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도 제C3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도 제C3호선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대문구, 종로구, 성북구, 동대문구, 성동구, 용산구를 경유하는 도로이다. 내부순환로로 불리며, 홍제천고가교, 홍지문터널, 정릉터널, 북부고가교, 정릉천고가교 등을 지난다. 국도 제48호선, 서울특별시도 제1호선, 동부간선도로, 강변북로 등과 교차하며, 한남대교, 반포대교, 동작대교, 한강대교, 원효대교 등 한강 다리를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대문구의 교통 - 청계천로
청계천로는 서울특별시의 도로로, 청계천 복개, 청계고가도로 건설 및 철거, 청계천 복원 사업을 거쳐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청계광장에서 시작하여 신답철교까지 이어진다. - 서울 동대문구의 교통 - 고산자로
고산자로는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의 호를 따서 명명된 서울특별시의 도로이며, 1966년 지정된 왕십리 로터리부터 시작하여 성수대교에서 종암로까지 이어진다. - 서울 서대문구의 교통 - 충정로 (서울)
충정로는 서울 서대문구 아현삼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도로로, 민영환의 시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다케조에마치로 불렸다가 194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4년 도로 구간 단축, 2010년 2개 이상 자치구 도로 고시, 2014년 버스전용차로 개통 등의 변화를 거쳤다. - 서울 서대문구의 교통 - 세검정로
세검정로는 서울 서대문구와 종로구를 잇는 도로로, 과거 세검로의 일부였으나 분리 및 도로명 주소 사업을 거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서울 서북부와 동북부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이다. - 서울 용산구의 교통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 용산구의 교통 - 한강대교
한강대교는 1917년에 완공된 한강인도교를 전신으로 하며,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1958년에 재건되었고,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서울특별시도 제C3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도로 종류 | 서울특별시도 (관리용 노선) |
노선 번호명 | 서울특별시도 제C3호선 |
노선명 | 내부순환도시고속도로 |
노선 정보 | |
총 연장 | 40.1 km |
기점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 |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특별시 성북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특별시 용산구 |
종점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 |
주요 교차 도로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8호선 서울특별시도 제0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02호선 서울특별시도 제03호선 서울특별시도 제04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2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5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6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7호선 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49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2호선 서울특별시도 제113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50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311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4603호선 서울특별시도 제4901호선 |
2. 주요 경유지
내부순환로는 서울특별시의 마포구, 서대문구, 종로구, 성북구, 동대문구, 성동구, 용산구를 경유한다.
자치구 | 경유하는 동 |
---|---|
마포구 | 성산동, 연남동, 마포동, 토정동, 당인동, 합정동, 망원동, 상암동 |
서대문구 | 남가좌동, 연희동, 홍은동, 홍제동 |
종로구 | 부암동, 평창동 |
성북구 | 정릉동, 길음동, 하월곡동, 종암동 |
동대문구 | 청량리동, 제기동, 용두동 |
성동구 | 마장동, 사근동, 용답동, 성수동1가, 금호동4가, 옥수동 |
용산구 | 한남동, 보광동, 주성동, 동빙고동, 서빙고동, 용산동6가, 이촌동, 원효로4가, 청암동 |
각 구별 자세한 경유지와 연결 도로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서울특별시
마포구(성산동, 연남동, 마포동, 토정동, 당인동, 합정동, 망원동, 상암동), 서대문구(남가좌동, 연희동, 홍은동, 홍제동), 종로구(부암동, 평창동), 성북구(정릉동, 길음동, 하월곡동, 종암동), 동대문구(청량리동, 제기동, 용두동), 성동구(마장동, 사근동, 용답동, 성수동1가, 금호동4가, 옥수동), 용산구(한남동, 보광동, 주성동, 동빙고동, 서빙고동, 용산동6가, 이촌동, 원효로4가, 청암동)을 경유한다.2. 1. 1. 마포구
마포구 성산동, 연남동, 마포동, 토정동, 당인동, 합정동, 망원동, 상암동을 경유한다. 성산나들목에서 국도 제48호선 및 서울특별시도 제1호선 성산로와 연결된다. 양화대교북단에서 서울특별시도 제49호선 선유로 및 양화로와 연결된다. 성산대교북단에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48호선, 서울특별시도 제1호선 성산로, 서울특별시도 제4호선 강변북로와 연결된다.2. 1. 2. 서대문구
서울특별시도 제C3호선은 마포구 성산동에서 시작하여 서대문구의 남가좌동, 연희동, 홍은동, 홍제동을 경유한다. 연희나들목에서 서울특별시도 제113호선 모래내로 및 홍제천로와 연결되며, 홍제나들목에서는 서울특별시도 제4901호선 연희로와 연결된다. 또한, 홍은나들목에서 서울특별시도 제4901호선 세검정로 및 홍은중앙로와 연결된다.2. 1. 3. 종로구
종로구 부암동과 평창동을 경유한다.[1] 홍지문터널과 정릉터널을 통과한다.[1]2. 1. 4. 성북구
정릉동, 길음동, 하월곡동, 종암동을 경유한다. 국민대입구나들목과 정릉나들목에서 서울특별시도 제4901호선(정릉로)과 연결된다. 길음나들목에서 서울특별시도 제4901호선(정릉로)과 연결된다. 하월곡분기점에서 서울특별시도 제3호선(북부간선도로)과 연결된다. 월곡나들목에서 서울특별시도 제52호선(월곡로)과 연결된다.2. 1. 5. 동대문구
청량리동, 제기동, 용두동을 경유한다. 마장나들목에서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청계천로 및 정릉천동로와 연결된다.[1]2. 1. 6. 성동구
마장동, 사근동, 용답동, 성수동1가, 금호동4가, 옥수동을 지난다. 사근나들목에서 살곶이길과 연결된다. 서울특별시도 제2호선 동부간선도로, 서울특별시도 제4호선, 제2501호선 강변북로와 중복된다. 두모교를 통해 중랑천을 건넌다.2. 1. 7. 용산구
한남동, 보광동, 주성동, 동빙고동, 서빙고동, 용산동6가, 이촌동, 원효로4가, 청암동을 경유한다. 한남대교 북단에서 서울특별시도 제27호선 강남대로 및 한남대로와 연결된다. 반포대교 북단에서 서울특별시도 제26호선 녹사평대로, 반포대로, 서빙고로와 연결된다. 동작대교 북단에서 서울특별시도 제25호선 동작대로 및 이촌로와 연결된다. 한강대교 북단에서 서울특별시도 제22호선 양녕로 및 한강대로와 연결된다. 원효대교 북단에서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여의대방로, 원효로, 청파로, 이촌로2길과 연결된다.3. 노선
내부순환로는 서울특별시도 제C3호선의 일부로, 서울 도심을 순환하는 주요 도로이다. 이 도로는 교량, 터널, 고가도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산로와 만나는 성산나들목에서 시작하여 홍제천 위를 지나는 홍제천고가교를 통해 서대문구로 이어진다. 연희나들목에서는 모래내로와 홍제천로로, 홍제나들목에서는 연희로와 연결된다. 홍은나들목에서는 세검정로와 홍은중앙로로 진출할 수 있다.
북악산 아래를 통과하는 홍지문터널과 정릉터널을 지나면 성북구에 이르게 된다. 정릉로와는 국민대입구나들목, 정릉나들목, 길음나들목에서 세 번 연결된다. 하월곡분기점에서는 서울특별시도 제03호선 북부간선도로와 교차하며, 월곡나들목에서는 월곡로와 연결된다.
정릉천 위를 지나는 정릉천고가교를 지나 청계천로와 만나는 마장나들목을 거쳐 살곶이길과 연결되는 사근나들목에 이른다. 이후 서울특별시도 제02호선 동부간선도로와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중랑천을 건너는 뚝도1교와 뚝도2교를 지난다. 고산자로 및 뚝섬로와 교차한 후, 서울특별시도 제04호선 강변북로와 다시 일부 구간을 공유한다.
중랑천을 건너는 두모교를 지나 용산구에 진입하면, 한남대교 북단에서 강남대로 및 한남대로와 만난다. 반포대교 북단에서는 녹사평대로, 반포대로, 서빙고로와 교차하고, 동작대교 북단에서는 동작대로와 이촌로로 연결된다. 한강대교 북단에서는 양녕로 및 한강대로와 만나며, 원효대교 북단에서는 여의대방로, 원효로, 청파로 등과 교차한다.
마포구에 들어서면 마포대교 북단에서 마포대로와 연결되고, 서강대교 북단에서는 국회대로, 서강로, 창전로와 만난다. 양화대교 북단에서는 선유로, 양화로, 토정로 등과 교차한다. 마지막으로 성산대교 북단에서 성산로 및 강변북로와 만나며 내부순환로와 직결된다.
3. 1. 주요 구간
구간 | 소재지 | 비고 |
---|---|---|
홍제천고가교 구간 | 마포구 성산제2동 ~ 서대문구 홍제제3동 | 내부순환로와 직결 |
홍지문터널 (북악산) | 서대문구 홍제제3동 ~ 종로구 부암동 | |
정릉터널 (북악산) | 종로구 평창동 ~ 성북구 정릉제3동 | |
북부고가교 구간 | 성북구 정릉제3동 ~ 종암동 | |
정릉천고가교 구간 | 성북구 종암동 ~ 성동구 마장동 | |
동부간선도로 중복 구간 | 성동구 성수1가제2동 | 서울특별시도 제02호선 동부간선도로와 중복 |
강변북로 중복 구간 | 성동구 성수1가제1동 ~ 용산구 원효로제2동 | 서울특별시도 제04호선 강변북로와 중복 |
- 내부순환로와 직결
3. 2. 주요 교차로 및 교량
부순
환
로
부
간
선
도
로
변
북
로
부
순
환
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