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다오 히로키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다오 히로키치는 1899년 히로시마현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관료로 시작하여 내무차관을 거쳐 오이타현 지사를 역임했으며, 공직 추방 이후 정계에 입문하여 중의원 의원을 지냈다.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문부대신, 후생대신, 중의원 의장 등을 역임하며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특히, 친대만 외교를 펼치며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속에서도 대만과의 교류를 지속했다. 1983년 정계를 은퇴한 후 사회복지 사업에 헌신했으며, 1994년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의 후생관료 - 야스이 세이이치로
야스이 세이이치로는 도쿄도지사를 세 차례 역임하고, 조선총독부 비서관, 경기도 지사 등을 거쳐 수도권정비법 제정 및 1964년 도쿄 올림픽 유치를 추진했으며, 중의원 의원으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일본의 후생대신 - 스즈키 젠코
스즈키 젠코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12선 중의원을 지냈으며 총리(1980년-1982년)를 역임하면서 미일 관계 개선에 기여했으나 교과서 문제로 한국과 중국의 반발을 샀다. - 일본의 후생대신 - 하시모토 류타로
하시모토 류타로는 1963년 중의원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후생대신, 운수대신, 자민당 사무총장 등을 거쳐 1996년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에 취임, 미군 푸텐마 비행장 반환 합의를 이끌어냈고 행정 및 재정 구조 개혁을 추진했으나 소비세 인상 등의 경제 정책으로 논란을 겪다 1998년 참의원 선거 참패 후 총리직에서 물러난 정치인이다.
나다오 히로키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灘尾 弘吉 (나다오 히로키치) |
원어명 | 灘尾 弘吉 |
로마자 표기 | Nadao Hirokichi |
출생일 | 1899년 12월 21일 |
출생지 | 일본 히로시마현 오가키정 (현재의 에타지마시) |
사망일 | 1994년 1월 22일 (94세) |
사망지 | 일본 도쿄도 세타가야구 |
출신 학교 | 도쿄 대학 (구 도쿄 제국대학) |
직업 | 내무성/후생성 관료 |
소속 정당 | (자유당 →) 자유민주당 (의장 재임 기간은 무소속) |
칭호 및 훈장 | 종2위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중의원 영년재직의원 |
가족 | 아버지: 나다오 후시지 사위: 이베 히데오 |
정치 경력 | |
직책 | 제60-61대 중의원 의장 |
임기 시작 | 1979년 2월 1일 |
임기 종료 | 1980년 5월 19일 |
천황 | 쇼와 천황 |
직책 | 제74-75대, 제77대, 제82-83대, 제90대 문부대신 |
내각 | 이시바시 내각 제1차 기시 내각 제2차 기시 내각 제2차 이케다 제2차 개조 내각 제2차 이케다 제3차 개조 내각 제3차 이케다 내각 제2차 사토 제1차 개조 내각 |
임기 시작 | 1956년 12월 23일 - 1957년 7월 10일 1958년 6월 12일 - 1958년 12월 31일 1962년 7월 18일 - 1964년 7월 18일 1967년 11월 25일 |
임기 종료 | 1968년 11월 30일 |
직책 | 제36대 후생대신 |
내각 | 제2차 이케다 제1차 개조 내각 |
임기 시작 | 1961년 7월 18일 |
임기 종료 | 1962년 7월 18일 |
직책 | 중의원 의원 |
선거구 | 히로시마현 제1구 |
당선 횟수 | 12회 |
임기 시작 | 1952년 10월 2일 |
임기 종료 | 1983년 11월 28일 |
직책 | 오이타현 지사 |
임기 시작 | 1941년 1월 7일 |
임기 종료 | 1942년 6월 15일 |
기타 경력 | |
직책 |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
총재 | 미키 다케오 |
임기 시작 | 1974년 |
임기 종료 | 1976년 |
2. 생애
나다오 히로키치는 1899년 히로시마현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내무성에 들어갔다. 관료로서 주로 사회복지 분야에서 일했으며, 오이타현 지사, 후생성 생활국장·위생국장, 내무성 지방국장·내무차관 등을 역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공직 추방되었다가 해제된 후 정계에 입문하여 중의원 의원에 12회 당선되었다.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문부대신, 후생대신,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중의원 의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99년 12월 21일 히로시마현 사에키군 오가키정(지금의 에타지마시)에서 태어났다.[1] 나다오가는 농사를 지으면서 면섬유 제조, 간장 양조 등을 겸업하며 생계를 꾸리고 있었다.[2]나다오는 소학교와 중학교 시절에 신동 소리를 들을 정도로 알아주는 수재였다. 구제 제일고등학교 재학 중 훗날 쇼와 천황이 되는 황태자 히로히토 친왕의 유럽 방문 환송식 때 학교 깃발을 드는 역할을 맡았다. 1924년 4월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법률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고등문관시험에 응시하려 했으나 건강이 좋지 못한 데다 간토 대지진까지 겹쳐 응시하지 못했다. 하지만 나다오의 중학교 선배인 내무성 인사과장 사가미 신이치의 배려로 면접만 보고 관료가 될 수 있었다.[2] 당시 내무성에는 성적이 우수하지만 사정이 있어 고등문관시험을 합격하지 못한 자를 위한 정원이 기수당 하나씩 있었기에 그 혜택을 입었다.[4] 이후 1924년 11월 정식으로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했다.
2. 2. 관료 경력
고등문관시험에 응시하려 했으나 건강이 좋지 못했고 간토 대지진까지 겹쳐 응시하지 못했다. 하지만 나다오의 중학교 선배인 내무성 인사과장 사가미 신이치의 배려로 면접만 보고 관료가 될 수 있었다. 당시 내무성에는 성적이 우수하지만 사정이 있어 고등문관시험을 합격하지 못한 자를 위한 정원이 기수당 하나씩 있었기에 그 혜택을 입은 것이다.[2][4] 이후 1924년 11월에 정식으로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응시해 합격했다.[9]위생국 조사과에서 2년 동안 수습 과정을 거친 후 도치기현 회계과장 겸 지사관방 주사로 반 년을 근무한 뒤 내무성에 복귀해 사회국 보험부 기획과 사무관이 되어 건강보험 제도의 원활한 운영 임무를 맡았다. 5년 뒤 사회부 보호과 사무관이 되어 당시 새로 만들어진 「구호법」 운영을 담당했다.
1935년 사회국 사회부 복리과장으로 승진했고, 2년 뒤 사회부 보호과장이 되었다. 1938년 내무성에서 보건행정 부문이 후생성으로 독립하자 후생성 사회국 소속이 되었으며 「사회사업법」 제정에 관여했다.
1938년 11월 내무성으로 돌아와 토목국 도로과장이 되었고, 1939년 4월 대신관방 회계과장이 되었다. 1941년 당시 최연소로 오이타현 지사로 발령받았고, 1942년 후생성 생활국장, 위생국장을 지낸 뒤 1944년 내무성 지방국장이 되었다. 1945년 4월 스즈키 간타로 내각이 출범하자 내무차관이 되어 지방총감부 설치 등을 시행했다.
2. 3. 정치 경력
灘尾 弘吉|나다오 히로키치일본어는 1947년 공직에서 추방되었다가 1951년에 해제된 후, 1952년 총선에 자유당 공천으로 히로시마 1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내무차관 출신이었지만 지역에서 인지도가 높지 않아 조직적인 표 동원이 어려웠고, 연설 능력도 뛰어나지 않았으며 지역의 이익을 위한 발언도 하지 않았다.[2] 그러나 성실함을 인정받아 2위로 당선되었다.[2] 당선 후에는 내무성 시절부터 알고 지내던 오가타 다케토라 파벌에 들어갔고,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창당된 후에는 오가타 다케토라 파벌에서 이시이 미쓰지로 파벌을 거쳐 무파벌로 활동했다.1956년 이시바시 내각에서 문부대신으로 처음 입각한 후, 총 4차례 문부대신을 역임하며 일본교직원조합(일교조)과의 갈등, 근무 평가제 도입, 대학 분쟁 등에 대처했다. 특히 제2차 기시 내각에서 문부대신으로 재임하던 중에는 근무평정제를 둘러싸고 일교조와 격렬하게 대립하기도 했다.
1961년 제1차 이케다 내각 (개조)에서는 후생대신이 되어 일본의사회와의 갈등을 조정하고 사회보험청 설치, 국립암센터 설립 등에 기여했다.[6]
1974년 미키 내각에서 자유민주당 총무회장이 되었으나, 미키 다케오 총리와의 갈등으로 '미키 끌어내리기'에 가담했다. 1976년에는 무파벌이 되었다.
1979년 총선에서 자민당이 대패한 후, 호리 시게루의 사임으로 일본 중의원 의장에 취임했다. 1980년 내각 불신임 결의안 가결 후 중의원 해산(해프닝 해산)을 선언했다.
1983년 정계에서 은퇴했으며, 지지 기반은 아와야 도시노부가 물려받았다.[8]
2. 4. 한일 관계 및 외교 활동
나다오 히로키치는 일본 정치에서 "친대만파" 정치인으로, 사토 에이사쿠 총리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1] 1959년에는 일중 관계에 관한 국회의원 간담회 의장으로서 대표단을 이끌고 타이베이를 방문하여 장제스를 만났는데, 이는 중화민국과 관계가 단절된 이후 일본 정치인이 처음으로 한 일이었다.[1]1972년 중일국교정상화 이후, 나다오는 중화민국과의 교류 유지를 위해 노력했다. 1973년 3월, 자민당 의원들로 구성된 일화의원간담회(일화관계간담회)를 창설하고 회장을 맡았다.[1] 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초청을 거절하고 중화민국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입장을 보였다.
나다오는 일본의 국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도, 대한민국과의 관계에서는 상호 이해와 협력을 증진하는 방향을 모색했다.
2. 5. 말년
1982년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을 수훈했다.[8] 1983년 정계를 은퇴했으며, 지지 기반은 건설 관료 출신의 아와야 도시노부가 물려받았다. 이후 전국사회복지협의회장, 일본신체장애자단체연합회장 등을 역임하며 사회복지 사업에 종사했다.1994년 1월 22일 도쿄도 세타가야구 자택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종2위에 추서되었다.
3. 정치적 성향 및 평가
나다오 히로키치는 중도보수 성향의 정치인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그의 정책과 활동에는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그는 청렴하고 검소한 이미지로 대중의 지지를 받았으며, 1966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는 '검은 안개 사건' 속에서 청렴한 정치인으로 주목받아 입후보하지 않았음에도 11표를 얻기도 했다.[6] 당시 자민당 총재 선거 규정에서는 입후보하지 않은 의원에 대한 표도 유효표로 간주되었으며, 당사에서도 나다오에 대한 표가 기록되었다.
1967년 제2차 사토 내각 (제1차 개조)에서 문부대신으로 기용되어 대학 분쟁에 대응했는데, 시위대가 나다오의 자택에 몰려갔지만 너무나 초라한 집 때문에 전의를 상실하고 퇴각했다는 일화도 있다.
친대만파였던 나다오는 1972년 중일국교정상화와 그에 따른 대만(중화민국)과의 단교에 즈음하여, 1973년 대만과의 교류를 지원하는 의원 연맹인 일화 의원 간담회 발족에 참여하여 회장을 맡았다. 나다오는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여러 차례 초청을 받았지만, 대만 측에 대한 의리를 지켜 한 번도 방중하지 않았다. 나다오 등의 노력으로, 일본과 대만의 경제·문화·인적 교류 관계는 국교 단절 후에도 유지되었다.[7]
1974년 미키 내각에서 자민당 부총재 시이나 에쓰사부로의 추천으로 당 3역 중 하나인 자민당 총무회장에 취임했다. 다나카 금맥 문제로 다나카 가쿠에이가 총리에서 물러나고, 록히드 사건까지 불거지면서 자민당이 위기에 직면하자, 당의 근대화를 주장해 왔던 시이나가 미키와 나다오에게 협력을 구한 것이었다. 시이나와 나다오는 1971년 굉지회 회장직에서 쫓겨난 마에오 시게사부로와 교우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매달 한 번씩 가진 3명의 회합은 '''"삼현인의 회"'''로 불렸다. 나다오는 무파벌이었지만, 파벌을 초월한 정책 연구회 "금요회"를 주재했고, "삼현인의 회"는 당내 영향력 있는 인물들의 모임으로 점차 정국의 고비에서 주목받게 되었다.[7]
1979년 10월 7일 제3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이 대패하자, 이른바 "40일 항쟁"이 발발했다. 그 과정에서 후쿠다 다케오는 오히라 마사요시에게 누구에게도 반발을 살 염려가 없는 공평무사한 인물로 나다오를 후임 총재 후보로 거론하기도 했다.
4. 역대 선거 기록
나다오 히로키치는 1952년 제25회 총선부터 1980년 제36회 총선까지 히로시마현 제1구에서 중의원 의원으로 총 12번 당선되었다.
선거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제25회 총선 | 히로시마현 제1구 | 자유당 | 48,767 | 16.4 | 2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6회 총선 | 자유당 | 51,082 | 18.6 | 3 | 당선 | ||
제27회 총선 | 자유당 | 61,140 | 20.8 | 2 | 당선 | ||
제28회 총선 | 자유민주당 | 79,625 | 24.1 | 1 | 당선 | ||
제29회 총선 | 82,534 | 24.6 | 1 | 당선 | |||
제30회 총선 | 97,915 | 28.3 | 1 | 당선 | |||
제31회 총선 | 129,290 | 35.4 | 1 | 당선 | |||
제32회 총선 | 119,355 | 36 | 1 | 당선 | |||
제33회 총선 | 98,969 | 25.1 | 2 | 당선 | |||
제34회 총선 | 134,704 | 30 | 1 | 당선 | |||
제35회 총선 | 124,485 | 31.9 | 1 | 당선 | |||
제36회 총선 | 147,023 | 28.5 | 1 | 당선 |
참조
[1]
뉴스
終戦時の内務次官、公職追放に 「群雀中の一鶴」灘尾弘吉(1)政客列伝 特別編集委員・安藤俊裕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01-08
[2]
웹사이트
終戦時の内務次官、公職追放に
https://www.nikkei.c[...]
2012-01-08
[3]
간행물
女性自身
1981-05-14
[4]
서적
情と理 - 後藤田正晴回顧録<上>
講談社
1996-06-24
[5]
서적
戦前期社会事業基本文献集7
日本図書センター
1995
[6]
간행물
機関誌「加仁」 - 公益財団法人 がん研究振興財団 第17号 (1982年発行)
http://www.fpcr.or.j[...]
1982
[7]
웹사이트
川島派を継承、自民党副総裁に
https://www.nikkei.c[...]
2012-09-02
[8]
문서
[9]
문서
http://library.jsce.[...]
[10]
웹사이트
『生きて』 NPO法人「食べて語ろう会」理事長 中本忠子さん(1934年〜)
https://www.hiroshim[...]
中国新聞
2022-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