
5. 인구
2010년 기준으로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스 시의 인구는 185,917명이며,[28] 자치구 전체 인구는 158,027명이었다.[28] 자치구에는 시 외곽에 110개의 지역이 있는데, 이 중 가장 큰 곳은 산 안토니오 델 몬테 (2,196명), 라 칸델라리아 (1,955명), 미치톤 (1,293명), 산 호세 야시티닌 (1,109명)이며, 모두 농촌 지역으로 분류된다.[28]
2010년 기준으로 자치구 내 59,943명이 토착 언어를 사용하며,[2] 주로 초칠족과 Tzeltal|첼탈족es이다.[29] 자치구 인구의 약 85%가 시내에 거주하고 나머지는 농촌 지역에 거주한다. 인구 밀도는 274명/km²로 지역 평균 190명/km², 주 평균 52명/km²보다 높다. 인구의 약 68%가 30세 미만으로 젊은 층이 많으며, 평균 연령은 20세이다. 인구 증가율은 약 4.10%로 지역 평균 2.37%, 주 평균 2.06%보다 높으며, 20년 안에 인구가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
2000년 기준 자치구의 문맹률은 18% 미만으로, 1990년의 25% 미만에서 감소했다. 15세 이상 인구 중 16%가 초등학교를 마치지 못했고, 약 17%가 초등학교만 졸업했으며, 약 48%가 그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다. 주민의 약 78%가 가톨릭 신자이며, 약 15%는 개신교, 복음주의 및 기타 기독교 종파에 속한다.[2]
이 지역에는 수천 년 전부터 마야족의 초칠족과 Tzeltal|첼탈족tz 사람들이 살아왔다. 최근에는 마야족에게도 이슬람교가 전파되어 주변 마을에 모스크를 짓고 있다.
6. 경제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툭스틀라 구티에레스에 이어 치아파스주에서 경제적 소외율이 두 번째로 낮은 지역이다.[2] 노동자의 4.5%만이 급여 또는 정기적인 수입을 받지 못한다. 경제 생산량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는 광업이며, 매일 약 600대의 트럭에 실린 옥, 자갈, 돌, 금속 등이 산크리스토발에서 수출된다.[18]
가장 중요한 경제 부문은 상업, 서비스 및 관광으로, 지역 인력의 거의 67%를 고용하고 있다.[2] 이 도시는 보존된 식민지 시대 건축물과 토착 문화 및 전통의 유지로 유명한 관광지가 되었다.[4]
주요 산업은 다음과 같다.
산업 | 내용 |
---|---|
관광 | |
광업 | 옥, 자갈, 돌, 금속 등을 매일 약 600대의 트럭으로 수출한다.[18] |
수공예품 | 옥, 섬유, 호박, 도자기, 금속 제품, 조각된 나무 제품, 의류, 필리그리 보석 등.[7] 산토 도밍고에는 이러한 지역 생산 제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대규모 티앙기스가 있다.[7] |
최근에는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만들어진 가짜 호박이 거리에서 판매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4][30] 진품 치아파스 호박은 시모호벨에서 채취되며, 가격 차이로 인해 진품 판매업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30]
7. 관광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툭스틀라 구티에레스에 이어 치아파스주에서 경제적 소외율이 두 번째로 낮은 지역으로,[2] 보존된 식민지 시대 건축물과 토착 문화 및 전통의 유지로 유명한 관광지이다.[4] 19세기 말 치아파스의 정치적 수도가 투스틀라로 옮겨졌지만, 산크리스토발은 주의 "문화 수도"로 여겨지며,[6] 2003년 "마법의 마을", 2010년 펠리페 칼데론 대통령에 의해 "가장 마법 같은 푸에블로스 마히코스"로 지정되었다.[6]
이러한 문화는 도시와 자치구의 초칠족, 첼탈족 등 대규모 원주민 인구와 관련이 깊다.[7] 이들은 직물(특히 직조)과 호박을 주요 생산품으로 하며, 도자기, 단철, 필리그리 보석도 찾을 수 있다. 수공예품으로 가장 잘 알려진 곳은 산토 도밍고의 티앙기스이며,[7] 센트로 데 콘벤시오네스 카사 데 마사리에고스에서 연례 호박 엑스포가 개최된다.[7] 산토 토마스 교회 북쪽에는 전통적인 멕시코 시장이 있는데, 일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열리며 샤프란 타말레, 소파 데 판, 아사도 콜레토, 아톨레 데 그라니요, 사탕수수로 만든 포시 등의 전통 음식을 맛볼 수 있다.[7]
많은 외국인 거주자들은 이탈리아, 프랑스, 태국, 인도, 중국 및 채식주의자를 포함한 다양한 레스토랑을 열어, 도시 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7] 스페인과 독일에서 유래된 훈제 육류 전통은 찰루파를 포함한 여러 요리에 나타나며, 레게, 살사, 테크노 등 다양한 밤문화도 외국 문화의 영향을 보여준다.[6][7]
1994년 사파티스타 봉기 이후, EZLN 관련 컬트 관광(“사파투리스모” 또는 “사파투어리즘”)이 발전하여 좌익 정치 신념과 토착 활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EZLN 셔츠 및 기념품을 판매하는 상점들이 생겨났다.[9]
최근에는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만든 가짜 호박이 거리에서 판매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4][30] 진품 치아파스 호박은 시모호벨 마을에서 채취되며, 가격 차이가 커서 진품 판매업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많은 관광객, 특히 외국인들은 진품 구별법을 모르기 때문에, 가격을 중요한 지표로 삼아야 한다.[30]
주변에는 마야족 전통 마을이 많고, 세계 유산인 팔렌케에 반나절 만에 접근할 수 있다. 산 크리스토발 계곡이나 모스비킬 유적 등도 관광객을 끌어모으는 요소이다.
자치구에는 2,000개 이상의 객실을 갖춘 80개 이상의 호텔이 있으며,[2] 시 정부는 가이드 투어가 제공되는 정보 부스와 GPS 기반 아이팟 투어를 제공한다.[6]
7. 1. 주요 관광지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치아파스 중부 고원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특히 역사 지구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배치를 잘 보존하고 있다. 좁은 자갈길, 붉은 점토 타일 지붕, 꽃으로 장식된 단철 발코니 등이 특징이며, 건물 정면은 바로크 건축에서 신고전주의 건축, 무어 건축까지 다양하다.[3][4][5]
도시의 중심은 메인 광장(소칼로, 플라자 31 데 마르소)이다. 20세기 초에 추가된 키오스크가 중앙에 있고, 주변은 정원과 역사적인 건물들로 둘러싸여 있다.[3][5]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 대성당: 1528년 건축 시작, 1721년 바로크 양식의 주 파사드 완성. 성모 승천과 성 크리스토퍼에게 헌정되었으며, 내부에는 16세기 금박 설교단, 바로크 제단화, 후안 코레아와 미겔 카브레라의 그림 등이 있다.[5][8]
- 산 니콜라스 사원: 1613~1621년 건축, 무어 양식으로 건설된 이후 크게 변경되지 않은 유일한 교회이다.[2][5]
- 시청 (팔라시오 데 고비에르노): 19세기 신고전주의 건축물, 카를로스 Z. 플로레스 설계.[5][7]
- 산토 도밍고 교회 및 수도원: 1547년 착공, 1551년 완공. 화려한 회반죽 작업과 금박 제단화가 특징이며, 라 카리다드 사원(1712년), 무세오 데 라 이스토리아 데 라 시우다드, 센트로 문화 데 로스 알토스 (직물 박물관), 스나-졸로빌 (직조 상점) 등이 있다.[2][5][7]
- 카사 나 볼롬(Casa Na Bolom): 박물관, 호텔, 레스토랑. 프란스 블롬과 거트루드 두비 블롬 부부의 집으로, 라칸돈 정글 관련 유물, 도서관, 예배당, 식물원 등이 있다.[3][5]
- 라 메르세드 수도원: 1537년 설립된 도시 최초의 수도원으로, 요새 역할도 했다. 현재는 호박 박물관(Museo del Ámbar)이 있다.[3][5][7]
- 카르멘 사원 및 아르코 토레(Arco Torre): 무어 양식으로, 안다도르 에클레시아스티코에 위치. 아르코 델 카르멘(1680년)은 멕시코 유일의 순수 무어 양식 아치이다.[3][5][7]
- 산크리스토발 교회: 언덕 위에 위치하여 도시 전망을 제공한다.[4][5]
- 산프란시스코 교회: 1577년 건축, 18세기 재건. 바로크 제단화, 유화, 세례대 등이 있다.[5][7]
- 과달루페 교회: 세로 데 과달루페에 위치, 1834년 건축. 79개 계단을 올라가면 도시 전망을 볼 수 있다.[7]
- 산토 토마스 교회: 역사 지구 북쪽에 위치하며, 박물관(과거 병영 및 열병장)이 있다.[4]
- 산타 루시아 교회: 1884년 건축, 카를로스 Z. 플로레스 설계.[7]
- 무세오 메소스메리카노 델 하데(Museo Mesoamericano del Jade): 옥 박물관. 팔렌케 파칼 왕의 무덤 복제품이 있다.[5]
- 마야 의학 박물관(Museo de Medicina Maya): 원주민 의학 기술 및 관행 전시.[7]
- 치아파스 민속 문화 박물관(Museo de las Culturas Populares de Chiapas): 원주민 문화 전시 및 행사.[6]
- 카사 데 라스 시레나스(Casa de las Sirenas): 16세기 플라테레스크 양식 주택, 인어 문장이 있다.[7]
- 안티구오 콜레히오 데 산 프란시스코 하비에르(Antiguo Colegio de San Francisco Javier): 현재 주립 대학교 법학부. 1681년 예수회 설립, 아즈텍 정복 벽화가 있다.[7]
이 외에도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는 사파티스타 봉기 이후 EZLN 관련 컬트 관광이 발달했으며, 옥, 섬유, 호박 등 다양한 수공예품이 생산된다.[7][9]
7. 2. 축제
페리아 데 라 프리마베라 이 라 파스(Feria de la Primavera y la Paz, 봄과 평화 축제)는 성주간과 동시에 개최되며, 성 토요일에는 음악과 의상 행렬이 펼쳐진다. 이 축제는 유다 태우기 의식으로 막을 내리고, 다음 날에는 축제의 여왕을 선출하여 대관식을 거행하며, 투우 경기가 열린다.[7]페스티벌 세르반티노 바로코(Festival Cervantino Barroco)는 매년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의 역사 지구에서 개최되며, 멕시코 국내외 예술가들을 초청하여 콘서트, 연극, 전시회, 컨퍼런스 등 다양한 행사를 선보인다.[7]
이 외에도 돌체 니뇨 데 헤수스, 세뇨르 데 에스키풀라스, 성 안토니, 성체 축일, 산 크리스토발, 성가족 등 다양한 종교 축제가 열린다.[2] 이는 마을 주변의 각 교회에서 열리는 여러 동네 성자 축제에 추가된다.[2] 불꽃놀이는 종교 축제에서 흔히 사용된다.[4]
8. 사회 문제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에서는 사파티스타 운동과 탄산음료 과소비로 인한 당뇨병 문제가 심각하다.
1960년대 사무엘 루이스 주교가 해방 신학을 바탕으로 토착민들을 정치적으로 통합하면서, 이는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EZLN) 조직의 기반이 되었다. 1990년대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인한 토착민들의 경제적 소외는 부사령관 마르코스가 이끄는 EZLN의 봉기로 이어졌다. 1994년 EZLN은 북미 자유 무역 협정(NAFTA) 발효에 맞춰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를 점령하고 반란을 선언했다. 루이스 주교의 중재로 반란은 평화롭게 종식되었고, 그는 "Tatic"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국제적인 상을 수상했다.
멕시코는 세계적인 탄산음료 소비 국가이며,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 주민들은 하루 평균 2리터가 넘는 탄산음료를 마신다. 이로 인해 치아파스 주의 당뇨병 사망률은 급증하여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물 부족이 심각한 상황에서 주민들은 생수보다 저렴한 코카콜라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주민들은 만성적인 물 부족과 당뇨병 유행의 원인으로 마을 외곽의 코카콜라 공장을 지목하고, 공장 폐쇄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코카콜라 공장은 멕시코의 주요 기업인 펨사(Femsa) 소유이며, 전 멕시코 대통령 비센테 폭스 케사다는 멕시코 코카콜라 사의 최고 경영 책임자였다. NAFTA는 펨사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많은 투자를 유치했다. 지역 활동가들은 코카콜라의 물 사용과 마케팅을 비판하지만, 코카콜라 공장은 지역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코카콜라는 현지 문화와 종교 의식에도 깊이 연관되어 있어, 일부 주민들은 탄산음료에 질병 치료 능력이 있다고 믿기도 한다.
8. 1. 사파티스타 운동

산크리스토발은 1960년 사무엘 루이스가 치아파스 주교로 선출되면서 정치적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루이스 주교는 해방 신학을 따르며, 1974년에는 첼탈족, 소칠족, 톨로라발족, 촐족의 대표들과 함께 주 전체의 인도 의회를 조직했다. 이 의회는 토착민들을 정치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4] 이러한 노력은 EZLN 조직의 기반을 형성하는데 기여했다.[14]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멕시코 연방 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은 토착 활동가 집단과 충돌했다.[14] 토착 집단의 경제적 소외는 여전히 높았으며, 특히 산크리스토발 지역과 라칸돈 정글에 거주하는 이주민 사회에서 불만이 컸다.
이러한 불만은 "부사령관 마르코스"가 이끄는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 (EZLN)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EZLN은 NAFTA 조약이 발효된 1994년 1월 1일,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와 다른 치아파스 지역 사회를 점령했다.[16] EZLN은 반란 선언문을 발표하고, 인근 군사 기지를 포위하여 무기를 탈취하고 죄수를 석방했다.[16]
루이스 주교는 EZLN과 당국 사이의 협상을 중재하여 산 안드레스 협정을 이끌어냈고, 반란은 평화롭게 종식되었다.[12][13] 루이스는 지역적으로 "Tatic"(소칠어로 "아버지")이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유네스코 국제 시몬 볼리바르상과 뉘른베르크 국제 인권상을 수상했다.[17]
1994년 1월,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은 산 크리스토발을 포함한 치아파스 주의 4개 도시에서 무장 봉기했다. 주민 대부분은 사파티스타에 반대했지만, 빈곤층은 그들에게 협조했다. 이후 사파티스타는 대화 노선으로 전환하여 지지를 얻었고, 2006년에는 멕시코 전역을 도는 정치 캠페인이 산 크리스토발에서 시작되었다. 현재는 도시 곳곳에서 사파티스타 관련 포스터, 인형, T셔츠 등을 볼 수 있으며, 관광 자원 중 하나가 되었다.
8. 2. 탄산음료 과소비와 당뇨병
멕시코는 세계적으로 탄산음료 소비가 많은 국가 중 하나이며,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 지역 주민들은 하루 평균 2리터가 넘는 탄산음료를 마신다.[30] 치아파스 주의 당뇨병 사망률은 2013년부터 2016년 사이에 30% 증가하여, 심장병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사망 원인이 되었으며 매년 3천 명 이상이 당뇨병으로 사망한다.[30]이 지역은 물 부족이 심각하여 수도가 일주일에 몇 번만 나오고, 염소 농도가 높아 마실 수 없는 물이 공급되는 경우가 많다.[30] 이 때문에 많은 주민들은 병에 든 생수보다 구하기 쉽고 가격도 저렴한 코카콜라를 마시는 습관을 갖게 되었다.[30]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 주민들은 만성적인 물 부족과 당뇨병 유행의 원인으로 마을 외곽의 코카콜라 공장을 지목한다.[30] 이 공장은 연방 정부와의 협정으로 하루 30만 갤런 이상의 물을 취수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30] 2017년 4월에는 복면을 쓴 시위대가 "코카콜라는 우리를 죽인다"라는 십자가를 들고 공장으로 행진하며 정부에 공장 폐쇄를 요구하기도 했다.[30]
코카콜라 공장은 멕시코와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코카콜라를 생산, 판매하는 펨사(Femsa) 소유이다.[30] 펨사는 멕시코의 주요 기업 중 하나이며, 멕시코 코카콜라 사의 전 최고 경영 책임자인 비센테 폭스 케사다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멕시코 대통령을 역임했다.[30] 북미 자유 무역 협정(NAFTA)은 펨사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수억 달러의 해외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30]
지역 활동가 마르틴 로페스 로페스는 "코카콜라는 학대적이고 조작적이다. 우리의 깨끗한 물을 빼앗아 색을 입히고, 텔레비전에서 생명의 빛이라고 속인다. 게다가 그들은 돈을 가져간다"라며 코카콜라에 대한 보이콧과 항의 활동을 주도했다.[30] 코카콜라 공장은 산크리스토발 주에서 약 400명을 고용하고 약 2억달러의 경제 효과를 내는 중요한 경제 주체이다.[30] 그러나 미시간 주 케터링 대학교의 사회 과학자 로라 메바트는 코카콜라가 물 사용에 대해 지불하는 금액이 260갤런당 약 10센트로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30]
코카콜라는 반세기 전 이 지역에 들어온 이후 현지 문화와 깊이 연결되었다.[30] 지역 건강 옹호 활동가들은 1960년대부터 시작된 코카콜라와 펩시콜라의 적극적인 마케팅이 가톨릭과 마야 의식을 융합한 현지 종교 관행에 설탕이 든 탄산음료를 포함시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30] 산 후안 참라에서는 병에 든 탄산음료가 원주민 츠오칠족의 종교 의식에 사용되기도 한다.[30] 츠오칠족 중에는 탄산음료에 질병 치료 능력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으며, 일부 주민들은 탄산음료가 구토와 설사로 쇠약해진 어린 딸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증언하기도 한다.[30] 그러나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의 많은 주민들은 저렴한 코카콜라의 보급과 당뇨병의 만연이 코카콜라에 대한 분노를 키우고 있다고 생각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an Cristóbal de Las Casas (Municipality, Mexico)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www.citypopul[...]
[2]
웹사이트
San Cristóbal de las Casas
http://www.inafed.go[...]
Instituto Nacional para el Federalismo y el Desarrollo Municipal, Gobierno del Estado de Chiapas.
2011-05-13
[3]
웹사이트
Ciudad de San Cristóbal de Las Casas
http://www.gobiernod[...]
State of Chiapas
2011-05-13
[4]
웹사이트
San Cristobal de las Casas, Chiapas
http://www.mexconnec[...]
Mexconnect newsletter
2011-05-13
[5]
웹사이트
Fin de semana en San Cristóbal de las Casas, Chiapas
http://www.mexicodes[...]
Mexico Desconocido magazine
2011-05-13
[6]
뉴스
Despertar en San Cristóbal de las Casas
http://www.informado[...]
2011-05-13
[7]
웹사이트
San Cristóbal de las Casas
http://www.colegiome[...]
Secretaría de Turismo de Chiapas
2011-05-13
[8]
웹사이트
Catedral de San Cristóbal de las Casas
http://www.indaabin.[...]
INDAABIN
2011-05-13
[9]
논문
Zapaturismo in San Cristobal de las Casas, Mexico: Marketplace capitalism meets revolutionary tourism
University of Manitoba Canada
[10]
서적
Chiapas: Guía para descubrir los encantos del estado.
Editorial Océano de México, SA de CV
[11]
뉴스
Denuncian daños por operación de minas en San Cristóbal de las Casas
2010-08-20
[12]
서적
Contributions to the Sociology of Language : Mexican Indigenous Languages at the Dawn of the Twenty-First Century
DEU: Walter de Gruyter & Co. KG Publishers
[13]
서적
Mayan Voices for Human Rights : Displaced Catholics in Highland Chiapas
University of Texas Press
[14]
서적
Dissident Women : Gender and Cultural Politics in Chiapas
University of Texas Press
[15]
서적
Concise History of Mexico.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Chiapas-Forever Indigenous
http://www.houstoncu[...]
Houston Institute for Culture
2011-05-08
[17]
뉴스
Fallece defensor de causa indígena
2011-01-25
[18]
뉴스
Pierde San Cristóbal sus cerros y bosques
2010-08-08
[19]
웹사이트
Humedales de Montaña La Kisst
https://rsis.ramsar.[...]
2022-03-31
[20]
간행물
Protected Area Profile for Humedales de Montaña La Kisst from the World Database of Protected Areas
https://rsis.ramsar.[...]
UNEP-WCMC
2022-04-01
[21]
웹사이트
Humedales de Montaña María Eugenia
https://rsis.ramsar.[...]
2022-03-30
[22]
간행물
Protected Area Profile for Humedales de Montaña María Eugenia from the World Database of Protected Areas
https://www.protecte[...]
UNEP-WCMC
2022-03-30
[23]
간행물
Protected Area Profile for Gertrude Duby from the World Database of Protected Areas
https://www.protecte[...]
UNEP-WCMC
2022-03-30
[24]
간행물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www.schweizer[...]
2013-01-18
[25]
웹사이트
NORMALES CLIMATOLÓGICAS 1951-2010
http://smn.cna.gob.m[...]
Servicio Meteorológico National
2013-01-18
[26]
웹사이트
NORMALES CLIMATOLÓGICAS 1981-2000
http://smn.cna.gob.m[...]
Comision Nacional Del Agua
2013-01-18
[27]
웹사이트
Normales climatológicas para San C. De Las Casa, Chiapas
http://www.cm.colpos[...]
Colegio de Postgraduados
2013-01-18
[28]
웹사이트
San Cristóbal de las Casas
http://www.microrreg[...]
Secretaría de Desarrollo Social (SEDESOL)
2014-04-23
[29]
웹사이트
Catálogo Localidades
http://www.microrreg[...]
[30]
뉴스
'El precio lo dice todo'
2010-03-23
[31]
문서
“hobel” in Laughlin, Robert M. (1975) The Great Tzotzil Dictionary of San Lorenzo Zinacantán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32]
웹사이트
In Town With Little Water, Coca-Cola Is Everywhere. So Is Diabetes.
https://www.nytimes.[...]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2024-03-25
[33]
웹사이트
メキシコの小さな都市の健康を蝕む巨大企業の思惑「水は週2回、コーラは毎日2リットル」で広がる健康被害
https://courrier.jp/[...]
KODANSHA
2024-03-25
[34]
웹인용
NORMALES CLIMATOLÓGICAS 1951-2010
http://smn.cna.gob.m[...]
Servicio Meteorológico National
2013-01-18
[35]
웹인용
NORMALES CLIMATOLÓGICAS 1981-2000
http://smn.cna.gob.m[...]
Comision Nacional Del Agua
2013-01-18
[36]
웹인용
Normales climatológicas para San C. De Las Casa, Chiapas
http://www.cm.colpos[...]
Colegio de Postgraduados
2013-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