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는 서울역 주변 버스 정류장을 통합하여 조성된 곳으로, 2009년 7월 25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서울역을 기준으로 1번부터 7번까지 승강장이 있으며, 각 승강장별로 운행 방향에 따라 시내버스, 지선버스, 간선버스, 광역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서울역 1호선, 4호선, KTX,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등 다양한 교통 시설과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서울남부버스터미널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남부버스터미널은 1972년 용산에서 시작하여 1990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으며, 엔티산업에서 운영하고,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동서울종합터미널
    동서울종합터미널은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 중 하나로, 전국 각지로 향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지하철 강변역과 연결되고 공항 리무진 버스도 운행하지만, 현대화 사업 후 상가가 퇴거하여 홈페이지나 앱으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구조물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구조물 - 남산2호터널
    남산2호터널은 편도 1차로, 왕복 2차로의 단선 터널로, 남산 터널 중 가장 길며, 1971년 12월 15일에 통행료 징수를 시작하여 혼잡통행료를 징수하지 않는다.
  • 서울 중구의 교통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 중구의 교통 - 충정로 (서울)
    충정로는 서울 서대문구 아현삼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도로로, 민영환의 시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다케조에마치로 불렸다가 194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4년 도로 구간 단축, 2010년 2개 이상 자치구 도로 고시, 2014년 버스전용차로 개통 등의 변화를 거쳤다.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일반 정보
명칭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한글 표기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로마자 표기Seoureok Beoseu Hwanseung Senteo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2. 연혁

2008년 7월 20일, 서울시서울역 주변에 흩어져 있던 버스 정류장을 통합하여 환승센터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2] 이전까지 서울역 주변에는 버스 정류소가 10여 곳에 분산되어 있어, 시내버스에서 내려 기차나 지하철로 환승하려면 도보로 이동해야 했고, 횡단보도가 없어 지하보도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안내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길을 헤매는 경우도 많았다.

2009년 7월 25일,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가 완공되어 운영을 시작하였다.[4]

2. 1. 서울역 버스환승센터 건설

그동안 서울역에는 버스 정류장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어 시내버스에서 내려 기차나 지하철을 이용하려면 한참을 걸어가야 했고, 횡단보도가 없어 지하보도를 이용해야 했는데 안내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헤매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서울시2008년 7월 20일 서울역 주변에 분산된 버스 정류장을 서울역 앞 도로 중앙으로 통합하고, 이 버스정류장으로 지하철역 환승 통로를 신설 및 서울역에서 건너편 대우빌딩으로 건너갈 수 있는 횡단보도를 설치하는 공원형 대중교통 환승센터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2] 2009년 7월 25일 완공되었다.[4]

날짜내용
2008년 7월 20일서울시에서 서울역 주변 버스정류장을 통합해 환승센터를 조성하기로 발표[3]
2009년 7월 25일완공 및 영업 개시[4]


3. 승강장

서울역 건물을 기준으로 가까운 순서대로 1번부터 7번까지 승강장 번호가 지정되어 있다. 다만, 일부 노선은 이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기존 버스정류장이었던 지하철 서울역 3번 출구 쪽 구 YTN 건물에서 승차해야 한다.[1]

각 승강장별 자세한 노선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1·2번 승강장

의 1•2번 승강장은 택시 전용 승차장이다.[1]

3. 2. 3번 승강장

용산, 마포, 공덕, 김포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3. 3. 4번 승강장

용산, 구로, 금천, 광명, 시흥, 노량진, 과천, 안양, 의왕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 간선버스 : 100, 150, 151, 152, 162, 202, 421,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742, 750A, 750B, 752, N15번

3. 4. 5번 승강장

강남, 송파, 성남, 분당, 판교, 용인, 수원, 화성, 남양주, 덕정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 지선버스: 7011번, 7013A번, 7013B번
  • 간선버스: 104번, 401번, 402번, 406번, 463번, 604번, 701번, N16번, N30번
  • 광역버스: 9401번
  •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1101번, 1150번, 5000A번, 5000B번, 5005번, 5007번, 5500-1번, 5500-2번, 7900번, 8100번, 9000번, 9000-1번, 9003번, 9007번, 9300번

3. 5. 6번 승강장

지하 서울역 9-1번 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은평, 의정부, 송추, 구리, 고양시 (용두동), 중랑, 월계, 강동, 하남, 수원, 영통, 광교, 화성, 동탄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구분노선 번호
지선버스7017번, 7021번, 7022번, 7024번
간선버스103번, 173번, 201번, 261번, 262번, 603번, 701번, 702A번, 702B번, 704번, 708번
경기도 직행좌석버스1102번, 8800번, 9301번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M4108번, M4130번, M4137번, M5107번, M5115번, M5121번


3. 6. 7번 승강장

한국은행, 시청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노선 종류노선 번호
지선버스1711, 7016
간선버스100, 150, 151, 152, 162, 500, 501, 502, 504, 506, N15


4. 이용 시 유의사항

용산역, 한강대교 등을 경유하여 통일로, 서대문역, 독립문역이나 신촌 방향으로 직행하는 노선 혹은 남대문시장 남쪽을 경유하여 중구청충무로역 방향으로 가는 노선, 후암동 방향으로 들어가는 노선들은 4호선 서울역 12번 출구 인근에 있는 '''갈월동''' 정류장을 이용해야 한다. 이는 7번 승강장이 직진 차로(롯데백화점 본점, 을지로입구역, 북창동, 숭례문, 시청, 한국은행 본부, 남대문시장 북편 방면)를 이용하고, 회현역퇴계로로 들어가는 방향과 비껴 있기 때문이다. 후암동으로 들어가는 일부 노선들은 서울역 건너편의 남대문경찰서 정류장을 이용한다. 서울스퀘어 가로변 정류장은 순환버스만 정차하는 정류장이었으나, 2017년 1월부터 퇴계로 진입 노선들이 추가로 정차한다.

염천교를 횡단하는 노선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의 구조 특성상 양방향 환승센터를 경유하지 않는다.

5. 인근 교통 시설

6. 사진

5번 승강장의 모습


환승센터와 연결돼 있는 서울역 9-1번 출구의 모습

참조

[1] 뉴스 ソウル駅前乗り換えセンター http://economy.hanko[...] ソウル経済新聞 2008-07-20
[2] 웹사이트 서울역앞 환승센터 생긴다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08-07-20
[3] 웹사이트 서울역 앞 '대중교통 환승공원' 생긴다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8-07-21
[4] 뉴스 서울역 시내버스 환승센터 개통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